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 교육에서의 전공교육 혁신을 위한 문제해결형 교과 운영 사례 탐색

        권민정(MinJung Kwon),김영욱(YoungWook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 교육에서의 전공교육 혁신을 위한 문제해결형 교과 운영 사례를 탐색하여 미래의 체육교사 교육이 담당해야 할 교육 방향은 무엇인지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내용은 예비체육교사를 위한 문제해결형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교과 운영 지원을 위한 혁신적 교육 환경 구축, 교과 운영의 효과 검증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팀티칭 연구회 협의, 전문가 협의, 문헌분석, 설문조사 및 IPA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는 첫째, 문제해결형 교과 개발의 방향 설정, 팀티칭 연구회 협의를 통한 교과 선정, 총 16주차를 4단계(기초학습/현장연계학습/심화학습/평가학습)로 조직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둘째, 혁신적 교육환경 구축 결과로 크롬북활용 및 강의실 공간 디자인, 이동식 스마트 전자칠판 활용, 라이브 스트리밍 체육수업 실습 환경 지원, 현장 역량 강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활용 기회 제공 사례를 제시하였다. 셋째, 교과 운영의 효과를 5개 설문영역(교육내용, 방법, 환경, 분위기, 평가)의 평균값과 IPA 매트릭스의 4개 사분면(유지, 과잉, 저순위, 집중)에 위치한 선택 속성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시사점 및 제언에서는 체육교육과 문제해결형 교과는 현장 연계형 교과, 교과 교육 및 비교과 교육에서의 문제해결 역량을 교육하는 교과, 다양한 테크놀로지 기술의 교육과 융합하는 교과,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하는 교과로 운영되어야 함을 논의 및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implication of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in the future, by exploring the operation cases of problem-solving(PB) subject for the innovation of major education for pre-service PE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contents were set up as the development/operation of PB subject curriculum, establishment of innovative education environment for supporting the subject operation, and the verification of effects of the subject operation. In th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consultation with team-teaching research society/experts, literature review, and IPA method through the survey were utilized. In the results, first, this study presented setting up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B subject, selection the subject through operation of the team-teaching research society, and the cases developing/operating the curriculum composed of four steps(basic/field-connected/intensified/evaluation learning). Second, this study presented the cases of utilizing Chromebook, space design of classroom, smart e-blackboard, the practical environment of live streaming PE clas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to utilize softwares for strengthening the field competencies. Third, this study explained the effects of subject operation through the mean value of five survey domains and the meaning of selection attributes located in the four quadrants of IPA Matrix. I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his study discussed the PB subject of PE should be the field-connected subject, the subject teaching the PB competency with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the subject converged with the education of various technologies, and the subject applying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 KCI등재

        체육전공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김영욱 ( Youngwook Kim ),권민정 ( Minjung Kwon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체육전공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다양한 변인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각 변인들의 상관 효과크기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최종 선정된 23편의 연구물에서 도출된 6개의 관련 변인에서 총 233개의 효과크기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전공학생의 진로준비 행동과 관련변인의 전체 상관효과 크기는 .300으로 나타났으며 중간 상관 효과크기에 해당된다. 둘째, 체육 전공 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되어 주로 다루어진 변인은 전공만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학업적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중 전공만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중간 상관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의 하위구성요인에 따른 관련 변인의 상관 효과크기 분석 결과, 도구 준비 요인은 전공만족, 실천적 노력 요인은 전공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정보수집 요인은 전공만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탐색 요인은 전공만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중간 상관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넷째, 선수학생과 일반 체육전공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 변인의 상관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중간 상관 효과크기가 나타난 주요관련 변인은 선수학생의 경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전공만족으로 나타났고 일반 전공 학생은 전공만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 and related variables. To this e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33 effect sizes derived from 23 studies finally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correlation effect size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hysical education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showed a medium effect size(ESr=.300). Second, the variables mainly dealt with in relation to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hysical education students were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 academic defici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mong the main variable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medium effect siz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effect size of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ol preparation factor was major satisfaction, practical effort factor was major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information collection factor In terms of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search factors, the medium effect size was found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ourth, athlete students showed a medium effect size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barrier, and major satisfaction. Students in general major showed a median effect size i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KCI등재

        ‘학교부적응’ 학생의 ‘참여’를 위한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조미혜(Cho, Mihye),권민정(Kwon, MinJung),김승환(Kim, Seung Hwa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생활 전반에서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이 신체활동을 통한 사회성 관련 가치들을 학습함으로써 심리적, 사회적 특성의 긍정적 변화와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 전반에서 적극적인 ‘참여’를 경험하는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해 중등체육교사 3명, 체육교육전공 대학 교수 2명, 학교체육 분야 전문 연구원 2명을 대상으로 조사-개발-예비검증의 단계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문헌조사, 심층면담, 전문가 회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내용 분석 및 귀납적 범주 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용 타당성 및 현장적용 가능성 검토를 거쳐 최종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학교부적응의 개념과 범위, 소외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둘째,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4가지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정서와 태도의 2가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셋째, 정서 및 태도 변화를 위한 체육활동 프로그램은 공통적으로 각각 8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차시별 주제, 주제별 참여 유형, 신체활동, 세부 활동 내용, 교수학습 방법, 체육수업과의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정서 변화 프로그램에서는 우울, 스트레스, 자존감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활동 내용, 태도 변화 프로그램에서는 협동, 배려, 규칙준수의 행동을 활성활 시킬 수 있는 활동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목적 측면에서는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프로그램의 내용 측면에서는 관계의 형성과 변화를 실현할 수 있는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탐색-탐구 과정의 투입과 지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which students experiencing ‘maladjustment’ to the overall school life experience active ‘participation’ by learning values related to sociality through physical activities. For this, targeting three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wo professors of physical education, and two researchers specialized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phase of research, development, pre-verification. In detail, data wa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experts group meeting while using the contents analysis and inductive analysis.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and applicability to the field,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concept, scope of school maladjustment, and the concept of alienation in the existing preceding researches was analyzed. Second, setting up the four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two elements such as emotion and attitude were drawn. Third,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changes in emotion and attitude was commonly composed of eight sessions each while suggesting the theme of each session, the participation type of each theme, physical activity, detailed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correla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 Forth, the emotional change program suggested activity to overcome depression, stress, and decline of self-esteem while the attitude change program suggested activities to active behaviors such as cooperation, consideration, and observation of rules.

      • 열차위치검지시스템 성능평가 인프라 구축 방안

        박성수(Sungsoo Park),김성진(Seong Jin Kim),이재호(Jae-Ho Lee),유일선(Il Seon Yu),김혜윤(Hye Yun Kim),권민정(Minjung Kwon)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본 논문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관으로 수행 중인 “400km/h급 고정밀 철도위치검지 기술개발” 과제에서 개발 중인 열차위치검지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열차위치검지시스템은 400km/h 고속이동환경에서 ±1m급 위치오차 정밀도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트랜스폰더, 위성항법, 차륜센서, 관성센서 등 다양한 위치 및 속도 검지센서를 융합하는 방식으로 개발 중에 있으며, 위치검지시스템에 절대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선로에 트랜스폰더 태그의 설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호남고속철도 400km/h급 고속철도 인프라 테스트베드 구간의 궤도구조 분석을 통해 트랜스폰더 태그를 설치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is conducting a national R&D project of“Technology development on the positioning detection of 400km/h class railroad with high precision.” This project aims to improve precision of positioning information by integrating various sensors such as transpond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tachometer, and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referenc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on-board train positioning system, transponder tags should be installed along the track.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plan for testbed implementa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train position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