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이 분리된 Klebsiella pneumoniae 균주들의 글리세롤 기반 3-hydroxypropionic acid 및 1,3-propanediol 동시 생산성 평가

        고연주(Yeounjoo Ko),설은희(Eunhee Seol),순달아 세칼 바라지(Balaji Sundara Sekar),권성진(Seongjin Kwon),이재현(Jaehyeon Lee),박성훈(Sunghoon Park) 한국생물공학회 2016 KSBB Journal Vol.31 No.4

        Co-production of 3-hydroxypropionic acid (3-HP) and 1,3-propanediol (1,3-PDO) was suggested as an innovative strategy to overcome several limitations occurring in the single production of 3-HP from glycerol. In this study, two new isolates of Klebsiella pneumoniae, which produce less lipopolysaccharide (LPS) thus considered less pathogenic than K. pneumoniae DSM 2026, were compared and evaluated for their potential for the co-production of 3-HP and 1,3-PDO. The newly isolated strains showed significantly faster sedimentation rate than DSM, which should be beneficial for downstream processing. Analysis of genome sequences of the isolates confirmed the presence of all genes necessary for glycerol assimilation, 1,3-PDO production and biosynthesis of coenzyme B12. Co-production yield was highest under anaerobic condition while cell growth was highest under aerobic condition. Both strains showed similarly good performance for the co-production although J2B gave the slightly higher co-production yield of 0.80 mol/mol than GSC021 (0.75 mol/mol). The evaluation of the newly developed strains presented here should be useful in designing similar evaluation experiments for other microorganisms.

      • KCI등재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공계 대학생의 인식 탐색

        고연주(Ko, Yeonjoo),심성옥(Shim, Sungok Serena),황요한(Hwang, Yohan),최유현(Choi, Yuhyun),옥승용(Ok, Seung-Yong),남창훈(Nam, Chang-Hoon),이현주(Lee, Hyunju) 한국공학교육학회 2022 공학교육연구 Vol.25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views of STEM college student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A total of 660 students in STEM majors at several Korean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We assessed social responsi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in STEM majors using the VSRoSE scale, which taps into eight different domains of social responsibility: Concern for human welfare and safety (HUMAN), Concern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ENVIR), Consideration of societal risks and consequences (CONSEQ), Consideration of societal risks and consequences (CONSEQ), Consideration of societal needs and demands (NEEDS), Pursuit of the common good (COMGOOD), Civic engagement and services (CIVIC),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COMMU), and Participation in policy decision-making (POLICY). Group differences in social responsibility by gender, majors, and years in school were examined. Mean scores in HUMAN, ENVIR, and CONSEQ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NEEDS, COMGOOD, CIVIC, COMMU, and POLICY.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ive different groups with similar patterns of social responsibility scores. In addition to two groups with overall high and low scores across all eight factors of VSRoSE, three additional group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high and low scores in different factor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low social responsibility are not homogeneous and these heterogeneous sub-groups of students will need tailored interventions highlighting different factors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they lack. Pedagogical implicat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수행 경험이 학생의 물리 오개념에 대한 이해 및 "연구자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고연주 ( Yeon Joo Ko ),이현주 ( Hyun Ju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의 물리 오개념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연구자로서의 교사(teacher as researcher)’의 개념을 적용하여 방법론 강의를 구성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학생들이 갖는 오개념을 직접 조사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물리 오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사로서의 역할을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3, 4학년의 예비 물리 교사 25명이며,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선개념과 오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과 과학 학습 이론에 대해 학습한 후, 관심 있는 물리학 분야를 선택하여 오개념 조사를 위한 문항을 제작하였다. 설문을 실시하는 것부터 오개념의 양상과 원인을 분석하는 것까지 연구 과정을 거쳤으며, 조사에서 나타난 오개념을 교정하기 위한 교수 전략도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개념 조사를 진행한 예비교사와의 개별 면담을 주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수업 관찰에서 작성한 연구노트와 예비교사들의 최종 보고서를 보조 자료로 이용하였다. 면담의 전 과정은 녹음한 후 전사하여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경험은 예비교사들에게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물리 오개념의 종류와 양상, 형성 원인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둘째, 연구 경험은 예비교사들에게 학생들의 오개념을 교정하기 위한 적절한 교수전략에 대한 지식을 정교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문항을 개발하고 과학적 개념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물리 내용 지식을 재점검하였으며, 넷째, 본인 스스로를 되돌아봄으로써 연구자로서의 교사 역할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eachers should have be aware of and understand students’ misconceptions, which is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PCK. However, teachers often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misconceptions and in applying appropriate instructional strategies to change misconceptions. Thus, we designed a method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PSTs) adapting the concept of “teacher as researcher.” In the course, PSTs conducted research to investigate students’ misconceptions in physics. Twenty-five female PS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nt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ncluding creating question items, administering items to their target populations, collecting and analyzing student responses, and writing a research paper. Data source includ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PSTs, field notes during classroom observation and PSTs’ research pap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STs confirmed students`` misconceptions and learning difficulties in physics. They experienced discrepancies between their conjecture and research findings. Second, PSTs developed th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students’ misconceptions and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Third, the research experience provided the PSTs opportunities to reexamine their physics content knowledge while creating items and explaining scientific concepts. They realized that physics teachers should develop sound understanding of physics concepts for guiding students to have less misconception. Lastly, they realized the necessity of being a teacher as a researcher.

      • KCI등재

        심리적 제스처의 메타인지적 활용 연구: 『Sweat』 트레이시 인물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고연주 ( Ko Yeon-ju ),조준희 ( Cho Joon-hu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메타인지란 어떻게 자신의 인식처리 과정을 이해하고 인지하는가에 관한 정신 활동으로,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런데, 배우의 연기는 일생동안 끊임없이 스스로 학습하고 자신을 성찰해나가는 과정이므로, 본질적으로 메타인지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인지 이론을 통해 기존의 연기론을 재인식해봄으로써, 해당 연기론과 배우의 역할창조 과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카엘 체홉 테크닉(Michael Chekhov Technique) 중에서도 정수로 평가받는 심리적 제스처(Psychological Gesture)를 메타인지 이론을 적용해 고찰한다. 심리적 제스처의 전반적인 과정에 메타인지 요소들-주의, 시연과 부호화, 조직화와 인출-을 적용해 분석해본 결과, 메타인지의 관점에서 심리적 제스처는 원형적 동작의 선택, 동작 이미지에 대한 상상의 두 가지 측면에서 메타인지와 높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 그 결과, 심리적 제스처의 구현에서 메타인지는 원형이라는 무의식적 특성에 의식적으로 접근하여 심리적 제스처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상상이라는 총체적이고 집약적인 심리-신체적 사고 과정을 관리ㆍ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심리적 제스처는 수많은 인지 활동을 수반하며 배우의 만족 여부를 기반으로 한 메타인지가 끊임없이 작동되는 과정임을 알 수 있다. 본고는 메타인지를 통해 심리적 제스처를 조망함으로써, 직감적이고 경험적 성격이 짙은 심리적 제스처에 체계적으로 접근을 하여 주체적인 역할창조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메타인지 전략을 실제 『Sweat』의 트레이시(Tracey) 인물 구축 과정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Metacognition is a mental activity about how one understands and perceives the process of one's perception, which is deeply related to one's ability to learn on one’s own. An actor's performance is a process of constantly learning and reflecting on himself throughout his or her life, which inherently implies meta-cogni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by reexamining the existing acting theory with meta-cognitive theory, we try to clearly understand the acting theory and the role creating process of the actor. This study looks into Psychological Gesture that is evaluated as integers among Michael Chekhov Techniques by applying meta-cognitive theory. Having analyzed cognitive processes used in the overall process of Psychological Gestures - attention, rehearsal and encoding, organization and withdrawal, - we could find that psychological gestures have a high correlation in two aspects: choice of archetype gesture and imagination of motion images. As a result, in the implementation of Psychological Gesture, metacognition consciously approaches the unconscious nature of circularity, helps to understand Psychological Gestures more clearly, and manages and controls the overall and intensive psychological-physical thinking process of imagination. Therefore, Psychological Gestures is a process in which numerous cognitive activities occur and meta-awareness based on actor satisfaction is constantly working. By investigating Psychological Gestures through metacognition, this paper confirms that psychological gestures that are intuitive and experiential can be systematically approached and used as an independent role creating strategy. Furthermore, we anticipate specific questions that can be derived using a list of meta-cognitive strategy questions. These meta-cognitive strategies were applied to ‘Tracey’ of 『Sweat』 that actual production character construction process to validate its results.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주제분석법을 활용하여

        고연주(Ko Yeon joo),김영주(Kim Young Joo),이현주(Lee Hyun ju),임규연(Lim Kyu 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현재까지 이루어진 주요 연구주제를 살펴보고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십여 년 간 수행된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 86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후, 빈도분석과 백분위분석을 활용하여 시간별, 연구방법별, 학교급별, 교과목별, 구성원 범위별 연구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추출한 핵심 주제어를 바탕으로 주요 연구주제를 도출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구주제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는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어 최근으로 올수록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공동체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였으며, 교과목별로는 이과계열, 예체능계열, 인문계열순으로 교사학습공동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주제는 크게 교사학습공동체 개념 및 특성, 교사학습공동체 운영특징,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발달, 공동체 형성 및 발달 메커니즘의 네 가지로 도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특징을 소개하거나 공동체 참여를 통한 교사의 발달을 분석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교사학습공동체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TLC) in South Korea. A total of 86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2004 to 2015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s, school levels, subject matters, TLC scope (within or beyond a specific school), and research topic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on TLC has dramatically increased in a decade, and most of the published articles were categorized as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studied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participants, and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as subject matters. Emergent themes based on thematic analysis included four major research topics, such as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LC, managing and administrating TLC,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participation in TLC, and mechanism of community development, and nine relevant sub-topics. This descriptiv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researchers into research trends in TLC.

      • KCI등재

        과학관련 사회쟁점을 활용한 대학생 인성교육의 효과 - 개인-집단중심성향에 따른 비교 -

        고연주 ( Yeonjoo Ko ),이현주 ( Hyunju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는 과학관련 사회쟁점(SSI)을 활용한 교육이 과학교과에서 가능한 인성교육의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에 근거하여 SSI 교육이 대학생의 인성과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았다. 또한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이 개인적 성향을 나타내는 심리학적구인과 관련 있음을 고려하여 개인-집단중심성향에 따른 SSI 교육효과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본 연구는 SSI를 주제로 한 교양강의를 수강한 대학생 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업은 학생들이 다섯 가지 주제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탐색한 후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개인주의-집단주의 검사지를 활용하여 성향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학생을 개인중심성향집단과 집단중심성향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수업 전후 과학과 관련된 인성 및 가치관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SSI 교육이 인성과 가치관에 미치는 효과와 집단 간 인성과 가치관 향상의 차이를 탐색해보았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SSI 수업 후 사회·도덕적 공감과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책무성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중심성향과 집단중심성향 두 집단 간 향상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집단중심성향은 개인중심성향에 비해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책무성의 사후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인성과 가치관 함양을 가로막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개개인의 성향의 영향력을 넘어 교육을 통해 인성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과학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SSI를 통한 인성교육이 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SSI) instruction on promoti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and values as citizens, and to compare the effects based on the psychological factor - idiocentrism and allocentrism. Thirty-one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SSI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SI course provided th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five topics, to express and share their own opinions, and to identify reasonable alternatives. The students with distinct tendenci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i.e. idiocentric and allocentric groups) based on the personal value orientation scores before the instruction, and the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o examine their character and values as citizens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social and moral compassion and socioscientific accountability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SSI course. The overall effects of the SSI program on students` character and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post-mean score of the allocentric group in socioscientific accountability was higher than the one of the idiocentric group. This study shows that SSI instruction could positively affect character development regardless of psychological tendencies, and could be implemented in the science classroom as a good instructional approach to integrating scienc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 분석틀 개발: 담화클러스터와 담화요소의 분석

        고연주 ( Yeon Joo Ko ),최윤희 ( Yun Hee Choi ),이현주 ( Hyun Ju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3

        논증활동은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협력적 대화과정으로 볼 수 있다. 논증활동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Toulmin(1958)이 제시한 논증구조를 이용하여 논증활동의 구조적 측면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있으며, SSI 맥락보다는 과학적 탐구 맥락에서 주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SSI 맥락에서의 논증활동은 간학문적, 논쟁적, 가치내재적 특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분석틀로는 SSI 논증활동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과 SSI 담화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을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고, 그 틀을 기반으로 실제 SSI 맥락에서 진행되는 소집단 논증활동에 적용해봄으로써 그 적용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담화클러스터’와‘담화요소’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담화클러스터는 유사한 목적을 지닌발화의 묶음으로, SSI 맥락에서 ‘문제의 논점 확인’, ‘개별 입장의 교환’, ‘다양한 관점 및 자료의 탐색’, ‘상반된 관점 간 논쟁’, ‘설득력있는 안에 대한 선택’, ‘절충안 또는 대안 마련’의 여섯 가지로 구분될수 있다. 담화요소는 SSI 소집단 논증활동에서 바람직하게 평가될 수있는 내용 및 구조적 요소로서, ‘다양한 관점의 고려’, ‘증거에 기반한 추론’, ‘지속적인 탐구와 회의적 사고’, ‘도덕·윤리적 민감성’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눠지며, 총 19가지의 요소를 포함한다. 원자력에너지와 안락사 쟁점에 대한 소집단 논증활동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 분석틀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논증활동의 전체적인 흐름과 학생 발화의 역동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담화가 SSI 추론의 특징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설명할 수 있었다. 본연구에서 개발된 분석틀은 SSI 프로그램을 통한 논증활동 기술이나 의사결정과정의 향상을 알아보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rgumentation is a social and collaborative dialogic process. A large number of researchers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structure of students’ argumentation occurring in the scientific inquiry context, using the Toulmin’s model of argument. Since SSI dialogic argumentation often presents distinctive features (e.g. interdisciplinary, controversial, value-laden, etc.), Toulmin’s model would not fit into the context. Therefore, we attempted to develop an analytical framework for SSI dialogic argumentation by addressing the concepts of ‘discourse clusters’ and ‘discourse schemes.’ Discourse clusters indicated a series of utterances created for a similar dialogical purpose in the SSI contexts. Discourse schemes denoted meaningful discourse units that well represented the features of SSI reasoning. In this study, we presented six types of discourse clusters and 19 discourse schemes. We applied the framework to the data of students’ group discourse on SSIs (e.g. euthanasia, nuclear energy, etc.) in order to verify its validity and applicabi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ramework well explained the overall flow, dynamics, and features of students’ discourse on SSI.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및 통합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비교분석

        최지연(Choi, Jiyun),고연주(Ko, Yeonjoo),이현주(Lee, Hy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과 통합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과학 교과서 5종과 통합사회 교과서 5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교과서에 등장한 SSI 소재를 추출한 후 각 소재를 내용, 제시 관점, 교수학습방법의 세 차원에서 분석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 제시된 SSI 소재는 내용차원에 따라 11가지 영역으로 범주화되었으며, 생명 다양성 보존, 환경오염, 에너지 등의 주제가 빈번하게 제시되 었다. 또한 통합과학과 통합사회 교과서 모두 SSI 소재를 제시함에 있어 개인적, 세계적 수준의 맥락보다는 사회적 맥락에 해당하는 내용을 주로 소개하고 있었다. 둘째, SSI 소재에 드러난 주요 제시관점을 분석한 결과, 통합과학은 환경적, 과학적 관 점을 주로 제시한 반면, 통합사회는 환경적, 사회적, 정책적 관점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셋째, SSI 소재와 관련된 교수학습방법을 분석한 결과, 통합과학과 통합사회 모두 토의토론, 발표, 글쓰기 등의 교실기반 활동이 주를 이루었으며, 학생들의 실천과 참여를 유도하는 교수학습활동은 다소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효과적인 SSI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ocioscientific issues (SSI)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cience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o compare SSI in terms of contents, perspective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Five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and fiv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examined, and SSI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textbooks and categorized based on the criteri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SI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11 content areas, and among them, biodiversity conservati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nvironment-friendly energy development were frequently presented in both science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Additionally, integrated science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introduced SSI largely from societal contexts rather than individual and global contexts. Second,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mostly emphasized environmental and scientific perspectives, whereas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focused on environmental, soci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Third, both textbooks somewhat limited to provide classroom-based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presentation, and writing; only few activities lead the students take responsible action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ffective use of SSI in classes.

      • KCI등재

        플립러닝 기반 SSI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기술 사회 시민으로서의 역량 및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박동화 ( Donghwa Park ),고연주 ( Yeonjoo Ko ),이현주 ( Hyunju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과학관련 사회쟁점 교수학습(FL-SSI)이 중학생의 시민역량과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플립러닝은 교실 수업 전 교수학습 영상을 제공하여 기초 개념과 문제인식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실 수업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한 토의토론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역동적이고 협력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SSI 수업에서 보고되는 시간과 정보의 제약이나 토의·토론 진행 등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플립러닝 전략에 기초한 과학관련 사회쟁점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는 중학교 2학년 학생 73명이 네 가지 주제의 12차시 수업으로 구성된 SSI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매 차시 수업 전 교사가 웹에 게시한 동영상을 시청한 후, 본 수업에서는 영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생중심 활동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수업 전후 과학기술 사회의 시민역량과 글로벌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을 측정하는 검사지에 응답하였으며, 수업 이후 포커스 그룹 면담에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이 인식한 플립러닝 기반 과학관련 사회쟁점 교수학습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플립러닝 기반 SSI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시민역량과 인성은 수업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특히 학생들은 시민역량의 네 영역(협업능력, 정보기술 및 미디어 활용능력,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 인성의 세 영역 중 두 영역(사회도덕적 공감,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책무성)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포커스 그룹면담 결과 또한 학생들이 SSI 수업에 플립러닝을 적용한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음을 뒷받침하였다. 학생들은 플립러닝 전략을 통해 SSI 문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며, 자료탐색과 의사결정의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교실수업 시간을 SSI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데 온전하게 활용하였다. 또한 SSI 문제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 전략이 기존의 SSI 수업에서의 어려움을 보완하고 개선함으로써, SSI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flipped learning-based socioscientific issue instruction (FL-SSI instruction) affected middle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character development. Traditional classrooms are constrained in terms of time and resources for exploring the issues and making decision on SSI. To address these concerns,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n SSI instruction adopting flipped learning. Seventy-three 8th graders participated in an SSI program on four topics for over 12 class periods. Two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main data source to measure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character development before and after the SSI instruction. In addition, student responses and shared experience from focus group interviews after the instruc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udents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key competencies and experienced character development after the SSI instruction. The students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key competencies (i.e., collaborat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in two out of three factors in character and values as global citizens (social and moral compassion, and socio-scientific accountability). Interview data supports the quantitative results indicating that SSI instruction with a flipped learning strategy provided students in-depth and rich learning opportunities. The students responded that watching web-based videos prior to class enabled them to deeply understand the issue and actively engage in discussion and debate once class began. Furthermore, the resulting gains in available class time deriving from a flipped learning approach allowed the students to examine the issue from diverse perspectives.

      • KCI등재

        영상 제작을 통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 수업이 중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SSI 이해에 미치는 효과

        박샘(Park, Saem),고연주(Ko, Yeonjoo),이현주(Lee, Hyunju)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 제작을 통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이하 SSI) 수업이 중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및 SSI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과학 ‘과학과 인류 문명’ 단원과 관련된 SSI 주제를 탐색하고 이에 대한 영상을 제작하는 수업을 개발하였으며, 총 124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과학기술분야 6가지(신재생 에너지, 자율주행, CCTV, 플라스틱의 활용, 유전자 조작, 식품 첨가물) 중 조별로 하나의 주제를 선택하여 자유탐구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SSI에 대한 조의 입장을 전달하기 위한 영상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제작 활동을 통한 SSI 수업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참여 학생에게 수업 전과 후에 미디어 리터러시를 측정하는 검사지를 배부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학생 중 24명을 선정하여 영상 제작을 통해 학생들의 SSI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영상 제작을 통한 SSI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능력 영역(비판적 이해, 활용과 표현)과 시민성 영역(관용성, 참여성, 공공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면담 결과에서도 학생들은 영상 제작을 통한 SSI 수업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특히 미디어 자료를 탐색하면서 SSI를 바라보는 입장과 가치관이 매우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체감하였다. 또한 미디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미디어에 자신의 입장과 의도를 반영해야함을 깨닫고 SSI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과 실천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담기도 하였으며, 시청자에게 안내하는 것뿐만 아니라 본인 또한 실생활에서 행동에 옮기는 계기가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SI instruction with video prod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media literacy and understanding of SSI. To achieve the goal, we designed and implemented SSI instruction on the unit of ’Science and Human Civilizations’, and one hundred twenty-four 9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SI program. Students in each group selected one topic of science and technology (renewable energy, autonomous driving, CCTV, plastic use, genome editing, food additives) and conducted their own inquiry project on the societal issues caused by such technologies. Then, students were asked to create a video clip, representing their understanding and value position on the issue. We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to examine students’ media literacy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and interviewed 24 students who voluntarily shared their experiences about this SSI program.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ting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two factors (i.e. competence and citizenship) of media literacy. The interview data also supported that students recognized the diversity of stakeholders and values surrounding SSIs, while exploring the media. Additionally, the students answered after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onveying their own messages in video production, they began to take actions by themselves, on top of guiding potential audiences to resolve the SSIs in their daily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