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서울시 도시기반시설 침수위험지역 분석

        강정은,이명진,Kang, Jung Eun,Lee, Moung-Jin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4

        This study analyzed urban infrastructure risk to flooding based on the possibility map of flooding calculated by neural network model focusing on Seoul. This study found that Gangnam-gu, Songpa-gu, Seocho-gu and Seodaemun-gu contained relatively large high-risk areas to flooding. Over $4.17km^2$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were located in high-risk area to flooding and Gangnam-gu included over $0.85km^2$ of infrastructures exposed to high inundation ris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irst applied the neural network modeling to flooding risk assesment and results of risk assessment can be incorporated into various planning process.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침수발생가능성과 침수위험지역을 도출하고, 위험지역 내 도시기반시설 현황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 서대문구 등에서 침수발생가능성이 높은 위험지역을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교통시설의 $4.17km^2$이상이 위험지역에 분포하여 우선 관리시설로 나타났고, 강남구 지역은 침수위험이 높은 기반시설을 $0.85km^2$이상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공신경망 모델을 침수발생가능성 분석에 활용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평가결과는 다양한 계획과정에 반영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민주화를 중심으로 본 한국 현대정치사상의 흐름과 변화

        강정인(姜正仁),공진성(孔眞聖),안외순(安外順),정승현(鄭承鉉)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2

          이 글의 목적은 정부수립 60주년을 맞이하여 해방 이후 현재까지 한국 현대정치사상의 주된 gm름을 구성하는 자유주의ㆍ급진주의ㆍ보수주의ㆍ민족주의의 전개과정을 민주화를 중심으로 개관하는 것이다. 목적론적인 해석이라는 비난을 무릅쓰고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말한다면, 해방 이후 한국정치는 근대화(통일국가, 민주국가, 산업국가의 건설)의 과제를 놓고 4대 이념이 각축하면서  이후 형성될 정치적 민주주의의 모습을 조형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국정치는 권위주의정권과 민주화 세력의 대립, 민족주의에 대한 상이한 입장간의 대치, 변혁 이념과의 갈등, 대결 및 수용을 겪으면서 민주화되었던 것이다. 한국(남한) 현대 정치사상의 흐름에 있어서 1945년 해방정국과 1987년 민주화 정국은 결정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남북한 분단정권의 수립으로 귀결되는 해방정국은 분단된 남한정권의 기원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이후 전개될 한국 현대정치사상의 흐름을 결정적으로 조건지었고, 1987년을 기점으로 한 민주화는 정치적 민주주의의 정착으로 완성되면서 이후 다양한 정치사상이 적응해야 하는 기본 틀을 조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지난 60년 동안 진행된 한국 현대정치사상의 흐름을 해방정국(1945-1948). 장기 권위주의 시기 (1948-1979). 민주주의로의 이행이 진행되는 대전환의 시기(1980-1992), 그리고 민주화 이후의 시기(1993-현재)로 나누어 고찰할 것이다.   To celebrate the 6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South) Korean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urvey the unfolding of liberalism, radicalism, conservatism and nationalism in light of democratic transition in 1987, the four ideologies which have constituted the major trends of contemporary Korean political thought since the Liberation in 1945. Focusing on democratization at the risk of teleological interpretation, Korean politics since the liberation would lead to democracy whose shape was to be determined by the four contending ideologies competing for fulfilling the task of modernization, the building of reunified, democratic and industrialized nation. In other words, Korean politics would be democratized, going through the confrontation of authoritarian regimes and democratic forces, violent oppositions between different visions of nationalism, and various conflicts over and accommodation with revolutionary ideologies. The liberation and democratizing phases have critical significance in this tumultuous process, for the former constituted the origin of the divided South Korean state which would condition the unfolding of contemporary Korean political thought decisively and the latter in 1987 resulted in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and provided the basic framework to which diverse ideologies would have to adapt themselves thereafter. Thus this essay examines the evolution of Korean political thought since the liberation, by dividing the period into four: the liberation phase(1945-1948), the long authoritarian period(1948-1979), the great transformation period(198D-1992) in which democratic transition had taken place, and the post-transitional period(from 1993 on) in which democratic consolidation and deepening have been going on.

      • KCI등재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른 생태네트워크 변화 분석: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강정은,최희선,황희수,이상혁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6

        본 연구는 2020년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자동실효(이하 도시공원 일몰)로 인한 생태네트워크 측면에서의 영향을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도시공원 일몰과 관련하여 가능한 5개의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각 시나리오별 생태네트워크 변화를 FRAGSTATS의 경관지수들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일몰 예정 공원에 대해 전체 개발을 가정하는 시나리오 1은 해당 공원들의 전체 보전을 가정한 시나리오 5에 비해 녹지면적이 7,339.75ha가 감소하고, 생태공간의 파편화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부종 서식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심지 비중도 8.06%이상 감소되며, 녹지 간 연결성도 28.23% 이상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원 내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보전하는 것을 가정하는 시나리오 3은 시나리오 5(전체 대상지 보전)의 94% 지역에 대한 보전이 가능하며, 연결성 측면에서는 95.6% 이상 보완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생태지역 파편화 측면에서도 공원예정지 전체를 조성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일몰 예정 공원에서도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보전하는 것은 생태네트워크 측면에서 효과가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지자체에서 이들 보전지역을 중심으로 우선 해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들 지역은 개발의 수준이 낮다고 해도 산발적 개발가능성이 높으므로현재 추진 중인 우선 해제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ecological network change affected by the 2020 invalidation of decisions on urban parks with a focus on Busan. The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ve scenarios using FRAGSTATS. The green space in scenario 1 assuming all development for unexecuted urban park would decrease by 7,339.75 ha compared to scenario 5, which assumes the entire conservation of unexecuted urban parks, and the fragmentation of the ecological space in scenario 1 increased. In scenario 1, 8.06% of the total area of core habitats and 28.23% of connectivity would decrease. However, scenario 3, which assumes the conservation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of unexecuted urban parks, can achieve 94% of green space and 95.6% of the connectivity of the scenario 5. Scenario 3 has effects similar to scenario 5 in terms of defragmentation. Thus, conservation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in parks is critical and effective in maintaining ecological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