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물 관련 법제의 체계화를 위한 시론적 고찰

        홍진희,김판기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52 No.-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animals in various aspects of our society. From a legal perspective of animals, the occurrence of various disputes arising from animals may be the subject of the discussion. Currently, animal laws are enacted in various fields and areas in Korea. Current animal laws have been enacted or amended solely by considering certain issues related to animals, rather than taking into account or being enacted and enacted, rather than established or amended. Now, it is time to look at the animal law in a holistic and fundamental perspective, not to approach a microscopic, shortsighted perspec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law of animal that applies to all animals and the special laws that apply to animals. Through this systematic system of animal law, it is possible to solve various legal problems related to animals, and seek ways to find ways to coexist with human beings. In this thesis we hae current animal laws according to existing legal framework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extent to which the current law of the law is structured only by the reclassification of current laws. In order to codify the animal law, the authors insist on enacting Framework Act on Animal as the parent law or basic law. Framework Act on Animal should include animal concepts, animal classifications, animal welfare and protection of the animal. In addition, Framework Act on Animal should also include the introduction of controls on animal related divisions and control towers to prevent and efficiently resolve disputes related to animals.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동물과 관련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동물에 대한 다양한 관심이나 지위만큼 여러 분야와 영역에서 관련 법률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동물법들은 서로간의 조화나 체계를 고려하고 제⋅개정되기 보다는, 동물과 관련된 특정한 문제들이 제기되면 그것의 해결만을 고려하여 제⋅개정되어 왔던 것 이 현실이다. 이제는 동물법을 미시적이고, 근시안적인 시각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동물 전반에 걸친 거시적이고 근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이에 따라 모 든 동물에 적용될 일반법 또는 기본법과 개성있는 동물에 적용된 특별법을 나누는 이른바 동물법의 체계화 작업이 필요하고 생각한다. 동물법의 체계화를 통해야 동물과 관련된 다양 한 법률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동물의 보호와 더불어 인간과의 상생의 길을 모 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물법의 체계화를 위해 기존의 강학상 법체계를 기준을 동물법을 재분류 해 보았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현행법의 재분류만으로는 동물법을 체계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필자들은 동물법의 체계화를 위해 각종 동물법의 상위법 내지 기본법으로서의 동 물기본법의 제정을 주장한다. 동물기본법에는 동물의 개념, 동물의 분류, 동물의 복지, 동물 의 보호 등에 관해서 규정해야 한다. 또한 동물기본법에는 동물관련 책임부서 또는 컨트롤타 워 도입에 관한 내용도 반드시 포함시켜 동물과 관련된 분쟁의 예방과 효율적인 해결에 이바 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CFD를 이용한 머드 펌프의 성능 예측

        홍진희 한국기계기술학회 2019 한국기계기술학회지 Vol.21 No.3

        A commercial CFD code is used to caculate the 3-D viscous flow field within the centrifugal pump impeller. Design conditions are changed by pump inlet diameter(203.2㎜) and pump outlet diameter(152.4㎜). Numerical calculation was performed by changing flow rate from 7 to 12m 3 /min. Working fluids are clean water and muddy water. The viscosity of muddy water is measured by the unsteady capillary of the viscometer. The pump performance is predicted well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ump characteristics of the total pressure, efficiency and shaft power with high viscosity fluids by muddy water was different from those clean water. When the viscosity of the applied fluid increased, the total pressure, and efficiency more decreased than those of clean water. The decreasing gradients of the total pressure and the efficiency were larger than water due to the increased disk friction losses at the duty operation point. The shaft power of clean water and muddy water increased. This study shows that the calculated results agree well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design condition.

      • KCI등재

        공동주택 관리규약상 반려동물 사육규정에 관한 법적 고찰

        홍진희,김판기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5 No.1

        Recently, disputes in connection with animals are increasing due to increasing with pet owners in Apartment Buildings. There are currently not equipped a clear criteria or laws that could arrange the disputes relating to breeding animals in the apartment house. In this article, we tried to interpret the unfinished existing law in relating to breeding animals in the Apartment house. In particular, we would discuss the animal breeding regulations in the apartment house under Apartment Management Rules. We did a categorization the animal breeding regulations in the apartment house under Apartment Management Rules as ① that the residents of a apartment house could breed a companion animal but should have the agreement of the management authority, ② that the residents of a apartment house could’t breed a companion animal, ③ that there are revised a Apartment Management Rule. We attempted to propose a reasonable basis about the legal issues that can be generated in each type on the basis of the current law. However, there is a limit to interpretate a Apartment Management Rules in a situation not equipped with related laws. Therefore, we need to set clear criteria about the animal breeding in the apartment house over the next follow-up study and the legislation. At the same time, each apartment house should continue an effort to prevent a conflict in relation the animal breeding regulations in the apartment house under Apartment Management Rules by clarification their Apartment Management Rules. 공동주택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증가함으로 인해 이와 관련한 분쟁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로서는 공동주택에서의 동물 사육과 관련해 이러한 분쟁을 조율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이나 법령이 완비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동주택 내에서의 동물 사육과 관련된 미완의 상태인 현행 법률, 특히 공동주택 관리규약상 동물 사육 규정에 대해 그 해석론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들은 공동주택 관리규약상 동물에 관한 규정을 ① ‘동물 사육 가능’이지만 동물 사육시 관리주체의 동의를 얻도록 한 경우, ② ‘동물 사육 불가’라고 정한 경우, ③ 동물 사육에 관한 관리규약의 개정으로 유형화 하고, 해당 유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법률문제들에 대해서 현행법을 토대로 나름의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관련 법령이 완비되지 않은 현실에서는 공동주택 관리규약에 관한 해석론만으로는 실효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공동주택에서의 동물 사육에 관한 명확한 기준의 입법화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아울러 공동주택 자체적으로도 공동주택의 관리규약을 명확히 하여 관리규약의 내용과 관련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공동주택에서의 동물 사육과 관련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규정을 두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Preparation of Chlorophyll-free Young Barley Leaf Extract Powder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Modified with Cosolvent

        홍진희,함승주,오흥식,임교빈,유종훈 한국생물공학회 2019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4 No.6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repare chlorophyllfree young barley leaf extract powders using three different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2) drying processes. The pure SCCO2 drying process for a methanolic extract solution resulted in a ~30% increase in the antioxidant (saponarin and isovitexin) content and a ~75% decrease in the chlorophyll content compared to a solvent evaporation method. The drying process with ethanol-modified SCCO2 increased the antioxidant content considerably and completely removed the chlorophylls. However, this process could not dry an aqueous ethanolic extract solution with a more than 30% water content. The ethanol-modified SCCO2 drying process that employed a periodic flush with pure SCCO2 was found to effectively dry an aqueous ethanolic extract solution with more than 30% water cont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반려동물로 인한 불법행위법상 손해배상 책임의 법률문제

        홍진희,김판기 한국재산법학회 2022 재산법연구 Vol.39 No.1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various legal problems surrounding companion animals are occurring. In terms of the system of the current law and human-centered thinking about society, it is reasonable to see animals as objects. In the past, animals were viewed only as objects of sale, use, or slaughter. However, unlike ordinary objects, animals are considered to have life and need harmonious coexistence with humans. In this respect, a new approach to animals is needed. The issue of liability for damages under the tort law caused by companion animals is largely classified as follows-①compensation for damages in the event that a companion animal causes damage, ③compensation for damages in case of damage to companion animals. In this paper, it was reviewed only for compensation for damages in the case of damage to companion animals due to illegal activities. When a companion animal is damaged by an illegal act, the issues related to compensation for damages are as follows. ① Evaluation of the exchange value in the case of the death of a companion animal ② Compensation for medical expenses higher than the exchange value of companion animals ③ Mental damage to companion animal owners Evaluating the value of a companion animal is technically difficult, and it is a complex and difficult problem due to differences in individual values for companion animals. However, in judging its valu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ocial values such as the degree of training and usefulness in addition to the objective exchange value of companion animals. Regarding compensation for treatment costs, unlike ordinary goods, it is considered reasonable even in light of social norms to spend treatment costs higher than the objective exchange value. In addition, it would be reasonable to recognize mental damage to the owner of a companion animal as a trade damage and include it in the category of compensation for damage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due to the current legal system in this interpretation theory. In the long run, timely legislative supplementation will be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compensation for damages suffered by companion animals due to illegal activities. 최근 반려인구의 증가에 따라 반려동물을 둘러싼 여러 법률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현행법의 체계나 사회에 대한 인간중심적 사고의 측면에서 볼 때 동물은 물건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과거 동물을 매매, 이용, 도축의 대상으로만 보던 시대를 넘어, 이제는 동물이 일반적인 물건과는 달리 생명을 가진 존재이며 인간과의 조화로운 공존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동물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반려동물로 인한 불법행위법상 손해배상 책임의 문제는 크게 반려동물이 피해를 준 경우와 반려동물이 피해를 입은 경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법행위로 인해 반려동물이 피해를 입은 경우 그 손해배상의 문제로 논의의 범위를 한정하여 검토해 보고자 한다. 불법행위로 인해 반려동물이 피해를 입은 경우 그 손해배상과 관련해 문제가 되는 쟁점은 ① 반려동물이 죽은 경우 가치평가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지, ② 반려동물이 다친 경우에 교환가격보다 높은 치료비가 발생한 경우 이를 배상하여야 하는지, ③ 반려동물이 피해를 입은 경우에 반려동물 소유자의 정신적 손해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인지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반려동물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 대한 개인마다의 가치관 등의 차이로 복잡하고 쉽지 않은 문제이지만, 그 가치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해당 반려동물의 객관적인 교환가치 외에 훈련의 정도나 유용성 등과 같은 사회적 가치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치료비의 배상과 관련해서도 동물복지의 관점에서 반려동물이 다친 경우 반드시 치료가 필요할 것이며 보통의 물건과 달리 그 객관적인 교환가치보다 높은 치료비를 지출하여 치료하는 것은 사회통념에 비추어도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반려동물의 소유자에 대한 정신적 손해에 대해서는 이를 통상손해로 인정하여 손해배상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해석론에는 현행 법체계에 따른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장기적으로 불법행위로 인해 반려동물이 입은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문제 해결을 위한 시의적절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