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계적 작동원리에 기초한 효과적인 대학 취업지원 방안 연구

        안기돈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3

        우리나라 15~29세 청년취업률은 2016년 2월 12.5%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고 20대 중반 이후의 실질적인 청년 체감실업률이 31.1%를 기록할 정도로 청년실업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대학 취업률 제고를 위해 대학 및 교육부는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및 지원하고 있지만, 최근 대학생 취업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악화되는 청년실업은 우리나라 경제가 장기적인 경기침체 겪으면서 고용이 증가하지 못하는 문제와 청년고용시장의 미스매치가 근본적인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매우 오랜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청년실업을 해결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시급한 것은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 취업률 제고를 위해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현대 경제․사회 대부분의 분야에서 작용하고 있는 생태계적 작동원리를 분석하여 대학 효과적인 대학 취업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생태계적 핵심 작동원리는 관련 주체가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생태계적 작동원리 개념에 기초하여 충남대학교 취업지원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여 대학 취업지원 생태계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른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충남대학교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취업지원 핵심 부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부 사업을 진행하는 학과 및 부서에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생태계적 작동원리가 강조하는 관련 주체들 간의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운영되고 있고 있다. 대학 취업지원 생태계 모형은 대학 본부 및 취업지원부서, 학과 및 단과대학, 졸업생 , 기업 등 관련 주체들 간의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본 연구는 또한 대학 취업지원 생태계 구축을 위한 실질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하였다. 취업지원부서는 대학 취업지원 관련 주체들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학과 및 단과대학은 대학생 취업지원을 직접적으로 책임지는 조직답게 다양한 취업교과목, 비교과 프로그램, 지도 등을 통해 대학생 취업을 지원해야한다. 졸업생 및 기업은 대학생의 취업준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주체이기 때문에 대학 취업지원 생태계에 반드시 참여시켜야한다. The monthly unemployment rate of 15 to 29 year-old youth was 12.5% in February 2016 which is the highest since 1999 in Korea. If the rate of NEET is included in the youth unemployment, the real unemployment rate which the youth in late 20s experiences in reality is 31.1%. Therefore, the many universities have operated a variety of programs to support job preparation of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financed these employment aid programs of universities by spending a lot of budget. However, the employment rate of college students has recently decreased in a row. The fundamental problems of rising youth unemployment are widely believed that the long-term economic recession and the mismatch of youth job market. Because of the long-term economic recession, the firms have decreased their employment of new workers. The mismatch problem of youth job market has existed for a long time in Korea. It is very difficult and takes a long time to solve these two fundamental problems of youth unemploymen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the effective way to operate a variety of programs to support job prepa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most effective way of operating employment aid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rateg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university programs of supporting a job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Even though many universities have operated a lot of employment aid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little literature has analyzed the effects of employment aid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no literature of analyzing employment aid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ecosystem operation. Therefore, this article provides the principle of the ecosystem which operates in the economy and society by analyzing startup and innovation ecosystems. The startup and innovation ecosystems imply that the key principle of ecosystem in the most fields of society and economy is to stimulate the collaborative interaction among the actors. This key principle of ecosystem suggests that the most effective way of operating employment aid programs is the ecosystem which facilitates the collaborative interaction among the actors to support the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derived the implications for the university ecosystem to support the student employment by analyzing the programs operat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rogram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re not operated based on the principle of ecosystem. The program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re operated by individual department. The departments have not organically collaborated and cooperated to operate effectively their programs. The model of the university ecosystem to support the student employment requires the organically collaborative interaction among a job supporting office, departments, alumni, and firm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e action programs to establish the university ecosystem to support the student employment. The job supporting office plays a role of platform by building a bridge for collaborative interaction among department, students, alumni, and firms. Each department supports the job preparation of students with the job preparing classes, a variety of non-class job preparation programs, advising and mentoring programs, etc. The job supporting office and department need to involve the alumni and firms in the university ecosystem to support the student employment because the alumni and firms tend to make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job preparation of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들의 유스호스텔에 대한 이미지가 이용에 관한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권점옥,이희열 한국외식경영학회 2011 외식경영연구 Vol.14 No.4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how college students' image of a youth hostel is 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of and behavioral intention to a use of the youth hostel.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data were collected by college students who attend at universities located in the areas of Seoul, Kyungki and Kangwon Province from October 15 to December 5, 2010. To analyze the data, such statistics tests as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reliability test, and multiple liner regression were used. Results showed that the image of a youth hostel is regressed on satisfaction of and behavioral intention to a use of the youth hostel. The image of cheap and affordable youth hostels was partially not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while the image of variety and satisfaction in a youth hostel positive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two factor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satisfaction are regressed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a youth hostel. Findings suggest not only a need of reforming the image of youth hostels as a cheap and affordable youth hostel that leads customers to expect a lower quality service, but also a need of activating the image of variety and satisfaction in a youth hostel. to increase a motivation to revisit or recommend youth hostels to friends and families.

      • KCI등재

        청소년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한정란(Jung Ran Han)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4

        본 연구는 대학생 474명과 중·고등학생 217명 등 총 691명(남학생 477명, 여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의 남녀 노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응답자의 성별 및 학교단계, 조부모 동거요인에 따른 남녀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쌍의 반대되는 형용사 쌍으로 구성된 의미분화척도인 Senders 등(1984)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응답자들은 70세 남녀노인에 대하여 Likert 7점 척도로 응답하였으며, 문항별 태도점수의 중립 범위는 3.5~4.5로 규정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다소 부정적이며, 특히 노인들의 보수성에 대하여는 더욱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들은 남성노인보다 여성노인에 대하여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생들이 대학생들보다 남녀 노인에 대하여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학생들에 비하여 남학생들이 노인에 대하여 더 긍정적이었으며, 조부모 동거요인에서는 과거와 전체적인 동거경험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남성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여성 노인에 대한 태도와 사이에는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며, 태도와 성별, 학교단계 간에 의미 있는 상관이 발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using a sample of 691(99 of middle school students, 118 of high school students, and 474 of college students). The instrument consists of a 20-item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eveloped by Sanders et al.(1984). Using a semantic differential format, the respondents evaluated 70 years-old elderly separated by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ere slightly negative. ② Their attitudes toward female targets were significantly more positive than male targets. ③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viewed the elderly sigruficantly more positively than college students did. ④ Femal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ere significantly more positive than male respondents'. And the respondents who ever lived with grandparents viewed female targets sigruficantly more positively than other respondents. ⑤ Youths' attitudes toward male and female targets related sigruficantly to gender, school level, whether ever having lived with their grandparents. Finally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in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세대 담론에 관한 연구: 온라인 토론’을 중심으로

        정효진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ourse process of the young generation formed through online discussion by presenting the topic of "Is the current 20s the generation facing the most difficulties in history?" in the LMS discussion room. The analysis showed that out of 136 college students, 60 were in favor, and 76 were in opposition, with opposition outnumbering Yes. Based on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discussion room,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echnique of Fairclock was appli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text level, discourse level, and socio-cultural performance level. In the case of favor, the discourse on job competition, the discourse on the negative emotion, the discourse on the generational conflict, the discourse on the generation pause, and the discourse on economic polarization were categorized. On the opposite side, the discourse on the historical situation, the discourse on hope and opportunity, the discourse on the search for alternatives, and the discourse on relativity were categorized. In the discourse-level analysis, an inner relationship was formed: 'Generation Conflict discourse-Generation empathy discourse', 'Discussion on negative emotions-Discussion on hope and opportunity', and 'Discussion on employment competition-An Alternative Exploration discourse'. In the analysis of the socio-cultural performance level, the recovery of youth's activeness, who still possesses significant power, served as a clue for solving the youth generation problem in the future, as a group that will change society and make the fundamental changes in social and structural contradictions through the discourse of social and structural approaches and the discourse of individual self-reliance approach. Through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observed what has not been captured in the existing youth discourse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youth, and established a new discourse for the youth generation. 본 연구는 LMS 토론방에 ‘지금의 20대는 역사상 가장 어려운 세대인가’라는 토론논제를 제시하여 온라인 토론을 중심으로 형성된 청년세대 담론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36명의 대학생 중 찬성이 60명, 반대가 76명으로 나타나 반대가 찬성보다 더많았다. 그리고 토론방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텍스트 차원, 담론적 차원, 사회문화적 수행 차원의 함의들을 살펴보았다. 텍스트 차원에서는 찬성의 경우, 취업 경쟁에 관한 담론, 부정적 정서에 관한 담론, 세대갈등에 관한 담론, N포 세대에 관한 담론, 경제 양극화에 관한 담론이, 반대 측에서는 역사적 상황에 관한 담론, 희망과 기회에 관한 담론, 대안 탐색에 관한 담론, 상대성에 관한 담론이 범주화되었다. 담론적 차원의 분석에서는 ‘세대갈등 담론-세대 공감담론’, ‘부정적 정서에 관한 담론-희망과 기회에 관한 담론’, ‘취업 경쟁에 관한 담론대안 탐색에 관한 담론’이라는 내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사회문화적 수행 차원의 분석에서는 사회 구조적 접근의 담론과 개인 주체적 접근의 담론을 통해 사회 구조적 모순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와 사회를 바꾸어나갈 집단으로서 여전히 유효한 힘을 지닌 청년의 능동성 회복이 앞으로 청년세대 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로 작용하였다. 이를 통해본 연구는 청년의 주체적 시각으로 기존의 청년세대 담론 연구에서 포착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하고, 새로운 청년세대 담론을 구축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동물상징 성격유형검사(ASPT)결과를 통해 나타난 최근 대학생 성격유형

        안명숙(MyungSook Ahn) 한국인형치료학회 2024 인형치료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상징 성격검사(ASPT)의 결과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근 청년대학생들의 성격유형을 살펴보아 이들에 대한 심리적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다. 동물상징 성격검사(ASPT) 검사 결과지 30개의 보유데이터에 대하여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최근 청년대학생들의 성격유형은 ‘주도/통제’의 성격유형, ‘경계/방어’ 성격유형, 적응/수동 성격유형, ‘지킴/수호’ 성격유형 그리고 ‘자유/산만’ 성격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중 가장 우세한 성격유형은 ‘주도/통제’ 성격유형이다. 최근 대학생들은 기본적으로 ‘힘’과 ‘주도성’에 대한 욕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자신의 삶의 영역을 통제하기 원하고 있으며, 타인의 간섭에 지극히 경계하고 방어하는 독립적 성향이 강하다. 반면 다수에게서 ‘적응/수동’의 상반된 성격의 유형이 공존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주도/통제’ 성격과 정반대인 ‘적응/수동’ 성격으로 대학생들의 성격이 양극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주도성’과 ‘순응성’의 이 양극화된 성격들 가운데, ‘개’로 표현되는 ‘책임감’ 성격과 ‘고양이’로 대변되는 ‘자유’의 성격이 또 다른 양극화를 이루고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최근 대학생들의 성격이 ‘주도성’ 과 ‘순응성’ 그리고 ‘자유’와 ‘책임’의 양극화된 성향을 밝혔다는 점이다. 추후 대학생들의 양극화된 성격유형의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수 있는 초기단계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Using the big data analysis program ‘TEXTOM,’ the personality types of recent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imal Symbol Personality Type (ASPT) test, which included data from 30 individual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edominant personality types among these students are ‘Dominant/Controlling,’ ‘Boundary/Defensive,’ ‘Adaptive/Passive,’ ‘Protective/Guardian,’ and ‘Free/Sporadic.’ Among these types, the ‘Dominant/Controlling’ personality type emerged as the most dominant. Recent college students seem to possess a desire for ‘power’ and ‘assertiveness’ as fundamental traits. In essence, they strive to control their own lives and exhibit a strong independent tendency, while being highly cautious and defensive against interference from others. Conversely, a contrasting personality type of ‘Adaptive/Passive’ coexists in the majority. The polarization of personalities between ‘Dominant/Controlling’ and ‘Adaptive/Passive’ is evident among college students. Within this polarized spectrum of ‘assertiveness’ and ‘compliance,’ another polarization is observed between the ‘responsibility’ personality, represented by a ‘dog,’ and the ‘freedom’ personality, symbolized by a ‘ca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revealing the polarization of personalities among recent college students, characterized by the dichotomy between ‘assertiveness’ and ‘compliance,’ as well as ‘freedom’ and ‘responsibility.’ This study serves as an initial exploration for further discussion on the implications of polarized personality types among youth in the future.

      • KCI등재

        고교시절 청소년활동이 대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시연(Si-youn Lee),강현아(Hyunah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이 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활동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 전문대학교 청소년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고등학교 시기(17-19 세)에 참여한 청소년활동 실태와 자아존중감, 행복감 및 리더십생활기술을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차에 걸쳐 총 260부를 배포하였고, 23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이 증가할수록 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이 증가하였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리더십생활기술이 증가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은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과 대학생 리더십생활기술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 경험을 통해 성인기에 필요한 역량 개발을 도울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인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years on the leadership life skills of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happiness. For the purposes, we investigated the youth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years of college students had experienced. We also measured self-esteem, happiness, and leadership life skills of the students. We surveyed 260 students and analyzed the data of 234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and leadership life skills. Second, self–esteem and happines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th activity and leadership life skil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help youths develop competency needed for adulthood through participating youth activities.

      • KCI등재

        학벌과 출신 지역의 미디어 재현과 청년세대의 감정구조 : 지역 청년과 지방대생의 취업 과정을 중심으로

        나진희,류웅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3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6 No.1

        In South Korean society, the region of origin and academic background have multiple socio-cultural meanings.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region of origin and academic background have more influence on the young gener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region of origin and academic background being reproduced in the media and focuses on the structure of feelings that appear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employment process of young people, belong to a specific group. For in-depth interviews on this issu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pecified as local youth and provincial college students, and their structure of feelings were examined in the broader context of neoliberalism. For this, using Raymond Williams' concept of structure of feelings, we analyzed the local youth’social desires and needs. Especially, in order to explore the areas of origin and academic background that are reproduced in the media, textu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elevision programs that directly deal with the hardships experienced by the young generation and pay close attention to local universities and region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s on actual young people along with textual analysis. The objects of the textual analysis were the KBS <Kim Yu-jin: Story of a Local University Student> (documentary), tvN <Misaeng> (TV drama). We found that young people today are accepting discrimination and unreasonable systems in the context of fairness and social legitimacy. Eventually, this degreeocracy was creating another socio-cultural prejudice by injecting a sense of helplessness, deprivation, compliance with the unfair system. We also found that local characteristics and familyism were internalized for local youth and provincial college students. 한국 사회에서 출신지역과 학벌은 사회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청년세대에게 출신지역과 학벌은 정서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입시와 취업, 결혼 등 생애주기 전반에 구체적이고 밀접한 연관을 지님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에 재현되고 있는 출신지역과 학벌을 중심으로 특정 집단에 속해 있는 청년들의 입시 및 취업과정에서 나타나는 감정구조에 주목한다. 출신지역과 학벌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지역청년과 지방대생으로 연구대상을 특정하고, 이들의 감정구조를 신자유주의의 맥락에서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레이몬드 윌리엄즈(Raymond Williams)의 ‘감정구조’(structure of feelings)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했고 이를 활용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미디어에 재현되는 출신지역과 학벌을 살펴보기 위해 청년세대가 일상적으로 겪는 고충을 사실적으로 다루고 지방대와 지역에 주목하는 두 TV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면밀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텍스트 분석과 함께 이러한 감정구조가 실제 청년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사회 문화적함의를 효율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심층 인터뷰를 혼용하였다. 텍스트 분석의 대상으로 KBS 스페셜 <우리반 15등 김유진: 지방대생 이야기> (다큐멘터리)와 tvN의 <미생> (드라마)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오늘날의 청년들은 학벌주의적 사고와 연동하는 차별과 불합리한 제도를 공정과 사회적 정당성의 맥락에서 받아들이고 있었다. 또한, 학벌주의적 가치와 세계관을 내면화하고, 학벌의 획득으로 결정되는 승자독식 체계에 순응하며 차별과 경쟁을 합리화하고 있었다. 학벌주의 사고는 무력감과 박탈감, 잘못된 체제에 대한 순응과 타협을 끊임없이 주입하며 또 다른 사회문화적 편견을 생성하고 있었다. 나아가 부모의 교육열, 집안의 경제적 수준, 부모와의 유대관계가 입시 과정과 취업 과정에 큰 영향을 끼치는 등, 지역적 차이와 경제적 수준의 격차를 생성하고 있었다.

      • KCI등재

        1960~70년대 베스트셀러 현상과 대학생의 독서문화-베스트셀러 제도의 형성과정과 1970년대 초중반의 독서 경향-

        이용희 ( Lee Yong-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1

        This paper examines the bestseller system, its discourse, and the reading culture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bestseller phenomena in the 1960~70's. To explain these includes the formation of the bestseller system, its influences on the reading culture, and the making of a new range of readership, especially college students both as bestsellers' readers and as the main agents of youth culture in the 1970's. The Bestseller system in Korea starts to be built in the early 1960's by the publishing world and the media. The bestseller system includes a list of top-selling during a specific period of time, the economics and strategies of publising industries, the book advertising, choices of books, readers' interest, readers' responses to books. In the making of the bestseller system in 1960~70s' korea, the bestseller system of the United States was actively accepted, emulated, and indigenized. Due to the fact that bestselling books at that time were mainly translated books, the lists of them provide the information on what college students as active consumers of the foreign culture in the 1970s read. In additions, the lists and their contents can show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bildung. The youth culture including Hippie culture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bestseller culture in 1970's.

      • KCI등재

        후기 청소년의 직업특성 평가와 취업자 이미지 차이 연구 : 서비스직업군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훈,진영재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1

        This study was based on 244 college students who are in the department of in-flight 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nursing. The questionnaire was also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perceived the department of in-flight service as the highest followed by department of nursing and the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be important departments in the service occupation industry. Second,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departments and overall image towards the different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F=5.497, p<0.01).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scholastic year in the internal image (F=3.189, p<0.05), but the study showe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majors.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major and a scholastic year in the external image. Statistical significant indifference between majors implied a reflection of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different service occupations. The reason why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scholastic year related with students' thought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ajor since they started their major has been changing.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 대학생의 서비스직업군 직업특성 평가와 취업자에 대한 이미지 차이를 밝힘으로써 취업교육의 방향 설정과 교육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아이디어를 탐색하는데 있다. 직업특성 평가는 취업자 이미지 지각 차이 분석을 위한 보조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스튜어디스, 유치원교사 등 서비스직업군 전공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직업특성 평가와 취업자에 대한 이미지 차이 측정을 위해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측정항목을 개발하여 조사하였으며, 분석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와 스튜어디스에게는 자기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전문적인 업무처리 역량강화가 중요하고, 유치원교사에게는 활발하고 적극적인 사고방식의 직업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선택 결정요소 평가에서 간호사는 정신⋅물질적 보상체계, 유아원교사는 직무의 독립성, 사회적 인식, 스튜어디스는 국제적인 감각 경험과 유망직종 등 때문에 선택한다. 셋째, 서비스직업군 취업자 이미지 측정항목의 중요도는 스튜어디스학과, 간호학과, 유아교육과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 차이 검증에서 학과별(F=5.497, 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내적 이미지에서 학년(F=3.189, p<0.05)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과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과별로 차이가 없었던 것은 서비스 직업영역 간 이미지 유사성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여섯째, 외적 이미지에서는 학과와 학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외적 이미지에 있어 학년별로 차이는 입학 이후 전공학과의 직업특성에 대한 이해도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취약가정자녀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설계의 방향성 연구

        김남숙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취약가정내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는 성공적이며 과학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의 운영 및 성과를 얻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밟았다. 1)문헌연구 2)현장에서 직접적으로 멘토링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 및 교육위원 15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거친 델파이조사를 통해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문헌연구에서는 취약가정자녀들의 공통된 특징으로 교육적 열망의 감소, 기호의 제한, 학교부적응, 부모-자녀 갈등 등 성장의 독소요소들이 많았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멘토를 활용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성공적인 멘토링 프로그램 성과를 얻기 위한 전문가 패널 델파이 결과를 살펴보면 본인들을 위한 수퍼비젼 부재에 대한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멘토선발, 멘토와 멘티의 매칭, 멘토보상, 멘토역량강화에 대한 경험적 의견을 모았고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멘토를 활용한 취약가정자녀 멘토링 프로그램 설계의 방향성을 논의와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Disadvantaged families include single parent family, grandparent- grandchild family, multicultural family, disabled parent family, poor and broken family. There is a great deal of variety in the design and structure of disadvantaged youth mentoring programs for as supplementary service for youth.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direction of design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t delphi researches. The results as follows : 1)the childern with disadvantaged family have weakness points for well-growth 2) expert delphi shows absent supervision for themselves. They give some ideas for mento recruitment, mentee-mento matching, mento 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some proposal for successful designing college student-youth mentoring with disadvantaged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