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리의 가치로서 진실성

        임건태 한국니체학회 2017 니체연구 Vol.31 No.-

        In this article, I focus on Bernard Williams’ proposition that the truthfulness in the political area which is based on the communication can be a intrinsic value, if we could distinguish the denial of metaphysical and absolute truth from the recognition of the truthfulness as a value of truth. According to him, a value of factual truth consists in enabling us to commit to the truthfulness. In order to support his own position, Williams refers to Nietzsche who questions the value of morality by means of genealogy. So to speak, as Nietzsche supposes about morality, Williams discusses on a value that truth can have in our life rather than truth in itself. In addition to this, Nietzsche embodies such a truthfulness in his philosophy. We can confirm this fact in that Nietzsche shows the dual aspects. On the one hand, he denies absolute truth and defines truth as error, and on the other hand he commits to the truthfulness by affirming the will to truth in spite of it’s negative effect. Further, we can establish that factual truth and truthfulness have played a important role since ancient Greek from Foucault’s attention to parrhēsia. Finally, Hannah Arendt is worth being commented because she warns the danger which can appear if we lack the truthfulness in politics. 이 글에서는 절대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진리를 부정하는 차원과, 진리의 가치로서 진실성을 인정하는 차원을 구분함으로써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정치적 영역에서 진실성이 본질적 가치임을 주장하고 있는 윌리엄스의 입장에 주목했다. 그는 형이상학적 진리를 부정하지만, 사실적 진리를 인정하면서그러한 사실적 진리의 가치는 우리가 진실성에 관여할 수 있게 만드는데 있다고보고 있다. 윌리엄스는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계보학을 통해 도덕의가치를 문제 삼았던 니체를 끌어들인다. 윌리엄스는 도덕에 대해 니체가 주장한것처럼, 진리 자체라기보다는 진리가 우리 삶에 대해 갖는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셈이다. 더 나아가 윌리엄스가 본질적 가치로서 규정하는 진실성을 니체 역시 스스로 자신의 철학 내에서 구현하고 있다. 우리는 이 같은 사실을 니체가 보여주는 이중적인 모습, 즉 절대적 진리를 부정하고, 진리를 오류라고 정의하는 입장과, 무조건적인 진리에의 의지를 그 부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긍정함으로써 여전히 진실성에 대해 스스로 관여하고 있는 입장을 통해 볼 수 있다. 더불어 우리는 사실적 진리와 진실성이 이미 오래 전 그리스 시대부터 정치적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는 사실을 파레시아에 대한 푸코의 논의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아렌트는 정치적 영역에서 진실성이 결여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기만과 같은 구체적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논의할가치가 충분하다.

      • KCI우수등재

        Four levels of the Twofold Truth in the East Asian Yogācāra School

        모로 시게키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Truth is one of the central subjects not only in philosophy but also in religion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theory of twofold truth, one of the representative theories in the Mahāyāna Buddhism, especially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Zenju 善珠 (732-797), an eminent scholar monk of the Japanese Yogācāra (Hossō) school in the Nara period. Based on Ji 基 (632-682) and Woncheuk 圓測 (613-696), Zenju explains four levels of the twofold truth which classifies the twofold truth (the conventional truth and the ultimate truth) under four levels respectively. He states that both verbal conventions and realities are the foundation of the truths (satya), and those eightfold truth forms a mutually linked system. The theory of four levels of the twofold truth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tuvidyā or Buddhist logic. Zenju states that the restriction of the proof of vijñaptimātratā, zhengu 眞故 or “in the ultimate truth,” corresponds to the first three of four levels of the ultimate truth: the conventional ultimate truth, the ultimate truth based on real principles, and the ultimate truth based on realization. In verbal communication or debate with logical expressions, Zenju allows plural truths corresponding to opponents, including those of religions or thoughts other than Buddhism.

      • KCI우수등재

        Four levels of the Twofold Truth in the East Asian Yogacara School

        Shigeki Moro(모로 시게키(師茂樹))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Truth is one of the central subjects not only in philosophy but also in religion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theory of twofold truth, one of the representative theories in the Mahayana Buddhism, especially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Zenju 善珠 (732-797), an eminent scholar monk of the Japanese Yogacara (Hosso) school in the Nara period. Based on Ji 基 (632-682) and Woncheuk 圓測 (613-696), Zenju explains four levels of the twofold truth which classifies the twofold truth (the conventional truth and the ultimate truth) under four levels respectively. He states that both verbal conventions and realities are the foundation of the truths (satya), and those eightfold truth forms a mutually linked system. The theory of four levels of the twofold truth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tuvidya or Buddhist logic. Zenju states that the restriction of the proof of vijnaptimatrata, zhengu 眞故 or “in the ultimate truth,” corresponds to the first three of four levels of the ultimate truth: the conventional ultimate truth, the ultimate truth based on real principles, and the ultimate truth based on realization. In verbal communication or debate with logical expressions, Zenju allows plural truths corresponding to opponents, including those of religions or thoughts other than Buddhism. 진리 (諦, truth)는 철학뿐만이 아니라 종교에서도 중요한 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인 이제설 (二諦說)을 다루는데, 특히 나라(奈良)시대의 일본 법상종 (法相, Hosso)에서 뛰어난 학자이자 승려인 젠주(善珠, 732-797)의 해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젠주는 기(基, 632-682) 와 원측 (圓測, 613-696)의 해석에 기반하여, 사중(四重) 각각을 세속제 (世俗諦)와 승의제 (勝義諦 )의 이제 (二諦)로 분류한 사중이제 (四重二諦)에 대해 설명한다. 그는 언설상(言說相)과 진(眞)은 제(諦, satya)의 토대이고, 이러한 여덟 개의 제는 상호적으로 연결된 체계를 형성한다고 서술한다. 사중이제설은 인명(因明, hetuvidya) 이나 불교논리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젠주는 유식비량(唯識比量)의 분별인 진고(眞故) 또는 취승의(就勝義)는 진제의 사중에서 앞의 세 가지인 세간승의제(世間勝義諦), 도리승의제(道理勝義諦, 증득승의제(證得勝義諦)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그는 논리식을 포함한 언어적 소통이나 논쟁에서, 불교 이외의 다른 종교나 사상을 포함한 상대[対論者]에 상응하는 다수의 제(諦)를 허용한다.

      • KCI등재

        진리와 교육: 하이데거 존재론의 관점

        서용석 ( Yong Seok Seo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9 No.-

        하이데거의 존재론은 종래의 인식론에 비하여 진리의 문제를 보다 근본적인 수준에서 취급하고 있다. 하이데거가 그의 존재론적 탐구를 통하여 밝혀낸 진리는 인식론의 ‘명제적 진리’의 근원을 이룬다는 점에서 ‘근원적 진리’로 명명된다. 근원적 진리는 ‘세계 또는 존재 자체의 현시’를 가리키며, 이것은 1) 명제적 진리가 성립하기 위한 논리적 조건이 되며, 2) 인간의 진리 경험의 시원적(始原的) 요소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근원성’을 갖는다. 근원적 진리의 경험은 현존재로 하여금 세계와 그 안에 들어있는 일체의 존재자를 경외와 찬탄의 마음으로 바라보도록 만들며, 이 점에서 현존재의 삶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끄는 힘을 발휘한다. 교육은 메마르고 편협한 일상의 세계에 머물러 있는 학생에게 인간으로서 자신의 본질이 어디에 있는가를 깨닫게 해주는 행위이다. 인간의 본질 은 그의 마음이 근원적 진리의 사건이 끊임없이 발생하는 신성한 장소가 된다는 점에 있으며, 교육한다는 것의 가장 심각한 의미는 학생으로 하여금 이 본질을 구현하는 삶을 살도록 한다는 데 있다. Truth is undoubtedly one of the cardinal notions by which education has long been essentially characterised. Drawing on Heidegger`s ontology, this paper attempts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epistemological approaches to the issues of truth and to reveal its significance for education. Heidegger`s ontology addresses the issues of truth in a more fundamental way than traditional epistemology such that what remains dark in the predominant epistemological pictures of truth can compellingly be brought to light and be made central to the phenomenon of truth. The kind of truth that his ontological investigation has led himself to is adequately termed `primordial truth` since it proves to be the primordial source of epistemology`s `propositional truth`. Primordial truth refers to the phenomenon of the disclosedness of world or of being as such. This can lay claim to primordiality not only because it is the transcendental or logical condition of the possibility of propositional truth but because it is more ancient than propositional truth in the sense that it is closer to a pure or primordial experience of truth that appeared in the earliest time and is still accessible to us. An experience of primordial truth lets human being(Dasein) encounter things in speechless awe and wonder(thaumazein), and thereby lets him authentically dwell in his world. Thus, to it belongs great power under whose sway human being is submitted to a specific manner of living. Education is an enterprise that releases the pupil from his everyday, impoverished world in the way that he can learn that he is essentially the very place(Da) in which the event of primordial truth occurs. The educated man is nothing other than the man whose life preserves, and is shaped by, this very essence.

      • KCI등재

        일반논문 : 진가확인구조의 양상과 그 역할 연구 -쥐둔갑설화와 <옹고집전>을 중심으로

        박진아 ( Jin A Park ) 한국문학언어학회( 구- 경북어문학회) 2008 어문론총 Vol.49 No.-

        Truth-falsehood confirmation structure is divided into two aspects: structure of truth high position and structure of falsehood high position. The former appears in "The Rat Transformation", the other appears in <Ongkojip-Jeon>. In the structure of truth high position, the truth is perfect and the falsehood is faulty. The falsehood wants to be the truth and it imitates or steals the elements of the truth. So it can be the truth a while, but it can not break off the elements of its own. So it gives the whole show away, the truth can regain its own position. The reading public feel sympathy for the truth, and reaf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uth and the falsehood. In the structure of falsehood high position, the falsehood is perpect and the truth is faulty. The falsehood is an ideal type of the truth. The truth meets the falsehood and discovers its own elements which was disregarded or forgotten by itself. So it can be perfect like the falsehood. The reading public feel sympathy for the falsehood, and reflect on the human conditions. The structure of truth high position can adapted itself to modern novel. But the structure of falsehood high position, in spite of the structure has adaptability, its ideal type was conventional so it can not be accepted for modern novel. But from now, when `fantasy` is accepted for popular culture and the reading public reflect about human conditions, the structure of truth high position and the structure of falsehood high position can be combined in one novel and they can be reinvented in various.

      • KCI등재

        해리엇 비처 스토우의 눈에 비친 소저너 트루스

        최하영 ( Choi¸ Ha-young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20 영어권문화연구 Vol.13 No.1

        This paper analyzes how Harriet Beecher Stowe represents Sojourner Truth in her essay “Sojourner Truth, The Libyan Sibyl.” Not so much does Stowe’s representation tell about Truth, my argument is, as it does about the author herself. Stowe reveals her attitude toward racial issues and women's question of the time thorough her representation of Truth. Firstly Stowe otherizes Truth by emphasizing her blackness and Africanness. She describes Truth using “bad English”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good one she and her colleagues use. In a similar context, Stowe consistently compares Truth to statues, reducing her living energy and spiritual charisma to a fixed thing. Secondly, Stowe attempts to strengthen her own argument against suffrage movement by appropriating Truth’s opinion of bloomer, the suffragettes’ dressing. Finally, Stowe calls Truth as an epithet, “The Libyan Sibyl,” which effectively performs ambivalent function of embracing her as a prophetess within Christian tradition, but still imbuing Truth with mysticism and heresy. In conclusion, Stowe’s “Sojourner Truth, The Libyan Sibyl” represents Truth as a mysterious African figure, who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typical reasonable white readers rather than a peer abolitionist. Stowe’s essay reveals her conservativeness and shows adroitness as a popular writer in that she presents Truth as an acceptable figure to American middle-class white readers.

      • KCI등재

        참은 탐구의 목표인가? -참의 두 얼굴-

        배식한 ( Sik Han Bae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6 No.-

        미니멀리즘의 세찬 흐름 속에서 참이 실질적 속성을 갖는다고 주장하기가 버거운 것이 최근의 현실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 꿋꿋이 맞서, 참이 실질적 속성을 가질 수밖에 없음을 역설하는 이들이 있는데 이중 대표적인 인물이 데이빗슨이다. 그에 따르면 참은 하나의 언어가 어떻게 기능하고, 그 언어의 문장이나 표현들이 어떻게 지금과 같은 의미를 갖게 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되는 개념이다. 참은 의미 이해, 즉 해석의 출발점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빗슨은 참이 규범임을, 그리고 탐구의 목표임을 부정한다. 참은 의미 이해의 출발점이기는 하지만 탐구의 목표는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 글에서 의미 이해의 출발점으로서의 참의 얼굴과 탐구의 목표로서의 참의 얼굴, 이 두 얼굴이 동시에 성립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한 나의 논증은 참에 관한 빌그래미의 견해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으며, 이점에서는 크게 새로울 것이 없다. 다만 이 논문이 의의가 있다면 그것은 빌그래미의 이론을 매개로 이해의 출발점으로서의 참과 탐구의 목표로서의 참이 하나로 묶일 수밖에 없으며, 그런 점에서 데이비슨의 견해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이 글은 각기 다른 이유로 참이 탐구의 목표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미니멀리즘, 데이빗슨, 로티의 견해를 차례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참이 탐구의 목표라고 주장하는 빌그래미의 견해를 정리한 후, 마지막에 다시 데이빗슨으로 돌아와 그가 놓친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볼 것이다. It is more and more difficult for the substantive theory of truth to stand up against the powerful theory of minimalism about truth. But we can find a few persons who urge that truth can not help but have a substantive property, including Donald Davidson. According to him, the concept of truth is an indispensible theoretical term in any conceivable theory of meaning aiming to describe how a language functions and how its sentences and other expressions are thereby determined as having the meanings that they have. That is, the concept of truth is an essential one that plays a central role at the starting point of interpretation. Nonetheless, Davidson accepts neither that truth is a norm nor that it is a goal of inquiry. But I will argue that the face of truth can exist both as a starting point of understanding and as a goal of inquiry. My claim is not so much creative in that fundamental arguments are fully dependent on Bilgrami``s point of view about truth. However, I believe it is significant to show that Bilgrami``s theory can be used as a mediation for combining the truth as a starting point of interpretation and the truth as a goal of inquiry, and then to expose the limitations of Davidson``s separation of the two truths. This paper will look into Minimalist, Davidson``s, and Rorty``s theories of truth in turn which commonly insist that truth can``t be a goal of inquiry with different reasons. Futhermore, I will summarize Bilgrami``s theory which holds the opposite position to these three persons and return to Davidson to say what he had missed.

      • KCI등재

        짠드라끼르띠의 이제관

        김현구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7 No.2

        Candrakirti and Nāgārjuna have a gap of 400 years, so Candrakirti was more affected by a plentiful Buddhist philosophies than Nāgārjuna. He accepts and acculturates ‘The two truth(二諦觀)' of the Nāgārjuna as a step of Budda's teaching. He criticizes substantialist instead of defining the ‘Ultimate truth(勝義諦)' so that make clear meaning of the ‘Dependent arising(緣起)'. He makes a distinction between ‘True relative truth(正俗諦)' and ‘False relative truth(顚倒俗諦)' in 'Relative truth(世俗諦)'. It is more delicate than Nāgārjuna's work. The distinguishing mark of Candrakirti's work is to classify all entities as ‘Suchness(實相)' that is perceived by the wisdom of sublime beings and as ‘Relative truth' that is perceived by ordinary beings who are contaminated by ignorance. When he talks about Ultimate truth, he does not value it as something very holy or absolute. And he does not describe Relative truth as somthing to be thrown away. He thinks that Ultimate truth is not a subject to be defined by expressive function of language and categorical syllogism(定言的 推論式). He insists that if there is no the view of substantialism, classification between Ultimate truth and Relative truth will be meaningless. 짠드라끼르띠(Candrakirti)는 나가르주나(Nāgārjuna)와 400년이라는 시간적 차이를 두고 풍부해진 불교 사상체계들과 접해있었다. 그는 자신이 처해 있던 상황 속에서 붓다 교법의 형식으로서 나가르주나의 이제(二諦)관을 수용하고 변용하였다. 그는 승의제(勝義諦)를 정의하고 명시하기보다 자성적 발생에 대한 비판을 통해 드러나는 실상(實相) 즉 연기(緣起)의 의미를 밝히는데 주력한다. 그리고 세속제(世俗諦)를 ‘정(正)속제’와 ‘전도(顚倒)속제’를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나가르주나보다 세속제에 대한 섬세한 적용을 한다. 짠드라끼르띠 이제관의 특징은 일체현상에 자성(自性)이 없음을 아는 승의의 지혜와 세간에서 통용되는 진실을 아는 세속의 인식수단의 의미를 두 가지 진리에 포함하여 구분하고 있는 점이다. 그러나 승의와 세속을 구분하였지만 그는 승의의 세계를 초월적으로 묘사하거나 세속의 세계를 버려져야 할 것으로 보고 있지는 않다. 그는 승의의 세계를 언어 표현이나 정언적(定言的) 추론식에 의해 논증하는 대상이 아니라고 보고 있는데, 자성적 발생에 관한 견해가 사라진 자리에서 분별(分別)의 세계와 실상의 세계의 구분은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다.

      • KCI등재

        니체, 인식의 한계 내에서의 진리에 대하여

        이상엽 한국니체학회 2018 니체연구 Vol.34 No.-

        This article aims to systematically explore Nietzsche’s conceptions of the limits of human cognition, of the possibilities of truth within these limits, and of the implication of truth for life. It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cognition?”, “What is truth?”, “Can we recognize truth?”, “Is truth possible within the limits of cognition?”, “What value does truth have?”, “Does life need truth?”, “What truth Nietzsche himself pursue?”, and so on. Thus, this article will discuss what Nietzsche thinks of the object, origin, nature, and limit of cognition and what claims he makes on the possibility of truth within the limits of cognition that he posits, in connection with the whole current of modern epistemology. In order to understand Nietzsche’s key claims, it is important to see what influences the history of epistemology had upon him, and what originality he exhibited. For Nietzsche constructed his own philosophy by accepting or criticizing existing philosophies, as well. Nietzsche’s perspectives on cognition and truth are not so systematic that they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been established to the level of theory.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direction and core of his epistemology and theory of truth, it is necessary to summarize not only the books that he published, but also the related discussions scattered in his posthumous works. For this reason, this writing will derive Nietzsche’s ideas from his various works on cognition and truth. Also, this article will examine why ‘metaphysical truth’ fell down, especially in relation to truth, how ‘aesthetic truth’ as an alternative is possible and what its meaning is. According to Nietzsche, human life requires ‘truth’, but our times no longer need ‘metaphysical truth’ but ‘aesthetic truth’. To examine those questions, this article will discuss Nietzsche’s critique of metaphysics, tragic thinking, perspectivism, and thoughts on the significance of art and truth. 이 글은 니체가 주장한 인간의 인식의 한계와 이 한계 내에서의 진리의 가능성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그러한 진리가 삶에 대하여 갖는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 글은 인식이란 무엇인가? 진리란 무엇인가? 우리가 진리를 인식할 수 있는가? 인식의 한계 내에서 진리는 가능한가? 진리는 어떤가치를 가지는가? 삶은 진리를 필요로 하는가? 니체가 추구하는 진리는 무엇인가? 등의 질문에 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글은 니체가 인식의 기원, 본질, 대상, 그리고 그 한계에 대하여 어떤 사유를 하는지, 인식의 한계 내에서진리의 가능성에 대하여 어떤 주장을 하는지를 근대 인식론의 전체 흐름과 연관하여 논의할 것이다. 니체의 핵심 주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가 인식론의 역사에서 어떤 영향사 속에 있고 또 어떤 독창성을 보였는지를 살펴보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니체도 역시 기존 철학을 수용하거나 비판하면서 자신의 철학을만들어나갔기 때문이다. 니체의 인식과 진리에 대한 사유는 이론의 수준으로까지 정립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그렇게 체계적이지 않다. 따라서 그의 인식론과 진리론의 관점과 핵심을 파악하려면 그가 출판한 책뿐만 아니라 그가 남겨 놓은 유고에 흩어져 있는 관련 논의를 한 데 모아 서술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글은 니체의 인식과 진리에 관한 논의를 폭넓게 인용해가면서 그의사유를 추론해볼 것이다. 이 글은 특히 진리와 관련해서는 왜 ‘형이상학적 진리’가 몰락할수밖에 없었는지, 그 대안으로서의 ‘미적 진리’는 어떻게 가능한지, 그리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니체에 따르면 인간의 삶은 ‘진리’를 필요로 하지만, 우리시대는 이제 더 이상 ‘형이상학적 진리’가 아니라 ‘미적 진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물음들을 살펴보기 위해 이 글은 니체의 형이상학 비판, 비극적 사유와 관점주의, 예술과 진리의 의미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 KCI등재

        전후기 하이데거의 진리이해의 연속성과 차이-『존재와 시간』 및 「예술작품의 근원」을 중심으로-

        서동은 범한철학회 2018 汎韓哲學 Vol.89 No.2

        Obviously, Heidegger’s understanding of Truth has its respective features in his earlier and later periods. In his earlier period, his notion of Truth seems to refer to the Truth of Dasein, while his later period seems to describe the Truth of Arts. Although one can discern the respective emphases and differences in his works, there certainly runs a fundamental coherence in his thoughts. He never gives up his notion of Truth as unconcealment, and this truth of Dasein brings into relief that this is the foundation of the correspondence theory the West traditionally has taken as a theory of truth for granted. Heidegger’s concept of Truth respectively has different looks in his three works. Like many of his concepts, this difference of his concepts of Truth confuses readers much. In face of differences between terms, readers may misunderstand his concepts due to their confusion of terms or the diversity of be confused by differences between the terms or by the diversity of descriptions. Even those who understand both the differences and the diversity of terms can feel some confusion of how to relate his various concepts of Truth. Thus, readers often disregard the differences of expression or the changes of his points of view and instead focus on the overall features of his concept of Truth. Some may focus on his concept at certain period of his life. There have been issued some critiques to Heidegger for the reason of his inaccuracy of using the terms. To solve this, some only deal with a certain work with regard to his concept of Truth or simply embrace his concepts as one. These attempts certainly will dilute what Heidegger intended with his concepts. As Heidegger’s philosophy had been once misunderstood as existential philosophy, such attempts would fix his thought to his certain period of life and overgeneralize and impose it on the entirety of his philosophy. In order to avoid such fallacies and to grasp the core of his thoughts, one needs to take the way of being-thought. Only in this way, one can discern the difference between his earlier and later thoughts and grasp the changes of terms. With this discernment, one can se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his thoughts with regard to what Heidegger wants to say about Truth. This article explores the features of his concepts of Truth in his earlier and later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his itinerary of being-thought and tries to disclose the core of his understanding of Truth on which he was constantly concerned. 하이데거의 진리이해의 특징은 초기와 후기에 각각 현존재의 진리와 예술의 진리로 구별됨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측면에서 일관성이 유지되고 있다. 그의 진리 개념의 특징은 일관되게 개시성으로서의 진리, 현존재의 진리를 강조한다는 점에 있고, 그리고 이러한 진리가 서양의 전통적인 대응설적인 진리이론의 토대로서의 진리라는 점을 부각 시킨 점에 있다. 하이데거의 진리개념은 크게 세 작품에서 다른 모습을 띠고 나타난다. 하이데거가 그때마다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상의 차이 때문에 독자들은 오해할 수도 있다. 또 양 측면을 다 이해한다 하더라도 그 차이점에 혼란을 느끼며 그 관계의 설정에 어려움을 겪는다. 그래서 독자들은 표현상의 차이나 관점의 변화와 관계없이 하이데거 진리개념의 전체적인 특징만을 다루기도 한다. 또는 어느 한 시기의 하이데거의 진리 개념을 개별적으로 고찰하기도 한다. 그런데 하이데거에게 자주 가해지는 비판 즉 용어의 엄밀성을 기하지 않고 서술한다는 비판이나 하이데거의 진리개념을 어느 한 작품만을 가지고 논의하는 것이나 하이데거의 진리개념 전체를 단순하게 포괄하여 설명하는 것 등은 하이데거가 의도한 진리개념의 본래적 의미에서 비껴간다. 하이데거의 진리개념에 대한 이러한 접근은 한때 하이데거의 철학을 실존철학이라고 파악했던 것만큼이나 하이데거의 사상을 어느 한 시점에서 파악하고 이를 전체화 하는 오류에 빠질 수 있다. 하이데거의 사상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의 사상을 존재 사유의 여정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할 때 제대로 이해될 수가 있다. 즉 그의 전기 사상과 후기 사상에서의 초점의 변화와 용어상의 변화를 이해하고, 그가 진리와 관련하여 말하고자 하는 핵심에 따라서 그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하이데거의 존재사유의 여정의 관점에서 초기와 후기의 저작에 나타나는 진리개념의 특징들을 밝혀보고, 그가 지속적으로 관심했던 진리이해의 핵심을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