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류, 한국의 문화적 현대성

        신종화,최석호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5 No.-

        The Korean wave has been one of the major cultural themes, as well as well-being, in Korea since 2000. A global focus on the Korean wave has provoked various discussions on the emerging power of Korean culture and its reality. In spite of the fact, many writings in this flow only highlight either on the practical value of the Korean wave and its nationalist character or its problems related to cultural industries. This paper aims at interpreting the Korean wave a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roject of modernity in Korea. Focusing on the historical understandings of modernity and culture, explained is the way in which the Korean wave develops and changes in the cultural sphere of Korea and abroad.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Korean wave embedded itself in context of contested modernities and multiple cultural environments has so many different faces. Both arguments, an analysis and critique of the Korean wave as a product of Korean nationalists or cultural industries, are reaching the limits of explanation. 한류韓流(the Korean wave)는 웰빙(well-being)과 더불어 2000년대 이후 한국문화의 큰 화두가 되고 있다. 해외에서의 한류열풍은 한국문화의 역량과 현실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진척시켜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류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관점들의 상당수는 한류의 실용적 의미와 민족주의적 가치에 집중하거나, 문화산업적 특성의 문제점들을 지적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 논문은 한류를 한국에서 현대성의 문화적 특성과 기획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현대성과 문화에 대한 역사적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한국과 해외의 문화적 공간에서 한류가 전개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경쟁하는 현대성의 맥락과 복합적인 문화환경 속에서 배태된 한류 역시 여러 개의 얼굴을 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한류를 민족주의적 시각에서 분석 또는 비판하거나 산업적인 측면으로만 간주하는 시각은 심각한 오류를 안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지적한다.

      • KCI등재

        한국적 여가개념사 연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행정관료의 여가에 대한 태도

        신종화 여가문화학회 2013 여가학연구 Vol.10 No.3

        여가(Yeoga) is not a simple translation of leisure. It had had about five hundred years’ own history before it began to use leisure’s translation. The author intends to a philological analysis in this paper for identifying in which context 여가(Yeoga) was mobilized for a long time. With help of the analysis, historical evidences of the mode of circulating the word, (Yeoga) are suggested and continuously a short summary of its conceptual history is attempted. First, the necessity of the conceptual history of 여가(Yeoga) is raised and its methodological specificities are introduced. Second, the usages of the text,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are introduced in list: chronologically; the-speaker-and-listener-order; in individual sentences. Next, the usages of 여가(Yeoga) in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are interpreted in the more generalized theoretical level with a regard to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discourse of 여가(Yeoga). Work-oriented, time-oriented and role-model recommending discourses are introduced. In conclusion, further research agendas are suggested upon the limits of this study. 여가는 레저의 단순한 번역어가 아니다. 레저의 번역어로 사용되기 전에 적어도 대략 500년의 이전 기록을 갖고 있다. 이 글은 여가라는 용어가 어떤 맥락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는가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시도한다. 이를 바탕으로 여가가 이해되고, 회자되어 온 방식의 역사적 근거를 제시하고, 개념사적 요약을 시도한다. I장에서는 한국적 여가 개념사 연구 발전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방법론적 특징을 소개한다. II장에서는 연구 대상인 「조선왕조실록」에서 여가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용례를 정리한다. 연대기별, 대화 주체와 대상별, 개별 문장 용례 등을 소개한다. III장에서는 보다 일반론적인 차원에서 「조선왕조실록」의 여가 용례를 한국적 여가 담론의 특징과 관련하여 해석한다. 일 중심, 시간 중심, 여가역할모델 추천담론 등이 소개된다. 결론(소결)에서는 이 연구의 제약과 시사점 정리를 통하여 추가적인 연구방향성을 모색한다.

      • 한국에서의 근대성의 전개에 관한 역사사회학적 이해

        신종화 한국사회학회 2003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 No.-

        이 글의 목적은 14세기 말이후부터의 한국 정치의 장기적인 역사적 변동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관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3가지의 질문들에 대한 사회학적 답변형태로 한국 정치의 전반적 윤곽을 그려내고자 한다: 어떤 종류의 정치적 사건들이 발생해 왔는가?; 어떤 쟁점들로 말미암아 주요한 정치주체들의 참여가 있어왔는가?; 이러한 행위자들이 어떻게 그들의 정치적 지향을 실천 속에서 보여왔는가? 이 글에서는 ‘근대성’이라는 개념을 정치적 행위자들의 대안적 지향들의 구체화를 지적하기 위해 사용한다. 아울러 이 글에서는 근대성을 우리가 독점적으로 즐기는 현재의 시대적 품격을 일컫는 것으로 사용하는 일반적 용례를 반드시 받아들일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한편, 1990년대 이후부터 일군의 비교역사 사회학자들 사이에서 논의되어 왔던 ‘여러 근대성’ 담론에 대해 평가를 시도한다. ‘여러 근대성’ 담론안에 다양한 흐름들이 있음은 사실이지만, 이 담론이 비교 역사 사회학적 틀 속에서 연구되어질 때, 비교 역사 사회학이 안고 있는 어떤 한계 - 영역별 (지역별) 개념화와 비교들 -가 심각하게 ‘여러 근대성’ 담론에 투영된다. 만약, ‘여러 근대성’의 제목아래 한국의 경험이 다른 지역들의 경험과 양립할 수 있다면, 집합적 형태로 표출되는 인간들의 실천들, 그들 자신의 정치적 지향들, 그리고 어떤 영역 안에서 다른 행위자들과 맺는 관계들이라는 것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 KCI등재

        동양사회사상과 ‘여가’ 개념의 쟁점들 - 현대성, 문화, 정책 및 철학적 기초를 중심으로

        신종화 동양사회사상학회 2010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

        For the last ten years up to 2010 this year, alongside of increased inter-disciplinary interests in the topic of leisure, considerable are research outcomes in leisure studies in terms of its quantitative increase. Most of them are, however, likely concentrated upon the analytical evaluation of leisure activities from generations, social stratifications, gender and family types. By the way, highly limited are theoretical approache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fundamental evaluation of policy discourses, whereas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leisure-related institutions and the discourse on leisure policy are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of leisure discourses in order to develop leisure studies as the field in which human condi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and the alternative proposals are suggested and more easily practically real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veil these problems more visibly, by way of classifying typologically issues around the conceptualization of 'leisure'. For the last five years, the researchers in the East Asian thoughts have contributed themselves to recognize these problems and to think the alternatives to them. Based on this kind of evaluation, major issues ar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the limitation of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concept of leisure, second, the interpretativ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lurality and the concept of leisure, third, the confusion of leisure as policy terminology, and fourth, the philosophical tension in setting the normative direction of leisure policy. Through this classification, the merits of the conception of leisure as theoretical resources for modernity are partly suggested. 2010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난 십여 년 동안, 여가에 대한 학제적 관심이 증가해왔다. 더불어 여가학 분야의 연구성과가 양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성과가 세대별, 계층별, 사회적 단위별 여가활동에 대한 분석적 평가에 집중되고 있는 경향이 짙다. 한편, 여가기구의 제도적 설치 및 여가정책 담론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정책담론의 심층적 평가를 위한 이론적 접근이 부족하다. 사회과학의 응용분야로서 삶의 편리성을 증가시키는 여가학이 아니라, 인간 삶의 본질적 특징들이 논의되고, 그 방향성에 대한 제언 생산과 실천이 가능한 여가학이 되기 위해서는 여가 담론의 현재적 문제점들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 글의 목적은 ‘여가’ 개념을 둘러싼 쟁점들을 유형적으로 분류함으로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다 가시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이다. 동양사회사상학계의 지난 5년 동안의 여가연구 성과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의 파악과 대안구상에 대한 긍정적 기여를 해왔다.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첫째, 여가 개념의 역사적 형성의 한계, 둘째, 문화적 다양성과 여가 개념의 해석 관계, 셋째, 정책 용어로서 여가의 혼란, 넷째, 여가정책의 규범적 방향에 대한 철학적 긴장 등으로 쟁점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류를 통하여 현대성의 이론적 자원으로 여가개념이 갖는 특징들을 가시화시킨다.

      • KCI등재

        탈현대성 담론의 재해석

        신종화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3 No.-

        현대성 담론에 등장하는 현대성의 반테제로서 탈현대성에 대한 논의에는 몇 가지 이론적 문제점이 노정된다. 첫째, 시대로서의 탈현대와 시대정신으로서 탈현대성에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많다. 둘째, 시대정신으로서 탈현대성의 지성사에 대한 논의에서 현대성 일반에 대한 협소한 이해가 자주 등장한다. 셋째, 현대성 ‘내부’의 자기 비판적인 성찰로서의 탈현대성 논의는 기존의 현대성 담론의 인식론적 한계를 역시 내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성에 대한 주류적 이해가 갖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대안적인 제언을 마련하고자 하는 탈현대성 논의를 동양사상의 유교적 전통과 비교를 함으로써, 탈현대성 담론의 함의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이 논문은 비교방법을 통해서 탈현대성과 유교사상의 이론적 자원들과 전개방식에 대해서 심화된 연구를 하고자 한다. Rethinking Postmodernity -Theorizing Modernity for Confucianism in the Postmodern Age- Shin, Jong-Hwa, Institute of Social Research, Korea University. Three theoretical problems, at least, are uncovered on the way of discussing postmodernity as the antithesis of modernity. First,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postmodernity as the epochal spirit and the postmodern as the epoch is rather obscure in the usages. Second, the narrow-minded understanding on modernity is quite often discovered in the discourse on postmodernity as the epochal spirit in the intellectual history. Third, the ‘postmodernity’ discourse as the role of self-critique of modernity as a whole also shows some epistemic limits which are common in the conventional discourse on modernity. The postmodernity discourse, criticizing the problems of modernity on the way for preparing alternatives, however, unveils its meaningful implications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Confucian tradition in the Eastern Thought. This paper aims at a comparative analysis for an advanced understanding of postmodernity and Confucianism with identifying their theoretical resources and the modes of representations.

      • KCI등재

        현대성의 발현으로서의 유럽통합: 사회이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신종화 한국유럽학회 2006 유럽연구 Vol.22 No.-

        ‘European integration’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social theory as well as international relations, which does research the integration process of political institutions. Especially, in the theories of modernity, which is classical and one of the key themes in the social sciences, European integration can be suggested as a crucial topic for the critique of the conventional discourses of modernity. For instance, modernity as the political project leading the change of polity is able to be reinterpreted with the help of investigating the nation-state in a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formation of the nation-state and its institutional embodiments, on the one hand, and its transformative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political community, on the other.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institutional integration of Europe as regional community is a major modern political project in the twenty-first century as much as the nation-building project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Europe. Thus, modernity can be theoretically understood as the representations of historical projects which are reconstructed by specific epochal problematique rather than political institutions and actors' mode of practices which are pre-fixed as ‘stereo-type’ in the modern age. 유럽통합은 정치제도의 통합과정을 연구하는 국제정치학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이론분야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특히 사회과학의 고전적이며, 핵심적 주제인 ‘현대성’ 이론에서, 유럽통합은 기존의 현대성 담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예로서 제시될 수 있다. 이른바 현대성의 정치적 특징들 중의 하나로 파악되는 민족국가(국민국가)의 형성과 제도적 구체화를, 지역공동체의 발전 속에서의 민족국가의 전형(轉形) 및 변화(transformation)를 통해서, 현대성의 역사적인 발현으로 이해함으로써 정체(polity)의 변화과정을 유도하는 정치적 프로젝트로서의 현대성에 대한 재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글을 통해서 필자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지역공동체로서의 유럽의 제도적 통합은 민족국가의 건설을 목적으로 했던 19세기의 정치적 현대성의 발현만큼이나 21세기의 현대적 정치 프로젝트이다.”이것은 곧, 현대성은 어떤 고정화된 정치제도와 주체들의 운영방식이 아니라, 당면한 시대적 과제들에 의해서 재구성될 수 있는 역사적인 발현물과 그 성격임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