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한국인의 호(號) 사용 양상 연구

        강희숙(Kang Hui?suk) 한국사전학회 2016 한국사전학 Vol.- No.28

        Our ancestors used diverse, different names through their life time as rite of passage. Unlike them, most of modern Koreans use only one name through their whole life.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sing use aspect of pseudonym of modern Koreans based on the fact that nowadays there is a increasing number of people using pseudonym. Findings show that not only cultural artists like Confusian scholars of Hyanggyo, calligrapher, traditional painters or poets, and tea ceremony artists, but also professions like professors, doctors, lawyers and public officers on the research area are using pseudonyms. Most of the pseudonyms in traditional society were given by user him or herself, but now only 8.3% of pseudonyms were selfᐨnamed. More than half of the psedonyms are named by their teachers(53.6%). And characteristics of name authors became so diverse that 14.3% of people were given pseudonyms by their acquaintances, 7.2% by their friends, 4.5% by Buddhists monks, 4.2% by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and 3% by professional names. These pseudonyms are used as symbol of right or status, but is also confirmed that they also functioned as a sign that the person has such a high dignity that his or her real name should not be used freely. Also not like traditional pseudonyms were generally came from the name of the specific area the person dwelled or he or she consider it special, 44.2% of pseudonyms on this research derived from the person"s life lesson or life motto and they took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earch. And there were not a few pseudonyms derived from native words such as "Yeoul, Jinsaem, Dolsaem, Danbi, Haemil, Butsame, Aran". Pseudonyms are symbols of social self identity that represent one"s will and mind, It is significant that it became possible to have an insight into the life motto of people use pseudonyms through this research

      • KCI등재

        통신언어에 나타난 역문법화 현상 고찰 -접두사"개-"의 용법을 중심으로-

        강희숙 ( Hui Suk Gang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1

        본 연구는 통신언어의 특징 가운데 하나로 지적되어 온 문법적 기능 바꾸기 현상 가운데는 단순히 품사의 전성 또는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문법화나 역문법화 현상으로 기술해야 할 필요가 있는 유형이 포함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최근의 통신언어에서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는 접두사 ``개-’의 역문법화 현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역문법화(degrammaticalization) 현상이란 여러 언어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문법화(grammaticalization) 현상과 반대되는 현상이긴 하지만, 영어를 비롯한 다른 몇몇 언어에서도 엄연히 존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어의 일상어에서도 종종 발견되어 온 현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언어학에서의 문법화와 역문법화의 원리와 함께 오늘날 통신언어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기능 바꾸기를 문법화 현상과 역문법화 현상으로 구분하여 그 유형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본 다음, 이를 토대로 접두사 ``개-’의 역문법화 현상을 관찰·분석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egrammaticalization of ``gae-`` which has been actively realized in the internet language in terms that it includes types which need to be described through a phenomenon of grammaticalization or degrammaticalization rather than just a transformation of parts of speech. Degrammaticalization has been often discovered in our Korean offline language as well as it exists in a few languages including English although it is opposite to grammaticalization which is commonly discovered in many languages. Therefore, the study categorized changes in grammatical functions into grammaticalization and degrammaticalization to speculate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and then analysed degrammaticalization of ``gae-``, a prefix.

      • KCI등재
      • KCI등재

        재난 유형 관련 용어의 사용 추이와 사회적 인식의 변화 - 빅카인즈 뉴스 텍스트를 중심으로 -

        강희숙 ( Kang Hui-suk ) 배달말학회 2020 배달말 Vol.67 No.-

        오늘날 우리는 ‘재난’과 그에 대한 ‘관리’ 및 ‘대응’에 그 어느 때보다 관심이 높은 시대에 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 가운데 하나로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재난 유형 관련 용어의 사용추이와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빅카인즈(BIGKinds)의 뉴스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빅카인즈의 뉴스 텍스트에는 네 가지 유형에 속하는 재난 관련 용어의 변이형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법률상 재난이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두 가지로 구분되고 있는 것과 달리, 우리 사회 구성원들은 ‘자연재해, 인재, 사회재난, 복합재난’ 등 모두 네 가지로 구분하고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재난의 유형에 대한 이와 같은 구분을 토대로 우리 사회는 자연 현상에 의해 빚어지는 ‘자연재해’가 단순히 사람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불가항력의 것이 아니라 ‘사실상 인재’로서 얼마든지 예방과 대비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는 인식과 함께, 사회 구조나 제도의 결함에 의한 사회재난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적극적 대응이 강력하게 요구된다는 인식을 강력하게 드러내고 있다고 할 것이다. 여러 가지 재난이 연쇄적으로 나타나거나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가리키는 ‘복합재난’에 대한 인식 또한 널리 이루어지고 있음도 빼놓을 수 없는 일이다. 인류의 역사는 오롯이 재난의 역사라고 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빅카인즈(BIGKinds)의 자료들은 고작 3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이루어진 재난 관련 용어들의 사용 양상 및 인식의 변화를 보여줄 뿐이라는 평가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사전이나 법률상의 정의나 유형화에서는 포착하기 어려운 실제적 언어 사용의 모습이나 인식의 일단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oday, we live in a time when the whole society and country are more interested in "disasters" and "management" In this study, as one of the problems that needs to be solved in these historical situations, we are thinking of examining changes in the use of disaster-type-related terms and social perceptions that are emerging in our society, focusing on the BigKinds news text. According to the research, unlike legal disaster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disasters,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natural disasters, man-made disasters, social disasters, and combined disasters. Based on such categorization of the types of disasters, it can be said that the recognition that "natural disasters" brought about by natural phenomena are not simply unavoidable force majeure, but can be prevented and prepared as "de facto man-made disasters" as well as the recognition that the government is strongly required to respond to social disasters caused by defects in social structures and systems.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re is a widespread awareness of "complex disasters," which refer to the occurrence of various disasters in a chain or simultaneous manner. Considering that human history is simply a history of disasters, the BigKinds data shows only a change in the use and perception of disaster-related terms in a short period of only 30 years.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llow us to grasp some aspects of actual language use and recognition, which are difficult to grasp in dictionaries and legal definitions and categorizations.

      • KCI등재

        K-pop 노랫말의 코드 전환 양상 및 담화 기능

        강희숙 ( Kang Hui-suk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호남학 Vol.0 No.60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대중가요, 일명 K-pop에서는 이중 언어 또는 다중언어 공동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언어 선택(language choice)이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은 사실을 전제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인터넷 멜론월간 차트(http://www.melon.com)에서 상위 10위 안에 든 360곡 중 중복으로 순위에 오른 곡을 제외한 272곡을 대상으로 K-pop 노랫말의 언어와 언어 선택의 양상 및 그와 같은 언어 선택의 구체적인 모습으로서 코드 전환의 양상 및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곡인 272곡 가운데 코드 전환을 보인 곡은 171곡으로 63.9%의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2.8%가 코드 전환을 보여, 갈수록 코드전환이 활발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코드 전환이 한국어(기저언어)와 영어(삽입 언어) 간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지는 가운데 펀자브어 또는 프랑스어가 선택되기도 하였다. 이는 세계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K-pop에서의 언어 선택이 영어 외의 다른 언어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코드 전환을 코드 혼용(code-mixing)과 좁은 의미의 코드 전환(codeswitching)으로 구분하였을 때, 코드 혼용과 함께 코드 전환을 보여주는 곡은 124곡으로 72.5%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대부분의 K-pop 가사가 코드 혼용과 코드 전환을 동시에 보이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넷째, K-pop 노랫말에서 나타나는 코드 전환의 담화 기능은 음악적 기능과 의미적 기능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음악적으로는 `압운, 후렴, 추임새` 등의 기능을, 의미적으로는 `정체성 표현, 강조, 명확화, 완곡어법, 인용`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이 특징이다. The language choice, which usually appears in a bilingual or multilingual community, has been actively done on K-pop after mid 2000`s. On the assumption of this fact, targeting 272 songs among 360 songs which exclude overlaps in recent three years monthly chart on `Mel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language, language choice, and the aspects and functions of code-switching as specifics of K-pop lyrics. The summary of result is as follows. First, 171 songs, which consists 63.9% of 272 subjecting songs showed the code-switching, especially 72.8% showed code-switching on 2015, implying code-switching is on the rise. Second, while most code-switching is done with Korean(base language) and English(insertion language), also Panjabi and French had been chosen. This reflects the aspects of globalization, which suggests possibility that language choice of K-pop can be expanded to other languages besides English. Third, when divide code-switching into code-mixing and narrow sense of code-switching, 124 songs(72.5%) showed code-mixing with code switching. This shows most of K-pop lyrics is showing code-switching and code-mixing at the same time. Fourth, code-switching`s discourse function appears on K-pop lyrics can be subdivided into musical and meaning functions. Musical function includes `rhyme, refrain, rejoinder`, meaning function includes `expression of identity, emphasis, clarification, euphemism, quota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investigation of recent aspects and functions of language selection and code-switching. Especially it is distinguished among existing researches in that it embodied function of code-switching by dividing it into two separate functions-musical and meaning.

      • KCI등재

        /ㄹ/탈락 규칙 재고

        강희숙(Hui-suk, Knag) 어문연구학회 2009 어문연구 Vol.61 No.-

        Though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ㄹ/ deletion, there are something unclear and undefined in them. The problem is derived from lack of identifying specific realization of /ㄹ/ based on setting underlying forms of a set of the ending '-eu' or poor consideration of diachronic changes in Korean languag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scribe phonetic motivation and realization aspects of the /ㄹ/ deletion based on the set underlying forms of a set of the ending '-eu' and identify its diachronic traces, that is, the types of linguistic fossils.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 First, the underlying forms of a set of the ending '-eu' are categorized into '-euX' and '-X' and they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verbal stems. Second, the conditions of the /ㄹ/ deletion are roughly classified into two : phonetic condition and morphological condition. The former includes homorganic dissimiliation, that is, /ㄹ/ deletes before /ㄴ,ㅅ/ and the /ㄹ/ deletion by restrictions in syllabic structures of 'consonant clusters simplification'. The latter includes certain morphological conditions rather than phonetic conditions, that is, the /ㄹ/ deletion that is applied for special environments before or after pre-final Ending '-op'-, close final of Haoche '-o' and close final of Harache '-ma' [inflected stem 'mal-(勿) + imperative final '-la']. Third, linguistic fossils occurring in respect to /ㄹ/ deletion are roughly categorized into two : the one occurs from synchronic linguistic variation based on phonetic conditions of /ㄹ/ deletion such as 'ajido, heomureusigo' in 'ajido~aljido' and 'heomureusigo~heomusigo'. The other occurs in respect to morphological conditions of /ㄹ/ deletion. For example, /ㄹ/ deletions when /ㄹ/ comes before commissive close final of Haerache '-ma', pre-final ending '-op-', close final of Haoche '-o', and commissive close final of Haerache '-ma' or when verbal stem 'mal-'(勿) is accompanied by imperative final '-la'. All of them are traces of the /ㄹ/ deletion rule that is diachronically, linguistic fossils.

      • KCI등재

        청소년의 욕설 사용의 심리적 기제 및 순화 방안

        강희숙(Kang Hui-suk),양명희(Yang Myung-hee)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9 No.-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ditions of adolescents’ use of abusive language 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and based on the results, it presented measures to refine their langu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degree of using abusive language, activities where it is used and objects to which it is used and discovered that 94.6% of the subjects used abuses related with sex, physical and emotional defects targeting their friends(70.3%) when they played with them. In respect to psychological mechanisms of using abusive languages, it was discovered that they used abuses habitually or followed others. It indicates that there are no specific motives to use common abuses. However, as psychological mechanisms of using habitual or common abuses, they used them to relieve stress, to increase friendship, and not to be disregarded, or because they are easy and communicative. In this context, as it was discovered that the right function of abuses worked rather than the reverse function, use of abuses was justified. Finally, in considering that students showed doubtful attitudes toward school education on refinement of abuses and answered they have to try to speak less abuses, it is more desirable to present intentional education which induces their voluntary efforts to refine their language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students should check their own attitudes and recognition themselves.

      • KCI등재
      • KCI등재

        ‘어→으’ 모음 상승의 통시적 발달과 방언 분화

        강희숙(Kang Hui suk)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연구는 국어의 모음 체계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수직적 모음 상승 현상 가운데 하나인 ‘어→으’ 모음 상승이 통시적으로 어떠한 발달 양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이 국어의 지리적 공간으로 어떻게 확대되어 오늘에 이르렀는지를 중부방언과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어→으’ 모음 상승의 촉발 혹은 발달은 18세기 중엽 이후 국어 방언들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이는 ‘으, 어’의 혼기 현상과 관련성이 있으며, 애초에 비어두 위치에서 ‘으→어’의 방향으로 시작되었던 혼기가 19세기 이후 ‘으→어’와 ‘어→으’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진 ‘으, 어’의 혼기는 중부방언이나 서남방언에서는 ‘어→으’ 모음 상승 현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경상도 방언의 경우에는 두 모음의 대립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모음 합류를 야기함으로써 국어 방언 간의 차이 내지 분화를 유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20세기 이후 현대 한국어 방언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어→으’ 모음 상승의 실현 양상을 중부방언과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대조한 결과 ‘어→으’ 모음 상승이 특히 서울말과 전남방언 모두 실현 환경에 제약이 없을 정도로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중부방언의 경우, ‘서울말>충청도 방언>경기도 방언’의 순으로 실현 정도에 차이가 있어 동일한 중부방언이라고 하더라도 하위 방언들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이루어진 기술만으로는 국어의 하위 지역 방언들이 겪고 있는 ‘어→으’ 모음 상승의 전체적인 윤곽이 제대로 파악되었다고 보기 어려운바, 본 연구는 그러한 윤곽의 일단이나마 제공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focusing on the central and the Jeonnam dialect, aims to understand how the ‘eo→eu’ vowel raising, one of the vertical vowel raising phenomenon appears in Korean vowel system, showed the diachronic aspects of development and how this phenomenon expanded to geographic space of Korean language today. The result shows that the ‘eo→eu’ vowel raising is related to mixed writing of ‘eu, eo’ which was believed to be appeared after mid 18th century, and was related with the fact that it appeared of both direction ‘eu→eo’ and ‘eo→eu’ after 19th century, which started as only ‘eu→eo’ direction at the non-word initial position. That is, the mixed writing of ‘eu, eo’ with two-way directions became the ‘eo→eu’ vowel raising in the central and Jeolla dialect. This leaded the division of Korean dialects by causing the vowel merger which stops apposition of two vowels in the case of Gyungsang dialect. Meanwhile, the contrastive result of the central and the Jeonnam dialect of ‘eo→eu’ vowel raising which appears in modern Korean dialects after 20th century confirmed that it is actively realized on both Seoul dialect and the Jeonnam dialect. In the case of central dialect, the degree of realization was varied in the order of ‘Seoul dialect>Chungchung dialect>Gyunggi dialect’. This shows the differentiation among subordinate dialects of central area. This research provided the overall outline of ‘eo→eu’ vowel raising which happens in Korean subordinate dial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