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에밀클로니클 온라인」에 나타난 기독교 캐릭터스토리텔링 방식
권도경(Do-kyung Kwon) 어문연구학회 2008 어문연구 Vol.57 No.-
This paper studied on the being aspects of the Christian character and the method of the character-storytelling in Eco-online. This study is made progress in two ways. The first is inquiry in the method making description of the Christian character in 「Eco-online」. The second is inquiry in the Christian conciousness reflected in the method making description of the Christian character in Eco-online.<BR> Eco-online gets out of typical structre of the character-storytelling that makes a comparison goodness with badness. It is that is changed in method of character-storytelling in preexistent popular culture-contents. This variation is integrated in Dominian, devil character in Eco-online. Stated above, it reflecrs the changed possession-conciousness of game user, like a denial of the blind subordination to the Christian ideology, a relativism and selfishness getting count on the subjectivity that the variation of the method giving a description of the Christian character in Eco-online
문학 : 한,일 게임 장르별 여성캐릭터의 인물형상과 향유방식
권도경 ( Do Kyung Kwon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14
This paper studied on the method forming the women character and the meaning in korean and japanese game. This study is made up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e compararative inquiry on the method forming the women character and the meaning in korean and japanese game. Comparatively analyzing out women character and the meaning in korean and japanese game by ganre, in the first part examined the common points and the points of difference. The second part is the cross-cultural inquiry on the meaning that the different points of the women character and the meaning in korean and japanese game has. In second part, analyzed differences of cultural code out which the different points of the women character and the meaning in korean and japanese game made. The comman points on the method forming the women character in korean and japanese game and the consciousness posessing it, is preferences to the cute or pure face with sexy body. The differents points on the method forming the women character in korean and japanese game is the fact that in korean games, sexy but the independent character increases. On the other sides, Japanese game-user still pursues the cute and sexy character. This changes in korean game, reflects the increase of percentage that female paticipates in social actions.
고구려신화의 새로운 범주규정과 녹녀호국지모신화의 역사적 성립·전개과정
권도경(Kwon, Do-Kyung)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0 No.-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사슴을 신성시 하는 신앙 관념을 보유하고 있었던 고구려의 국제전 (國際戰) 대상이 4세기 이후 전연(前燕)·후연(後燕), 수(隋), 당(唐) 등의 선비족계(鮮卑族系) 국가로 교체되는 과정에서 사슴토템을 호국지모신화로 받아들이게 된 과정과 역사적 맥락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입증하고자 했다. 고구려 건국신화의 성립과정 속에서는 지모신으로 선택되지 못했던 녹녀가 4∼5세기 고구려가 처한 대외관계의 변화 과정에 따라 호국지모신으로 고구려신화 내부의 지배적인 위상을 획득한 결과가 바로 녹녀호국지모신화의 탄생이다. 그 역사적 배경은 차례로 고구려를 침공한 연(燕)·수(隋)·당(唐)이 선비계 국가들었고, 이 선비계 국가들과 고구려가 공유하고 있었던 것이 바로 알타이 제 민족의 시조신화인 사슴시조모신화이기 때문이다. 고구려의 사슴시조모가 바로 녹족부인(鹿足夫人)이다. 특히 알타이 제 민족의 계열 중에서 선비족과 고구려가 속한 만주-퉁구스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사슴시조모신화는 시조부와 시조모의 부부관계가 아니라 시조와 시조모의 모자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전자는 투르크-퉁구스계 민족들의 사슴시조모신화에서 확인되는 특징이다. 따라서 고국으로부터 분리(分離) 된 뒤 중국의 수장(首將)이 되어 조국을 외침해온 친아들들이 일으킨 외침의 상황을 모성(母性)의 발현에 의한 친자(親子) 확인 방식으로 평정하는 녹녀호국지모신화의 서사적 특징은 이처럼 선비족과 공유하는 만주-퉁구스의 사슴시조모신화를 고구려에 요구되는 호국 상황의 특수성에 맞게 변형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녹녀호국지모신화는 유화를 시조모로 하는 고구려의 대외 공식적인 신화체계 속에서 대선비족(對鮮卑族) 국가로 인해 야기된 국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조된 허구적인 신화로서 이원적으로 존재했었다고 볼 수 있겠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istorical context to accept a deer totem as mother goddess’s patriotic myth in the process that opponent of Koguryo’s international war to was replaced as Sunbijok(鮮卑族) nations like Cheonyeon(前燕)·Whuyeon(後燕), Su(隋), Dang(唐). The result that deer mother who wasn’t chosen as mother goddes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Koguryo birth myth, got dominent status as patriotic mother goddess is a birth of deer mother goddess’s patriotic myth. It’s because Cheonyeon(前燕)·Huyeon後燕), Su(隋), Dang(唐) that invaded Koguryo were Sunbijok nations and what Koguryo shared with these Sunbijok nations is deer mother goddess’s myth of the Altaic peoples. Narrative structure of deer mother goddess’s patriotic myth is that her real sons invaded their homeland as head general of china after were separated from their mother country and deer mother suppresses invasion situation in the manner of paternity test by materality’s revelation. Thes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deer mother goddess’s patriotic myth is the result that deer mother goddess’s myth with Sunbijok nations transformed according to distinctiveness of patriotic situation that was asked to Koguryo.
권도경(Kwon do kyung) 비교민속학회 2015 비교민속학 Vol.0 No.56
본 연구는 유사설화의 세계적 분포도가 확인되는 설화 유형의 존재가 새롭게 발굴되었을 때, 해당 텍스트의 특수한 존재의의를 어떻게 부여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에서부터 출발했다. 본 연구가 주목한 부분은 글로벌한 분포를 보이는 유사설화들의 서사구조가 반드시 상호 일치하는가 하면 의외로 그렇지 않다는 사실이다. 즉, 둘은 보편적 서사를 공유하고 있지만, 생성기원과 형성과정은 각자의 개별적인 특수한 지역의 고유한 지역성(地域性)의 전통에 기반 한 텍스트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각기 다른 지역의 지역성 속에서 생성된 개별 설화들로 하여금 보편서사를 공유하게 한 기원을 해당 지역 내부에 존재하는 타 지역 정체성과의 보편특질, 즉 세계성(世界性)으로 규정하고, 각각의 지역이 지리적으로 상당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하더라도 과거의 민족?물자 이동 역사에 따라 공유했던 보편문화의 흔적이 남아 새로운 설화 형성의 기원이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여기서 사슴시조신화의 세계성을 공유하는 로컬들 속에서 해당 세계성이 각기 다르게 변개되어 나타나는 양상이 한ㆍ인 녹녀설화의 세방성(世方性)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고는 각기 아시아의 동북부와 남부의 동떨어진 지역에 위치한 한국과 인도에 유사한 서사전개를 지닌 녹녀설화가 나란히 전승되고 있는 이유를 각 지역이 지닌 특수성의 지역성과 두 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보편성의 세계성, 그리고 해당 세계성이 특정 지역의 지역성에 의해 변개되어 각기 다르게 구현되는 세방성의 세 측면에서 규명해 보았다. 그 결과 동-남 아시아에는 한국과 인도를 각각 동북 극점과 서남 극점으로 하는 사슴 시조모 관념의 문화벨트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문화벨트는 사슴을 시조모로 숭앙하던 알타이 제 민족의 지역별 사슴 시조모 관념에 기반 한 것이라는 사실을 규명할 수 있었다. 동시에 동-남 아시아 문화벨트에서 나타나는 사슴 시조모 관념의 세계성은 알타이 제 민족의 지역성에 따라 각기 다른 서사적 구현체로 나타나는데, 5세기 후반기 고구려와 외교적 친밀관계에 있었던 북위가 인도의 『잡보장경(雜寶藏經)』을 한역했던 역사적 특수성에 의해 한국과 인도 사이에는 지역성의 밀도가 동-남 아시아 문화벨트 내부에서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슴 시조모 신화의 세계성이 서사적 층위에서는 알타이 제 민족의 각 지역별 지역성에 따라 미시적으로 달라진 구현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비해, 한ㆍ인 녹녀설화의 일부 각편에서만은 상대적인 서사적 친연성이 높게 나타나는 세방성의 특징을 이러한 한국과 인도 사이의 특수한 역사적 지역성 공유 맥락 속에서 입증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ason why similar deer mother legends have beeb inherited in Korea and India from the two aspects of localized and glocalized stories. These two nations are not located in near but far away from each other. Korea is located in the northeastern asia and India is located in southern asia. As a result, it’s confirmed which of cultural belt each makes Korea and India as northeast pole and southwest pole in east-sout asia. This cultural belt is taht is based on glocal deer mother concept of all altai people. Glocality of deer mother notion appears as different narrative implementation according to all altai people’s locality in east-sout asia’s cultural belt. Density of glocality between Korea and India is higher than that between different regions in east-sout asia’s cultural belt. It is because of historical specificity that Bookwui in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Koguryo Diplomatically in the latter half of fifth century translated 『Jabbojangkyung』 into Chinese. Narrative distinctiveness similar to 『Jabbojangkyung』’s deer woman stories that Bookwui translated into Chinese appears in korean deer woman folklore transmitted in Honam, not North korea version, because of relationship between succeeding Koguryo and Sunbijok category’s Dang.
여우여신의 남신화에 따른 반인반호(半人半狐) 남성영웅서사의 탄생과 드라마 〈구가의 서〉의 인간화 욕망 실현의 이니시에이션
권도경(Kwon, do ky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48 No.-
This study was willing to investigate that Desire for Humanization of Therianthropic Male Hero in Fox Goddess’s Transfiguration Process to God was born and it’s medium realization is drama 〈Gu Family Book〉. For this was progressed newt teo ways. Firstly, watching as process of Fox Goddess’s replacement to foxy god and male fox with nine tails’s, appearance, his paper investigated that drama 〈Gu Family Book〉’s Male Hero with nine tails’s is not stranger who was dropped out of anywhere but is being who was originated out narrative of korean fox fale’s history. Half-man-half-beast like drama 〈Gu Family Book〉’s Hero Coi gang chi is male progenitor who was born as a result that feminine godhead of different species had sexual relations with human male before bad goddess and got rid of. Lineage of male progenitor of half-man-half-beast and hero is originated from feminine godhead of different species. At this time, human male of half-man-half-beast who have fox goddess as maternal line is being who godhood of fox goddess was metastasized to male hero. Through this transferal, immediate main agent of transcendental power that primarily fox had appears to be replaced to male hero from fox goddess. In the second place, this paper investigated that Initiation of Desire’s realization towards Humanization in 〈Gu Family Book〉 get to realize heroic nature of male progenitor of half-man-half-beast. Hero Coi gang chi of 〈Gu Family Book〉 rewrites progress history of fox narrative from the point of foxy paternal failure who got to sesual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pecies betrayed and eradicate by human female. In here, problem of Humanization’s desire and faith observance is got to accommodate as fundamental intended value that Choi gang chi has to get.
한국문학사 시대구분 기준으로서의 매체와 매체전환 에 따른 재매개화 문학사론 설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권도경 ( Do Kyung Kwon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69
본 연구가 제기해 보고자 한 아젠다는 새로운 문학사 시대구분 기준으로서의 매체에 대한 새로운 인식적 패러다임이다. 현재의 한국문학계는 디지털매체(digital media)란 뉴미디어(new media)가 등장하기 이전 시기까지 전개되었던 문학 작품들이 디지털문 화콘텐츠(digital cultural contents)로 재생산 되는 재매개화(remediation)의 시대로 진입해 있다. 즉, 디지털시대 이전 단계에 존재한 매체에 얹혀서 창작되었던 문학 작품들이 해당 내용을 전달할 매체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디지털문화콘텐츠로 재창작되는 흐름이 봇물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재매개화문학에 대한 연구는 이미 상당부분 축적되어 있는 상태다. 해당 최신의 선행연구 결과물들이 확고히 인정받기 위해서는 이들 고대·중세 문학작품들의 디지털문화콘텐츠화가 근대 이후 문학 작품들의 그것과 같은 매체전환에 의한 재매개화의 결과물임이 문학사적으로 입증될 필요가 있다. 즉, 고대·중세 문학 작품들의 매체전환에 따른 재매개화와 근대이행기·근대·현대 문학 작품들의 그것이 같은 차원에 서 이루어진 것이라면, 매체를 다섯 번째 시기구분 기준으로 한 문학사의 기술을 위한 인식적 전환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때, 매체에 따른 새로운 문학사의 시기구분론은 기존 문학사론에서 성립되어 있는 장르 및 갈래 이론의 체계와 유기적으로 설명될 수 있어야만 국문학사론의 연구사 속에서 논리적 정합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첫 째는 "현대"란 것이 문학사의 자기 확장·갱생성에 의해 상시적으로 재규정되는 것을 본질로 한다는 것으로, 디지털문화콘텐츠는 이렇게 상시적으로 재규정되는 "현대"의 자기 확장·갱생 과정 속에 하나의 "현상"으로 존재하는 것임을 입증하는 작업이다. 두 번째는 시기구분 기준으로서의 매체의 성립 가능성을 기존 문학사의 기술상 한계와 관련하여 비판적으로 반증하는 작업이다. 상기 두 작업을 통해 매체전환에 따른 재매개화가 문학사의 실제적 현상으로 존재하는 것임을 기존 문학사의 시기구분 양상과 기술내용을 통해 입증할 수 있었으며, 재매개화 국문학사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에 대한 내재적인 필요성을 기존 한국문학사론의 연구사 내부에 서부터 정립할 수 있게 되었다. The agenda to bring forward to raise is a new recognition paradigm on the media as the new age classification criteria of literary history. The current Korean literary world is crossed into the era of remediation that the previous era literary works is reproduced into the digital cultural contents. This remediation literature is already accumulated quite a bit. In oder that latest results of this precedent study is firmly determined, is necessary the fact that digital cultural content of these ancient and medieval literature after media is the results of reformatting by remediation such as that of literary works since the modern is proved. At that time, the theory on tim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korean literary history has to explained organically with the system of genre theory that is established in existing literary theory. According to the media, new literary genre, and do you want to go to be established for the existing time division is the literary theory in a system of theory and organic only be explained byLogical compatibility can be recognized in the aftermath a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ory. That is how this new theory’s logical compatibility can be recognized in the research history of existing korean literature theory. To solve this problem, following discussions were held in two ways in this study. The first is the work to prove that digital cultural contents exists as a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his own rehabilitation of “modern” to be re-regulated without a break. The second is the work to disprove critically a establishment possibility of the media as the criteria of time classif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limitations of writing literary history.
드라마 <가을동화>의 애정전기서사원형 재생산과 동아시아 한류 드라마적 탄생 배경 - 한국언어문화의 형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교육을 위하여 -
권도경 ( Do Kyung Kwon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3 No.-
본 연구는 <가을동화>와 같은 한류 드라마가 한국의 애정전기서사의 서사코드를 기반으로 하여 창작되었으며, 이 드라마의 동아시아 수용이 근세 이전까지 해당 지역민들에게 주도적인 서사경험으로 존재했던 애정전기서사의 향유 역사를 배경으로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근대 이전 시기인 18·19세기까지 지속되었던 한국 애정전기서사의 서사코드를 재론하고 <가을동화>가 그 자장을 미디어문학으로 재생산 한 작품이라는 사실을 밝혔으며, 중세까지 동아시아 각국이 공유했던 애정전기서사 서사코드의 향유 경험이 <가을동화>를 한류 드라마라는 동아시아의 새로운 문화 현상을 만드는데 기여했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은 한류 드라마를 한국이 만들어낸 대표적인 현대 문화콘텐츠로서만이 아니라 한국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새로운 콘텐츠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첫걸음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aimed two. The one is that Korean wave drama like <Autumn in My Heart> is produced to be based on the narrative code of korean Love Romance. The other is that this drama`s acceptance to the East Asia is set in the enjoyment history of Love Romance that existed as dominent narrative experience to pertinent residents before modern times. For this, as the first, I reargued the narrative code of korean Love Romance that continued to 18·19th before modern times. As second, I investigated that <Autumn in My Heart> is the work that Love Romance is reproduced to media literature. The third is that the enjoyment experience of Love Romance that each nation of the East Asia shared contributed to make <Autumn in My Heart> to Korean wave drama. This operation will be a first step to make to accept Korean wave drama as a new contents foe korean language and culture`s education, not korea`s representative present culture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