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3D 스캐너를 이용한 BIM 설계 계획

        강정모(Jung-Mo Kang),이진영(Jin-Young Lee),연창근(Chang-Kun Yeon) 대한설비공학회 2016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1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solution about preliminary risk and a supplement for construction through the BIM design case in building remodeling. The BIM design with 3D scanner is the method for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in the building remodeling. In leading countries, the BIM design with 3D scanner was reached high level in the construction and facility management, and it is composed the lively 3D modeling. 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3D building management system is developing with cloud service and personal smart mobile recently. It has been gained sympathy to more and more building clients and users because that design planning using 3D scanners (of laser methods) can improve the accuracy of drawings and advantage economically that can reduce the cost of construction and shorten the period co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의 과거사 정리담론: 4대 사화를 중심으로

        강정인 ( Jung In Kang ),장원윤 ( Won Yoon Jang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4 韓國 政治 硏究 Vol.23 No.2

        이 글의 목적은 조선 중기에 4대 사화(무오·갑자·기묘·을사 사화)에 대한 피해자의 신원·추증 문제를 둘러싸고 치열하게 전개된 정치적 논쟁을 현대의 과거사 정리와 관련된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전통시대의 정치와 현대 정치에 대한 비교 사상적 분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선 정치사 연구에 현대의 정치이론인 ‘과거사 정리’라는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검토를 통하여 현대의 과거사 정리와 비교할 때, 이념적 기반, 논의 주체 및 참여자의 범위 그리고 정책결정과정 등에서 의미심장한 차이가 있지만, 전통시대인 조선시대에서도 그 나름의 원칙과 절차 및 정치사회적 합의에 기반하여 과거사 정리를 추진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의 과거사 정리를 이끈 유교 정치이념의 헌정적 원칙이나 규범으로 도통 개념에 입각한 정의 개념에 주목하였다. 조선시대 주자학자인 사림은 왕통과 도통의 분리를 전제로 정치의 올바른 방향을 실질적으로 담지하고 있는 주체는 왕통을 물려받은 국왕이 아니라 도통을 전수받은 자신들이란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과거사 정리를 통하여 사림파는 왕통을 세습한 국왕이 도통을 계승한 주자학자들을 국정의 동반자로 삼아 공론에 의거하여 정치를 해야 한다는 군신공치(君臣共治) 사상을 헌정적 원칙으로 확립하는 데 성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onduct an analysis of comparative political theory by applying contemporary theory regarding “coping with past evils” to intense debates over four major purges of literati in Joseon Dynasty, theMuo, Kapcha, Kimyo and Eulsa Literati Purges, in which a number of Neo-Confucian literati were purged. To do this, it was examined whether the contemporary political theory regarding coping with past evils could be applied to premodern Joseon history. Through exam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Joseon Dynasty carried out the task of coping with past evils in accordance with its own principles and procedures and consensus of political society,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Joseon era and modern times in normative standard, the scope of subjects and participants in political discourses, and decision-making process. Then discourses on coping with past evils in Joseon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hre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en issues of “coping with past evils” were brought up, what kinds of positions were taken by kings and various factions of ministers and literati; how did they express their viewpoints; and why did they take and sustain theirs? Second, how were issues of coping with past evils set up as critical agenda? Third, what wer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norms in Confucianism that led to discourses on coping with past evils in Joseon?

      • KCI등재

        장애아동 교육에 필요한 스마트러닝 콘텐츠 요구도 조사

        강정배 ( Jung Bae Kang ),김창걸 ( Chang Geol Kim ),문종희 ( Jong Hee Mo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2

        교육의 변화를 주도하는 ICT기술의 발전은 교육분야에 스마트러닝이라는 교육의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내게 되었다. 스마트러닝은 많은 장점이 있어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고 특수교육분야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교육의 효과성이 입증되었지만, 아직은 장애 학생의 교육에 필요한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장애아동 교육에 적합한 스마트러닝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장애학생의 콘텐츠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콘텐 츠를 제작해야 하는지, 어떠한 교육과정에서 스마트러닝 콘텐츠를 요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 구성요소에서는 장애특성에 대한 고려가 가장 높게 요구되었으며,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누리과정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학생을 위한 콘텐츠 들이 보급되고 있으나 장애특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콘텐츠는 부족하며, 장애학생의 학습에 필수적인 난이도 조절, 학습 내용 및 분량조절이 가능하고 다양한 피드백이 제공되는 콘텐츠가 부족하다. 또한, 장애아동 교육에 많이 활용되는 의사소통, 사회관계, 신체운동/건강등과 같은 콘텐츠 또한 많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leading the changes in education has created a new wave of education, smart learn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Smart learning with lots of advantages has been researched in various fields of educ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using smart devices has been proven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yet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contents necessar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what components of the cont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specifically in producing smart learning contents appropriate for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what curricula require smart learning cont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s,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was required at the highest degree while in terms of curricula, requirements for Nuri Curriculum were high. These results show that although contents are distributed to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are insufficient contents to which an interfa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has been applied, and also, there are insufficient contents by which the adjustment of the difficulty, learning contents and quantitie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learning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possible and a variety of feedback is provided. In addition, there are very insufficient contents such as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that are often used i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강정현(Kang, Jung-hy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공교육의 흐름 속에서 공예교육의 특성을 고찰하고 분석한다. 교과교육 중심으로 진행된 우리나라 공교육에서 공예교육은 별도의 교과가 아니라 주로 미술교과에 포함되어 교육되어져 왔다. 처음에는 미술의 영역이 아니라 직업교육의 성격을 가진 ‘수공’이라는 별도의 교과로 출발하였으며, 이후 미술 영역에 진입하였으나 내용면에서 기계·기구의 조정과 분해 및 수리를 지향하는 등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며 ‘공작’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었다. 국가와 교육부의 주도로 교육과정이 시작되면서 1, 2차 교육과정에서의 공예교육은 조형적인 입체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만들기’로, 3~6차 교육과정에서는 장르로서의 ‘공예’로, 그리고 7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 ‘탈장르와 통합교육 위한 역할’로 변화되어 왔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더 중요해지고 있는 현 시점 1) 에, 시기별로 다른 특성을 보여준 공예교육의 발자취를 쫒는 것은 향후 공예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raft education in the current of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practiced focusing on subjects, Korean craft education has been taught mainly as a part of art subject, not a independent subject. It started as a different subject from art, ‘hand-craft’, which overlapped in many ways with vocational education. Though craft education entered to art area late, it was called ‘handiwork’ with an identity crisis e.g. to pursue adjusting and mending of machines and devices. After government and the Educational Department had a lead of the implementing of educational courses, craft education has acted in different as from the comprehensive ‘making’ encompassing various formative 3-dimensional activities in the 1st and 2nd educational courses, to the specialized area of ‘craft’ in 3-6th educational courses, to the mean of post-genre and comprehensive education since 7th educational course. In times when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have been enforced, to track down the steps of craft education reveal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era can be fundamentals to decide the direction of the future craft education.

      • KCI등재

        문항반응이론(IRT)을 적용한 즉흥무용 평가척도 개발 및 적합도 분석

        강정경 ( Jung Kyung Kang ) 대한무용학회 2008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valid scale of improvisational dance, and analyze goodness-of-fit using IRT(Item Response Theory). The professors studying improvisational dance constructed the scale in content validity. The scale constructed as the evidence based on content was 35 items. This study was analyzed in 6 facets(gender, position, major, experience, career, and item) by using Facets program (Linacre, 2000) for the goodness-of-fit. As a result, the gender facet was appraised male has more stern than female when assessing the improvisational dance. The position facet was appraised the high position, professor is more charitable than others. The major facet was appraised the modern dance is more stern than others, ballet and korean dance. The experience facet evaluated of improvisational dance was appraised that the no experience is more stern than the experience. The career facet is also appraised that examinees who have 30-40 years career have more benign than others. Among the 35 items constructed as the evidence based on content in this study, 34, 28, 29, 18, 27 have high logit meaning important items, and 32, 20, 23, 6, 1 were adopted as unimportant items. As significant goodness-of-fit index, 12, 31, and 35 items were not suitable in this study.

      • KCI등재

        발달재활서비스 제도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강정배 ( Kang Jung Bae ),조정민 ( Cho Jung Mi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기존의 ‘장애아동 재활치료사업’에서 2012년 「장애아동복지지원법」의 시행으로 법적근거를 마련한 발달재활서비스 제도의 시행 및 운영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보다 발전적인 정책적 제언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도가 처음 시행된 2007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주요 학술지 논문 및 정책보고서, 정책토론회 및 공청회 자료집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발달재활서비스의 문제점 및 쟁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대상자 및 정의, 서비스 제공자 자격, 서비스 단가 산정방식, 서비스 판정체계, 서비스 제공자 처우, 서비스 제공기관 질 관리, 서비스 전달체계라는 7개의 주제를 도출하였고, 각각의 문제점 및 쟁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논의는 최근 몇 년간 반복적으로 제기된 것이며 정책토론, 연구용역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대안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분석을 통해 도출한 문제점 및 쟁점 외에도 산적해 있는 과제들을 확인하고 해결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ore effective policy suggestions by exploring assessment and improvement with regards to implementing and administrating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covering from the existing ‘rehabilitative treatment and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its legal basis of 2012 「Public Welfare Ac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problems and issues were examined by analyzing articles from the major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policy reports, and data from policy debate and public hearing published from 2007 when the system was initially implemented to 2014. As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for problems and issues on seven elicited themes including subject of service and its definition, eligibility of service provider, method of counting service price, determination system, better treatment for service provider, quality management of service organiza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 This discussion has been repeatedly presented in the past few years, and policy alternatives have been suggested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policy debate and research service. In addition, further investigation should be needed in order to identify and resolve many piled-up tasks apart from the problems and issues extracted from the analysis of the study.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의 놀이 활동을 위한 N-스크린 기반의 웹앱 개발

        강정배(Jung Bae Kang),김진희(Jin Hee Kim),김창걸(Chang Geol Kim),송병섭(Beong Seop So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3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4

        현대 사회는 ICT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교육방법이 등장하였고, 이러한 교육방법은 장애아동 교육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충분히 입증되었지만, 장애아동의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에서 같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IT 기술인 N-스크린 기술을 적용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놀이 활동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콘텐츠는 아동의 개별적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디지털 기기를 통해 진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개발된 콘텐츠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아동이 접하게 되는 다양한 환경(가정, 학교 등)에서 PC, 스마트폰, 휴대용 기기를 활용하여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교육 프로그램을 가정, 학교 등에서 연계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제작된 콘텐츠를 지적장애 및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3명에게 적용하여본 결과 본 콘텐츠는 놀이교육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콘텐츠를 사용하여본 특수교육 전문가와의 인터뷰 결과 아동에 따라 구성물과 강화물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은 기존 콘텐츠 보다 아동의 중재에 있어서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In the modern society, instructional methods using diverse media have appeare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pplicability of such instructional methods has been fully corroborated. However, customized contents allowing for disabled children"s environment are still insufficient. Hence, this study produced educational contents of play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rough applying N-screen technology, IT technology that can provide the same contents via a variety of digital media. The produced contents allow programs to be set up according to a child"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e carried out anywhere and anytime via an Internet-enabled digital device. Further, the developed contents were produced so that they could be accessed from a child"s various environment (home, school, etc.) via a PC, a smart phone, a portable from a child"s various environment (home, school, etc.) via a PC, a smart phone, a portable device, etc. and that the same educational program could be conducted in linkage at home, school, etc. Thre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applied to the manufactured content. As a result, Content interaction between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play training could use as a medium.In addition, the children"s ability to select the appropriate components and reinforcements,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have used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are helpful in mediation than the existing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