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veloping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Critical Action Research

        신금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0 No.2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ECEE) by reflection and action to overcome the barriers through critical action research. Five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K city and having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were involved in a 16-week critical action research project, in which they planned and reflected on actions in a group communication, and taking actions and observing it in their classrooms. Through close observ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came to be interested in and familiar with the environment. Their interest in and familiarity to the environment eventually changed the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Research participants’ understandings of the objectives, topics, and content of ECEE came to broaden beyon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While conducting activities they chose, participants were able to recognize opportunities to connect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with previous activities already implemented in their classrooms. These changes and development in participants provided them the confidence to impl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ir classroom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신금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5

        Th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awareness and understandings of kindergarten teachers regarding environmental issue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ir classroo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national and private kindergartens. The researcher interviewed teachers individually. Interviews with teachers took approximately 30-45 minutes and were conducted in a semi-structured forma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seriousness of it. Teachers were aware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ly in relation to teaching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the conservation of the environment, and solutions for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Kindergarten teachers'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limited to a few activities and topics, such as recycling and raising plants and animals. Kindergarten teachers indicated the following obstacles to implementing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ir classrooms: lack of teachers' awareness and knowledge, difficulty in involving families, and the urbanized environment of the kindergarten.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유치원 교사들의 환경문제, 환경교육, 환경교육 실시에 대한 인식을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M시와 K시의 국공립과 사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 15명이었다. 본 연구는 개별면담으로 이뤄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녹음된 내용을 전사, 부호화,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교사들은 환경문제와 그 심각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으나 환경문제 해결과 환경보호를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환경문제나 환경보존과 관련된 내용을 가르치는 교육으로 이해하고 있었고, 환경교육 실시에 대한 인식은 몇 가지 활동과 내용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환경교육 실시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식의 부족, 부모 참여의 부족, 유치원의 도시화된 환경 등을 언급하였다.

      • 우리나라 一部農村(平野地域) 住民의 傷病에 關한 調査硏究

        愼錦昊 서울大學校 保健大學院 1972 公衆保健雜誌 Vol.9 No.1

        In order to study the sickness prevalence and kinds of sickness among rural populace in plain areas of this country, surveys were conducted on 1,024 households comprising 5,679 persons during a one-month period of January 1 to 31, 1969.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1) The age composition of population subject to the surveys showed a typical pyramid style. The group of 0 to 9 years of age constituted 26.2 per cent of the total population which underwent the surveys. Proportion gradually decreased as age increased. The age group of 60 years or more showed 6.4 per cent or the smallest proportion. 2) By education, the population subject to the surveys was broken down as follows: Primary school graduates constituted 25.9 per cent of th total number of persons; those currently attending primary school 18.9 per cent; those yet to attend (not applicable) 17.4 per cent; those barely able to read Hangul (Korean Alphabet) 11.3 per cent, and illiterates 11.0 per cent. College graduates, drop-outs, and students constituted only 0.5 per cent. 3) By occupation, the population subject to the surveys was broken down as follows: Students constituted 25.7 per cent; those yet to attend school (not applicable) 18.7 per cent; farming 18.6 per cent: those attending to domestic duties 13.4 per cent: and unemployed persons 13.1 per cent. 4) By source of drinking water, the number of households subject to the surveys was broken down as follow: 53.1 per cent of the total of 1,024 horseholds utilized communal wells; 18.8 per cent private pumps, and 9.4 per cent communal pumps. Not a single household utilized waterworks. 5) During the period of survey (January 1 to 31,1969), incidence rate reached 84.7 and prevalence per 1,000 persons rate 126.1. 6) The specific prevalence rate of male persons at the age of 0 to 4 years was highest at 258.9 per 1,000 persons, and that for the age group of 10 to 19 was lowest at 61.2, As for female, specific prevalence rate was highest at 227.6 per 1,000 persons for the age group of 60 to 69, second highest at 226.4 for the age group of 50 to 59 , and lowest at 64.6 for the age group of 5 to 9. 7) Sickness prevalence rate by education was as follows: Those attending high school showed the highest rate of 333.3 per 1,000 persons; illiterates 238.8; those attending college 176.5; high school drop-outs 166.7; and those yet to attend school 161.9. 8) Sickness prevalence rate by occupation was as follows: Fishermen showed the highest rate of 250.0 per 1,000 persons; unemployed 226.2; farmers 159.2; those engaged in commerce 123.2; those attending to domestic duties 1,000; and those yet to attend school (not applicable) 98.8. 9) By kind of sickness, sickness prevalence rate was as follows: Diseases of the resperatory system showed the highest rate of 61.6(60.0 for male and 63.3 for female) per 1,000 person; diseases of the digestive system the second highest rate of 29.6 (29.1 for male and 30.0 for female);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a and the sense system 7.9(6.3 for male and 9.5 for female); and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s 5.8 (8.9 for male and 2.8 for female). Not a single case of congenital deformity or specific disease of new born infants was noted.

      • KCI등재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환경 보전 지식, 환경 친화적 행동에 관한 연구

        신금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young children's pro-environmental attitudes,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according to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 three years old children, 50 four years old children, and 50 five years old children attending at the 2 kindergartens and 2 child care centre in C city.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pro-environmental attitudes,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e researcher used CATES-PV designed by Musser and Diamond(1999),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by Han(2001),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s tool by Kim(2002).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Dunc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did not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environmental attitudes according to age. Second, the score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were highest in the five-year-old children, and next, in order of the four-year-old children, and the three-year-old children,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examined by Duncan te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three-year-old children, the four-year-old children, and the five-year-old children. 본 연구는 만 3세, 4세, 5세 유아들의 환경 친화적 태도, 환경 보전 지식, 환경 친화적 행동에 대한 연령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 대상은 C시에 소재한 유치원 2곳과 어린이집 2곳에 다니는 만 3세 49명, 만 4세 50명, 만 5세 50명으로 총 149명이었다. 환경 친화적 태도 검사 도구는 Musser and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를 번안, 보안하여 사용하였고, 환경 보전 지식 검사는 한태현(2001)이 제작한 “환경보전지식”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환경 친화적 행동 검사 도구는 김세영(2002)이 제작한 검사 도구를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AS 프로그램으로 ANOVA를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Duncan 추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 친화적 태도에서는 연령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 보전 지식과 환경 친화적 행동은 연령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보전 지식과 환경 친화적 행동은 모두 만 5세, 만 4세, 만 3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이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금호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4일부터 5월 20일까지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중간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는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기후변화대응과거행동빈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도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유아의 질문에 대한 PBL기반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금호,박희숙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12

        본 연구는 유아들의 질문 중에서 문제를 선정하여 PBL방식으로 해결해보는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 5세 유아 37명(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18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2주 동안 수집한 질문들 중에서 12개를 선정하여 모둠별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PBL기반 과학 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아들의 질문에 대한 PBL 기반 과학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서 비교 집단 유아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자연물을 활용한 협동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금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3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operative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natural materials on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and mathematical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 five-year-old children (control group 28 children, experimental group 27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in K city. Sixteen cooperative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natural materials were conducted in the classroom of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operative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natural materials had positive influence on mathematical concepts including algebra, number and calculation, geometry, measur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s including interest in mathematics, intention of alternative exploration, and mathematical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operative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natural materials ar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and mathematical attitudes.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물을 활용한 협동적 수학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K시에 위치한 A유치원의 만 5세 반 유아 55명(실험집단 28명, 비교집단 27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25일부터 6월 17일까지 실시되었 다. 자연물을 활용한 협동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물을 활용한 협동적 수학활동은 만 5세 유아의 수학개념 전체와 하위 영역인 대수(분류, 관계), 수와 연산(수개념, 수연산), 기하(도형, 공간), 측정(측정) 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물을 활용한 협동적 수 학활동은 만 5세 유아의 수학적 태도 전체와 하위 영역인 수학에 대한 흥미, 대안 탐색 의도, 수학에 대한 유능감을 향상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연물을 활용한 협동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유아의 질문에 대한 PBL 기반 과학 활동이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금호(Shin, Keum-Ho)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의 질문 중에서 문제를 선정하여 PBL 방식으로 해결해보는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시에 위치한 A유치원의 만 5세 유아 37명(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18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0일부터 11월 16일까지 9주 동안 주 1-2회씩 총 16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2주 동안 수집한 질문들 중에서 선정된 12개의 문제를 모둠별로 선택하고 해결안을 찾는 PBL 기반 과학 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아들의 질문에 대한 PBL 기반 과학 활동은 과학적 문제해결력 전체와 하위 영역인 아이디어 적용과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짓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적 태도 전체와 하위 영역인 호기심, 적극성, 솔직성, 개방성, 객관성, 비판성, 끈기성, 협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들의 질문에 대한 PBL 기반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BL(problem based learning) about children"s questions on scientific problem solving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7 5-year-old children (experimental group 19 children, control group 18 children)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on a total of 16 occasions, once or twice per week for 9 weeks from Sept. 10, 2018 to Nov. 16, 2018. The experimental group gathered children’s questions for two weeks, chose 12 questions, and participated in the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BL.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BL about children’s question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ies including applying ideas and concluding from the results and scientific attitudes including curiosity, initiative, forthrightness, openness, objectiveness, criticism, perseverance, and coop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BL-based scientific activities on children’s question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hildren’s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