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밀클로니클 온라인」에 나타난 기독교 캐릭터스토리텔링 방식

        권도경(Do-kyung Kwon) 어문연구학회 2008 어문연구 Vol.57 No.-

          This paper studied on the being aspects of the Christian character and the method of the character-storytelling in Eco-online. This study is made progress in two ways. The first is inquiry in the method making description of the Christian character in 「Eco-online」. The second is inquiry in the Christian conciousness reflected in the method making description of the Christian character in Eco-online.<BR>  Eco-online gets out of typical structre of the character-storytelling that makes a comparison goodness with badness. It is that is changed in method of character-storytelling in preexistent popular culture-contents. This variation is integrated in Dominian, devil character in Eco-online. Stated above, it reflecrs the changed possession-conciousness of game user, like a denial of the blind subordination to the Christian ideology, a relativism and selfishness getting count on the subjectivity that the variation of the method giving a description of the Christian character in Eco-online

      • KCI등재

        전북 <홍수전설>의 전승양상과 인문지리적인 지역적 특수성 ― 비(非)창세신화계를 중심으로 ―

        권도경 ( Do Kyung Kwo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3 동양문화연구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비(非)창세신화계 전북 <홍수전설>의 전승양상을 통해 지역적 특수성을 고찰해보았다. 전자에서는 비(非)창세신화계 전북 <홍수전설>의 유형별로 특징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전북 지역적 특수성을 도출하기 위한 서사적인 기반을 구축하였고, 후자에서는 비(非)창세신화계 전북 <홍수전설>에 나타난 지역적 특수성에 대한 인문지리적 고찰을 전북지역 내부적인 차원과 전국적인 차원으로 양분하여 진행하였다. 전북 내재적인 지역문화적 접근 차원에서 전북 <홍수전설>의 제반유형별 분포도는 동고서저의 한반도 전체 지형도 내부에서는 서남저에 위치해 있지만 소단위 행정구역별로 지형지리적인 상대적 층차가 존재한다는 전북 지역성의 특수성에 정확히 매칭된다. 전북 <홍수전설>은 서해안가 군산만·광양만 일대의 홍수함몰을 피해 동부 고산지대로 최종적으로 이어지는 서해연안 저지대를 거쳐 배를 주행해 들어감으로써 대홍수를 극복하는 동시에 서해안을 향해 흘러내리는 전북 서부 저지대 지형의 약점을 풍수지리적으로 보완함으로써 홍수 재발을 미연에 방재하고자 했던 전북 지역민의 특수한 홍수극복 경험의 총체를 반영하고 있다. 여타 지역과의 비교 차원에서 전북 지역은 한반도 서남해안 해안·연안 저지대 벨트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지역적 특수성에 의해 한반도 내 딱 두 군데 존재하는 <홍수전설> 홍수함몰 유형의 전승지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동시에 한반도 서남해안 해안·연안 저지대 벨트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전북의 지역적 특수성은 전북 <홍수전설>을 <홍수전설> 홍수함몰 유형의 비(非)전승지인 평안도·황해도·충청북도·경상북도·강원도·서울시·함경북도 등의 <홍수전설>과 차별화 시키는 인문지리적 배경이 된다. This study intendwds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Jeonnam region from other regions through the characteristic existence of < Mountain Legend > in Jeollanam-do. In the former, narrative background was construcked to derive the specificity of the Jeonbuk region from the non-making world mythological Jeonbuk < Flood Legend > through the processing to categorize the non-making world mythological Jeonbuk < Flood Legend > into loop type, driving type, passing ship type, village retreat type. In the latter, human geographic study on the Regional Specificity in the Jeonbuk region from the non-making world mythological Jeonbuk < Flood Legend > was carried out in two categories like the internal dimension of the Jeonbuk region and the national dimension.

      • KCI등재

        고전서사문학,디지털문화콘텐츠의 서사적 상관성과 고전서사원형의 디지털스토리텔링화 가능성

        권도경 ( Do Kyung Kwon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동방학지 Vol.155 No.-

        This paper attempted to seek ways to connect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 of digital storytelling based on contemplation to the narr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 and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The narr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 and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was determined by dividing them in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llowing division, the narrative similaritie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universality of theme, segmentality of the scene, type of character, storytelling based on action, and task-centered storytelling. Meanwhile, the narrative differences were analyzed into two parts: distinction by media materializing it and view of the world. Additionally, this paper attempted to make academic the storytelling of Korean classical narrative digital storytelling. There are three components. The first is fictional speaking and the substituted history. The second is the enumeration of encyclopedic knowledge. The third is the spectacle of the martial storytelling.

      • KCI등재

        중국 문화와 지역학 연구 성과물 집적 동향 ―문화연구를 중심으로

        권도경 ( Kwon Do-kyu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5 No.-

        본 연구는 중국의 최근 10년간의 문화연구 현황을 정리한 것으로, 베이징, 상하이 및 기타지역의 주요 문화연구센터와 연구자들을 소개하고, 그들의 연구 성과물을 정리, 분석했다. 문화연구의 주요 연구자인 다이진화, 왕샤오밍, 타오둥펑 및 청년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통해 현재 중국의 문화연구의 범위와 주제가 확대되고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문화연구의 연구방법과 문화연구자를 양성하는 방식은 국내 중어중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本文整理了最近十年來中國國內的文化硏究狀況, 先後介紹了北京、上海及其他地方的主要文化硏究中心和所屬的主要硏究者, 梳理了他們的硏究成果。本文論及可以代表中國文化硏究的學者戴錦華、王曉明、陶東風以及其他靑年學者等的硏究成果, 總結出當今中國文化硏究的硏究範圍和主題呈現出擴大化和多樣化的特點。筆者認爲, 中國國內文化硏究的方法以及文化硏究者的培養方式將會爲我國國內的中國文學硏究的發展提供有益的借鑑和啓示。

      • KCI등재

        현대재매개화콘텐츠의 고전문학사적 위치 규정을 통한 고전문학의 통시적 전변론

        권도경 ( Kwon Do Kyu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4

        본 연구는 국문학의 문화적 접변과 사회적 실천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주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로의 재매개화를 고전문학사의 통시적인 전변사 속에 보편적인 현상으로 무사히 안착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전제들을 구축해 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 재매개화 문화콘텐츠를 고전문학의 통시적인 전변사 속에 보편적인 문학 현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이론적 전제들을 구축해보았다. 현재, 문화콘텐츠에 관한 고전문학계의 기존 연구는 고전문학과 다른 영역 간의 관련성을 논하는 물리적인 융합연구 중심의 현대적 수용론에서 문화콘텐츠를 고전문학사 내부로 끌어들여 현대적 이본의 일종으로 규정하는 고전문학사의 전변론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문화콘텐츠의 고전문학 수용·변용·활용론과 달리 고전문학을 주체로 한 문화콘텐츠 연구로서, 고전문학사의 전변사 속에 문화콘텐츠를 위치시키고 사적(史的)인 의의를 부여하고자 한 연구가 된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문화콘텐츠 시대에 고전문학사의 현재적 지속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현대”의 상대적 재규정성과 고전문학사의 현재적 확장성 문제를 검토해 보았다. 재매개화 문화콘텐츠가 별도의 영역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고전서사문학을 현대적으로 재매개화 한 이본사 속에 위치한 것이라면 고전문학사가 현대까지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어야 하는데, “현대”의 상대적 재규정 가능성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사의 현대적 지속성을 검토함으로써 현대의 재매개화 문화콘텐츠를 고전문학사의 일부로 귀속시키고자 한 것이다. 궁극적으로 고전문학의 재매개화가 매체전환사과 함께 통시적으로 확인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고전문학사의 보편적인 문학현상으로서의 확고한위상을 구축해 보고자 한 것이 된다. 두 번째는 고전문학의 재매개화에 의해 근·현대 문학사가 재구될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고전문학의 현재적 지속성과 확장성을 사적(史的)으로 입증해보았다. 이 논제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매체전환에 따른 재매개화가 비단 현대의 문화콘텐츠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고전문학의 이본 전변사 전반에서 확인되는 보편적 현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정 고전서사문학 작품 혹은 유형의 고전서사원형을 불변서사로 하여 시대적 변화상·의식을 반영한 가변서사가 결합되어 이본을 산생하는 메커니즘은 꼭 현대문화콘텐츠로의 재매개화에서만 확인되는 것이 아니라 고전문학사에서 반복적으로 전개되어 왔던 매체 교체사에 의해 상시적으로 진행되어 왔던 문학 현상 중의 하나였다는 것이다. 즉, 고전서사문학의 이본 전변사 속에 매체전환에 따른 재매개화가 상시적인 문학향유의 기재로서 정립될 수 있다는 것으로, 매체전환에 따른 재매개화가 고전서사문학사의 상시적인 이본 파생 동인이 된다는 것이다. 고전서사원형을 불변서사로 고정시켜놓고 재매개화를 통해 시대 의식적 변화상을 가변서사로 수용한 재매개화콘텐츠로 각 시대가 구성되는 재매개화콘텐츠 고전서사문학사의 성립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이 문제를 입증하고자 했다. This study intends to construct a new theoretical premise that can safely establish the remedia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as a universal phenomenon,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time concerning cultural interface and social practice in Korean literature.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classical literary world is presently moving from a theory of modern adaption (with focus on physical fusion research) that regulates the relation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other fields, to a theory on the diachronic variableness of classical literature that regulates cultural contents as a different modern version by attracting the cultural contents into classical literature. The achievem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way. Firstly, it addresses the issue of the relative redetermination of `the modern` and the current scalability of classic literature. Through thi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present dur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e time of cultural contents is secured. Secondly, it demonstrates the current duration and scalability of classical literature by considering if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can be restructured through the remedi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To establish this thesis, this paper identified that remediation by reformatting is not only relevant to present cultural contents, but is also a universal phenomenon that appeared throughout the entire history of diachronic variableness in classical literature.

      • 송징 전설의 형성 과정과 계열 분화에 관한 연구 -장도 당제 계열과 고려 삼별초 장군 계열에 나타난 송장군 전설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권도경 ( Do Kyung Kwo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0 No.-

        본 연구는 송장군 전설과의 다층적인 관계에 대한 면밀한 고려를 바탕으로 송징 전설의 형성 및 분화, 전승 과정의 다기한 맥락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호국신사?사현 계열에 관한 기존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본고에서는 강한 구비 전승력과 풍부한 서사성을 보여주는 장좌리 장도 당제 계열과 고려 삼별초 장군 계열을 중심으로 송징 전설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계열분화의 역사적 배경, 서사 구조적 특징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송징 전설의 장좌리 장도 계열은 송징이 그 부하 엄장군이 배신하여 침입해 들어오자 까투리로 변신하여 까투리섬으로 도망갔는데, 엄장군이 쏜 화살에 맞아서 죽었다는 이야기, 장도를 중심으로 한 토착 해양세력이 인근의 내륙 혹은 도서 지역에 존재한 다른 해양세력과 대결을 벌이다 한 쪽이 패망한다는 서사구조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호국신사?사현 계열의 그것과 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장도 계열의 송징의 신화적 능력이 호국신사?사현 계열의 선사자(善射者) 상징이 아니라 변신술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두 계열의 송징 전설이 각기 다른 특수한 역사적?서사적 맥락 하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신 장도 계열에서 선사자는 엄목으로, 그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이야기의 서사구조는 송징의 그것과 유사하다. 엄목 전설은 가용리의 엄나무 수목신앙이 완도 일대 장수 전설과 결합되면서 의인화 된 것으로, 송징 전설의 장도 계열은 바로 이 엄목 전설을 수용하여 재맥락화 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엄목 전설의 수용은 송장군 전설이 장도 당제 전설로 구체화 하면서 송징 전설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송징 전설의 고려 삼별초 장군 계열은 완도 일대의 송장군 전설이 완도에 입도한 고려조 삼별초 송장군 전설과 결합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정도리와 달도리를 제외한 완도군 대부분의 송징 당제가 모두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와 달리 장좌리는 송장군 당제가 고려장사 송징 당제로 일차 변이한 후에 고려조 삼별초 송장군의 완도 입도라는 사건과 함께 고려장사 송징 당제가 다시 삼별초 송징 장군 당제로 이차 변이하는 복합적인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임억령이 15세기에 창작한 ?송대장군가?와 ?송장군?은 고려 말 삼별초 송징 장군, 고려 장사 송징, 호국신사의 주신 송징, 사현 유래담의 주인공인 완도 토착민 송징, 장좌리 장도?중도리?화개리?대구미?부흥리?대신리?대야리?고마리?사후리?군내리 당제의 주신인 송징 등을 포함하여 완도군의 해양세력인 송장군, 고려말 삼별초 송장군, 정도리 당제의 주신인 송대장군, 달도리 당제의 주신인 송대할머니, 송대장골?송대목?송대여 등의 지명 유래담의 주인공인 송대장군 전설을 모두 취합한 종합 판으로, 송장군이란 명칭이 항상 고려 말 삼별초 송징 장군으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고려말 삼별초 송징 장군 전설 속에서 그 주인공은 항상 송장군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적어도 고려만 삼별초 송징 장군 전설 내에서 만큼은 송장군과 송징 장군이 유연하게 오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course that the Songjing legend is formed and differentiated into the lower fac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show the various intricacies of the fomational or differentiational, traditional course in Songjing legend, on the basis of consideration for the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Songjanggun(宋將軍) legend. This study classified Songjing lengen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Hoguksinsa(護國神祠) and 사현(射峴) legend fraction. The second type is the Jangdo(將島) sacrifice fraction in Jangjwari(將坐里). The third type is the Goryeo(高麗) Sambyolcho(三別抄) general fraction. Among these, beforehand make clear that the analysis about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guksinsa(護國神祠) and 사현(射峴) legend fraction on the basis of the preexistent study of the author. The Jangdo(將島) sacrifice fraction in Jangjwari(將坐里) of the Songjing legen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Hoguksinsa(護國神祠) and 사현(射峴) legend fraction showing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the one is defeated against the other, after the native ocean forces in Jangdo stands face to face with the other ocean forces in the neiborhood. But we can know that these two fractions of Songjing lengend is formed in the different intricacies historicaly or narratively. I guess that the Goryeo(高麗) Sambyolcho(三別抄) general fraction of the Songjing legend is formed, as Songjanggun legend in the neighborhood of Wando(莞島) combines with the legend about Sambyolcho(三別抄) general who walks in Wando in Goryeo dynasty. This study brings to a conclusion that in Jangjwari, the course of transition of Songjing legend is exsist complexly. I guess that after firstly Songjanggun legend in Jangjwari changes into the Goryeo muscular man, Songjing legend, secondly the Goryeo muscular man, Songjing legend chages again into Sambyolcho(三別抄) Songjing general legend as Sambyolcho(三別抄) general who walks in Wando in Goryeo dynasty.

      • KCI등재

        건국신화적 문화영웅일대기와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

        권도경 ( Kwon Do-kyung ) 국제어문학회 2014 국제어문 Vol.60 No.-

        본 연구는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가 세종을 메인 서사주체로 삼은 건국신화적 문화영웅일대기라는 사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사원형이 되는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가 실은 세종을 건국시조로 설정한 건국신화라는 새로운 학설을 수립하는 것으로 연구의 출발점을 잡았다. 조선의 건국시조가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란 사실이 역사학계의 통설이지만, 조선정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유일한 건국신화인 <용비어천가>에서 나타난 인식은 다르다. 목조(穆祖)-익조(翼祖)-도조(度祖)-환조(桓祖)-태조(太祖)-태종(太宗)의 6대기가 세종에서 끝나는 7대기로 마무리 되고 있는 <용비어천가>는 건국시조에서 끝이 나는 건국신화의 세대기(世代記)>의 전형적인 구성원리로 볼 때, 태조가 아니라 세종을 건국시조로 한 건국신화가 되기 때문이다.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에서 이도를 세종조선창건의 문화건국영웅으로 보고 있는 것 대한 신화사적 인식의 근거를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선행 건국신화 연구사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이러한 왕조내재적인 국가단위 문화질서 교체와 부자갈등의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가 기대고 있는 건국신화적 서사의 원류를 확인하였다. 한편,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가 세종조선의 문화질서 창업이라는 건국신화적 인식논리를 기반으로 성립된 일종의 미디어 소설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단군신화>의 문화영웅건국신화가 <주몽신화>의 문화영웅일대기적 건국신화로 이동하는 가운데 민본주의 이념은 그대로 유지하는 가운데 장편화가 진행되었다는 관점에서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의 서사구성원리를 살펴봄으로써 입증하였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act that drama < long rooted > is hero`s narrative type that made a main agent of Sejong. Transforming from original novel to drama, theme of drama < long rooted > is changed to democracy not Independence against Ming(明) and Hangeul creation that was one of achievements is focused on representative achievement. In this course, Hangul creation became a object to reveal drama`s thematic consciousness of democracy. Hangul is a symbol to materialize visually the democratic national idea of Sejong`s Chosun that Sejong attempted to replace Taejong`s Chosun with. In this regard, Sejong became a Cultural Hero that brought democratic Chosun differentiated from Taejong Chosun into existence by making cultural technology that the people can use and openning a door for life that the people can desire with subjectivity. Frirst of all, this paper confirmed narrative headwaters of birth myth that drama < long rooted > is based on as search this cultural order`s change with unit of state in dynasty and aspects of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that haven`t been attentioned in the former history of research.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proves the fact that drama < long rooted > is the media novel that comes into existence based on birth-mythical recognition logic, through birth mythical historical progress that democracy idea was passed itself and lengthening was progressed while cultural hero`s birth myth of < Dangun mythology > moved to cultural hero`s life of < Jumong mythology > and narrative composition principal of drama < long rooted >.

      • 투고논문 : 소서노 신화의 위계 변동 체계 및 전설화 양상과 그 의미

        권도경 ( Do Kyung Kwo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2 No.-

        본 연구는 소서노 신화의 전설화와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국면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는 소서노 관련기록에 나타난 소서노 신화의 해체양상과 위계변동의 체계에 대한 고찰이다. 공식적인 사료에 나타난 소서노 관련기록을 검토함으로써 소서노 신화의 해체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동시에 남성중심으로 재편된 고구려백제건국신화 속에서 소서노의 위상이 변동되어 나타나는 위계변동의 체계 및 그 정치사회학적신화적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소서노 관련 신화의 전설화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한 고찰이다. 소서노 신화는 사슴여신에 관한 신앙관념과 결합되어 그 구체적인 신화적 텍스트를 형성하여 전승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소서노 신화로서의 사슴여신신화는 남성중심의 고구려백제건국신화가 성립됨에 따라 해체되어 전설화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파편화된 텍스트가 소서노집단의 이동경로와 일치하는 옛고구려백제의 강역인 북한과 호남지역의 전설로 현전한다. 사슴여신을 형상화 한 이른바 ‘녹족부인전설’ 유형이 바로 그것이다. 녹족부인 전설의 전승양상을 통해 소서노 신화의 계승체계를 분석하였다. 한편, 소서노 신화의 흔적은 영웅전설화된 옛고구려전설 텍스트와 백제신화가 전설화된 유형인 야래자설화 속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영웅전설화된 옛고구려전설 텍스트와 백제의 토착신화의 흔적을 담은 야래자설화를 통해 또 다른 소서노 신화의 전설화 양상과 그 의미를 탐구해보았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rank fluctuation and the legendzation of Soseono myth. The first is the study on deconstruction aspect and the rank fluctuation of Soseono myth in the document related Soseono. As Soseono was being divested of the political power, faithful idea of Soseono was divested according to the document related Soseono. Koguryo(高句麗)·Backje(百濟) myth’s being reorganized androcentrically, the phase of Soseond was reduce or changed anonymously in them. Consequently Soseono myth took to piece, and then changed into legend. The second is the study on the aspects that Soseono myth changes into the legend and the meaning. It seems that Soseono myth formed concrete texts, as it combined with the faith on the deer-godness. According as the Soseono myth was dievested, the deer-godness was transmitted around Honam regiond. Honam is the region that Soseono group occupied on and settled down finally. The movement route of the deer-godness myth accord with that of Soseono group. On the other hand, trace of the Soseono myth was looked into hero legend in Koguryo and Yaraeja(夜來者) legend that Backje myth changed into legen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