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50개 주의 자동차 수입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 일본, 독일 생산 차량을 중심으로-

        송정석 한국물류학회 2022 물류학회지 Vol.32 No.5

        This study intends to compare Japanese automobiles, German automobiles, and Korean automobiles, which are major competitors in the US automobile market, in light of major sales factor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expanding sales of Korean automobiles in the U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Korean cars, Japanese cars, and German cars by sales factors in the 50 US states instead of country level determinants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In this respect, it makes differentiated contributions. This study adopts the fixed-effect model estimation using panel data as a research method. First, it performs the estimation using the size of Korean automobile imports, Japanese automobile imports, and German automobile imports as dependent variables. Furthermore, this study estimates the fixed-effect model for Korean automobile imports relative to Japanese automobile imports and Korean automobile imports relative to German automobile impor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the size of imports of Korean automobiles and Japanese automobiles is affected by efficient fuel use or fuel price such as highway fuel efficiency and fuel price. On the other hand, German car imports are not affected by fuel prices and are inversely related with the highway fuel economy. Another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higher the ratio of fatalities in highway traffic accidents, the lower the Japanese automobile imports. In addition, this study finds that the ratio of single-driver commuting to work has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German automobile imports. Lastly, it is found that automobile imports from Korea and Japan are found to be affected by overall preferences for products in those countries. Meanwhile, as a result of controlling for major sales factors, Korean cars, Japanese cars, and German cars are equally preferred in California, Florida, Michigan, Virginia, and Rhode Island. In Mississippi, South Carolina, Oregon and Tennessee, Korean and Japanese cars are preferred over German cars while Korean cars and German cars are preferred over Japanese cars in New Jersey, Georgia, and Texas. On the other hand, in Louisiana, Washington, and Pennsylvania, Korean-made cars was found to be remarkably preferred over German and Japanese c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a guideline for sales strategy for Korean cars in the US market. This study limits the subjects of imports of Korean cars, Japanese cars, and German cars to 50 states in the United States, and only categorizes cars by production country rather than automobile brands. If these data can be accessed, various studies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의 주요 경쟁상대인 일본산 자동차, 독일산 자동차와 한국산 자동차를 주요 판매요인에 비춰비교하고 그로부터 향후 미국 내 한국산 자동차 판매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선행연구가 수출 경쟁국가 제품과의 비교를 수출 대상 국가들을 대상으로 살펴본 반면, 본 연구는 미국 50개 주를 단위로 한국산 자동차와일본산 자동차, 독일산 자동차를 판매요인별로 비교 및 분석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패널자료를 이용한 고정효과 모형 추정을 연구방법으로 채택하며 먼저 한국산 자동차 수입규모, 일본산 자동차 수입규모, 독일산자동차 수입규모를 대상으로 추정하고 나아가 일본산 자동차 수입규모 대비 한국산 자동차 수입규모와 독일산 자동차 수입규모대비 한국산 자동차 수입규모를 대상으로 추정한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산 자동차 수입 규모와 일본산 자동차 수입규모는 연료 사용량 대비 고속도로 주행 거리와 연료 가격 등 효율적 연료 사용이나 연료 가격에 영향을 받는다. 반면, 독일산 자동차의 경우 연료 가격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연료 사용량 대비 고속도로 주행 거리가 적을수록 수입 규모가 증가한다. 한편,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 비율이 높은 주일수록 일본산 자동차의 수입이 감소하며, 단독운전자 출퇴근 비율과 독일산 자동차의 판매 규모는 역관계를 가진다. 또한, 한국과 일본으로부터의 자동차 수입은 해당 국가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선호도에 영향을 받는다. 한편, 주요 판매요인을 통제한 결과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미시건, 버지니아, 로드아일랜드의 경우 한국산 자동차, 일본산 자동차, 독일산 자동차가 고르게 선호되며, 미시시피, 사우스캐롤라이나, 오리건, 테네시의 경우 한국산 자동차와 일본산 자동차가독일산 자동차보다 선호되며, 뉴저지, 조지아, 텍사스의 경우 한국산 자동차와 독일산 자동차가 일본산 자동차보다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루지에나, 워싱턴, 펜실베이니아의 경우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선호도가 여타 국가에 비해 차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미국에서 판매되는 한국산 자동차의 판매 전략 수립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연구는 한국산 자동차, 일본산 자동차, 독일산 자동차 수입의 주체를 미국 50개 주로 제한하고 있으며 자동차를 브랜드가 아닌 생산 국가별로 분류하는데 그치고 있는데 이는 본 연구의 한계점 중 하나이며, 보다 세부적인 자료 접근이 가능할 경우 향후 다양한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 국가의 경제성장 수렴에 대한 실증분석

        송정석,김현석 국제지역학회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This paper studies economic growth convergence conditioning on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countries. Our findings suggest that when trade openness is conditioned in addition to human capital and investment, the economic growth rates for East Asian countries converge faster than when human capital and investment alone are considered. In particular, while Northeast Asian countries exhibit absolute economic growth convergence as well as economic growth convergence conditioned on trade openness, Southeast Asian countries show only economic growth convergence conditioned on trade openness. Analysis of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East Asian countries' high dependence on foreign trade, trade openness in the convergence of economic growth ha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in order to establish a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n East Asia,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the country's economic growth is necessary to reduce the gap. 본 연구는 다른 국가에 비해 무역개방도가 높은 동아시아 국가의 특징을 고려한 조건부 수렴현상을 패널분석 하였다. 이는 동아시아 국가는 무역개방도가 높은 특징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경제성장의 수렴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무역개방도를 추가적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인적자본, 투자율을 통제하였을 때 보다 무역개방도를 추가로 통제하였을 때 수렴현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고 수렴속도도 더욱 빨라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가적으로 동아시아 국가들을 동남아 국가와 동북아 국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동북아 국가에서는 절대적 수렴과 조건부수렴 현상이 모두 나타났지만, 동남아 국가에서는 무역개방도를 추가로 통제시킨 조건부 수렴현상만이 나타났다.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동아시아 국가의 높은 무역개방도를 통제시킨 조건부 수렴에서 수렴현상이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로, 대외무역의존도가 높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무역개방도가 경제성장의 수렴에 있어서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동아시아 국가의 지역경제통합 성립을 위해서는 동북아시아 국가와 동남아시아 국가의 경제성장 격차를 줄여 나갈 필요성이 있다.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