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oluntary Associations, Social Inequality, and Participatory Democracy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김석호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3

        Analyzing the 2004 US General Social Survey and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even similar climates of associationalism in two countries can lead to differential consequences for participatory democracy, depending on the associations’capacities to foster civic resources. This paper first examines whether the politically desirable traits of civic virtue and social trust essential to political participation can be developed by associational membership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Second, it investigates whether associational membership strengthens, weakens, or leaves unchange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resources measured by educational attainment and family income on political participation especially among association members in these two countr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voluntary associations in the United States, compared to those in Korea, do a better job of playing the role of civic educator and even of political equalizer. First,associational membership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s civic virtue and social trust in the United States. Second, associational membership does not affect civic virtue and social trust in Korea. Third, the effects of educational attainment and family income on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members are weak in the United States. Fourth, the effects of educational attainment and family income on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members are strong in Korea. Therefore,this paper concludes that voluntary associations do not contribute to participatory equality in Korea despite its vibrant group-centered culture, whereas their American counterparts are relatively effective in bringing about the expected outcome.

      • KCI우수등재

        Voluntary Associations, Social Inequality, and Participatory Democracy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Seokho Kim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3

        Analyzing the 2004 US General Social Survey and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even similar climates of associationalism in two countries can lead to differential consequences for participatory democracy, depending on the associations’ capacities to foster civic resources. This paper first examines whether the politically desirable traits of civic virtue and social trust essential to political participation can be developed by associational membership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Second, it investigates whether associational membership strengthens, weakens, or leaves unchange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resources measured by educational attainment and family income on political participation especially among association members in these two countr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voluntary associations in the United States, compared to those in Korea, do a better job of playing the role of civic educator and even of political equalizer. First, associational membership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s civic virtue and social trust in the United States. Second, associational membership does not affect civic virtue and social trust in Korea. Third, the effects of educational attainment and family income on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members are weak in the United States. Fourth, the effects of educational attainment and family income on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members are strong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concludes that voluntary associations do not contribute to participatory equality in Korea despite its vibrant group-centered culture, whereas their American counterparts are relatively effective in bringing about the expected outcome.

      • KCI등재

        시민참여는 신뢰를 조장하는가? -사회자본론의 관점에서 실증연구-

        류태건,차재권 대한정치학회 2020 大韓政治學會報 Vol.28 No.1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the civic engagements such a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voluntary association foster social trust, by the analysis of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by a survey performed in December 2018 for Deajun metropolitan city. For the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data.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four different models. The two regression models analyzed the comprehensive effects of the two composite scales, “voluntary associ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consisted of 11 kinds of voluntary association and 15 kinds of political participation respectively, on the four dependent variables of particularized trust, generalized trust, trust in central government and trust in local government. And the two other regression models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pecific types of voluntary associ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n those four dependent variables. First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two composite scales show that political participation and voluntary associa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four dependent variables. And as to the specific types of voluntary associ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 large number of them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followed by no significant influence, and few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four dependent variables. So we concluded that, overall, political participation and voluntary association foster social trust.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2018년 12월에 시행한 설문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 시민참여 즉 정치참여와 자발적 결사체 참여가 사회적 신뢰를 조장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경험적 조사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방법은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했으며, 중다회귀분석은 4가지 모형을 정립하여 시행했다. 그 중 2가지 회귀모형은, 11가지 종류의 자발적 결사체 그리고 15가지 종류의 정치참여 모두를 각각 합산・평균한 2개의 종합척도 ‘자발적 결사체’와 ‘정치참여’를 구성하여 4가지 종속변수인 특수신뢰, 일반신뢰, 중앙정부기관신뢰 및 지방정부기관신뢰에 대한 종합적인 영향을 분석했다. 그리고 다른 2가지 회귀모형은,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한 자발적 결사체와 정치참여 각각의 합성척도와 여타 단일문항척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4가지 유형의 신뢰를 종속변수로 하여, 자발적 결사체와 정치참여의 구체적인 유형이나 종류가 4가지 종속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우선 종합척도의 분석결과, 자발적 결사체와 정치참여는 분석에 도입한 모든 4가지 종속변수 즉 특수신뢰, 일반신뢰, 중앙기관신뢰 및 지방기관신뢰에 대해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발적 결사체와 정치참여의 구체적인 유형이나 종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4가지 유형의 신뢰에 대해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다수이고,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경우가 그 뒤를 이으며,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소수이다. 따라서 본 실증연구에 의하면, 종합적으로 보아 정치참여와 자발적 결사체 참여는 사회적 신뢰를 조장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 KCI등재

        자발적 결사체 참여와 지역 사회자본

        김영범(KIM Young-Bum),이기원(LEE Kee-Won),안동규(AHN Dong-Gyu) 지역사회학회 2010 지역사회학 Vol.12 No.1

        본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와 사회자본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 이론에 터하여 자발적 결사체 참여가 참여자의 사회자본에 영향을 주는지 경험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자발적 결사체를 공익적 사회단체와 사적 연고단체로 구분한 후 참여 단체의 특성에 따라 지역의 사회자본에 대한 평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자본은 사회자본에 대한 심리적 평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사회 인구학적 변수 중 교육과 소득에 따라 지역 사회자본에 대한 평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서구와는 달리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었다. 둘째, 참여하는 자발적 결사체 수와 사회자본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하는 사적 연고단체 수가 증가할수록 사회자본에 대한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자본과 자발적 결사체 참여 사이의 관계는 결사체의 성격에 따라 상이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voluntary association and social capital. In the study, we divide the voluntary association into two groups-one is for public interest, the other is based on private tie. The dependent variable is consist of the items which measure the social capital in terms of civic virt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education and income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ocial capital. Second, number of voluntary association in participation shows no relationship with social capital. Third, number of the association based on private tie in participation show nega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capita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capital is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sociation.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시민의식 : 서울시와 자치구의 정책결정과 집행에 주는 함의

        이재열 지역사회학회 2003 지역사회학 Vol.5 No.1

        이 연구는 지역 정치와 행정의 효율성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개념을 활용하여 지역에 기반한 다양한 결사체 참여가 바람직한 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자발적 결사체의 역할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으로 신자유주의적 입헌주의와 시민적 공화주의, 그리고 평등적 다원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결사체 참여의 유형을 연고집단 소속여부와 자발적 결사체 참여여부를 교차하여 고립형, 연고형, 결사형, 복합형으로 나누어 그것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결사체 참여율이 높을수록 소수자에 대한 관용도와 정책적 지지도가 높아지며, 적극적으로 집단적인 문제해결을 모색하고, 다양한 타자들과 어울리는 경향이 강화되었다. 아울러 25개 자치구를 단위로 한 거시적 분석에서는 지역단위로 급속하게 경제적, 문화적 격차가 확대되면서 결사체적 참여가 공동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집단적 이기주의로 변질될 가능성도 높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강한 연고주의의 영향 하에서 사회적 자본의 축적이 반드시 긍정적으로 한 가지 방향으로만 작용하는것이 아님을 잘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social capital, which is believed to be nurtured by active participation on voluntary associations of citizens, promotes desirable civic culture and policy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After reviewing rivaling theories such as neoliberal constitutionalism, civic republicanism, and egalitarian pluralism, I proposed a typology of civic participation by crossing the affiliation in traditional-ties-oriented organizations and civic-oriented associations. By comparing four different types of citizens, i.e., (a) isolates (b) traditional-ties-oriented (c) associational (d) mixed, in terms of their behavior in tolerance over minorities, activeness in policy making, conflict-resolution, and group formation, I found that associational participation increases all these public_oriented civic activities. Yet, there are some ambiguities derived from the strong influence of traditional-ties-oriented activities. At the ward-level, the analysis shows that the increasing associational activities at the individual level is often closely transformed into a group-level selfishness. It shows that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does not always leads to positive results in local politics.

      • KCI등재후보

        아시아에 있어서 정치·사회적 신뢰와 결사체민주주의

        안승국 ( Seung Gook Ahn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2 비교민주주의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첫째,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세계가치조사(World Values Survey) 자료를 활용하여 타인에 대한 신뢰나 결사체에 대한 신뢰인 사회적 신뢰와, 정부, 의회, 정당에 대한 신뢰인 정치적 신뢰를 경험적으로 측정하고 국가 간 비교분석을 수행했다. 둘째, 후쿠야마(F. Fukuyama)나 퍼트남(R. Putnam)의 연구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결사체참여가 정치·사회적 신뢰의 형성을 촉진시키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신뢰 간상호인과 관계를 검증했다. 셋째, 소규모 집단 내의 신뢰를 사회구성원에 대한 일반화된 신뢰로 어떻게 전환시킬 수 있는지를 결사체와 관련하여 대안을 모색했다. 아시아 국가들은 서구 국가들과는 달리 가족이나 지인에 대한 신뢰가 타인에 대한 신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책의 일관성이 유지되지 못했고 편향적인 정책결정으로 공정한 사회적 배분이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정치적 신뢰도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아시아 국가에서 전반적인 신뢰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연결 망 내의 배타적 상호작용을 사회전체로 확대해야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서 개인은 다수의 결사체에 중복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민의 자발적 참여는 다른 구성원에 대한 신뢰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자발적 결사체의 수가 많을수록 또한 결사체에 참여하는 시민의 수가 많을수록 일반화된 신뢰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generalized) trust, political trust and associative democracy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with the World Values Survey data, The effects of associative engagement in the promotion of social and political tru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ngoing topics in trust research. This paper found that the effects of associative engagement on trust were unevenly distributed among Asian countries. Thes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he World Values Survey data. The paper also suggested that the association can play a positive role in the formation of social and political trust, and the positive effect depends on the efficacy of the association.

      • KCI등재

        Personality Traits and Civic Engagement: The Case of South Korea

        하상응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9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8 No.4

        This article expands on previous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civic engagement by evaluating the role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with regard to associational membership and volunteer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demonstrate a variety of effects of personality on participatory patterns. Individuals high in Agreeableness or Emotional Stability are likely to be active in at least one voluntary civic organization. Meanwhile, individuals high in Openness are likely to be involved in a larger number of organizations and to be more active in volunteering. Extraversion also turns out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voluntary associations with which people are affiliated. These findings are in line with those from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ultures, and therefore contribute to enhancing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civic engagement.

      • KCI등재

        중앙/지방정부신뢰의 영향요인의 차이점 -대구광역시 사례연구-

        차재권,류태건 대한정치학회 2018 大韓政治學會報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외적 요인들의 차이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았다. 분석대상인 정부외적 요인들로는 대인신뢰, 자원결사체참여, 정치참여, 소속감, 시민자긍심, 경제성과 등 6가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각각 2개 혹은 3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전체 13개 유형변수들이 중앙/지방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서 특기할 점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대인신뢰의 경우, 일반신뢰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신뢰에 공히 강력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특수신뢰는 오직 지방정부신뢰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신뢰의 반경범위가 좁다. 그리고 소속감과 시민자긍심의 경우, 국가소속감과 국민자긍심은 오직 중앙정부신뢰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지역소속감과 주민자긍심은 오직 지방정부신뢰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끝으로 경제성과의 경우, 국가경제・지역경제・가정경제 중 오직 지역경제의 성과가 중앙/지방정부신뢰에 공히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지방은 고유한 지방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지방성은 지역사회의 중앙/지방정부신뢰에 독특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부신뢰의 (정부외적)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방성의 작용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differences in the exogenous determinants that affect trust i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Six variables are selected as exogenous determinants including trust in people, voluntary association, political participation, sense of belonging, civic pride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wo or three types, which form a total of thirteen. The effects of these thirteen types of the six variables on trust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most remarkabl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trust in people, the type of generalized trust has a strong positive effect on trust in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Whereas the type of particularized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ly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showing as such a limited radius of trust. And when it comes to sense of belonging and civic pride, the types of national sense of belonging and national pride have positive effects especially on trust in national government, while the types of local sense of belonging and local pride have positive effects especially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Finally, in the case of economic performance among national, local and domestic economy, only the performance of the local economy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In conclusion, the local community has its own locality and this locality has a distinctive impact on trust in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 KCI우수등재

        지역 내 소득불평등도에 따른 주민참여

        현승숙 ( Seung Sook Hyun ),금현섭 ( Hyun Sub Kum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2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과 주민참여 간 관련성을 기초지방정부 수준에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주민의 지역사회 공공문제에 대한 참여 정도가 해당 지역의 소득불평등 수준에 의해 일정부분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설을 중심으로 주민참여의 유형을 사회참여와 정치참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참여공간과 공공문제의 직접해결방식에 있어 양자 간에 차이가 나며, 이에 대한 소득불평등의 영향 역시 상이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정치참여에 대한 사회참여의 관련성도 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지역 내 소득불평등 수준에 따른 주민참여 정도는 참여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불평등 수준은 사회참여 중 봉사단체의 수와 긍정적(+) 관련성이 있으며, 정치참여 중 지방선거 투표율과 긍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그리고 사회참여는 정치참여 중 지방선거 투표율과는 긍정적(+) 관계가 있었지만, 주민의 공직자접촉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ome inequality and the citizen participation on the local government level.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citizens concerning public interests of the community will partially be influenced by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of the relevant area, the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were classified into civic engage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efore examination. This is because there may be a disparity among both sides with regards to the direct solution methods of participation capacity and public interests, and the influence of income inequality regarding such may be different. Moreover, the relevance of civic engagement regarding political participation was examined. Our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citizen participation pursuant to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within the area was found to manifest a disparity depending on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volunteer associations in terms of the civic engagement, a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urnout in the local elections in terms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Furthermore, in terms of civic engagemen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urnout in the local election concern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but concerning the degree of citizen-initiated contact,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was not found.

      • KCI등재후보

        시민사회 자발적 결사체의 결사기법에 따른 사회적 자본 형성 전략 분석: 부산지역 NGO 연대체 활동 사회연결망 분석

        박선미,김재현 한국NGO학회 2019 NGO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시민사회 영역에서 자발적 결사체가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기 위해 어떠한 기법과 전략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함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토크빌에서부터 이뤄진 자발적 결사체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성에 대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자발적 결사체와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해 부산 지역 NGO들의 연대체인 ‘2018 지방선거 100대 시민정책 프로젝트 추진위원회’의 활동과정을 분석하였다. 지방선거는 내부적으로는 아래로부터의 시민의견을 수렴해 이를 정치적 의제로 정제화하고, 외부적으로는 이를 정치적 공론장으로 전달 및 공유하는 지역 단위 자발적 결사체의 역할 및 기능을 분석하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분석은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는 단계인 구조적-관계적-인지적 차원에서 자발적 결사체의 역할 및 기능인 권위 형성-여론 형성-정치적 대리권 형성이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과정으로 진행됐다. 분석의 방법론은 사회연결망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해 네트워크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그리고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18 지방선거 100대 시민정책 프로젝트 추진위원회’는 구조적 차원에서는 다양한 지역 내 NGO들과의 연대체를 형성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시민 의견을 수렴하는 플랫폼을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적 차원에서는 내부적인 유대감과 결속감의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됐지만, 외부 네트워크와의 매개중심성은 형성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00인의 시민정책단’ 활동 과정에서 수평적 연대와 참여의 기법이 적극적으로 활용된 것으로 분석됐다. 인지적 차원에서는 100대 시민의제와 부산광역시장 후보 출마자들 간 언어와 내러티브 공유의 정도를 의미연결망 형성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사회적경제 분야에서는 완벽한 의미연결망의 일치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에너지・환경분야에서 많은 의미연결망이 형성됐다. 반면 지방자치・거버넌스와 교육 분야에서는 의미연결망이 전혀 형성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지역 단위 자발적 결사체가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 어떠한 역할 및 기능을 전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지를 제시함과 더불어, 시민사회가 자발적 결사체 활동을 진단 및 평가하는 기준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