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N -(Alkanediyl)bis(phenylacetamide)유도체 합성 및 DNA methyltransferase 저해활성

        이소현(Sohyun Lee),마은숙(Eunsook Ma) 대한약학회 2019 약학회지 Vol.63 No.2

        DNA methyltransferases (DNMTs) are epigenetic enzymes responsible for gene expression in cancer, therefore their inhibitors have been considered as target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ncer. Psammaplin A (PsA) with dimeric disulfide structure exhibits excellent DNMT inhibitory activity, but there are synthetic limitations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derivatives. To develop various DNMT inhibitors that are easy to synthesize, N,N -(alkanediyl) bis(phenylacetamide) derivatives 1-16 were synthesized from 3- or 4-substituted phenylacetic acids and α,ω-diaminoalkanes(NH2(CH2)nNH2, n=2-5) and evaluated for the preliminary screening of DNMT inhibitory activity using PsA as an positive control. The DNMT inhibitory activities (21-91%) of all synthesized compounds were lower than that of PsA (>100%) at 200 μM concentration. Among them, N,N -(pentane-1,5-diyl)bis(2-(3-bromophenyl)acetamide) (12) was found to be most active compound with DNMT inhibition of 91%.

      • KCI등재

        미술중심의 STEAM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이소현(Lee, SoHyun),정현일(Jung, Hyun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미술중심의 STEAM교육 프로그램 즉,‘미래형과학교실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탐색하면서, 학생들에게 어떤 내용과 학습이 이루어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질적 연구 설계를 하였으며,해석적 실행연구에 따른 연구 방법론을 선택하였다. 연구자는 STEAM교육이 활성화된 과학고등학교를 연구 장소로 선정하였고 미래과학창의설계반 동아리반의 14명의 학생과 1명의 지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7 개월 정도의 기간에 총 35시간의 수업시간이 있었으며,연구자는 미술교사로서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였으며, 참여관찰일지,심층연담,페이스북의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통해 자신들이 사용할 공간을 새롭게 디자인하였고이 과정을 통하여 과학,기술,공학 예술, 수학의 요소를 적용한 미래형과학교실을 구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arts-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which is the 'Design Project for the Future Science Classroom' and to inquire what students have learned and changed during the process on the project, Accomplishing this purpose, the researcher has appli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 interpretative action research. The research site of this study is an High School for Science which is currently located in Seoul and is very activated for STEAM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re are 14 students and 1 teacher as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Future Science Club for Creative and Design.' 'The researcher as an art teacher collected data from the participants' dairy, their every day talking, depth-interviewing, and idea exchange on Facebook to review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Design Project for the Future Science Classroom' and to know what they have learned and experienced from this arts-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for seven month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have designed a new classroom which is the 'Design Project for the Future Science Classroom' for themselves through an integrating approach betwee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subjects. Second, Using this concept of STEAM education will payoff grandly for students to acquire a deeper and broader essential knowledge to progress themselves as well as better develop concept of where they fit into the greater community of their world.

      • KCI등재
      • KCI등재

        아동학대의 재현과 모성 신화: 〈미쓰백〉과 〈어린 의뢰인〉의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이소현(Sohy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6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는 가운데 <미쓰백>과 <어린 의뢰인>은 아동학대 범죄의 심각성을 부각하고 관련 이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환기하였다. 두 영화는 각기 다른 실화 모티프와 인물 설정을 기반으로 아동학대 사건의 내러티브를 구현했지만, 아동학대 보도 등을 통해 구축된 재현 관습과 담론적 지형을 답습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계모를 가해자로 내세우고 친부를 방치자로 자리매김하여 일차적 돌봄 책임자로 여성을 상정하는 성역할 고정관념을 재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대중서사의 전통 속에 자리 잡은 ‘사악한 계모’ 이미지를 소환하여 기존 편견을 고착화하였다. 계모의 학대를 전면화하고 계모의 대립항으로서 ‘잃어버린 엄마’를 의미화함으로써 혈연관계와 생물학적 속성에 기초한 모성 신화를 공고히 하였다. 두 영화는 관습적인 갈등 구도와 익숙한 정서적 토대를 바탕으로 대중적 공감을 시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아동학대 범죄의 일탈성을 부각하고 정상가족 담론을 강화하였다. Amid growing social interest in child abuse, 〈Miss Baek〉 and〈My First Client〉 announced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crimes and aroused public interest in related issues. Based on true stories and characters, both films created unique narratives about child abuse cases, but drew on the traditional representation and discursive construction of child abuse news articles. By setting the stepmother as the perpetrator and the father as the neglecter, the gender role of women as primary caregiver was reconfirmed and the stereotypical image of the ‘evil stepmother’ in popular narratives was exploited. The cinematic reenactment of the evil stepmother not only highlighted the normative family discourse, but also reinforced the maternal myth by emphasizing the binary opposition between the evil stepmother and the lost birth mother.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인지 프로파일 연구 동향 : DSM-5 적용 이후를 중심으로

        이소현(Lee, SoHyun),남보람(Nam, Boram),장영선(Chang, Youngseon),윤라임(Yun, RaIm),윤선아(Yoon, Sun Ah) 한국자폐학회 2022 자폐성 장애연구 Vol.22 No.1

        연구목적: 자폐 범주성 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인지 프로파일을 조사한 선행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ASD의 인지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본 후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DSM-5의 진단적 틀을 사용하기 시작한 2014년-2020년까지의 ASD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 프로파일을 분석한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8세 미만의 대상군과 세부적인 인지 프로파일의 수치를 제시한 연구만을 포함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분석 대상 논문은 총 22편이었다. 연구결과: ASD 아동의 FSIQ 점수 범위는 68.7-98.9로, 비언어성 지능이 전체 지능과 언어성 지능보다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분석 대상 연구 중 12편에서 지적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ASD 아동의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ASD 고유의 인지 프로파일을 제시하였다. WISC 프로파일 분석 결과, 지각추론 영역 및 토막짜기 소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처리속도와 작업기억 영역, 이해 및 기호쓰기 소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소검사 점수 간 불균형한 능력 차이를 보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에 따른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the cognitive profil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comprehensively examined their cognitive characteristics. Method: The studies included were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in 2014-2020 after the DSM-5 diagnostic criteria began to be used, included children with ASD under the age of 18, and had detailed cognitive profiles. Systematic search procedures resulted in 22 studies for review. Results: The FSIQ range was 68.7-98.9, showing that nonverbal intelligence tended to be higher than overall and verbal intelligence. Twelve studies analyzed the profiles of HFASD and suggested the ASD-specific cognitive profiles. A WISC profile analysis showed high levels on the Perception/Reasoning Index and Block Design and low levels on Process Speed Index, Working Memory Index, Comprehension, and Coding.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subtest score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기관 중심의 자폐 범주성 장애 선별 가능성 탐색

        이소현(Lee, SoHyun),김선경(Kim, SunKyung),김지영(Kim, JeeYo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최근에 들어서 전 세계적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의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조기 발견의 가능성 및 조기개입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영아기 장애진단의 가능성이 커지면서 가능한 한 이른 시기에 선별검사를 통한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 발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영아를 대상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지역사회 기관 중심의 자폐 범주성 장애 선별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서대문구 내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2세반 영아를 대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SCQ)를 활용하여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736명의 검사결과를 수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 범주성 장애 위험군은 8.7%로 나타났으며, 위험군 중 남아가 76.6%, 여아가 23.4%였다. 둘째, 세부 점수에 따른 분석 결과 위험군(15~19점)이 6.7%, 고위험군(20점 이상) 2.0%였다. 셋째, 위험군 아동의 하위 요인별 점수 분석 결과 남아의 평균이 여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지역사회 기관 중심의 자폐 범주성 장애 선별 활성화를 위한 향후 방향 및 발전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Recently, the prevalence of ASD appears to be increasing rapidly all over the world. The increase of ASD prevalence places emphasis on the possibility of early detection and necessity of early intervention.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of deficits through screening tests for ASD especially in infancy has been on the ri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screening for infants with ASD through the community-based screening system. In this study, SCQ was conducted for children who were attending 2-years old classes in community-based daycare centers and 736 test results were gather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 risk group of ASD was 8.7%. 76.6% of the infants were boys, and 23.4% of them were girl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with the subscores of the test, 6.7% of the infants fell into the risk group (15-19 points), and 2.0% of the infants belonged to the high risk group (over 20 points).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with the sub-elements of the test, the mean of the boys in the risk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an of the girls.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early detection and the related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TV 속의 다문화가정 2세

        이소현(Sohyun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9 No.4

        전지구화의 급물결 속에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 사회로의 영입은 가족이라는 단위의 전통적 가치체계에 연결되면서 한국적 다문화 담론의 성공적인 안착을 이끌어냈지만, 이질적 시각성으로 구별되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한국인의 범주 속에 통합시키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순혈주의적 민족주의의 지배 속에서 혼혈인에 대한 담론은 대부분 부정적이고 정체되어 있으며, 부계적 혈통주의의 고수라는 현 다문화 담론의 지향성은 다문화가정 2세에 관한 논의에서 이산적 정체성의 발현을 저해하는 형국이다. 가족 단위 중심, 결혼이주여성 위주의 다문화 담론의 한계가 드러나는 시점에 다문화가정 2세를 향한 미디어의 관심은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문제는 다문화가정 2세의 관점과 경험을 얼마나 대변할 수 있는 지에 달려있다.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에 관한 TV 교양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다문화 담론 속에 다문화가정 2세의 자리매김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사례로서 KBS <러브 人 아시아> 300회 특집, “다문화가정 2세의 꿈”, JTV <피우자 민들레> “다문화가정 자녀외갓집 방문 프로젝트”, 그리고 KBS <오아시스> “다문화청소년 1세대 건태의 희망대작전”을 분석하고 다문화가정 2세의 미디어 재현 양상을 살펴보려 한다. 텍스트 분석은 타자/하위주체로서 다문화가정의 전형화, 다문화가정 2세의 이산적 정체성의 포섭과 배제, 그리고 미디어 재현을 둘러싼 인종, 민족, 젠더, 계급 등 차이의 교차성 및 접합의 양상에 초점을 두고 있다. “당당한 한국인”과 “혼혈인”이라는 담론적 모순 속에 자리잡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재현에 관한 분석은 현 다문화 담론의 한계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문화적 다양성의 개념을 실제적인 변화와 역동적인 과정 속에서 재정의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foreign wives into Korean families given that the multicultural discourse focuses on the traditional unit of family and the idea of assimilation. However, it is quite a different story to includ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characterized by the visuality of Otherness within the definition of Korean citizen. Not only have the images of people of mixed-blood been almost negative and unchanged under the powerful notion of an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 but the centrality of patrilineal order to the multicultural discourse has also suppressed discussions on racial issues and diasporic identities. This article explores the positioning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the discourse of Korean multiculturalism by looking at TV program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It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KBS 〈Love in Asia〉 300th special program of “The Dream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e episode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Visit to Grandmother’s House” from JTV 〈Blooming Dandelion〉 and KBS 〈Oasis〉 feature on “Geon-Tae, the 1st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hares Hope.” Textual analysis focuses on the stereotyp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Other/lower-class, the inclusion and exclusion of diasporic identities, and the articulation of intersectional differences of race, class, gender, and ethnicity. The discussion on the represen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ituated on the site of discursive conflict between “Korean” and “mixed-blood,” testifies to the need for reexamination of the limits of Korean multiculturalism, and illustrates the fact that the issues of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discussed in consideration of constant changes and dynamic processes.

      • KCI등재

        장애인과 디지털 기술 : 정보통신기술 광고의 장애인 재현을 중심으로

        이소현(Lee, Sohyu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1 생명연구 Vol.62 No.-

        2010년대 이후 장애인이 출연하는 정보통신기술 광고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관련 기업이 자사만의 기술로 장애인의 불편을 해소하는 내용의 광고를 제작하는 사례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장애인을 위한 기술의 발전 및 활용은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광고는 기술의 지향점을 비장애인에게 두고 장애인의 불편을 해소해주는 “따뜻한 기술”을 강조하는 한편 장애인을 “어딘가 보완해줘야 하는 존재”로 부각한다. 보다 새로운 기술과 편리한 서비스를 앞세운 정보통신기술 광고 속에서 비장애인은 최신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여 혁신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즐기는 주체로 구성되는 반면에 장애인은 기술의 혜택을 제공받는 대상으로 재현되는 것이다.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질서 아래 상품 구매를 통한 자기표현의 기제가 일상을 잠식하는 환경에서 디지털 기술의 소비자로서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는 것은 또 다른 장애인의 배제와 소외를 의미한다. The advertisements featuring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increased since the 2010s because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ies led the ICT companies to make an advertisement in which their own technologies relieve the restrictions of the disabled. Although using technolog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desirable, such advertisements tend to highlight the idea of “warm technologies” portraying the disabled as someone who needs to be improved. In the ICT advertisements the non-disabled are presented as free consumers having purchasing power, who enjoy the latest lifestyle, while the disabled are reduced to beneficiaries. Given that the act of purchasing a product is central to self-expression in the context of neoliberal capitalism, not being accepted as a consumer of digital media technologies means another exclusion and marginaliz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