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교사 대상 문화다양성 연수프로그램 시범적용 사례 분석

        강인애(Kang, Inae),김현미(Kim, Hyu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2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은 다문화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가장 핵심 요소이므로 다문화 교육의 실행과 확산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교사연수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다문화 교사연수프로그램을 분석해 보면 대부분 인종과 언어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문화다양성’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좀 더 폭넓은 범위의 문화적 다양성을 포함하도록 해야 하며, 나아가 연수 방법의 문제점 곧, 강의식 연수 방법과 이론위주의 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성찰적, 참여적 사고와 활동’에 기반한 ‘문화다양성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시범운영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우선 UNESCO 협약에 근거하여 언어, 성, 계급, 북한이탈주민, 인종, 장애등을 포함하는 ‘문화다양성’개념으로 다문화교육의 요소를 확장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으며, 연수의 방법론적으로는 Bennett의 다문화교육과정 모형과 Banks와 Kolb의 성찰적, 변혁적 접근에 입각하여 학습자의 자기표현과 체험, 반성적 활동의 기회를 지속적으 로 제공하여 ‘성찰활동 기반 문화다양성 연수프로그램’을 구체화하였다. 개발된 연수프로그램의 시범적용은 총 30차시로 개발된 내용을 10차시로 요약하여 2013년 2월 22일∼23일 양일간 21명의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수결과는 NVivo 10을 이용하여 연수생들이 산출한 마인드맵과 성찰일지의 의미를 분석 하였으며 분석 결과 성찰적, 참여적 접근법이 연수생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더불어 향후 실천 의지를 강화시켜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nhancing teachers’ competency and literacy on cultural diversity seems to gain more importance and attention along with the advent of globaliz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first to develop a cultural diversity program for teachers and then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affects in terms of perceptual changes of the participants toward cultural diversity. The cultural diversify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include several characteristics to distinguish this from other previously developed multicultural programs : 1) The program approached multiculturalism with concept and vision of cultural diversity defined according to UNESCO s The Protec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Artistic Expressions which includes language, sexuality, social class, ethnicity, and the disabled as well as race and ethnicity mainly focused on current multiculralism in Korea; 2) this program, based upon Kolb, Banks and Bennett’s the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emphasized self-reflective thinking based on individual’s concrete experience and active experimentation. The 10-hour-pilot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21 teachers and the result of heir perceptual changes toward cultural diversity has been analyzed through Nvivo 10 using data from mind-map, reflective journals and satisfaction survey. And the result of the study presented positive change of teachers’ perception on cultural diversity.

      • KCI등재

        메이커교육(Maker Education) 평가틀(Evaluation Framework) 탐색

        강인애(Inae Kang),윤혜진(Hyea Jin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학습자가 맥락적 상황 속에서 개인·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기주도적 탐구 및 창조 활동을 하며 가시적 결과물을 제작하는 것이 목적인 메이커 교육은 메이커 운동이 지닌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즉, ‘메이커 정신’의 함양을 강조하며 기존의 교육과 다른 가치와 목적를 추구하므로 메이커 교육의 평가는 기존의 결과 중심의 평가가 아닌 과정 중심의 평가로 메이커 활동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을 위한 새로운 평가틀 탐색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기존의 지.덕.체의 3 요소 외에 상호작용성 및 사회적 참여를 평가틀의 5가지 구성요소로 제안하였다. 곧, 5 가지 구성요소는 5 ONs(Minds-on, Hands-on, Hearts-on, Social-on, Acts-on)로 요약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각 요소별 세부항목을 규명하였다. 이후 이렇게 도출된 5 ONs의 구성요소 및 각 요소별 세부항목에 대한 내용 타당도를 위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5 ONs 기반의 평가틀 구성요소 및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메이커교육을 위한 평가틀을 제시하였다. Maker education rooted on Maker Movement refers to constructivist learning approach in which students as makers participate in producing visible outcomes through self-directed inquiry and creative hands-on activities in a real life context to solve their personal or social problems. The Maker education, therefore, stresses cultivation of ’maker mindset’ in the process-oriented learning environments, pursuing evaluation aspect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existing educational system.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n evaluation framework for the Maker education which reflects the Maker mindset: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search for the evaluation framework of the maker education which consists of the category of 5 ONs (Minds-on, Hands-on, Hearts-on, Social-on, Acts-on) representing intellectual, physical, emotional, interpersonal and practical aspects, respectively; Second, a Delphi survey for content validity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adequacy of the 5 ONs category along with sub-elements for each category.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the evaluation framework for the Maker education, which is expected to be used as feedback rather than a measuring tool for the process and environments of the Maker education.

      • KCI등재

        PBL수업에서 학습자로서의 자기인식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강인애(Inae kang),이정석(Jeong-Sok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2개월간 PBL 수업환경을 적용한 뒤에 학생들이 학습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 및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PBL 문제를 세 문제를 개발,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학습자 자신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도구로서 ‘그림 그리기를 활용하였다. 곧, PBL 수업 실시 전에 일차적으로 학습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모습과 학습에 대한 생각을 담은 그림을 그리고 그 아래에 짧은 설명을 덧붙이도록 하였다. 이어서 세 차례의 PBL 문제를 해결할 때마다 수업 직후에 다시 동일한 주제로 그림을 그리도록 하였다.<BR>  그 결과 PBL 직전과 1차 PBL 직후에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가장 극적으로, 그리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제시되었으며, 이어 이루어진 2차, 3차 PBL 수업 후에는 1차 수업 후 이뤄진 변화가 좀더 확실하게 다져지는 단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BR>  본 수업결과를 통해 PBL 수업은 21세기 교육이 요구하는 자신의 학습활동에 있어서 매우 적극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를 키우고,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는데 매우 적합한 수업환경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평가도구로서 ‘그림그리기’가 매우 의미있고 중요한 질적 평가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y changes of self -perception as a learner after experiencing PBL in class. For this study, 5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PBL class for two months with the second author as the teacher.<BR>  Right before and after solving a given PBL problem, students were asked to draw how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a learner with brief explanations. Their drawings, then, were interpreted as references to analyze any changes of their self-perception as a learner.<BR>  The results presented very dramatic and positive changes in terms of students" self-perception as a learner. Students presented strong confidence on themselves as an independent and collaborative learner, and also positive attitudes and interests toward the learning activities.<BR>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re were many research and studies on educational effects of PBL, this study seemed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student drawings could be employed as a way of evaluation, providing valuable insight and information that cannot be gleaned from any other evaluation methods or tools.

      • KCI등재
      • KCI등재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연구

        강인애(Kang, Inae),박정영(Park, Jung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최근 학교 교과과정에서의 창의적 체험교육 및 학교 밖 문화기반시설에서의 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박물관 교육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중앙 정부 및 지자체, 기업에서는 박물관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담당자의 인건비나 연수비를 지원하거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비를 지원하는 사업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박물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에 대한 평가는 주로 교육 프로그램의 수와 운영횟수, 참여자 만족도 등의 양적인 평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정량적 평가는 박물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확인하거나 대내외적 신뢰를 얻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단순한 양적 평가를 넘어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고, 이를 관리하는 '평가 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박물관교육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 있는 구성주의 학습론을 기초로 하여 박물관 교육 구성 영역을 프로그램과 강사로 구분하여 평가 지표 초안을 구상하였다. 이후 개발된 지표 초안은 2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토와 1차례의 안면타당도 검토, 그리고 지표의 실제 현장 적용을 통한 신뢰도 검증의 과정을 거쳐 최종안으로 '구성주의에 기반을 둔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Due to socio-educational needs for creative learning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utside of school, much attention has been placed on museum education, which is followed by diverse governmental policies to support museum educators and museum education programs. However, most public funds and support for museum education tends to emphasize statistical data such as the number of education programs, operation times, participants, and so on. Yet, the numerical data does not reflect the quality of museum education as well as the quality of museum educato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valuation checklist for museum program based on constructivism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constructivist museum which provided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checklist, and then measur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evaluation checklis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s 'the evaluation checklist of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program', which consisted of a total of 49 items, which might be useful both in developing quality programs and reviewing exsisting programs.

      • KCI등재

        박물관 모바일 러닝 분석에 기반한 학교 모바일 러닝 활성화 방안: 학교-박물관 연계 모바일 러닝 모형

        강인애 ( Inae Kang ),이소현 ( Sohyun Lee ),손정은 ( Jungeun Sh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1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일상생활 뿐 아니라 교육 분야에도 큰 영향을 주어 모바일 러닝(mobile learning)이라는 새로운 교육환경으로 이어지고 있다. 주목할 사항은 모바일 러닝의 특성이 학교 교육환경에서보다는 오히려 비형식교육환경에 더 적합하다는 전제에 맞게, 현재 국내외 박물관에서 모바일 러닝이 활발하게 적용, 연구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에 기반하여 학교 모바일 러닝의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학교-박물관 연계 모바일 러닝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모바일 러닝은 모바일 기술 및 기기 활용을 전제로 이동성, 개별성, 상호작용성, 맥락성의 특징을 가진다. 박물관 모바일 러닝에서도 이러한 특징이 뚜렷이 보이는데 이를 기술적 측면과 페다고지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박물관 모바일 러닝은 BYOD의 활용과 함께 더욱 강화된 개별적 학습환경, 가상박물관과 연계한 멀티플랫폼 활용, 전시물 연계 다양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접목을 통한 참여적 학습환경 등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박물관 모바일 러닝에서 이루어지는 특성(BYOD, 가상 박물관, 전시물)을 학교에서 적극 수용, 활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모바일 러닝, 곧 `학교-박물관 연계 모바일 러닝 모형`을 도출하였다. Mobile learning has become a new learning environment along with the advent of wireless internet and innovative mobile technologies. Noticed is that the features of mobile learning are more adaptable to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than school setting, and in fact, both domestic and overseas museums have actively practiced mobile learning in diverse patterns and forms since early 2000s, whereas mobile learning in school has been, relatively, slow and limited in implementing due to several barri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irst, conducted literature review on museum mobile learning, from which, then, presented was a school-museum collaborated mobile learning approach as a strategy for active practice of mobile learning in school. While museum mobile learning shared some features of mobility, individuality, interactivity, and contextuality with mobile learning in school, this study, however, focusing on differences, extracted three keywords of BYOD, virtual museum, and museum (digital) objects, as distinctive features of the museum mobile learning. Finally, combined with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museum mobile learning, `a school-museum collaborated mobile learning model` was proposed in this study as a framework for sustainable mobile learning in school, which is expected to overcome several challenges the school mobile learning have to deal with, and at the same time, satisfy the social needs of the Digital Age.

      • KCI등재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강인애(Inae Kang),김홍순(Hongso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주로 비형식교육활동으로서 이루어졌던 ‘메이커 활동’은 그것이 지닌 여러 교육적 가치와 효과로 인해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의 형태로 확장되어 새로운 교육방법의 하나로 실천되고 있다. 하지만 학교교육에서의 메이커 교육을 실천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의 중의 하나는 메이커스페이스라는 메이커 활동을 위한 공간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스페이스’를 학교 공간 안에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 메이커교육의 사례를 제시하고 그것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과 후 학교수업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22명을 대상으로 8주에 걸쳐 ‘메이커스페이스 만들기’라는 메이커활동을 진행하였다. 이후 성찰저널, 교사 관찰일지, 인터뷰 자료의 질적 자료들을 수집·분석하여, 메이커스페이스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 메이커 활동에서 강조하는 메이커 정신을 경험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학교 내 메이커스페이스 만들기’라는 메이커 활동은 학교 내에 그 공간을 만들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이 될 수 있으며, 동시에 메이커 활동을 하나의 새로운 교육방식, 곧 ‘메이커 교육’으로서 확장될 수 있는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지니면서, 21세기 4차 산업혁명시대에 다시 만나는 구성주의 학습 환경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aker activity, mainly practiced in informal or non-formal education environments activities, was expanded to the form of maker education’ due to its various educational values and effects. Yet, one of the difficulties in practicing the mak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s the lack of makerspace as a space for the maker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cess of how the students make the makerspace in their school and to define its educational effects defined as ‘maker spiri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maker education program for 22 10<SUP>th</SUP> graders in an high school for 8 week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roject of ‘Making Makerspace’. The resul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through data collected from reflective journals, interview, and observation journals.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a practical and helpful way to make ‘Makerspace’ in school and at the same time, confirmed Maker education as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re-encountered in the 21<SUP>st</SUP> and as an alternative learning approach suitable for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Age.

      • KCI등재

        학습성찰도구로서 e-포트폴리오 활성화를 위한 연구

        강인애(Inae Kang),유승현(Seunghyun Ryu),강연경(Younkyoung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요사이 많은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학습포트폴리오는 학생의 학업 과정 및 산출물을 자료화하여 학업이력을 관리하고, 나아가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을 기르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웹상에서 제공할 경우, e-포트폴리오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기대한 만큼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관련 선행연구들도 대부분 소수 학생 사례 중심이거나 학습포트폴리오의 장단점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학습 포트폴리오를 학습도구로서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289명의 경희대학교 학부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경희대학교 e-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e-포트폴리오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학생들의 e-포트폴리오에 올라와 있는 ‘성찰저널’와 ‘참여 만족도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써 활용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학생 대부분이 e-포트폴리오를 학습도구로는 활용하고 있지만, e-포트폴리오가 좀 더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시스템 및 운영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참여 학생들의 요구사항과 국내외 대학에서 운영되는 e-포트폴리오 사례를 참조하여 e-포트폴리오 시스템의 개선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두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Portfolio has recently come to gain more attention from school as an alternative evaluation tool and a self-reflective learning tool for learning. After literature reviews about the case studies on the use of portfolio in higher education including both universities in Korea and abroad, this study attempted, first, to analyze the current e-portfolio system running in Kyung Hee University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starting from the spring semester, 2010, and then, suggested the ways the system can be more actively utilized among the students, and simultaneously, acquiring more interest and participation from both the faculty members and the school administrator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and reflective journals of the students suggested 1) more user-friendly, easy-to-edit version of the system, 2) more diverse modes and functions of the system which, therefore, are able to adjust well to the specific and unique features of subjects or majors of the students, and 3)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among the students and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faculty members from which students can share, participate, interact with each other, getting useful feedback from those co-learners and faculty members. Eventually the study aimed to enhance the recognition of the participants about the importance of portfolio as a learning tool for self-reflective learning and authentic evaluation of the students.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메이커 활동(Maker Activity)의 초등학교 수업적용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 탐색

        강인애(Inae Kang),김명기(Myeongki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본 연구는 흔히 비형식교육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메이커 활동’을 초등학교 수업상황에 적용하고, 그 수업결과로서 메이커 활동이 지닌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메이커 활동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메이커 스페이 스’ 대신에 ‘메이커 박스’를 활용하였고, 다양한 메이커 교육 모형 중 TMSI 모형을기반으로 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8주(20차시)에 걸쳐 적용하였다. 수업결과 분석을 위해 매 차시가 끝난 뒤 학생들 이 작성한 성찰일지 및 면담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본 수업결과로서, 메이커 교육은 개인적 차원(자발적 참여, 재료에 대한 이해 및도구 활용 능력의 신장, 결과물 창출을 위한 지속적 도전 및 문제해결능력의 함양)과사회적 차원(활동과정 및 결과에 대한 공유 및 나눔, 결과물을 매개로 한 활발한 소 통)에서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aker movement has currently has gained particular attention and interests among people over the past decade. Maker activities engaged in the creative production in people’s daily lives, and sharing process and products with others, therefore, have been actively and widely practiced as a new approach for education in the name of ‘Maker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first, to develop a maker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and second, to analyze its educational effects. For this purpose, the mak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TMSI model, utilizing ‘maker box’, in place of ‘makerspace’ as a key part of the maker education. The program, then, was applied to 28 4th graders during 8 weeks (20 hours). Data collected from the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for the results of the class. The results of the program showed educational effects categorized into two: Individual aspects (autonomous participation, increased abilities for understanding materials and use of tools, persistent challenges for problem-solving and final results) and social aspects (sharing, openness, and active interaction for process and result).

      • KCI등재

        21세기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방법:

        강인애(Inae Kang),진선미(Sun-mi Jin),여현숙(Hyun-suk Y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21세기 핵심역량은 기관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지만 크게 세 가지 영역, 자율적 행동, 도구활용,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학습방식은 전통적 강의중심, 교사중심의 수업과는 달라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적 방법으로서 e-PBL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규명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핵심역량을 분석틀로 하여, ‘e-PBL’ 수업사례의 학습효과를 분석해보고, 그 결과로서 과연 e-PBL 수업방식이 21세기 핵심역량을 강 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방법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시작하여 2013년에 이르기까지 국내 KCI등재 e-PBL 관련 논문 중, 47편의 e-PBL 수업사례 연구를 선정하였으며, 이후 이들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효과를 앞서 분석한 핵심역량 3영역 16요소와 연결해보았 다. 그 결과, 첫쨰, e-PBL의 학습효과는 핵심역량 중 자율적 행동 역량(43.6%, 180편), 도구 활용 역량(28.3%, 117편),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28.1%, 116편)영역 순으로 비교적 골고루 모든 역량 함양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약간의 비율적 차이는 보였지만, 모든 대상학령에서, 그리고 사용된 매체에 상관없이 e-PBL 수업 효과는 핵심역량과 대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e-PBL 수업방식은 21세기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방법의 하나로서 매우 긍정적인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Core competences of the 21st century learner are defined diversely according to with institutions; however, it may be summarized largely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such as autonomous behavior, tool utilization, and social interaction competences. The learning method to cultivate such core competences, however, should be different from traditional lecture-oriented and teacher-led classes, hence, ‘e-PBL’ in this study has been intended to be proposed as an alternative pedagogy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based upon the analysis framework of core competences, reviewed learning effects of 47 “e-PBL” studies selected out of related research published at the KCI during 2000 to 2013, and then analyzed how well the learning effects of the selected e-PBL studies have matched with each category and sub-element of the core competences. A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effects of the e-PBL classes mostly have satisfied all the specific categories and sub-elements of the core competences. Second, despite a slightly different ratio, both k-12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e e-PBL class, regardless of subject matters and used technologies, showed positive increase in all the categories of the core compet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insists that e-PBL, the technology-enabled learner-centered pedagogy, may be seen as an alternative to meet the needs of fostering the core competences of the 21st Century lear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