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원모 두란노 2005 목회와 신학 Vol.- No.188
캐서린 맥베이(Kathleen E. McVey) 교수의 지도로 서원모(44세)교수가 쓴 학위 논문은 "시리아 에프렘에서 그리스 에프렘으로 : 에프렘의 운문실교들이 그리스어권 기독교에 끼친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From the Syrian Ephrem to the Greek Ephrem: A Case Study of the Influence of Ephrem's Isosyllabic Sermons (Memre) on Greek-Speaking Christianity)다. 에프렘(Ephrem, AD 306∼373)은 시인, 교사, 작곡가, 웅변가이자 신앙의 옹호자로 시리아인 교회 학자였다. 그는 당시에 난무하던 수많은 거짓 학설에 대항해 교회됨을 지키기 위해 애쓴 사람이었다. 본 논문에서 서교수는 초대 시리아 교회의 대표적 교부 에프렘이 그리스어권 기독교에 끼친 영향을 「그리스 에프렘 전집」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유대교의 한 종파에서 세계종교로 - 그리스도교와 헬레니즘의 관계 연구
서원모 한국교회사학회 2017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8 No.-
이 논문은 그리스도교와 헬레니즘의 관계란 관점에서 유대교의 한 종파 인 예수 운동이 이방인 선교를 통해 세계 종교로 발전하는 제1차 유다이아 전쟁까지의 원시 그리스도교의 발전 과정을 역사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관계를 팔레스티나와 디아스포라를 나누 어 간략하게 고찰하였고(II), 그 다음에는 언어, 유대계 그리스도교와 이방 계 그리스도교의 구분, 유대교 율법과 이방인 선교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III).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첫째, 예수와 그 제자들은 아람어를 사용하고 헬 레니즘을 수용하는데 소극적이었지만, 헬레니즘 유대계 그리스도인(“헬라 파”)들은 예수 전승을 그리스어로 번역하고 그리스도교 신앙을 그리스 세 계에 맞게 변용시키고 사마리아인과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하여 그리스도 교가 그리스 문화를 매개로 지중해 세계 전역으로 전파되는데 핵심적인 역 할을 수행했으며, 둘째, 바울은 이방인의 사도로 율법에서 자유로운 이방 인 선교를 주도하고 처음에는 그리스도인에게는 율법이 필요하지 않다고 보았지만, 후기에는 온 이스라엘의 구원을 확신하고 다른 형제자매를 위해 율법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하여 율법 이해에서 변화를 보여주었고, 셋째,바울은 주체와 인격의 구별, 개인의 결단과 보편적인 사회의 전망을 강조 했다는 점에서 헬레니즘 정신에 부합되는 새로운 종교를 제시했으며, 마지 막으로 가정 교회가 이러한 새로운 현실을 실현하고 경험하는 모판이 되었 다는 것을 밝혔다. 예수 운동이 이방인 선교를 통해 세계 종교로 발전하는 과정을 추적함 으로써, 본고는 그리스도교와 헬레니즘의 관계를 규명하며, 유대교와 그리 스 문화 사이에서 원시 그리스도교가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이 해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앞으로 역사적 차원뿐만 아니라 신학적 차원에서 이 주제를 다룬 연구가 진척되기를 촉구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primitive Christianity (Urchristentum) up to the Jewish War (66-73 CE), from the Jesus movement, one of Jewish sects, to a world religion through Gentile missions. For this investigation, it first deals with the encounter between Judaism and Hellenism in Palestine and in Jewish Diasporas (II), then explores the rel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Hellenism with special attention to on languages, distinction between Jewish and Gentile Christianity, positions toward Jewish laws and gentile missions (III).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firstly, that while Jesus and his disciples spoke Aramaic and were not ready to accept Hellenism, Hellenistic Jewish Christians (“Hellenists”) took a crucial role in spreading Christianity to the Mediterranean world by translating the Jesus tradition into Greek, adapting Christian faith to the Greco-Roman world, and proclaiming the gospel to Samarians and Gentiles; secondly, that Paul as the apostle of gentiles initiated the Gentile mission free from the Law and displayed some modification of his understanding of the Law in becoming convinced by the ultimate salvation of Israelites and emphasizing the observance of the Law for the sake of other “week” brothers, although the Law was not necessary for Christians according to his initial viewpoint of mission; thirdly, that Paul presented a new religion suitable for the Hellenistic mind by stress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ndividual subject and the universal person, individual resolution to choose a religion not attached to one’s own nation and people, and the prospect for a universal society; and finally that house churches served as foundation for experiencing and actualizing such new reality. This study elucidates the rel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Hellenism by tracing the process of advancement of Christianity from the Jesus movement to a world religion through the Gentile mission, contributes to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primitive Christianity between Judaism and the Greek culture, and urges other researchers to delve into its theological dimension, not only its historical one to which this study explores.
「한국교회사학회지」에 나타난 아시아 교회사 관련 연구 분석
서원모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본고는 「한국교회사학회지」에 수록된 아시아교회사와 관련된 논문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창간호부터 53권까지 총 425편의 연구논문 중 7.3%인 31편이 아시아교회사와 관련되는데, 여기에는 한국교회사와 관련 된 6편의 논문도 포함되어 있다. 아시아교회사를 시리아교회, 가톨릭교회, 개신교회로 분류할 때, 상대적으로 아시아 가톨릭교회와 관련된 논문이 매우 적었다(2편). 또한 중국과 일본을 제외하면, 고대시리아교회와 관련된 논문 2편과 필리핀과 버마와 캄보디아에 대한 논문이 3편만 수록되어 아시아 각 지역의 교회사 연구는 매우 미진하다. 그럼에도 2011년까지의 국내에서의 아시아 교회사 연구를 정리한 논문이 수록된 것은 획기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결론에서 본고는 아시아교회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아시아기독교사학회의 협력, 한중일 삼국의 개신교 수용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 문명교류의 입장에서 총체적이고 다면적인 아시아 교회사 연구, 한국 교회의 아시아 선교 역사에 대한 체계적인 사료 수집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article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There exist 31 articles related to Asian Church History out of 425 articles printed in this journal from voulme 1 to volume 53, and these include those relevant to the Korean Church History. If we understand the history of Asian Church as consisting of Syriac Church, Asian Catholic Church, and Asian Protestant Church, studies concerning Asian Catholic Church is significantly underrepresented (2 articles). Furthermore, since two articles explore Ancient Syriac Church and since three examine churches of Philippines, Myanmar, and Cambodia, it is concluded that a tiny number of studies deals with church history of countries other than China and Japan. The article devoted to analysis of the studies on Asian church up to 2011, however, is quite inspiring and foundational for future studies in this field. In conclusion, this study stresses the significance of Asian Church History, and suggests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of History of Asian Christianity, a comparative study on acceptance of Christianity of Korea, China, and Japan especially in the modern period, a comprehensive and multilateral study from the civilizational exchange, and finally systemic gathering of records of Asian mission initiated by Korean missionaries.
서원모,곽문석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2 교회사학 Vol.- No.21
This Study is designed to introduce the old Hangul manuscript Sire.L.13 kept in the Bibliotheca Apostolica Vaticana and to elucidate its significance. This manuscript is identified as a Korean translation of Ineffabilis Deus, an apostolic constitution promulgated by Pope Pius IX in 1854, which defined the dogma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of the Blessed Virgin Mary. This study, as the first scholarly work on this manuscript, corroborates the significance of Sire.L.13 as follows. First, Marie-Dominique Sire, the principal of the Saint Sulpice Seminary in Paris, carried out the project to translate Ineffabilis Deus into “living” languages around the world and to dedicate these translations to Pope Pius IX. This old Hangul manuscript came to be one result of this worldwide translation project. Second, the letter of Sire requesting a Korean translation arrived in Choseon in February, 1863, but the Latin text of Ineffabilis Deus did not come until the end of June. Bishop Daveluy took charge of translation from the Latin text into Korean, and Korean believers transcribed the Korean text and decorated it with beautiful flower designs. All these works of translation, transcription, and decoration were completed before September 8. Bishop Berneux, Apostolic Vicar of Korea, mentioned this translation several times in November in his letters, and ratified it with his seal on November 25, sending it to Franc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ire.L.13 was composed and dedicated to the pope through this process. Third, Sire.L.13 proves to be the first work which translated the whole text of a papal bull into Korean, as well as a rare old Hangul manuscript whose original text, translator, and the date of translation can be determined with great certainty. Besides, this manuscript demonstrates translation technique, vocabularies, usages, and notation adopted by Korean Catholics during the 1860s, and illustrates how they express into Korean the dogmatic definition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of Mary, scriptural and patristic testimonies on Mary, and technical terms related to liturgies and rites and ecclesiastical offices. For this reason, Sire.L.13 will be an invaluable source material for the 19th century Latin-Korean glossary. 이 연구는 바티칸도서관에 소장된 옛한글 필사본 Sire.L.13을 소개하고 그 의의를 밝힌다. 이 필사본은 1854년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리를 선포한 교황 비오 9세(Pius IX)의 교황칙서(Bulla) “형언할 수 없으신 하느님”(Ineffabilis Deus)을 조선말로 번역한 자료이다. 이 연구는 Sire.L.13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 이 필사본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생-쉴피스 신학교 교장 시르(Marie-Dominique Sire) 신부는 비오 9세의 교황칙서를 전 세계 언어로 번역하여 교황에게 헌정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며, 이 옛한글 번역본은 이러한 세계적인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둘째, 시르 신부의 번역 요청 편지는 1863년 2월경에 조선에 전달되었지만, “형언할 수 없으신 하느님” 라틴어 본문은 6월 말경에야 도착했다. 다블뤼(Marie-Nicolas-Antoine Daveluy) 주교가 라틴어 본문을 한글로 번역했으며, 조선 천주교인들은 이를 필사하고 아름다운 꽃문양으로 장식했고, 이러한 번역과 필사와 장식 작업은 9월 8일 이전에 완료되었다. 조선대목구장 베르뇌(Siméon Berneux) 주교는 11월에 작성한 여러 편지에서 이 번역본을 언급하며, 11월 25일에 인준하여 프랑스로 보냈다. 이 연구는 Sire.L.13이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작되고 헌정된 문헌임을 밝힌다. 셋째, Sire.L.13은 교황칙서 전문을 한글로 번역한 최초의 자료로서, 저본과 번역자와 번역 시기를 확정할 수 있는 옛한글 필사본이다. 이 필사본은 1860년대 조선천주교의 라틴어 본문의 한글 번역 방식, 어휘, 용례, 표기법을 보여주며, 마리아의 무염시태에 대한 교리 정의와 성경과 교부의 마리아에 대한 증언, 또한 당대의 전례와 교회의 직책 등을 조선말로는 어떻게 표현했는지 알려준다. 따라서 Sire.L.13은 19세기 라틴어-한글 용어 사전 작업을 위한 중요한 원천자료가 될 것이다.
성경 도해와 문화전수 : 『천주강생출상경해』 (天主降生出像經解, 1637)를 중심으로
서원모,곽문석 한국교회사학회 2017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7 No.-
최근 동서교류, 특히 그리스도교와 동아시아 문화의 만남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그리스도교 한문 전교서가 동서 문화 교류 연구에 주요한 사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저술되었다. 이 연구의 초점은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선교사 쥴리오 알레 니(Giulio Aleni 艾儒略, 1582-1649)가 저술한 천주강생출상경해(天主降 生出像經解, 1637; 이하 출상경해)이다. 출상경해는 예수의 생애를 탄생부터 승천까지 그림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스페인 출신 예수회 사제인 제 로니모 나달(Jerónimo Nadal, 1507-1580)의 복음역사 도해집(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의 한문본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알레니는 복음역사 도해집을 3분의 1정도로 간추려 번역했다. 이 연구는 알레니가 나달의 복음역사 도해집을 중국인 독자를 위해 어떻게 번역하고 변용시켰는지, 곧 번역과 문화 전수란 관점에서 출상경해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네 가지 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는 서문격인 “천주강생출상경해인”(天主降生出像經解引)을 통해 출상경해의 목적과 원리를 규명한다. 둘째, 나달의 복음역사 도해집과 출상경해의 구조를 비교하여, 알레니가 복음역사 도해집에서 어떤 도해를 선택하고 또 어떻 게 배열했는지를 다룬다. 셋째, 알레니가 복음역사 도해집에 없는 도해 를 삽입하거나 여러 도해를 하나로 합성한 사례를 중심으로 라틴어 저본의 한문 번역에 대해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시각 이미지 측면에서 출상경해의 특징을 고찰한다. 나달의 복음역사 도해집은 출상경해 뿐만 아니라 다 로카 신부(Giovanni da Rocha, 1565-1623)의 송염주규정(誦念珠規程, 1620)에 수록된 그림과 요한 아담 샬 폰 벨(Johann Adam Schall von Bell S.J., 1592-1666)의 진정서상(進呈書像, 1640)의 일부 그림의 저본이 되 었다. 이 연구는 나달의 복음역사 도해집의 중국화라는 점에서 이 세 작 품을 비교하여 출상경해의 특징을 규명한다. 결론적으로 출상경해는 라틴어 도상과 해설의 한문화를 통해 서양 그 리스도교의 핵심적 내용을 중국인과 소통하고 전수하려는 시도였다고 평 가할 수 있다. 출상경해는 라틴 그리스도교 문화를 중국에 전수할 때 예 수회 선교사들이 가졌던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자세와 함께, 문화적 적응 내지 중국화보다는 서양의 문화를 충실하게 번역하고 전달하려는 양면적 성격을 보여준다. 이러한 양면적 성격은 17세기 동서 문화 교류를 이해하 고 평가하는 중요한 틀이 될 수 있다. 출상경해 이외에도 이 시대 수많 은 한문 전교서에 대한 폭넓은 연구는 명청 시대의 가톨릭교회의 선교를 통해 이루어진 동서 교류의 성격과 면모를 더욱 분명하게 밝혀줄 것이다. Recently studies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 especially the encounter between Christianity and East Asian Culture have drawn great scholarly atten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corroborate that Chinese Christian literature in the Ming-Qing dynasties serves to provide historical resources for research of the East-West cultural conta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天主降生出像經解, 1637) composed by Giulio Aleni (艾儒略, 1582-1649).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is a collection of visual images, which depicts Jesus’ life from the conception of John the Baptist to the Pentecost and the crowning of the Virgin Mary, and a Chinese version of the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of Jerónimo Nadal (1507-1580), one of Spanish Jesuit priests. In his translation, Aleni reduced this work to one-third of the original 153 images. This study examines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quesiton, how Aleni translated and modified Nadal's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that is,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lation and cultural transmiss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als with four topics. First, drawing on its preface, it elucidates the purpose and principles of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Second, it compares the structure of Nadal's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with that of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e, and demonstrates which images Aleni selected out of the original text and how he arranged them. Third, it examines the principle and method of Chinese translation of the Latin original by analyzing the cases in which Aleni combined several images of Nadal's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into one. Finally, it investigates the visual and artistic aspect of the images of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Nadal's Evangelicae historiae became the original source of not only the images of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ie but also those of Giovanni da Rocha's Song nianzhu guicheng (誦念 珠規程, 1620) and some pictures of Johann Adam Schall von Bell S.J.'s Jìncheng shu xiang (進呈書像, 1640). This study reveals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by comparing these three works from the viewpoint of Chinese translation of the same original work. This study asserts in conclusion that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was an attempt to communicate and transmit the core of Christianity with Chinese by means of translation of Latin images and notes.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shows the practical and creative mind of Jesuit missionaries in transmitting the heritage of Latin Christianity into the Chinese soil, on the one hand, and their intention to translate and adapt the Western culture in a faithful way, on the other hand. My conviction is that such dual aspect will serves as a crucial criterion to understand and evaluate the East-West cultural encounter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extensive study of numerous Christian literature in addition to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will disclos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osscultural contacts through Catholic mission in the Ming-Qing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