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시각문화 관련 연구서의 비교 고찰과 학제적 접근의 지평 확장 소설과 삽화의 예술사-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소설 삽화(공성수)와 이미지와 사회-시각문화로 읽는 현대중국(탕샤오빙)에 대한 서평

        강용훈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2

        In recent academic venues, studies that cross the boundary between linguistic text and visual art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 continuously published. The two studies compared in this paper are also such works. These works have in common that they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and changing the visual culture of individual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and “China,”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two works set only the visual culture of different countries as the subject of study. The two works set different countries and periods for study. Tang Xiao-Bing’s work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culture related to the socialist movement that Gong Sung-soo’s work does not describe in a Chinese context. On the other hand, Gong Seong-su’s work reveals the limitations of “image and society” focusing only on the visual culture of China in the socialist period in tha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culture in the early modern period, where “Image and Society” do not pay enough attention. Therefore, the work of comparing the two works can play a role in revealing the direction in which studies related to visual culture in Korea and China should proceed in the future. 최근 학술장에서는 언어적 텍스트와 시각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양자의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 비교하고 있는 소설과 삽화의 예술사(공성수)와 이미지와 사회(탕샤오빙)도 그러한 연구서들이다. 이 연구서들은 학제적 접근을 통해 ‘한국’과 ‘중국’이라는 동아시아 개별 국가의시각문화 형성 및 변천 과정을 살피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두 저작은 각각 한국의 시각문화와 중국의 시각문화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했고, 공성수의 저작은 1910 년대부터 1940년대 초반 식민지 조선의 신문연재소설 삽화를, 탕샤오빙의 저작은사회주의 중국이 건설된 1940년대 후반부터 오늘날까지 중국 시각문화의 역사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각기 다른 대상과 시기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했지만 탕샤오빙의 저작은 공성수의저작이 기술하고 있지 않는 사회주의운동 관련 시각문화의 특성을 중국적 맥락에서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과 삽화의 예술사가 충분히 주목하지 않은 지점을 환기시켜 준다. 반면 공성수의 저작은 이미지와 사회가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근대초기 시각문화의 특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사회주의 시기의 중국 시각문화에만 초점을 맞춘 이미지와 사회가 결여하고 있는 지점을 드러내준다. 이 서평에서는 그러한 결여 지점을 논하는 동시에, 두 연구서가 시각문화에 대해 접근하는 방식의 차이 또한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한국 시각문화 연구가 고민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려 했다.

      • KCI등재
      • KCI등재

        광섬유를 이용한 위치 다중화 구조의 체적 홀로그램

        강용훈,김기현,이병호 한국광학회 1997 한국광학회지 Vol.8 No.3

        체적 홀로그램을 저장하고 재생하는데 있어서 광섬유에서 유도되는 스페클 패턴을 이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이를 이론 및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기준빔으로 광섬유에서 회절되는 스페클 패턴을 이용한 홀로그램 위치 다중화 구조는, 스페클 패턴의 상대적 위치 차이에 따라 상관 관계가 없어지는 특징을 이용하기 때문에 좋은 횡방향 위치 선택도를 가지게 하며 축방향 움직임에 대해서는 둔감한 안정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광 정보 저장 장치에 적용하면 저장 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홀로그램 재생시의 안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A speckle pattern from an optical fiber is used for a reference beam in writing and reading a volume hologram. The photorefractive volume hologram with this scheme shows good spatial selectivity for spatial(shift) multiplexing because the speckle pattern in writing and reading a hologram looses correlation with a small spatial shift. This scheme has the insensitivity to axial movement. The data storage system with this scheme will have a high storage density and a good stability in operation. We theoretically analyze the diffracted beam from a volume hologram recorded with the speckle pattern from the optical fiber.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numerical analysis.

      • KCI등재

        주파수 위상 간섭계를 이용한 펨토초 레이저 펄스의 시간적 특성연구

        강용훈,홍경한,남창희 한국광학회 2001 한국광학회지 Vol.12 No.3

        주파수 위상 간섭계를 이용한 전기장 재구성 방법(SPIDER)을 이용하여 Kerr 렌즈 모드록킹된 티타늄 사파이어 레이저 공진기에서 생성된 펨토초 영역의 극초단 펄스의 펄스폭과 위상을 측정하였다. 8cm 길이의 SF10 매질과 마이켈슨형의 시간지연암(arm)을사용하여 주파수 층밀림(shearing)을 구현하고 제2종 BBO결정으로 합주파수 발생을 시켜 SPIDER 장치를 구성 하였다 얻어진 층밀림 주파수 간섭 신호로부터 SPIDE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펄스의 전기장을 복원하였다 SPIDER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SPIDER에서 얻은 펄스로 재구성한 간섭형 자체상솬신호를 직접 측정한 간섭형 자체상관 신호와 비교하였다. SPIDER를 티타늄 사파이어 레이저 공진기에 적용하여 19fs의 펄스폭을 얻었으며 sech$^2$나 가우시안으로 가정한 간섭형 자체상관의 결과는 이보다 작은 값으로 나타나서 펨토초 레이저의 정확한 펄스폭 측정을 위해서는 펄스모양의 가정이 필요없는 SPIDER 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Spectral phase interferometry for direct electric-field reconstruction (SPIDER) was fabricated and used to characterize pulses from a Ti:sapphire oscillator. In the SPIDER apparatus, two replicas of the input pulse were generated with a time delay of 200 fs and were upconverted by use of sum-frequency generation with a strongly chirped pulse using a 8-cm-long SFIO glass block at a 30-11m-thick type II BBO (p-BaBz04) crystal. The resulting interferogram was recorded with a UV-enhanced CCD array in the spectrometer. The spectral phase was retrieved by SPIDER algorithm in combination with independently measured pulse spectrum and the corresponding temporal intensity profile was reconstructed with a duration of 19 fs. As an independent cross-check of the accuracy of the method, we compared the interferometric autocorrelation (lAC) signal calculated from the SPIDER data with a separately measured lAC. The conventional, but unjustified, method of fitting a sechz pulse to the autocorrelation deceivingly yielded a pulse duration of 15 fs. This systematic underestimation of the pulse duration affirms the need for a complete characterization method. From the consideration in this paper, we concluded that the SPIDER could provide an accurate characterization of femtosecond pulses. ulses.

      • KCI등재

        소설 『최후의 증인』의 영화화 양상과 한국 추리 서사에 재현된 법(法)의 문제- 영화 <최후의 증인>(1980)의 검열 양상과 관련하여 -

        강용훈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3 No.-

        『The Last Witness』 was published in 1974 and was evaluated as a work which opened a new horizon in the Korean mystery narrative. The Last Witness(1980) was cinematized in 1980, and the work was released with a great deal removed, and the original version of the work was screened at the 2003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lso, another adaptation of the novel called Last Witness(2001) was released in 2001. In this sense, 『The Last Witness』 needs to be interpreted beyond the viewpoint of the existing study that depicted the work as a mystery narrative of the Yushin System. If keeping in mind the condition of the cinematization that lasted until the 2000s and the screening period of the original version of The Last Witness, 『The Last Witness』 can be considered as the work that plays a mediating role of the mystery narrative of the Yushin System. and the mystery narratives after the early 2000s. This paper focused on the way that 『The Last Witness』 narrates the historical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this paper studied how the North Korean partisans and the wartime collaborators are being represented in 『The Last Witness』. In addition, this paper compares the script of the 1980 film The Last Witnes(1980)s with the original screenplay, and analyzed the types of scenes censored during the 1980 screening. Based on this, this paper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restored film, The Last Witness, in comparison with the novel 『The Last Witness』 and another adaptive film Last Witness(2001). The restored film, The Last Witness, has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portraying the distance from the anti-communist narrative and the instability of the law. 『최후의 증인』은 1974년 발표되어 한국 추리서사에 새로운 지평을 연 작품으로 평가되었다. 『최후의 증인』은 1980년 영화화되었지만 작품의 상당 부분이 삭제된 채 개봉되었고 오리지널 판본의 상영은 2002년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최후의 증인』의 또 다른 각색 영화 <흑수선>은 영화 <최후의 증인>의 오리지널 판본이 상영된 것과 비슷한 시기인 2001년에 개봉되었다. 그렇기에 『최후의 증인』은 ‘유신체제의 추리서사’라는 기존 연구의 관점을 넘어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2000년대까지 지속된 영화화 양상, 그리고 오리지널판 <최후의 증인>의 상영 시기를 염두에 둔다면 『최후의 증인』 및 이를 각색한 영화들은 유신시대의 추리서사와 2000년대 이후의 ‘추리서사’의 매개 역할을 담당하는 작품들로 볼 수 있다. 소설 『최후의 증인』은 추리 서사의 형식을 기본 구조로 삼고 있지만, 그 구조는 작품 속 서사의 또 다른 한 축을 이루는 증언의 서사와 긴장을 맺고 있다. 『최후의 증인』은 자수한 빨치산, 빨치산 지도자의 딸, 부역자 등 법의 경계에 놓인 자들의 자리에서 한국전쟁 직후의 사법 절차에 대한 불신을 증언하고 있는 것이다. 이 소설에서 나타나고 있는 검사의 모습, 그리고 법의 양상은 어디까지나 ‘추리서사’의 세계에서 재구성된 형상들이다. 그러나 『최후의 증인』을 각색한 영화 <최후의 증인>이 1980년에 검열된 양상들을 면밀하게 살펴보면, ‘추리서사’ 속에 형상화된 법의 세계는 현실 질서 속 사법 권력의 모습들과 겹쳐지게 된다. 영화 <최후의 증인>의 제작사는 1980년 9월 공식적 검열을 통과한 지 2개월 후인 80년 11월 재검열을 신청하며 여러 장면들을 자진 삭제하려 했다. 검열 관련 서류에는 재검열을 신청하기 직전인 1980년 10월에 대검찰청에서 영화 <최후의 증인>의 화면 실사를 비공식적으로 요청하며 특정 장면을 삭제하려 한 점이 기록되어 있다. 그 장면들은 대부분 이 작품 속 김중엽 검사가 자신의 권력을 행사해 법의 경계에 놓인 자들에게 폭력을 행사한 부분들이다. ‘김중엽’이라는 인물은 법들(laws)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문제 사례 중 하나를 가상의 형태로 보여준 것이지만, 사법 권력은 이 사례가 재현되는 것 자체를 반복적으로 문제 삼았다. 법들이 수행되는 양상의 한계를 재현하는 작업은 ‘법’(the law) 자체에 대한 근본적 문제제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했다. 사법 권력은 그 가능성을 봉쇄하려 한 것이다. 영화 <최후의 증인>은 소설 『최후의 증인』보다 ‘법’의 일반적 작동 방식을 더 문제 삼으며 ‘법의 공평성’에 대한 당대 대중들의 정서적 믿음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영화 <최후의 증인>은 반공주의적 대립 논리에 기반을 둔 간첩 서사를 작품 결말에 배치하며 서사를 무리하게 봉합하려 한 원작 소설의 결말과도 거리를 두고 있다. 이는 소설 <최후의 증인>을 각색했던 2000년대 이후의 영화 <흑수선>이 반공주의적 대립 구도에 기반을 둔 채 사랑의 서사를 부각시킨 것과도 대조된다. 그 결과 영화 <최후의 증인>은 한국의 법적 질서가 지니는 불안정성을 선명하게 부각시킬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모델 발산을 억제하는 연합학습 프레임워크

        강용훈,이지형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2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2 No.6

        연합학습은 분산 환경이 발달하고, 데이터 프라이버시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발전하게 된딥러닝 모델 학습 방법으로, 데이터의 교환 없이 딥러닝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하지만Non-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인 데이터 환경에서는 연합학습 환경에서 성능하락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성능 저하의 원인은 모델이 발산하기 때문인데, 각 클라이언트가 개별의 데이터 분포를 가지게 되어 모델이 발산하여 글로벌 모델을 생성할 때, 문제가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FedADD를 제안한다. FedADD는 적대적 학습에서 사용되는 판별자 손실 함수를 이용하여 글로벌 모델과 로컬 모델간의 격차를줄여, 글로벌 모델을 생성할 때, 성능 하락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기법에 비해 많은학습 시간과 communication cost를 요구하지 않는다. 실험 결과 CIFAR-10, CIFAR-100,SVHN 이미지 분류 작업에서 기존의 기법 대비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근대 문학사 연구의 형성 과정 -당대(當代) 문학을 규정하는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강용훈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In the colonial Chosun, it was in the 1920’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or ‘art’) and the history started to be contemplated properly. The pioneering achievements of such studies were done in the Ahn, Hwak’s “The History of Chosun Literature”. Ahn, Hwak was to look into the process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s’ psychological phenomena through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In addition, Ahn, Hwak was revealing his position on the contemporary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Chosun Literature”. Kim, Tae-joon’s The History of Chosun Novels, which is the representative study on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in the 1930’s also included the contemporary literature in the discussion of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Ahn, Hwak and Kim, Tae-joon were to reveal their critical perception on the contemporary literary order through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to perceive the contemporary literary situation and to describe the contemporary literary history by Ahn, Hwak and Kim, Tae-joon.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bibliographies that Kim, Tae-joon discloses in his writings out of such differences. With the help of the bibliographies, the result of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multilayered criticism discourses in the 1920’s had influenced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Chonsu Novels in the 1930’s. Kim, Tae-joon’s The History of Chosun Novels consulted Park, Jong-hwa’s “The Literary Movement in Chonsun after the First World War” and Kim, Ki-jin’s “The Process of Change of Chonsun Literature for 10 years” in many parts in the process to describe the contemporary literature. Kim, Ki-jin and Park, Jong-hwa developmentally succeeded to the outcome of the literary criticism in the 1920’s and described the history of the new literary movement in Chosun. On the contrary, Kim, Tae-joon’s The History of Chosun Novels is the writing that attempted diachronic description of the individual genres of the Chosun literature. In addition, it was the writing which showed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cademic researches on the Chosun literature. In his writings, there lies the interest in the time of Chosun literature. Because of the interest, Kim, Tae-joon consulted the various references related to the criticism that Kim, Ki-jin and Park, Jong-hwa wrote. 식민지 조선에서 ‘문학’(혹은 ‘예술’)과 역사의 관계가 본격적으로 고찰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였다. 이러한 연구의 선구적인 업적은 안확의 『조선문학사』에서 이루어졌다. 안확은 ‘문학의 기원⋅변천⋅발달을 질서 있게 기재’하는 작업을 ‘문학사’로 규정한 후 문학사를 통해 국민의 심적(心的) 현상이 변천하고 발달한 과정을 살펴보려 했다. 또한 『조선문학사』의 「최근 문학」 부분에서 안확은 갑오경장 이후 신문학(新文學)이 형성된 과정을 개략적으로 분석하며 당대의 문학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당대의 문학을 문학사적 논의에 포함시키려고 했던 시도는 1930년대의 대표적 문학사 관련 연구인『조선소설사』(김태준)에서도 발견된다. 안확과 김태준의 문학사 관련 연구에 담겨 있는 ‘최근 문학’ 부분은 그들이 문학과 관련된 과거의 문헌들을 실증적으로 정리하는 데에만 머무르려 하지 않았음을 보여 준다. 그들은 문학사 연구를 통해 당대의 문학적 질서에 대한 비판적 인식 또한 드러내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안확과 김태준이 당대의 문학적 상황을 인식하는 방식, 그리고 당대 문학사를 서술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존재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차이들 중 김태준이 저술 속에 밝히고 있는 참고 문헌들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1920년대의 다층적 비평 담론이 1930년대 『조선소설사』 서술에 영향을 미쳤음을 분석했다. 김태준의 『조선소설사』는 당대(當代) 문학에 대해 서술하는 과정에서 박종화의「대전(大戰) 이후 조선의 문예운동」과 김기진의 「10년간 조선문예의 변천 과정」을 많은 부분 참조했다. 김기진과 박종화는 조선 근대문학의 역사적 단계를 설정했으며, 개별 시기 조선 신문예운동을 대표하는 작가 및 사조를 제시했다. 김기진과 박종화는 1920년대 문예비평의 성과를 발전적으로 계승하며 조선의 당대 문학을 구성했던 구체적 개별 작품들, 그리고 그 작품을 발표했던 작가들에 주목했던 것이다. 김태준의 『조선소설사』는 김기진과 박종화의 담론이 대학 제도의 영향 하에 있던 ‘문학사 연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김태준의 『조선소설사』는 조선문학의 개별 장르에 대한 통시적 서술을 시도한 저작이자 조선문학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제도화된 과정을 보여주는 저작이기도 했다. 그 저작 안에는 조선 문학의 당대(當代)에 대한 관심이 깔려 있었다. 그 관심 때문에 김태준은 김기진과 박종화가 집필한 다양한 비평 관련 자료를 참고했던 것이다. 조선 근대문학사는 이처럼 학문연구와 문예비평의 경계에서 서술되기 시작했다. 당대의 문학/문화가 변화하고 있는 양상에 대한 관심, 그리고 그 양상을 비평적으로 성찰하고 싶은 욕망은 근대문학사 서술을 형성하게 만든 원동력이기도 했다. 그 원동력은 대학 제도의 영향 하에서 문학(혹은 문학의 개별 장르)의 통사를 서술하려고 했던 일련의 작업들과 때로는 충돌하고, 때로는 조응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