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치-태도-행동 모델에 기반한 공유숙박에 대한 소비자행동의 이해: 에어비앤비 서비스를 중심으로

        성숙,양수진 한국소비문화학회 2018 소비문화연구 Vol.21 No.2

        The current research attempted to explore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 toward collaborating consumption toward hospitality and tourism based on VAB(Value-Attitude-Behavior Hierarchy Model). Specifically, the suggested conceptual model including the hypotheses relating consumers’ perceived value, brand awareness, attitude and loyalty toward Airbnb. Airbnb is the wellknown business model adopting the collaborating consumption to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In addition, the negative effects of perceived privacy concern on attitude and loyalty were verified. On the other hand, we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usage experience on the suggested relationships in the conceptual model. Consumers’ perceived value comprised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 and sustainable value. Online survey was administrated to mobile users who have experienced Airbnb’s application. Totally, 294 answers were utilized for testing the hypotheses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only emotional and social valu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rs toward brand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Airbnb. However, when comparing multi-group analysis to see if moderating effect of usage experience in Airbnb is significant, social as well as sustainable value turned out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rs on brand awareness and attitude only in the group of new comers of Airbnb, who had not ever experienced Airbnb’s service.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f perceived privacy concern on attitude was significant in the user group of Airbnb. This research not only may fill the gap of the literature stream on sharing economy evolved by online commerce, but also can shed a light on understanding of Korean consumers’ value seeking behavior toward sharing economy and collaborating consump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가치-태도-행동(Value-Attitude-Behavior Hierarchy Model: VAB모델)모델을 적용하여 공유숙박에 대한 소비자 행동의 이해를 하고자 함이다. 연구의 대상으로 공유숙박 서비스의 대표격인 에어비앤비를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Value)가 인지도와 태도(Attitude)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인지도와 태도가 브랜드충성도(Behavior)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태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공유숙박을 이용하는 데 소비자가 지각하는 위험의 부정적 효과를 검증하고 공유숙박 서비스 사용 경험을 기준으로 소비자 집단을 나누어 연구모형의 영향력을 비교 검증하였다. 에어비앤비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경험한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기반한 데이터 분석 결과, 공유경제에 대한 정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가 에어비앤비에 대한 인지도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지도와 태도는 에어비앤비에 대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른 한편으로 에어비앤비를 실제로 사용해 본 경험에 대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사용 경험이 있는 사람은 정서적 가치만 유의한 반면, 사용 경험 전에는 사회적 그리고 지속가능적 가치도 함께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사용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에어비앤비 서비스에 대해 지각된 위험이 태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VAB모델을 적용하여 공유숙박에 대한 소비자 행동 의도를 분석하는 모형을 제시하며 최근 급부상하는 새로운 사업모델에 대한 실증적 결과를 통해 학문적 기여를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브랜드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공유경제에 대한 정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소비자가 지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서비스 프로세스를 재활성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브랜드 확장 전략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성숙,김재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으로 확장된 브랜드의 이미지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느끼게 되는 이유를 규명하기 위해, 확장된 브랜드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소비자의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실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으로 브랜드 확장을 할 때, 모브랜드에 대한 지각된 품질 수준이 높을수록, 소비자가 지각한 제품간의 적합성이 높을수록, 브랜드 확장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긍정적 일수록, 확장된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가 좋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지각된 적합성이 확장된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혁신성향이 낮은 그룹에서 높은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브랜드 확장 전략에 소비자의 혁신성이 조절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한 이론적인 의의와 혁신성향을 기준으로 한 고객 세분화를 통해 브랜드 확장을 위한 차별적인 브랜드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제공하고 있다는 실무적 의의가 있다. To find out why consumers feel positive or negative towards the products of digital convergence, we want to see what elements affect the image of extended brands. And we also want to find out how the innovativeness of consumers moderates the process.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perceived quality of the original brand is, the better the image of extended brands is. Second, the image of extended brands is better when consumers perceive products fit well together. Third, the image of extended brands is better when the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brand extension is positive. Fourth, the degree of effect which the perceived fit between the two product categories - the product category of the original brand and of the extended brand - have on the image of extended brand is relatively high with the group of higher innovativeness. Therefore, in order to extend brands successfully, the perceived quality of the original brand, the familiarity of the original brand, the perceived fit between the product categories of the original brand and the extended brand,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s the brand extension, and the innovativeness of consumers are important factors. Also, it may be necessary to segment consumers by their innovativeness and build different brand strategies for each market when extending brands.

      • KCI등재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성숙(An, Sung Sook),최은정(Choi, Eu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탐색함으로써 보육교사 실천적지식의 중요성을 재조명해 보고, 나아가 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에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2월부터 2021년 9월까지 경기도 S시 B어린이집의 2학급을 참여관찰 하였으며, 담임교사 2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관찰은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를 중심으로 그림책 읽기 활동과 확장활동을 포함하여 총 36회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참여관찰일지, 면담전사본, 연구일지 등이며, 자료를 범주화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는 질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그림책읽기에서 보육교사는 유아중심 교육과정을 수행하는 실천적 지식을 드러내고 있다. 둘째, 교사는 교육과정을 관행적으로 수행하는 실천적 지식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교사는 안전과 도전의 딜레마 상황에서 자신의 신념과 관여된 실천적 지식을 드러내고 있다. 넷째, 교사는 경험으로 축적되어 온 암묵적인 실천적 지식을 드러내고 있다. 결론 본 연구는 가시적이고 명시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교사들의 삶을 통해 형성되고, 교수행위에 암묵적으로 녹아져있는 실천적 지식을 이해함으로써 보육교사의 경험으로 체화된 실천적 지식의 의미를 드러낸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importance of practical knowledge of child care teachers by exploring practical knowledge of child care teachers in picture book read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practical knowledge of child care teachers. Methods For this two classes of B Chile Care Center in S city, Gyeonggi-do were observed from February 2020 to September 2021, and two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observation was conducted 36 times including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nd expansion activities from 10:00 am to 12:00 am,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is method which categorizes and analyzes data inductively, including participation observation journal, interview transcript, and research journal. Results First, in picture book reading, child care teachers reveal practical knowledge of performing child-centered curriculum. Second, teachers reveal practical knowledge that performs the curriculum conventionally. Third, teachers reveal practical knowledge related to their beliefs in the dilemma of safety and challenge. Fourth, teachers reveal the tacit practical knowledge which has been accumulated through experience.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t that it revealed the meaning of practical knowledge accumulated through experience of child care teachers by understanding the practical knowledge which is formed through the life of teachers and tacitly dissolved in teaching behavior even if it is not visibly and explicitly revealed.

      • KCI등재

        서비스 제공 유형이 서비스 회복 결과에 미치는 영향 - 고객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성숙 ( Sung Sook Ahn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1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 상황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그리고 고객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 회복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종업원을 통하여 주문을 하는 경우와 고객 스스로 키오스크를 통하여 주문을 하는 경우를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서비스 실패 상황을 맞이했을 때 고객이 느끼는 불편감, 서비스업체로부터 서비스 회복의 노력이 이루어진 후 고객이 느끼는 회복에 대한 만족감, 그리고 고객이 느끼는 지각된 통제감에 관해 실증하는 연구이다. 실증을 위한 자료는 총 201명이 참가한 실험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결측치를 제외한 187개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서비스 실패 상황의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유형(종업원 vs. 키오스크)에 따라 무작위로 배정되었고, 그 다음 시나리오에서는 서비스 회복 활동을 제공 받았다는 내용이 제시되었다. 분석 결과, 키오스크를 사용한 집단의 고객이 종업원에게 서비스를 제공 받은 집단보다 서비스 실패 시 절차적 공정성을 높게 느낄수록 서비스 이용에 있어 불편감을 높게 지각했다. 또한 서비스 실패 이후, 서비스 회복의 노력이 서비스업체로부터 제공되면, 키오스크를 사용한 집단의 고객이 종업원에게 서비스를 제공 받은 집단보다 분배적 공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서비스 회복에 대한 만족감이 높았다. 게다가 키오스크보다 종업원일 때 서비스 회복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수록 서비스 이용과정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이 높았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가 발생하더라도 절차적 공정성과 분배적 공정성이 높은 서비스 회복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서비스 실패를 만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실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가치가 있다. 향후 레스토랑 이외에도 항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업종의 현장에서 서비스 회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규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서비스매장의 매출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n service recovery results in situations of service failure depending on the types of service provided to customers and customer traits. Specifically, this study has examined two cases of making orders through a server and a customer ordering by him-/herself through the kiosk;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nconvenience felt by the customer, satisfaction felt by the customer when service recovery efforts are made by the servicing firm, and the perceived level of control felt by the customer in situations of service failure. Data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llected through an experiment consisting of a total of 201 participants, and 187 sets of data were used,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value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ervice types (server vs. kiosk) using a service failure scenario, and the subsequent scenario involved the provision of service recovery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ustomers using the kiosk felt a higher level of inconvenience in service utilization compared to the group attended by a server during service failure, when they felt a higher level of procedural justice. Furthermore, the customers in the kiosk group ha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ssociated with service recovery when they perceived a higher level of distributive justice, compared to the group that was attended by a server. Moreover, customers had a higher level of perceived control over the service process when they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service recovery, in scenarios attended by a server rather than in scenarios where the customers were serviced by the kiosk.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as it has empirically proven the possibility of recovering from service failures through service recovery activities with high level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This study also has a practical value as it ultimately presents ways to increase revenues in service-based stores by identifying conditions for raising the satisfaction level associated with service recovery in restaurants, as well as in various service-based establishments such as airline service desk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여행객의 보유 자원유형이 지각된 공항면세점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 - 출국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성숙,김문섭,김동태 한국항공경영학회 2020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ources’ types on consumers’ perceived shopping value at Incheon Airport duty-free shops. The types of resources as precede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time resources and money resources. And values of duty-free shopping as antecedent variables which were divided into hedonic and utilitarian values and the degree of departure experiences for airport users. Scenarios were presented to 39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n they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2 (resource type: time vs. money) × 2 (departure experience: majority vs. minority) between-subjects design was conducted by using two-way ANOV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with regard to the enjoyment of shopping, in the group with a lot of experience of departure, people with money resources perceived higher hedonic value than those with time resources, and in the group with less experience of depar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resources.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usefulness of shopping, in the group with less experience of departure, those with time resources perceived higher utilitarian value than those with money resources. We interpret that people with a lot of departure experience have already known what to buy, so they feel pleasant when it comes to spending a lot of money, while people with less experience of departure think shopping is useful when they have enough time to decide what to buy. This study has academic value in that it demonstrates how airport users perceive the utilitarian or hedonic values of shopping depending on the types of resources which they have. In addition, it provides a practical contribution that suggests a way to increase sales of duty-free shops in Incheon Airport by identifying conditions that could increase shopping value.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보유한 자원(시간 자원, 돈 자원)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지각하는 쇼핑의 가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나아가 소비자 보유자원과 쇼핑가치 간 관계에서 소비자의 경험정도는 어떤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을 위한 자료는 총 390명이 참가한 실험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시나리오를 이용한 2(자원유형: 시간 vs. 돈) x 2(출국경험: 다수 vs. 소수) 집단 간 설계를 통해 이원분산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쇼핑의 즐거움과 관련해서는 출국경험이 많은 집단의 경우 시간 자원을 가진 사람들보다 돈 자원을가진 사람들이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국경험이 적은 집단에서는 보유자원 유형 간에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했다. 반면, 쇼핑의 유용성 지각과 관련해서는 출국경험이 적은 집단의 경우 돈 자원을 가진 사람들보다 시간 자원을 가진 사람들이 더 높게 지각하였고, 출국경험이 많은 집단에서는 보유자원 유형 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했다. 출국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이미 무엇을 구매할지 잘 알고 있으므로 돈을 많이 쓸 수 있는 상황이될 때 쇼핑이 즐겁다고 느끼지만, 출국경험이 적은 사람들은 무엇을 살지 결정할 충분한 시간이 확보될 때 쇼핑이 유용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공항면세점 소비자의 보유자원 유형에 따라 쇼핑의 실용적 가치 및 쾌락적 가치 지각이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가치가 있다. 또한 인천국제공항면세점에 대한 쇼핑가치를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규명함으로써 인천국제공항면세점 매출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실무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서비스 진정성이 고객만족과 구전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항공사 서비스를 중심으로 -

        성숙 한국항공경영학회 2018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6 No.1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a solution to enhance reuse and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profitability of airlines, by increasing the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of airline services. First, the study has investigated the direct effect of the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on reuse and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s, and then has revealed the indirect effect of service authenticity on reuse and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s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The data from 336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21.0.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customers’ perceived service authentic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owards airline services. Also, results have shown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reuse and positive word- of-mouth intentions. Service authenticity directly influenced reuse and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s as well. The current study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service authenticity in the airline industry by demonstrating how increasing service authenticity enhances reuse intentions,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s and customer satisfaction. Moreover,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literature on the airline service by establishing the mechanism that the service authentic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reuse and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s. 본 연구는 항공업체들의 수익성 개선을 위하여 항공 서비스 진정성 제고를 통해 긍정적인 구전의도와 재이용의도 증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항공 서비스에 대하여 고객이 지각하는 진정성이 구전의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살펴본 후 서비스 진정성이 만족을 거쳐 구전의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33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했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했다. 연구 결과, 고객이 항공사 직원의 서비스 진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항공사의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가 높아졌다. 또한 고객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항공사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재이용의도와 긍정적 구전의도가 증가했다. 본 연구는 항공사들에게 서비스 진정성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서비스 진정성 향상을 통한 고객만족 제고와 재이용의도 및 긍정적 구전의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또한 고객이 지각하는 항공사 직원의 서비스 진정성이 고객만족을 거쳐 재이용의도 및 긍정적 구전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서비스 진정성이 재이용의도 및 긍정적 구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밝혔다는 점에서 항공서비스 분야에 이론적으로 기여한다.

      • 항공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진정성이 재이용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객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숙,김문섭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6 No.-

        본 연구는 저가 항공사 진입으로 계속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항공 서비스 시장에서 항공사들이 고객의 행동의도적 충성도인 재이용 의도와 긍정적 구전의도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보다 작아진 시장점유율 때문에 고객의 재이용 의도와 긍정적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진정성이 재이용 의도와 긍정적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며, 진정성이 이들 행동의도적 충성도에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 변수로 고객 만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청, 강원도 지역 소재 대학에서 경영학과 수업을 듣는 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에 일주일 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이용 경험이 없는 설문 응답자와 결측값이 포함된 응답을 제외한 33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이 항공사 직원의 서비스의 진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항공사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재이용 의도와 긍정적 구전의도가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둘째, 고객이 지각하는 항공사 직원의 서비스의 진정성이 항공사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재이용 의도와 긍정적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항공사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의해 조절된다. 즉, 소비자들이 항공사 직원의 서비스 진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해당 항공사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며, 항공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해당 항공사에 대한 소비자의 재이용 의도 및 긍정적 구전의도가 증가한다. 본 연구는 특히 저가 항공사들에 의해 시장점유율을 빼앗긴 Full Service Carrier들이 경쟁우위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진정성있는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 만족을 실현하도록 할 것을 제안하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