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삭제된 삽화와 원본 - 1930년대 삽화 검열을 중심으로

        공성수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6

        This research will reveal how Japanese censorship affected newspaper illustrations of the 1930s in Korea. For this purpose, I will collect and analyze some special illustrations that were deleted due to censorship. Through this research, I will investigate how many censored newspaper novel illustrations there are and why they were deleted. Thus, this study will show that Japanese censorship was a routine phenomenon in Korean art and literature at this time. Novel illustrations often show amazing esthetic experiments and unconventional images. However, they always have to be conscious of the power of censorship and the limits of imagination afforded to them, because censorship at this time may be subject to the existential limitations of illustrations. Therefo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the artistic esthetics of novel illustrations in the 1930s. 본 연구는 1930년대 일간신문의 연재소설 삽화 중 누락되거나 삭제된 흔적이 있는삽화들을 수집하고,그처럼 훼손된 이유를 살펴보고자 하는 소박한 목표에서 시작된다.따라서 본 논문은 새로운 가설을 설계하고 그것을 확인하는 논증적 글이라기보다는,과거의 유실된 자료를 발굴하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분류 조사한다는 점에서,원전 연구에 대한 일종의 결과 보고(報告)에 가깝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 연구는 이 시기 소설 삽화의 생산과 관련한 외재적 맥락을 살펴보려는 또 다른 목표도 함께 가지고 있다.즉,의도적으로 훼손되거나 삭제된 삽화들,그러므로 어떤 의미에서 비정상적인 상태로 존재하는 이 삽화들을 연구함으로써, 이 시기 소설 삽화 제작과 관련된 다층적 맥락을 재구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그 가운데,검열의 영향은 본고에서 집중하고 있는 특히 중요한 지점이다.때때로소설 삽화는 놀라운 미학적 실험과 파격적인 이미지들을 보여주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삽화는 검열의 개입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그리고 물론 그와 같은 예술적 검열은 소설 삽화의 표현과 내용을 결정하는 실존적 조건을 제한한다.그러므로 이처럼 식민지 조선의 소설 삽화가 실은 분명한 검열의 대상이었으며, 그와 같은 권력의 시선 앞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사실은,이 시기 소설 삽화의 성격을 보다 규명하는데 중요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속력 있는 산보’와 식민지 청춘의 자기 인식 -자동차 모빌리티와 공간의 상상력

        공성수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4 No.-

        This paper studies images of speed through modern Korean novels and illustra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of cars, modern Korean novels and illustrations show us that young people take taxis and tavel around Kyoung-Sung(Seoul). The characters in these novels and illustrations drive through the city all night, have secret love conversations in the car, or often seduce each other. Sometimes a taxi driver appears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story, and he narrates the story. In some cases, there is a car accident and people get hurt, and in some scenes a car chase takes place. In this context, this thesis focuses on ‘car travel’ that appears in novels and illustration between the 1920s and 1970s. In addition, I will study the early automobile culture through newspaper articles and advertisements of this period. In this process, In fact, only a few people could enjoy the speed of the car in those days of Kyung-Sung. It was a very expensive entertainment and a thrilling but illegal act. But by tracking down cars that appears in novels and illustrations, we can meet and understand the thoughts and desires of young people in those days. Most of all, it is important that the key theme of Illustrations of ‘car travel or automobile culture’ is ‘modern speed’, and they mainly symbolized strong and attractive power of the modern civilization. the modern speed that not everyone can have not only provides a private room and creates an opportunity to awaken their inner potential instincts, but also allows them to imagine previously banned desires. Why do they, colonial youth get in the car? Whyt do they rent cars with expensive money and enjoy dangerous races for a while? The reason is that they can escape from the harsh reality they live in and dream of another world that they would never have imagined before while driving in a car. 본 연구는, 근대의 모빌리티가 가져온 일상의 변화가 새로운 시대의 예술적 감수성을 자극하는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전제 아래, 개화 이후 한국의 미술과 문학장 안에서 형상화되는 자동차(그리고 자동차 문화)의 모습을 살펴보려는데 주목적이 있다. 기차나 전차와는 다른, 개인의 모빌리티로서 자동차가 가진 특별한 성격이야말로 이 시기 사람들의 일상적인 삶과 그들의 내밀한 욕망을 이해하는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근대의 도시 경성에서 유행한 한밤중의 자동차 드라이브는, 식민지의 청춘이 맞닥뜨렸던 현실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욕망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준다. 도덕과 윤리, 법과 제도라는 질서에 맞춰 순행하는 자동차 밖의 세계와는 달리, 자동차 안의 세계는 훨씬 더 본능적이고 보다 더 솔직한 욕망으로 가득 한 채, 자기만의 속도로 달리는 세계라 할 수 있다. 물론 이 때, 자동차를 그처럼 특별한 공간으로 만들어 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속도’다. 일상의 세계에서는 만나기 어려운 빠른 속도가 자동차의 안팎을 마치 차벽처럼 구분해놓기 때문이다. 아무나 가질 수 없는 근대의 속도는 개인에게 밀실을 제공하고, 자기 내면의 잠재된 본능을 일깨우는 계기를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때로는 이전까지는 금지되었던 욕망이나 새로운 세계에 대한 상상마저 허락하게 만든다. 자동차를 타고 달리는 동안만은, 그들은 자기가 살고 있는 갑갑한 현실에서 벗어나, 이전이라면 상상할 수 없었을 그런 또 다른 세계를 마음껏 꿈꿔 보기도 하는 것이다. 게다가 물론 그런 속도가 자본의 욕망과 결합되어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끝없이 속력을 갈망하고 속력의 결핍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나날이 더해가는 자본의 위력을 보여준다는 사실도 놓쳐서는 안 된다.

      • KCI등재

        근대 소설 형성기 번안소설 삽화의 구성 원리 연구 — 『매일신보』에 연재된 조일재의 번안소설 삽화를 중심으로

        공성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1 No.-

        An illustration represents a story. In other words, an illustration functions as anarrative text and also as a meta-text of the story. Naturally, an illustration is similarto how a story is told in many ways. They share a lot of narrative elements suchas character, event, setting, style, discourse and even narrative desire. Particularly, the illustration in the adapted novel of the early 1910s is very importantbecause of i ts historical meaning. The 1910s was the period when the modern novelwas beginning to form in Korea. Adapted novels from Japan were very popularat that time and they instantly replaced former narrative stories. The reason whyit was possible is that adapted novels had a different storytelling style that attractedthe readers. The illustration played a vital role in such change. It reflected the special styleand communicative method of the adapted novels and prepared the readers tounderstand such material. Therefore studying the illustration will help us understandnot only adapted novels but also the readers of the 1910s. 소설 삽화란 소설가가 생산한 텍스트에 대한 최초의 독해이면서, 동시에 원 텍스트를 재해석한 새로운 판본으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삽화 이미지가 소설에 관한메타텍스트로서의 성격을 부여받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 지도 모른다. 삽화는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것이 재현하고 있는 소설 텍스트의 특별한 성격을 공유하고, 소설 텍스트가 서사적으로 소통하는 방식을 닮아있으며, 또 종종 소설 텍스트의 무의식적인 욕망마저도 재현한다. 본고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1910년대 중반의 번안소설 삽화의 경우,공교롭게도 그것의 발생은 근대적 소설 장르의 모색기와 겹쳐진다. 신소설의 쇠퇴와새로운 읽을거리를 원하는 독서대중의 변화하는 취향, 연극공연예술의 유행, 그리고무엇보다도 일본에서 재수입되어 번안된 서구 소설들의 대중적 성공에 이르기까지,그야말로 유래 없는 문화적 실험 시대의 한 가운데에 번안소설과 번안소설 삽화가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번안소설 삽화의 연구는 바로 그런 시기에 근대적 독서 텍스트를 지향했던 번안소설의 내면을 연구하는 셈이 된다. 사실, 번안소설 삽화는 이전의 삽화와는 전혀 다른 문학적・미학적 지향점을가지고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이야기의 줄거리나 사건의 얼개를 재현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일종의 ‘스토리 가이드’로서 존재했던 신소설의 삽화와 달리, 번안소설삽화는 독자들에게 끊임없이 새로운 질문을 던짐으로써 스스로 해석되기를 기다리는 하나의 기호처럼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번안소설 삽화는 독자들이 적극적으로 서사적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고안되는, 일종의 ‘극적 연출물’로 간주될 필요가 있다. 삽화가 단순히 소설을 재현하는 데에서 멈추지 않고, 오히려 소설과 공존함으로써 보다 풍요로운 서사적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삽화의 변화가 결국에는 소설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독자에게 일방적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텍스트로부터, 독자들이 능동적으로 향유하고 즐기는 텍스트로 변화하고자 하는 소설의 욕망을 우리는 삽화 안에서 함께 발견하게 된다. 확실히, 번안소설 삽화에서 나타나는 수많은변화들은 근대적 독서 텍스트를 지향했던 번안소설의 특수한 성격과 함께 연관시켜 설명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장면의 극적 연출과 미장센에 대한 증가하는 관심,공간을 구성하는 다양한 회화적 표현들과 장면을 은유하는 풍경의 이미지들에 이르기까지, 번안소설 삽화의 많은 특징들이 결론적으로는 번안소설의 특징 그 자체와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삽화를 단순히 회화 연구의 대상이 아니라, 문학적 연구의 대상으로도 함께 보아야만 하는 이유, 요컨대 삽화가 가진 문학사적 의미를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 KCI등재

        근대 소설 형성기 신문연재소설 삽화의 구성 원리 연구 - 『매일신보』 에 연재된 이해조의 신소설 삽화를 중심으로

        공성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9 No.-

        An illustration looks like a mere motionless picture embedded in the novel but it represents the event or the action by visual images. Naturally those pictures have such a 'narrativity' that we can analyze them by applying the narrative theories. And such a research shows us the special role of the illustration in the narrative communicative situation. The illustration in the newspaper novel has a twofold meaning in the narrative communicative situation. : The illustrator is the first reader (receiver)of the story (message) that is written by a writer and he is the independent writer (sender) who gives his feedback. And that is why we should study the illustration in literature of novel. This paper studies the illustration that depicts scenes of a serial of stories in a newspaper. Particularly the illustration in the early 1910s, the formative years of the modern literature in Korea, is the focus of this study because it could have influenced the establishing of the Korean modern novels. The illustration in the early 1990s has special functions in the narrative communication. First, it guides readers to the whole story by re-presenting important plot-points. Its visual images can help the readers to enjoy the spectacle scenes and understand the progress of the story at the same time. Besides, while reading images and written text altogether, the readers who are not accustomed to reading the modern written novels can learn how to read them. In addition, the illustration creates the reality of the story by complementing the written text. This is because concret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a story do not only organize the virtual reality, but also give the story a high probability. 소설 삽화란 ‘소설 언술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효과들에 대한 시각적 재현으로서의 서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소설 삽화는 소설 언술의 다양한 서사적 국면을재현하며, 그것을 시각적 언어를 통해 전달하는 온전한 서사체이다. 따라서 올바른 삽화 연구를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소설 텍스트에 대한 정치한 분석이 병행되어야만 한다. 삽화의 내적․외적 구성원리를 규명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삽화 이미지가 소설 언술과 맺고 있는 서사적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함께 조망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특히 본고가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1910년대 초반, 근대적 서사 장르로서의 소설 문학 형성기 신문연재소설 삽화의 경우, 소설 언술과 삽화 이미지가 맺고있는 관계는 매우 독특한 상황에 놓여있다. 삽화가 소설을 일방적으로 모방하고재현하고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그 안에서 삽화는 특별한 목표를 위해 소설 언술을 선택하고 배제하는 자기 구성의 논리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때로는 일반적인 통념을 훨씬 벗어난 상황, 요컨대 소설 언술이 삽화 이미지의내용과 형식을 오히려 모방하는 모습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신문연재소설의 생산에 있어서 나타나는 상호텍스트적인 소통의 상황은 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결국 이러한 사실은 문학 연구자로 하여금 단순한 소설 연구 이상의 것, 즉, 근대 소설 형성기의 ‘신문연재소설’이라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서로 다른 서사 매체들끼리의 경쟁과 조화, 균형에 관한 역동적인 관계를 모색해야만 할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새로운 문학적 실험을 시도하고 학습하는 공간인 동시에, 문학과 독자와의 서사적 소통이 가능한 열린 장으로서의 신문연재소설 공간에서, 소설 삽화는근대적 서사 장르로서의 소설이 형성되는데 필요한 중요한 타자로 기여했을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논리적 글쓰기 전략으로서 인용의 기능과 유형 연구 - 대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사례들을 중심으로

        공성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In this article, citation is defined as an inclusion of various outside texts in order to secure validity and consistency of arguments, or the equivalent rhetoric strategies. Hence, the citation is a way of demonstration that borrows the external logics for reinforcing the internal reasoning and providing a concrete basis of arguments. Moreover, citation is analogous to the mechanism of human cognition in a way it contributes to the strategizing on problem-solving, as it guides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problem, analysis on the situation, and integration of the gathered information. Students, as they are constantly expected to acquire new knowledge, are in particular need to employ the external authority and prove their own internal thoughts and logics. Under this premis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citation. It will first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citations as a rhetoric strategy for reasoning into : definition, authority, example, statistic, text, analogy, and graphic. Furthermore, it will also look into the educational efficacy and potential that citation has. In the process, the purposeful, proactive, and intertextual qualities of citation will become evident. 본고의 관점에서, 인용은 글쓰기 과정에서 논지의 타당성과 정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외부 텍스트를 포함하는 행위, 혹은 그와 같은 수사적 전략을 의미한다. 텍스트에 내적 논리를 더하고 구체적인 논거를 마련하기 위해 외부의 논리를 빌리는 논증의 방식이 바로 인용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용이란 문제를 인식하고 상황을 분석하며 주어진 정보들을 종합해 문제 해결의 전략을 만드는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인간 인지활동의 메커니즘과 닮아있다. 새로운 지식을 끊임없이 받아들여야만 하는 학생들의 입장에서라면 더욱 더, 외부의 권위를 빌려와 자기 사유의 내적인 논리를 증명하는 것은 필연적인 과정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아래에서, 본 연구는 인용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글쓰기 과정에서 사용되는 논리논증의 수사적 전략으로서 인용의 특징과 기능을 ‘정의, 권위, 사례, 통계, 텍스트, 비유, 그래픽’의 7가지 유형으로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인용이 지닌 교육적 효과와 가능성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인용이 가진 유목적(有目的)적이고 능동적이며 상호텍스트적인 성격은 더욱 부각될 것이다.

      • KCI등재

        1920年代 後半 小說 揷畫의 敍事的 리얼리티 硏究 - 連作小說 「荒原行」에 수록된 揷畫들을 중심으로 -

        공성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3

        The “Hwang Won Haeng(To The Desert)” shows the changes of the arts environment led by the media in the late 1920s. At the same time, it clearly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novel and illustrations. The fact that 10 novelists and illustrators collaborated together could be a coincidence. But, when their work begins serially in the form of a novel and a illustration, it is no longer a coincidence, but it becomes a clear literary event. This paper understands the creation of a series of novels titled “Hwang Won Haeng” as an important event in the late 1920s. Because this works contains the realization of the epic reality as a universal production norm emphasizing the fictional narrative text.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in point of view of the theory, the realty effect of novel illustrations comes from intertextual communication with numerous diverse texts. The Verisimilitude of the narrative fiction is a flash in the face of ceaseless dialogue between the media, the discourse, the texts and it. For example, illustrations create the reality in the narrative by borrowing various texts in the real world. Or they maintain an the narrative consistency by reading carefully the novel. In the results, “Hwang Won Haeng” tells us why the problem of reality is so important in Korea in the 1920s. The realism was a literary trend, some- times the political discourse that led to the change of time, and sometimes the belief that define the identity of a person in that time. Because it was a sort of ‘master plot’ embedded in various text-bases in 1920s. 본 논문은, 聯作小說 「荒原行」의 제작을 1920년대 후반 근대적 敍事 장르의 정착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假定하고, 이 시기 허구적 서사 텍스트가 강조하는 보편적인 생산 규범으로서 서사적 리얼리티의 실현을 想定한다. 이 시기 소설 삽화가 보여주는 사실감의 원천은 주변의 수많은 다양한 텍스트들과 벌이는 상호텍스트적인 소통에서 비롯된다. 그것은 媒體와 談論, 時代와 現實, 텍스트와 텍스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끊임없는 대화 속에서 잠깐씩 나타나는 效果일 가능성이 높다. 窮極的으로는 연작소설 「황원행」을 바라보는 이 같은 접근이, 1920년대의 文學史 혹은 藝術史라는 보다 큰 範疇에서, 리얼리티(즘)가 어째서 그처럼 다양한 文脈으로 읽힐 수 있었는가를 말해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사실을 드러낸다.’는 이 문제가, 때로는 단순한 문예상의 흐름으로 또 때로는 시대의 변화를 이끄는 政治的 談論으로, 또 때로는 한 인간의 正體性을 規定하는 價値나 信念으로 이해될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이것이 當代의 다양한 텍스트 基底에 內在한 一種의 마스터플롯(mater plot)이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KCI등재

        정보인지 전략으로서 서사와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

        공성수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7

        소설 서사가 생산되고 소비되는 과정은, 제한된 정보를 사이에 두고 의사소통의 주체들이 벌이는 게임 상황으로 비유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서사 텍스트의 소통이란, 제한된정보를 따라 움직이는 의사소통 주체들의 다양한 전략과 시도가 공존하는 역동적인 상황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자가 생산한 텍스트의 고정된 의미를 독자가 무조건 받아들이거나, 반대로 저자의 의도는 완전히 배제한 채 독자가 텍스트를 재단하는 일방적인 소통은 서사의 의미를 제한할 수밖에 없다. 텍스트를 매개로 이뤄지는 역동적인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만끽할 때에야 비로소 텍스트의 의미는 풍요로워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맥락에서, 본고는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의 이론을 정보전략의 관점에서재검토할 것이다.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을 갈무리 하고, 정보의원천으로서 내포저자와 정보의 필터로서 서술자, 그리고 해석의 주체로서 독자를 중심으로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의 상황을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정보 전략과 의사소통의 주체들을 충분히 고려한 새로운 서사학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누드 삽화와 식민지 육체의 재현-1920년대 신문연재소설 삽화를 중심으로

        공성수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7 No.-

        Nude illustrations in the 1920s newspaper novel correspond to a special narrative structure. Nude in this period is re-discovered as a subject in the process of modern art. It is noteworthy that nude artworks represent modern individuals facing the power of the world. For example, most of the women in the illustrations are faced with terrible events such as poverty, violence and rape. In other cases, they face intense temptations that are difficult to resist.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y are reborn as modern individuals by experiencing the power of such a world. On the other hand, some nudes are much more sexual. Sometimes it has a decadent charm and tries to fascinate the viewer. This nude of a woman so-called Femme-Fatale seems to liberate the body that has been suppressed under feudal order. But despite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liberation, it’s a problem that nude is considered evil and sick. Because the deceptive nature of imperialism is hidden in such censorship and oppression. The censorship of the empire aims to dominate the colonial native that is represented as nude effectively, distinguish them from the citizens of an empire, and destroy their noble values and beliefs. 소설과 삽화의 복합 텍스트로서 1920년대 신문연재소설란의 누드 삽화를 읽을 때 두드러지는 현상은, 화면 속의 누드가 특정한 이야기 구조와 조응한다는 사실이다. 이 시기 소설과 삽화에서 나타나는 누드가 실제로는 근대의 서사가 예술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비로소 ‘피사체’로 발견된 것이라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가령, 소설 삽화에 등장한 누드(화)는 ‘나’라는 연약한 존재가 세계의 위력 앞에 마주한 바로 그 순간을 포착하고 있다. 벌거벗은 육체는 개인의 힘으로는 도저히 저항할 수 없는 외부 세계의 거대한 힘 앞에 선 인간을 표상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고, 그것을 통해 서사적 사건의 주체로 재탄생되는 근대적 개인의 자각을 형상화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 시기의 또 다른 삽화에서 누드는 훨씬 더 관능적이며 퇴폐적인 육체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른바 팜므 파탈이라 불리는 위험한 여인들의 육체는, 봉건적 질서나 형이상학적인 관념 아래 억눌려 왔던 육체의 해방이라는 정치적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세계의 질서를 혼란에 빠뜨리는 악한 것으로 판명난다. 그러나 육체에 가해지는 이러한 판단이 실제로는 개인의 육체를 정치적인 관리의 대상으로 만들기 위한, 식민 지배의 전략과 맞물려있다는 점은 문제적이다.

      • KCI등재

        인식의 확장 도구로서 다매체 글쓰기 교육 연구─ 풍경사진을 활용한 대학 작문 수업을 사례로

        공성수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4

        Photographs are an effective way for humans with finite memory capacity to remember the scenery of the moment. But photographs must be reconstructed through narrative in order to have a special meaning. Of course, writing is an effective way to create such stories. In writing, people reflect on their own experience, events of the world, and the themselves. This paper is planning the programme with a multimodal-writing and verifying the effect. If the power of multi-literacy is important to today's students, a writing education using multi-media is worth considering. When students can use the language of various media, 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ld can be much deeper. Multi-literacy is not a mere application of media, it is the power of thinking that broadens the horizon of recognition 사진 매체는 유한한 기억의 용량을 가진 인간이 기억을 저장하는 효과적인방식이다. 가령, 풍경사진은 찰나의 풍경을 기억하고, 그것을 영원히 소유하고자 하는 인간의 소망과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그처럼 사진을 통해 재현된풍경이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 그것은 특별한 이야기를 통해 재구성되어야만한다. 본 논문은 인식의 확장 도구로서 다매체 글쓰기 수업을 기획하고, 그것이지닌 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표가 있다. 다양한 매체를 읽고 이해하며, 그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멀티리터러시의 역량이 오늘날의 학생들에게중요하다면, 다양한 매체가 공존하는 복합 텍스트를 대학 작문교육에 접목하는 것은 충분히 고려해볼 가치가 있다. 글과 이미지의 복합 텍스트를 읽거나만들어보는 작업은 그 자체로 멀티리터러시를 강화하는 효과적인 방식이기때문이다. 학생들이 다양한 매체의 언어를 활용할 수 있을 때, 그들이 세계를이해하는 이해의 폭은 훨씬 더 깊어질 수 있다. 멀티리터러시의 핵심은 단순한 매체의 활용 기술이 아니라, 인식의 지평을 넓히는 사유의 힘에 있다는사실에 다시금 주목해야만 한다. 교육적인 의미에서 ‘앎’이란 바로 이처럼 대상을 바로 인식하는 일로부터시작된다. 새로운 정보를 발견하고 그것이 지닌 의미를 해독할 수 있는 능력,그것이야말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끊임없이 재발견하고 재창조할수 있는 강력한 힘의 원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