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Use and Impact of Social Media on the Work of Museum Professionals

        Bo-Kyung Koo(구보경)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는 뮤지엄 종사자들의 소셜미디어 활용에 대한 이해와 인식, 소셜미디어 활용이 뮤지엄 업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한 후, 응답자 중 네명의 뮤지엄 종사자들과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뮤지엄 종사자들은 대부분 소셜미디어 활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뮤지엄 조직구성원들과의 자유롭고 협력적인 대화, 전시, 교육 및 각종 뮤지엄 행사관련 관람객들과 직접적이면서도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주요 장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업무와는 별도의 뮤지엄 공식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콘텐츠 업데이트, 전시리뷰 및 뮤지엄 프로그램과 관련 설명문 작성 등의 부가적인 작업들로 인하여 소셜미디어 활용에 대한 부담감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뮤지엄 종사자들을 위한 기술적 지원, 소셜미디어 전담인력 확보 또는 기술전문가 영입 및 뮤지엄 소셜미디어 활용 정책수립 방안의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앞으로도 소셜미디어 활용은 뮤지엄 업무와 관람객과의 관계에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예상되며, 뮤지엄 종사자들의 소셜미디어 사용에 대한 인식 및 구체적 니즈에 대한 분석 연구도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뮤지엄 운영과 소통의 발전방안을 기대할 수 있다. Social media projects are being developed and used by museum staff, and they are starting to explore this new spaces. Museums focus more and more on audience engagement. However, the question is how the museum professionals perceive the use of social media in their workplace. The researcher sought to explore the perception and actual practice of museum professionals related to their use of social media in the workplace. A mixed methods design involv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Both online surveys and one-on-one interviews were used as a means of enhancing the validity of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The finding of the study indicate that social media have a variety of application in the work of museum professionals. A high degree of visibility, extensive networks, and the opportunity to have a subjective voice are those of benefits. Interaction with wider audiences and ease of accessibility were a great benefit to them. Yet a number of problematic issues, such as technological support and workload, also were exposed in the course of the survey and interviews. Whatever attributes and services social media offer, they must be flexible enough to allow to make the museum professionals’ work and research process more efficient, cooperative and enjoyable. Many more opportunities awaits the museum profession as related technology continue to evolv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뮤지엄 학습환경 고찰

        구보경(Koo, Bo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3

        코로나 이후 강조되고 있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확산이 뮤지엄과 뮤지엄 관람객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과 기기활용에 익숙해진 관람객을 대상으로 실제 뮤지엄 방문과 비대면 뮤지엄 경험의 학습환경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포스트 코로나시대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뮤지엄 교육 활용방안과 실천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디지털 기술은 모두가 접근하여 경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뮤지엄이 되기 위한 미래지향적 교육에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다. 기술을 활용한 전시물과 전시공간은 뮤지엄의 공공성 및 교육적 역할을 확장시켰다. 시공간의 제약, 펜데믹과 같은 예상치 못한 위기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향유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뮤지엄이 다양성, 창의성의 가치를 구현하며 문화적 소양과 예술적 감수성을 디지털 시대의 중요한 자산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기술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앞으로 참여와 경험의 플랫폼이자 학습의 장으로서 뮤지엄의 역할은 더욱 확장될 것이다.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new digital technology, which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global outbreak of COVID-19, is having a profound impact on the museum and visitors. This study examines the learning environment of museum visit and online museum experiences for visitors who are accustomed to using digital technologies and devices. Then, the future use of new digital technologies in the post-corona era and the meaning of museum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was considered. New digital technologies can be useful strategies for future- oriented education to become a museum that everyone can access, experience and learn. Museum objects and gallery spaces using technologies expanded the publicity and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Th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enjoy b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in unexpected crises such as time-space constraints have been expanded. In order for museums to embody the values of diversity and creativity, and to make cultural literacy and artistic sensibility important assets in the digital ag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utilize technologies. In the future, the role of the museum as a platform for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as well as a learning environment will be further expanded.

      • KCI등재

        시각문화 연구로서 뮤지움 교육의 가능성

        구보경(Koo, Bo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3

        1990년대부터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한 시각문화 연구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오늘날 이론과 실천의 다양한 분야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많은 미술이론가, 문화연구가들이 지적한 대로 시각문화연구는 실제로 1990년대에 대학과 지식, 출판에 거대한 담론이 되어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뮤지움 학습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이 지금까지 어떻게 다루어져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그리고 앞으로 뮤지움과 교육에 대한 연구의 시각문화 연구로서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뮤지움과 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및 활동들을 살펴봄으로써 시각문화라는 틀 속에서 뮤지움과 뮤지움 교육의 역량을 짚어보고자 했다. 뮤지움 연구를 통하여 자기 반성적인 사고와 역사적, 물질적, 미학적 세부 사실에 대한 관심을 혼합한 다각적인 질문을 제시하는 것은 생산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결국 역사와 이론, 전시기획과 실천들을 아우르는 뮤지움 환경과 관람객 사이의 인터랙티브한 소통을 이끌 것이다. 여기에 뮤지움 교육은 시각문화 연구의 대상으로서 수집된 자료들의 의미와 학제적인 성격에 의해 결정되고, 그 학제성이 종합되어 구체화 되어 질 것이다. 뮤지움 소장품, 전시, 전시기획, 관람객과의 조우, 해석, 미디어, 환경, 체험, 실천하는 방식이 서로 만나고 겹치는 하나의 수렴을 통해서 시각문화의 틀 속에서 뮤지움 학습은 구체화 되고, 실현될 수 있다고 본다. The studies and debates of visual culture have long voiced in the field of theories and practices since 1990. Visual culture has been turning to the gigantic discourse all over academic field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previous and current research trend of museum and learning, and to consider the possibilities of the museum and learning at the museum in terms of visual culture. It describes a few central aspects of how research has treated questions on learning in general, more specifically learning at museums. Questions regarding learning, education, and the usability and identity of the museums are also discussed. Research shows primarily that the visitor has become increasingly engaged in the museum process and in the interpretation of exhibitions and that the museums have a social responsibility to grant all groups in society access to the world of the museums. Therefore, the study of museum and museum learning also indicated that they may be of importance to the self-image of the individual, and where museums constitute an arena where people may both act and be an audience in a way that is typical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the meeting with museum collection, exhibition, design, the visitor, interpretation, media in the museum environment, the learning in museums will be dealt with the area of visual culture.

      • KCI등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Visit and Online Visit in the Museum: The role of Museum Websites for Museum Visit

        구보경(Koo Bo Kyung) 한국예술경영학회 2009 예술경영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박물관 관람객의 일상생활에서 부터 시작하여 실제 박물관 관람이라는 행위 속에서 박물관 웹사이트의 역할 및 웹사이트와 온라인 관람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9개의 박물관과 미술관 웹사이트를 통하여 약 1,200명 온라인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관람객들이 실제 박물관을 방문하기 이전과 방문 이후 박물관 웹사이트의 활용여부 및 콘텐츠 사용에 있어서 차이점과 특성들이 발견되었다. 온라인 관람과 실제 관람은 각각 별개의 독립적인 관람 유형이 아니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즉, 박물관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관람과 실제 관람은 서로 상호 보완적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대다수의 온라인 관람객들은 박물관 웹사이트가 온라인(online)-온사이트(onsite)라는 두 가지 관람 모두를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고 있었다. 박물관 관련 연구자, 박물관 혹은 미술관 종사자들은 박물관과 박물관 웹사이트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보완적이면서도 연속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박물관 관람이라는 새로운 형식인 ‘온라인 관람’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박물관 웹사이트 콘텐츠 개발은 박물관 관람객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 홍보, 마케팅을 포함한 실질적 박물관 운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results from an exploratory survey that addressed questions about the role of museum websites in the pattern of museum visitors. The results show details about the use of museum websites before and after the museum visit, and provide that online visitors frequently use museum websites to complement their visits to physical museums. This study helps museum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that exists between physical museum and their virtual museums, and gives strategies for supporting the changing information needs of museum online visitors before and after museum vis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positive lesson for museums and museum professionals attempting to build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ir visitors, online and in-house. The majority of online museum visitors understand the role of the websites in encouraging this relationship, and are interested in develop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museums and museum websites they visit.

      • KCI등재

        디지털사회혁신을 위한 미술관 운영과 역할 확장

        구보경(Koo, Bo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4

        디지털사회혁신(DSI)은 시민이 직접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일상에서 발생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진보적이고 혁신적 활동을 지칭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사회혁신 플랫폼으로서 미술관의 역할과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혁신 개념을 바탕으로 디지털기반 미술관 운영방안을 탐색하였다. 미술관에서 디지털 기술은 관람객의 접근성과 참여를 확대시켰다. 디지털 기술은 미술관이 사회혁신 역할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도구이자 사회적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촉진시킨다. 디지털사회혁신을 위해 미술관은 조직 내부의 혁신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미술관의 조직문화 및 사회혁신 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필요하다. 조직구성원과 시민들이 협력하여 미술관이라는 플랫폼에서 사회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 공감대가 형성된다. 미술관은 디지털 연대를 구성하고 소통하는 장소이자 새로운 가치를 구현하는 공공의 장소가 된다. 미술관 관람객, 참여자, 지역사회, 타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미술관 콘텐츠와 정보를 교류하고 가치를 공유하며 사회통합과 다양성을 추진하는 사회혁신 주체이자 플랫폼으로서 미술관의 역할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Digital social innovation(DSI)refers to progressive and innovative activities in which citizens directly utilize digital technologies to solve social problems that occur in their daily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and possibility of art museums as a digital-based social innovation platform. Based on the concept of social innovation, a digital-based plan for art museum operation was explored. In art museums, digital technologies expanded visitors accessibility and participation. Digital technologies promote the function of art museums as a useful tool and social platform for playing a role in social innovation. For digital social innovation, the innov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should be prioritized in art museums. It is also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art museum 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innovation role. A community consensus is formed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ng wit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citizens to solve social problems together on a platform called the art museum. The art museum becomes a place to organize and communicate digital solidarity and a public place to realize new values. The art museum should continue to play a role as a social innovation entity and platform that exchanges information, shares values, and promotes social integration and diversity through collaboration with art museum visitors, participants, local communities, and other organizations.

      • KCI등재

        증례 : 후신경모세포종에 합병된 이소성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증후군 1예

        구보경 ( Bo Kyung Koo ),구윤희 ( Yun Hyi Ku ),김진택 ( Jin Taek Kim ),김홍일 ( Hong Il Kim ),이유진 ( You Jin Lee ),조영민 ( Young Min Cho ),김성연 ( Seong Yeon Kim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3

        요약하면 본 증례는 후신경모세포종에 병발한 이소성 ACTH 증후군에 대한 보고로서 국내에서는 첫 보고이다. 고 코르티솔 혈증에 의한 면역 기능 약화로 주폐포자충 폐렴 및 거대세포바이러스 폐렴에 이환되었으며 부신의 스테로이드 합성 억제 및 TMP/SMX 투약 후 회복되었다. 이소성 ACTH 증후군에서 원인 질환의 조속한 치료와 더불어 내인성 코르티솔 과잉 상태의 해결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증례이다. We here present the case of a 37-year-old woman who suffered from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dependent Cushing`s syndrome due to an olfactory neuroblastoma. The patient`s clinical course was complicated by co-infection with cytomegalovirus and Pneumocystis jirovechi, which improved with appropriate antimicrobial therapy and suppression of endogenous steroidogenesis with ketoconazole and octreotide. Radiation to the mass in the nasal cavity resulted in reduction of tumor size and remission of the Cushing`s syndrom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ectopic ACTH syndrome resulting from olfactory neuroblastoma in Korea.(Korean J Med 71:309-315, 2006)

      • SCOPUSKCI등재

        생화학적 지표로 본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단백질 및 지질 영양상태

        구보경(Bo-Kyung Koo),정준모(Joon-Mo Chung),이혜성(Hye-S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6

        본 연구는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음주 실태 및 영양상태를 조사하여 식생활의 문제점과 영양상태를 파악하고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영양관리 방안을 모색하며 음주 인구 계층을 위한 영양교육 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 80명,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12명, 간 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자 57명, 바이러스성 간경변 환자 32명 및 정상인 194명이었다. 조사 내용과 방법은 개인 면담을 통한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조사와 혈액 분석을 통한 생화학적 영양상태의 측정으로 이루어졌다. 각 군의 흡연자 비율은 알코올성 간경변, 알코올성 지방간,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 그리고 바이러스성 간경변군이 각각 71.2%, 66.7%, 87.7% 및 62.5%로써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의 흡연율이 가장 높았으며 바이러스성 간경변군의 흡연율이 가장 낮았다. 영양보충제 섭취경향은 알코올성 간경변, 알코올성 지방간,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 그리고 바이러스성 간경변군에서 각각 46.2%, 41.7%, 14.0% 그리고 78.1%로써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의 영양보충제 복용 율이 가장 낮았으며 바이러스성 간경변군이 영양보충제 복용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간경변군, 알코올성 지방간군,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에 있어서 혈청 총 단백질이 정상 수준 이하인 대상자의 빈도는 각각 26.3%, 16.7%, 3.5%였으며, 알코올성 간경변군에서는 41.3%의 대상자가 알부민 결핍을 나타내었다. 혈청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그리고 L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은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에 있어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알코올 섭취군의 H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은 정상군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단백질과 지질의 생화학적 영양상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 알코올 중독자 및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영양상태는 전반적으로 매우 불량하다고 판정할 수 있었으며, 지질대사에도 장애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알코올 중독자 및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들에 있어서 병의 초기부터 양질의 단백질 섭취는 병상의 악화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들을 위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protein and lipids in the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to find an effective way of dietary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and to obtain the materials for nutritional education for alcoholics. The subjects consist of 80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cirrhosis(ALC) and 12 patients with alcoholic fatty liver(AFL). The control group included 57 alcoholics without liver disease(A), 32 patients with viral liver cirrhosis(VLC) and 194 normal(NL). Biochemical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was performed by analyzing the profiles of protein and lipids in blood sampl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subjects below the normal range of serum total protein was 26.3% in ALC, 16.7% in AFL and 3.5% in A. Serum albumin was lower in 41.3% of ALC. 2) The alcoholics without liver diseas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erum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than the other groups. The alcoholic subjects had lower HDL cholesterol than normal subjects. Overall, the protein and lipids status of the alcoholic subjects in this study was evaluated to be very poor on the basis of biochemical assessm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alcohol abuse and poor dietary intake could cause malnutrition. An extensive nutritional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for the alcohol consuming population. High quality of protein and other dietary intakes from early stage of the disease may be effective in nutritional therapy for the patient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 KCI등재

        한국 박물관교육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구보경(Koo Bo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4

        본 연구는 지난 십여 년 동안 국내 주요 학술지에 실린 박물관교육 관련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국내 박물관교육 연구의 최근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연구재단 등재와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박물관교육 관련 연구논문 241편을 연구주제, 연구자의 배경,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주요 경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박물관교육 연구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주제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박물관교육을 통한 관람객들의 인식, 성취도 및 박물관교육 담당자들의 역량평가 등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자의 배경은 대학 교수진이 대다수였고, 이들의 학문적 배경은 주로 박물관학, 미술교육, 예술, 인문사회, 교육학 전공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비경험적 이론논문이 가장 많았고, 사례연구, 내용분석, 설문조사 방법이 선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박물관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학제간의 활발한 융합적 연구와 독자적 학문연구로서 박물관교육 연구의 발전가능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examines recent research trends in museum education and considers the top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in the field of museum education. The studies on museum education have now remarkably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and points of views, but with no certain level of collective and comprehensive analysis yet.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03 to 2013 in major journals dealing with museum education issues are investigated. The data of the study is analyzed in terms of the topic, research fields and methods. In regard to the topic, program development was the most prominent subject in museum education research. The study shows that majority of the researchers are from the universities or museum fields. Non-experimental research method was shown to be widely along with literature reviews and documentary and theoretical research method. Case study are also frequently used. Based on these examinations of current trends in korean museum education fields,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 for future academics and museum professio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