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근대 동서교류문헌으로서 교리교육서: 발리냐노의 《그리스도교 신앙 교리교육서》 사례를 중심으로

        곽문석,서원모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7 No.-

        본고의 목적은 동서교류문헌으로서 교리교육서(catechism)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동아시아 선교 상황에서 새롭게 작성된 예수회 순찰사 발리냐노 (Alessandro Valignano 范禮安)의 《그리스도교 신앙 교리교육서》(Catechismus Christianae Fidei, 1586)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먼저 교리교육서라 는 장르의 시대적 배경을 연구하고(II), 발리냐노의 교리교육서의 그리스도 교 변증 신학을 규명하고(III), 중국 선교사 루제리(Michele Ruggieri 羅明 堅)의 《신적인 일들의 설명》(Vera et Brevis Divinarum Rerum Expositio, 1582)와 비교하여 특징을 밝힌다. 발리냐노의 일본 종교와 문화 비판과 그 리스도교 변증은 이성적 논증과 신앙적 진술로 이루어지며, 그의 변증신학 은 만물의 창조자와 통치자, 구원자인 하나의 근원자 개념과 영혼의 영적 실체, 불사불멸, 내세의 보상과 형벌을 강조했으며, 작용인, 영적 형상, 실 체적 형상, 네 원소, 질료와 형상 등 철학 개념을 활용하여 그리스도교를 변증했다. 이러한 점에서 발리냐노의 교리교육서는 동서교류의 상황에서 교리교육서가 새롭게 발전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catechism as a genre of documents of East-West Exchanges in Early Modern Period and to analyze Alessandro Valignano’s Catechismus Christianae Fidei (1586) which was composed in Latin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mission. It explor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genre of catechism (II), then investigates the apologetic strategies of Valignano’s catechism(III), and finally reveals its characteristics through comparison with Michele Ruggieri’s Vera et Brevis Divinarum Rerum Expositio (1582) (IV). It demonstrates that this catechism consists of rational argumentations and statements based on faith, that his apologetic theology emphasizes the notion of one principle as the creator, ruler and savior as well as the concept of soul as a spiritual substance, its immortality, and the retribution in the end of the world, that it defends Christianity by utilizing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efficient cause, substantial form, four elements, matter and form. This study corroborates that Valignano’s catechism proves to be a new development of catechism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East-West exchanges.

      • KCI등재

        페르시아어 복음서 역본 『Pococke 241』 사본과 고대 시리아어 역본 비교 연구

        곽문석 수원교회사연구소 2020 교회사학 Vol.0 No.17

        본 연구는 13-14세기 몽골 일칸국(Ilkhanate)에서 만들어진 페르시아 어 4복음서 역본 Pococke 241 사본에 관한 것이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이 사본과 2-5세기의 고대 시리아어(Old Syriac) 복음서 역본을 비교하는 것이다. 주요 대상은 큐레톤(Cureton)과 시내산(Sinai) 사본이다. 이를 통 해서 Pococke 241 사본이 고대 시리아어의 본문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증거는 Pococke 241 사본의 저본(底本)이 5 세기 시리아어 역본인 페쉬타(Peshitta)라는 서구학자들의 주장을 반박하 는 것이다. 또한 신약 성경 사본학 연구자들에게,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 던 고대 시리아어 역본 연구를 위한 새로운 역본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 를 통해서 Pococke 241 사본이 신약 성경 본문 연구에 있어서, 5세기 이전 고대 시리아어 역본 전통을 가지고 있는 매우 중요한 사본이라는 사실 을 증명해 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 사본은 몽골 제국시대 기독교 역사 연구를 위한 매우 중요한 원천자료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ococke 241, a 14th Persian Gospel manuscript, copied in the Ilkhanate, a territory in the Mongol empi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Pococke 241 text with texts of old Syriac Gospel versions translated in the 2-5th century. Main Syriac texts are the Codex Sinaiticus and the Codex Curetonianus. This study will show that the Pococke 241 has notable relationship with the old Syriac Gospels, thereby refuting the claims of Western scholars that the Persian version was obviously made from the Syriac version Peshitta dated to the 5th century. Concerning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ancient Syriac Gospel texts, the Persian Gospel, Pococke 241 consequently excavates an important component in textual 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In addition to this, the Pococke 241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uncovering forgotten Persian Christianity in the Mongol empire.

      • KCI등재

        13-14세기 몽골 일칸국의 페르시아어 복음서 역본들의 역사성과 유사성

        곽문석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7 교회사학 Vol.0 No.14

        This essay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ian Diatessaron and Persian Four Gospels translated in the 13th-14th century.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wo versions is the same. For this purpose, the preface and colophon of the two documents were analyzed, and their contents were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Mongol empire period recorded in Syriac. They include works of BarHebraeus, Yahballaha III and Rabban Sauma. This confirms that the two documents were made by Christians from Tabriz in the Ilkhanate in the 13th-14th century. Next, the terminology used in the two versions is the same, and they share sentences with the same vocabulary and structure. For the proof, terms such as "disciple", "salvation" and "synagogue" and phrases shared by the two documents are presented. This confirms that both documents have the same Persian Bible translation tradition. As a result, these two documents will be a very important primary source for the study of the forgotten history of Persian Christianity in the Ilkhanate Furthermore, it will be the cornerstone of the study of Christian history and biblical tradition in the Mongol empire. 이 논문은 《페르시아어 디아테사론》과 《페르시아어 사복음서》의 관계를 해명하는 글이다. 먼저, 두 역본 간의 역사적 배경이 동일하다는 사실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 두 문헌의 서문과 간기(刊記)를 분석하였고, 그 내용을 시리아어로 기록된 몽골 제국 시기의 역사적 기록물들과 비교하였다. 그들은 바르헤브라이우스(BarHebraeus)의 역사서와 야흐발라하 3세(Yahballaha III)와 랍반 사우마(Rabban Sauma)의 순례기 등이다. 이를 통해서 두 문헌이 13-14세기 일칸국(Ilkhanate)의 타브리즈(Tabriz) 출신의 기독교인들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두 역본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문 용어가 같으며, 어휘와 구조가 같은 문장들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증명을 위해, 두 문헌이 공유하고 있는 “제자”, “구원”, “회당” 등의 전문 용어들과 문장들을 제시하였다. 이는 두 문헌이 같은 페르시아어 성경 번역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 두 문헌은 잊혀졌던 일칸국의 페르시아 기독교 역사 연구를 위한 매우 중요한 일차 자료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몽골 기독교 역사와 성경 전통 연구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 소음성 난청의 관리를 위한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곽문석,이종태,박준환,이헌,이창희,손병철,김대환 인제대학교 1997 仁濟醫學 Vol.18 No.2

        소음성 난청의 예방 관리를 위하여 실시하는 특수 건강진단의 건강관리기준(1994)은 여러번에 걸쳐 개정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소음성 난청의 평가기준으로서 미흡하며, 또한 장해보상을 위한 업무상재해인정기준(1993)과의 적용 방법이 다름은 청력 보존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수행에 문제점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음 특수 건강진단 대상자중 청력검사상 1,000Hz에서 30dB 이상 또는 4,000Hz에서 40dB 이상의 청력손실이 있는 자 1,133명을 대상으로, 소음성 난청으로 진단하기 위한 건강관리기준(1994)과 장해 보상을 위한 업무상재해인정기준(1993)을 적용하여 평가하고, 또한 외국의 기준들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소음성 난청 관리를 위한 평가기준의 재설정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현행 소음성 난청 건강관리기준이 업무상재해인정기준에 의한 보상 대상자를 모두 포함하지 못함으로써 소음성 난청자 관리에 문제점이 있음이 조사되었고 향후 소음성 난청에 대한 건강관리기준과 업무상재해인정기준은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different criteria of the noise induced hearing loss(NIHL) used in Korea, Japan, Poland, and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AAOO) and establishing the standard assessment and for management of the patient. This studies were underwent on 1,133 workers by twice audiometric examinations from March, 1995 to Februry. 199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Common correlated frequency was 2,000Hz between mean hearing threshold level at each frequencies and age, hearing difficulty, tinnitus, duration of the noise exposure, and noise level of workplace(p<0.001). and the mean hearing threshold level of group with tinnitus was more higher than group without tinnitus by 3, 4, 6-divided classification and at 4,000Hz (p<0.05). 2.The prevalence rate by the criterion II was the highest. The criterion next to II in prevalence rate were criterion VII, VI, VIII, III, I, IV and V. 3.Among workers included criterion I, II, III, V, VI, VII, and VIII, all workers included criterion V compensated by the criterion IV. The criterion next to V in compensation rate were criterion I, III, VIII, VI, VII and II. 4.The criterion III, current evaluation criterion used in Korea for NIHL, did not include all workers compensated by the criterion IV. In conclusion, the criterion III, current health management criterion used in Korea for NIHL. did not include all workers compensated by the criterion IV. Thus, it is necessary that tht system, health management criterion and compensatory criterion are equally evaluated and we should keep up study of new evaluation criterion which satisfy the meaning of noise-specific health examin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주앙 소에이루의 『천주성교약언(天主聖教約言)』 ‐ 그 동서 교류 문헌으로서의 가치

        곽문석,김보름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2023 공존의 인간학 Vol.- No.10

        The Tianzhu Shengjiao Yueyan by the Portuguese Jesuit missionary João Soeiro (蘇如望, 1566~1607) is a catechism that condenses the core teachings of Catholicism. Although it is a small book, it was published several times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ranslated into Vietnamese and Manchu, and had a great impact. It is especially noteworthy because it was later translated into Latin. This is because it is not a translation of a Latin text into Chinese, but a translation of a missionary’s Chinese catechism into Latin, which allows us to see how Western concepts were read through Chinese and what neologisms were adopted in the missionary community. Little has been written about this literature in Korea. Recently it’s Manchu version that had been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case of overseas studies, there are language-specific and contain significant errors that have not been checked for their irrelevance to the original tex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eal the value of this text as an object of study in the East-West exchange literature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This article 1) provid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authors and the literature, 2) reviews the errors of previous studies to emphasize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study, 3) contrasts the terminology of Tianzhu Shiyi to show that there is literary evidence in this text that shows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Western concepts in the early years of Chinese missions, and 4) a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hinese text of the Latin translation is presented as an appendix, with reference to extant texts. 포르투갈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 주앙 소에이루(João Soeiro, 蘇如望, 1566~1607)의 『천주성교약언(天主聖教約言)』은 천주교의 핵심 교리를 압축적으로 담은 교리문답서다. 분량은 적지만 중국 선교 초기에 등장한 한문 서학서이고 명청 대에 여러 차례 간행되었으며, 베트남어와 만주어로도 번역되는 등 큰 파급력이 있던 문헌이다. 특히 뒤에 라틴어로 번역된 바 있어 더욱 주목된다. 라틴어 저본에서 한어(漢語)로의 번역이 아니라 한문으로 작성된 것을 라틴어로 번역했다는 점에서 한문을 통해 어떻게 서양 개념이 독해되었는지, 선교사회에서 어떠한 서양의 신조어가 안착되었는지를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문헌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최초의 연구는 한문본이 아니라 만주어 역본에 대한 국역으로, 최근에 출판되었다. 해외 연구의 경우에는 각 언어별로 이루어지면서 저본과의 관련성이 검토되지 않은 데서 오는 상당한 오류가 발견된다. 따라서 종합적 검토를 통해 이 문헌이 지닌 동서 교류 문헌으로서의 가치를 밝힐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1) 저자와 문헌에 대한 개괄적 소개를 하고, 2) 선행연구의 오류를 검토하여 종합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3) 『천주실의』의 용어와 대조하여 이 문헌에 중국 선교 초기 서양 개념의 유입을 보여 주는 문헌학적 증거가 있음을 밝혔으며, 4) 현전본을 참고하여 라틴어역본의 한문 저본을 재구성하여 부록으로 제시하였다.

      • SCOPUSKCI등재

        소음발생 산업장에서의 청력보존프로그램 평가

        곽문석,이종태,김정호,엄상화,김대환,손병철,이창희,Kwak, M.S.,Lee, J.T.,Kim, J.H.,Urm, S.H.,Kim, D.H.,Shon, B.C.,Lee, C.H. 대한예방의학회 1997 예방의학회지 Vol.30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ist the employer to establish the effective program for hearing conservation of noisy industry. The study subjects were health care managers of an industry and the study industries were devided into two groups(Group I, 37 industries; have the workers diagnosed as noise-induced hearing loss, Group II, 41 industries; not have the workers diagnosed as noise-induced hearing loss) and the question method carried out through the face to face interview.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for OSHA's hearing conservation program(HCP) consisted of seven components: 5 questions of monitoring of employee noise exposures(component 1), 6 questions of the institution of engineering, work practice, and administrative controls for excessive noise(component 2), 8 questions of the provision of each overexposed employee with an individually fitted hearing protector with an adequate noise reduction rating(component 3), 14 questions of employee training and education regarding noise hazards and protection measures(component 4), 9 questions of baseline and annual audiometry(component 5), 3 questions of procedures for preventing further occupational hearning loss by an employee whenever such an event has been identified(component 6), and 1 question of recording keeping(component 7), thus total numbers of questions was 46. The numbers of statisti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between two groups were 2(25.0%) among 8 questions of component 3, 10(71.4%) among 14 questions of component 4, 3(33.3%) among 8 questions of component 5, 2(6.7%) among 3 questions of component 6, and 17(37.0%) among total 46 questions of questionnair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HCP acceptance in group I was lower than in group II. Thus employer's understanding about HCP should be precede for the effective hearing conservation program of employee and the adequate hearing protector, training and education, baseline and annual audiometry, and procedures for preventing further occupational hearning loss for hearing conservation would be more emphasized.

      • KCI등재

        나달의 《복음서 도해집》과 《복음서 주해와 묵상》

        곽문석,서원모 한국교회사학회 202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3 No.-

        Since the 16th century, Jesuit Missionaries opened a new age of East–West intercultural exchanges by translating the Western Classics andChristian literature mainly written in Latin into Chinese. Philosophical writings of Aristotle, scientific writings of Ptolemy, and medieval theological works of Thomas Aquinas as well as Biblical commentaries and prayer books were subject to Chinese render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introduce a crucial and representative writing for these cross-cultural contacts and emphasize its considerable importance. This representative writing is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and Adnotationes et Meditaiones in Evangelia composed by Jerónimo Nadal (1507–1580), a Jesuit priest from Spain. This study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life of Nadal, especially his activities in the Society of Jesus as well as historical background up to the publication of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and Adnotationes et Meditaiones in Evangelia. Then, it traces back the process of composing and publishing the two works of Nadal. Finally, the study will compare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and Adnotationes et Meditaiones in Evangelia by investigating their structure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demonstrating the order and contents of their images in tables. Consequently,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of Nadal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that recapitulates religious thoughts and spirituality of the 16th century Europe and demonstrates intellectual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of Jesuit missionaries working in East Asia in the 17th century. The next task will be to complete the translation of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and Chinese Tianzu jiangsheng yanxing jiulüe by Nadal. A comparative analysis of 54 images in the Chinese version with their Latin original must also be realized.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ascertain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techniques and terms in translation of the Latin text into Chinese in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These data will surely form the basis for the Latin–Chinese Dictionary research project considering translation of Chinese writings of Western learnings in the Ming-Qing period. 16세기 이후 예수회 선교사들은 주로 라틴어로 기록된 서양고전과 그리스 도교 문헌을 중국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통해 동서문교류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철학서, 프톨레마이오스 등의 과학서, 토마스 아퀴나스 등의 중세 신학서는 물론, 성경 주해서와 기도서 등이 번역되었다. 이 연구는 16-18세기 문헌뿐만 아니라, 그림을 통한 동서문명교류의 전파 과정을 명확히 보여주는 매우 중요하고 상징적인 자료를 소개하고, 그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그 자료는 스페인 출신 예수회 사제인 제로니모 나달(Jerónimo Nadal, 1507-1580)에 의해 저술된 ≪복음서 도해집≫(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과 ≪복음서 주해와 묵상≫(Adnotationes et Meditaiones in Evangelia)이다. 나달의 도해집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나달의 생애, 특히 예수회에서의 활동 상황과 ≪복음서 도해집≫이 출간되기까지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나달에 의해 출판된 두 권의 도해집의 제작과 출판 과정을 추적했다. 셋째, ≪복음서 도해집≫과 ≪복음서 주해와 묵상≫의 구조와 특징을 비교해서 살펴보고, 두 권의 도해의 순서와 내용을 표로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나달의 ≪복음서 도해집≫은 16세기 유럽의 종교적 사상과 영성을 집약하고 있는 성경 도해와 해설서의 대표작일 뿐만 아니라, 17세기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한 동아시아 선교의 중요한 학문적 결과물이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후 연구는 나달의 라틴어 ≪복음서 도해집≫ 전체에 대한 번역 작업과 함께, 알레니의 중국어 ≪천주강생출상경해≫의 번역 작업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이후 중국어본의 54편의 도해를 라틴어 원문과 비교 분석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서 명청대 초기 라틴어에서 중국어로의 번역 기법과 용어의 성립 과정을 고증하는 기초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 기초 자료는 명청대 서학서 번역을 위한 <라틴어-중국어 어휘 사전> 연구의 토대가 되리라 확신한다.

      • KCI등재

        나달의 ≪복음서 도해집≫과 ≪복음서 주해와 묵상≫

        곽문석 ( Kwak Moonseok ),서원모 ( Suh Wonmo ) 한국교회사학회 202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3 No.-

        16세기 이후 예수회 선교사들은 주로 라틴어로 기록된 서양고전과 그리스도교 문헌을 중국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통해 동서문헌교류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철학서, 프톨레마이오스 등의 과학서, 토마스 아퀴나스 등의 중세 신학서는 물론, 성경 주해서와 기도서 등이 번역되었다. 이 연구는 16-18세기 문헌뿐만 아니라, 그림을 통한 동서문명교류의 전파 과정을 명확히 보여주는 매우 중요하고 상징적인 자료를 소개하고, 그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그 자료는 스페인 출신 예수회 사제인 제로니모 나달(Jeronimo Nadal, 1507-1580)에 의해 저술된 ≪복음서 도해집≫(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과 ≪복음서 주해와 묵상≫(Adnotationes et Meditaiones in Evangelia)이다. 나달의 도해집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나달의 생애, 특히 예수회에서의 활동 상황과 ≪복음서 도해집≫이 출간되기까지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나달에 의해 출판된 두 권의 도해집의 제작과 출판 과정을 추적했다. 셋째, ≪복음서 도해집≫과 ≪복음서 주해와 묵상≫의 구조와 특징을 비교해서 살펴보고, 두 권의 도해의 순서와 내용을 표로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나달의 ≪복음서 도해집≫은 16세기 유럽의 종교적 사상과 영성을 집약하고 있는 성경 도해와 해설서의 대표작일 뿐만 아니라, 17세기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한 동아시아 선교의 중요한 학문적 결과물이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후 연구는 나달의 라틴어 ≪복음서 도해집≫ 전체에 대한 번역 작업과 함께, 알레니의 중국어 ≪천주강생출상경해≫의 번역 작업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이후 중국어본의 54편의 도해를 라틴어 원문과 비교 분석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서 명청대 초기 라틴어에서 중국어로의 번역 기법과 용어의 성립 과정을 고증하는 기초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 기초 자료는 명청대 서학서 번역을 위한 <라틴어-중국어 어휘 사전> 연구의 토대가 되리라 확신한다. Since the 16th century, Jesuit Missionaries opened a new age of East- West intercultural exchanges by translating the Western Classics and Christian literature mainly written in Latin into Chinese. Philosophical writings of Aristotle, scientific writings of Ptolemy, and medieval theological works of Thomas Aquinas as well as Biblical commentaries and prayer books were subject to Chinese render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introduce a crucial and representative writing for these cross-cultural contacts and emphasize its considerable importance. This representative writing is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and Adnotationes et Meditaiones in Evangelia composed by Jerónimo Nadal (1507-1580), a Jesuit priest from Spain. This study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life of Nadal, especially his activities in the Society of Jesus as well as historical background up to the publication of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and Adnotationes et Meditaiones in Evangelia. Then, it traces back the process of composing and publishing the two works of Nadal. Finally, the study will compare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and Adnotationes et Meditaiones in Evangelia by investigating their structure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demonstrating the order and contents of their images in tables. Consequently,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of Nadal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that recapitulates religious thoughts and spirituality of the 16th century Europe and demonstrates intellectual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of Jesuit missionaries working in East Asia in the 17th century. The next task will be to complete the translation of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and Chinese Tianzu jiangsheng yanxing jiulüe by Nadal. A comparative analysis of 54 images in the Chinese version with their Latin original must also be realized.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ascertain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techniques and terms in translation of the Latin text into Chinese in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These data will surely form the basis for the Latin-Chinese Dictionary research project considering translation of Chinese writings of Western learnings in the Ming-Qing period.

      • KCI등재

        바티칸 페르시아어 마태복음 필사본 Vat. Pers. 4 - 13~14세기 페르시아어 성경 번역본들과의 관계성 연구 -

        곽문석(Moonseok Kwak) 대한성서공회 2020 성경원문연구 Vol.0 No.46

        This article deals with the Vat. Pers. 4, a 14<SUP>th</SUP> century Persian translation of the Gospel of Matthew. This manuscript was copied in 1312 in Tabriz, the capital of the Ilkhanate, a territory in the Mongol empire. Let alone being the subject of a proper study, this copy has not even been edited critically nor has it been translated in modern languages. Only select passages are translated for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which then are compared with a few contemporary Persian translations ― namely the Persian Diatessaron, Walton’s Persian Gospels and Wheelocke’s Persian Gospe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at. Pers. 4 shares phrases and terms with other Persian translations. The Persian terms used in Vat. Pers. 4 for baptism, disciples, law, synagogue, temple, glory, gospel, priest, and foolish also appear in other contemporary Persian translations. Thus a scholarly assumption that these terms are unique to Vat. Pers. 4 is refuted. Second, some unusual readings in the Vat. Pers. 4 have very similar wordings in the Persian Diatessaron. Hence the manuscript has a putative connection with Diatessaronic witnesses. Third, the readings also attest close affinities with Old Syriac Gospel versions, namely the Codex Sinaiticus and the Codex Curetonianus as well as Diatessaronic variants. With its origin in the Persian Diatessaron for Persian Diatessaronic witnesses, Vat. Pers. 4 consequently throws a significant light in the New Testament textual criticism. And it is also a very important primary source for the forgotten history of the Persian Christianity in the Mongol emp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