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존재(Dasein)로서의 인간

        서동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5

        Der Begriff des Daseins bzw. des Menschen bei Heidegger wird oft misverstanden. Vor allem betrachtet man das Dasein als existenzialen Subjekt, weil es scheint, dass sich das Dasein dem existenzialen Begriff des Menschen bei Søren Kierkegaard ähnelt. Oder man neigt dazu, in Analogie zur philsophischen Anthropologie als eine nene Anthropologie zu betrachten. Diese Verständnisse beruhen darauf, den Zusammenhang des Daseins mit dem Sein bei Heidegger zu verachten. Heidegger halten das eigentliche Daseinsverständniss im Zusammenhang mit dem Sein bzw. der Wahrheit des Seins durch, und zwar in der Auseinandersetzung mit dem traditionellen metaphysischen Humanismus. Der Mensch ist immer das “Zwischen(=da) Sein”, das man trotz der begrifflichen Unterschied in “Sein und Zeit”, “Brief über den Humanismus” und “Der Ursprung des Kunstwerk” finden kann. Der Mensch ist bei Heidegger das Dasein, dem es immer um Sein geht. Er ist der Hirt des Seins bzw. der Künstler des Seins, der an dem Sein teilnimmt und durch den Riß bzw. Grund-riss das nene Kunstwerk und die neue Seinsmöglichheit schafft und öffnet. Der Mensch existiert(=west) bei Heidegger zwischen(=da) dem Sein, indem er wohnet zwischen dem Sein und in der Sorge(Inter-esse). In diesem Sinne würde man das Dasein bei Heidegger auf Koreanisch “Saijonjae(Zwischen-Sein)” übersetzen. 하이데거의 인간 이해는 자주 오해되고 있다. 실존철학 개념과의유사성 때문에 실존주의적 인간이해로 오해되거나 혹은 전통적 철학적 인간학과 나란히 또 하나의 인간학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모두 하이데거가 처음부터 염두에 두면서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존재와 인간과의 연관관계를 간과한 데서 온 오해라고 할 수 있다.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 「휴머니즘에 관한 편지」 그리고 「예술작품의 근원」에서 기존의 전통적 인간 이해를비판하면서 언제나 존재(및 존재의 진리)와 연관된 인간 이해를 개진하고 있다. 즉 존재 사이에서 존재를 이해하고 존재를 열어 보이며 염려하고 존재를지킬 뿐만 아니라, 존재의 사이(틈)를 열어 존재를 드러내는 존재자로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존재자를 하이데거는 현존재(Dasein)라고 부르고 있는데, 그의 일관된 인간 이해와 관련해서 볼 때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한국어번역어 현존재 개념 대신에 ‘사이-존재(Dasein)’로 번역해도 좋을 것이다. 하이데거에게 있어 인간은 언제나 존재에 참여하고 있으면서 존재 사이에서존재를 드러내는 존재자로서의 인간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인문학적 지표로서의 가다머의 예술 철학 : 칸트와 하이데거의 예술철학과의 비교 관점에서

        서동은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문화 Vol.0 No.8

        이 논문은 가다머가 어떻게 칸트의 예술철학과 대립시키면서 자신의 예술철학을 전개하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가다머는 어떻게 하이데거의 예술철학을 수용하면서 독특한 예술철학을 전개하고 있는지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가다머는 칸트의 예술에 대한 입장과 그에 따른 영향관계를 플라톤 철학의 연장선상에서 보고 있다. 그래서 가다머는 기존의 플라톤 해석에 문제를 제기하고 새로운 플라톤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플라톤에서 칸트에 이르기까지의 이러한 전통적인 예술 이해에 대한 비판은 사실 가다머가 처음은 아니다. 가다머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하이데거의 예술철학에서 배운다. 하이데거의 시각에서 전통철학을 비판적으로 보는 안목을 배운 가다머는 이제 그의 스승 하이데거와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특별히 선이해 개념이나 이웃성 개념 등을 하이데거에게서 수용하고, 언어에 대한 하이데거의 관점을 수용하여 새로운 인문학적 철학적 해석학을 정초한다. 이에 따라서 가다머의 예술 이해는 전통적인 예술 이해와도 구분되고 하이데거와도 구분되는 독특한 인문학적 지표로서의 예술 이해가 형성된다. Die folgende Interpretation verucht, die Texte Gadamers durch deren eigene Begrifflichkeit in einer auch wirkungsgeschichtlich zugaenglichen Weise zu verstehen. Dabei setzt sie einerseits eine gewisse Kenntnis der Aesthetik Kants, Heideggers voraus. Andererseits versucht sie den Leitfaden, d. h. das Problem der Aesthetik von der jeweiligen Begrifflichkeit deutlich zu unterscheiden durch Gadamers Kritik, die die Kunst als die geisteswissenschaftliche Wahrheit und die Tragweite der kunstphilosophischen Problematik erkennbar macht.

      • KCI등재

        존재와 무(無), 그리고 절대무(絶對無)-하이데거와 니시다니의 무(無)이해-

        서동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3

        Both M. Heidegger and Keiji Nishitani strived to overcome the Western metaphysics,although they respectively launched their ways of thinking from different angles due to their respective difference of culture and thoughts.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e thought of no-thing-ness, which functioned as an important medium for overcoming it. Both of them issued a question of no-thing-ness and in doing so opened possibilities of a new thought. However, the ways they understood the no-thing-ness are not the same. for they had different goals of thoughts. Heidegger questioned the western ontology, which originally derived from the Greek thoughts and reached its climax at the modern philosophy, and attempted to overcome the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 from his perspective of epistemology and thought, whereas Nishitani tried to overcome it with his religious perspectives of salvation and nirvana by the medium of the notion of the absolute nothingness in his Zen Buddhism. The author displays a comparison between both of them and wants to show the differences, especially from Nishitani’s interpretations of Heidegger and R. Descartes. In doing so, the author aims at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notion of the no-thing-ness in Heidegger and Nishitani. 하이데거와 니시다니는 서로 다른 출발점에서 사유를 진행하면서 서구 형이상학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 두 사상가는 각각 이 극복을 위한 중요한 매개 개념으로 무(無)에 대해서 진지하게 숙고하였다. 이 두 사상가는 무에 대한 물음을 제기함으로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열어주었지만,무 개념이 이들에게 이해되는 방식은 서로 달랐다. 그 이유는 두 사상가의사상적 지향점이 달랐기 때문이다. 하이데거는 그리스에서 출발하여 근대에서 정점에 이른 존재론에 이의를 제기하고 서구 형이상학의 극복을 인식론및 사유의 차원에서 시도했다고 했다면, 니시다니는 선불교적 전통에서의 절대무 개념을 매개로 한 구원과 해탈의 관점에서 서구 형이상학의 극복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차이를 니시다니의 하이데거 해석 및데카르트 해석 등을 중심으로 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두 사상가의 무에 대한 이해를 보다 명료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쿠키 슈죠의 우연성의 존재론과 하이데거 비판

        서동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6

        Kuki Shuzo(九鬼周造,1888-1941) in The Problem of Contingency deconstructs theontology of necessity and possibility, which has dominated the Western tradition ofthought, by describing the three modes of contingency such as logical contingency,empirical contingency and metaphysical contingency, which correspond to the Westerntraditional structure of the ontology of necessity. For Kuki, being has a feature ofhecceitas, which individually exists at every moment before the vanishing nothingness. The Western history of thought is a history of confusion, which has mistook such abeing of contingency for that of necessity, because the law of identity lies at thefoundation of its epistemology. In critically discussing on the ontology of necessity, Kukihighly evaluates Heidegger’s ontology, for his philosophy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traditional ontology of necessity. However, Kuki also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hisontology. In this context, Kuki’s critique is very meaningful in evaluating the historicalmeaning of Heidegger’s thoughts. What is interesting is that Kuki’s critical examinationof Heidegger is carried out by Heidegger’s deconstruction(Destruktion). Overall, from hisontology of contingency, Kuki tries to deconstruct Heidegger’s main notions such asDasein, anxiety(Angst), time(Zeitlichkeit), and historicity(Geschichtlichkeit). 쿠키 슈죠(Kuki, Shuzo,1888-1941)는 자신의 저서 『우연성의문제』에서 서구의 전통적인 필연적 존재론의 구조에 상응하는 우연성의 세양상 곧 논리적 우연, 경험적 우연, 형이상적 우연을 서술하면서 서양의 전통을 지배했던 필연성 및 가능성의 존재론을 비판적으로 해체하고 있다. 쿠키에게 있어 존재란 없어질 무(無)에 직면하여 매순간 개별적으로 존재하는개별성(Hecceitas)의 특징을 갖는다. 서구의 사상사에서는 이러한 우연의 존재가 자주 필연으로 인식되고 해석되기에 이르렀는데, 이러한 인식론의 토대에는 동일률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필연성의 존재론에 대한 논의과정에서 쿠키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을 필연성의 존재론과 구별되는 가능성의 존재론으로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쿠키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쿠키의 시도는 하이데거의 사상의역사적 의미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흥미로운 것은쿠키의 하이데거 사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하이데거가 시도한 해체(Destruktion)에 입각하여 수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쿠키는 자신의 우연성의존재론에 입각해서 현존재, 불안(Angst), 현존재(Dasein), 시간성(Zeitlichkeit) 및 역사성(Geschichtlichkeit)에 대한 하이데거의 개념을 해체(Destruktion)하고 있다.

      • KCI등재

        와쓰지 테쓰로(和辻哲郞)의 윤리학과 그의 하이데거 비판

        서동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9

        이 논문은 일본의 근대 사상가 와쓰지 테쓰로의 윤리학을 소개하고 또 그가 비판하고 있는 하이데거 및 몇몇 서양 윤리학 전통을 함께 소개함으로써 하이데거와 와쓰지의 윤리학적 관점이 가지고 있는 서로 다른 특징을부각시켜보고자 한다. 이 두 사상가의 사유의 출발점, 윤리학에 대한 관점,역사성, 본래성/비본래성의 문제는 유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면서도 그 강조점에 있어서는 아주 다르다. 이 글에서는 와쓰지의 입장 및 하이데거에 대한 비판을 소개함과 동시에 하이데거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몇 가지의 반박의 가능성을 언급함으로써 그 쟁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우리는 철학함의 두 가지 방식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In dieser Arbeit geht es darum zu untersuchen, inwieweit Watsujis Ethische Konzeption als Wissenschaft des Zwischen-Menschen(人-間學) in der Auseinandersetzung mit Heideggers Daseins Konzeption zum Thema haben kann. In der Auseinandersetzung mit der abendländischen Tradition beschäftigte sich Watsuji Tetsurō mit Ethik, vor allem bei Heidegger, Scheler und Kant. Das Verhalten des zwischenmenschlichen ist für Watsuji in einer weit zurück reichenden östlichen Tradition verankert. Vor allem steht die durch die Kyōto-Schule vertretene Interpretation des Sunyata in enger Verbindung mit der ethischen Konzeption Watsujis.

      • KCI등재

        존재의 예술, 무(無)의 예술 - 하이데거와 히사마쯔의 예술론 비교 -

        서동은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문화 Vol.0 No.24

        히사마쯔, 신이치(久松眞一, 1889~1980)는 하이데거를 방문하여 예술에 관한 대화를 한 바 있다. 두 사람은 2회에 걸쳐 대화를 나눈바 있는데, 이 대화를 살펴보면 두 사람 사이에는 깊은 단절감이 있다. 같은 주제어를 가지고 대화하고 있지만, 이 두 사상가가 염두에 두고 있었던 존재론(혹은 세계관)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두 사상가는 각각의 자신의 저작 『예술작품의 근원』과 『다도의 철학』에서 각각 존재에 입각한 예술, 무(無)경험에 입각한 예술론을 펼치고 있는데, 이에 입각해서 보면 두 사상가는 서로 다른 입장에서 서양 및 서양의 근대를 극복하고자 하였고, 그에 따라 예술에 대한 이해도 전혀 달랐다. 이 두 사상가의 예술론을 비교함으로써 우리는 두 사상가의 역사적 만남과 대화에서 보이는 단절과 어색함을 분명하게 읽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문화권의 만남이란 이러한 어색함과 단절에서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단절과 어색함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대화의 가능성을 모색하게 되고, 이 단절을 메울 수 있는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 과제는 과거 두 사람 사이에 있었던 과제이면서 동시에 여전히 서양 근대를 경험하며 살아가는 오늘 우리가 진지하게 숙고해야 할 사유의 과제이기도 하다. Hisamastu, Shinichi(久松眞一, 1889~1980) once visited Heidegger and conversed on art. This dialogue was made twice, in which two shared an unbridgeable gap which derived from their different worldviews. Although they used the same terms, their ontologie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Heidegger’s The Origin of Art Works and Hisamastu’s Philosophy of Tea Ceremony show their respective ways to approach art, but the former’s method was based upon the notion of being and the latter the experience of nothingness. Although both of them tried to overcome the Western modernity, their ways are profoundly different, and their understandings on art are different. By comparing these two theories of art, one can sense the rupture and awkwardness in their historical encounters and conversations. It is not an exaggeration that an encounter of different cultures set out from this kind of rupture. By understanding this rupture and awkwardness, one can open a possibility of new dialogue and take upon oneself a task to bridge the gap. This task was the past one between two thinkers, but it is also the task for us, who still live and experience the Western modernity and thus think more sincerely of it.

      • KCI등재

        삶의 존재론인가 죽음의 변증법인가?-하이데거의 죽음이해에 대한 다나베 하지메의 비판-

        서동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6

        Es gibt die verschiedenen Kritiken über das Verständnis des Todes bei M. Heidegger. Danabe Hajeme übt auch eine Kritik über den Tod bei Heidegger im Aufsätz zum siebzigsten Geburtstag. Der Grund dieser Kritik liegt darin, noch radikal über das Thema Tod im Zenbuddhisten Tradition nachzudenken. Vor allem spielen das Denken des Sunyata und die bodisattba Praxis bei Danabe in seiner Kritik eine wichtige Rolle. Indem wir diese Kritik betrachten und die beiden Blicken vergleichen, können wir die neuen Möglichkeiten des Philosophierens nachdenken. Trotz der unterschiedlichen philosophischen Tradition von beiden Denker können wir auch die Gemeinsamkeiten zwischen den beiden finden. Die beiden Denker versuchen gemeinsam neue Möglichheiten des Philosophierens und des Lebens vor dem Tod zu finden. 하이데거의 죽음이해에 대한 비판은 여러 관점에서 제기되었다. 일본 교토학파의 철학자 다나베 하지메(田辺元) 또한 하이데거의 죽음이해에대한 비판적 견해를 하이데거의 70회 생일 기념논문집에서 피력한 바 있다. 죽음이해와 관련된 다나베의 하이데거 비판은 대승불교철학 특히 보살도 정신과 공(空) 혹은 절대무의 관점에서의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비판을 통해 하이데거의 죽음이해의 독특성과 한계점을 생각해 볼 수 있고, 서로 다른관점에서의 철학함의 방식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보다 개방된 철학적 사유의가능성이 제시될 수 있다. 비록 두 철학자들이 서 있는 사유의 토대는 다를지라도 이 두 사상가에게는 여전히 죽음을 통해 삶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이 두 사상가는 고대인들처럼, 죽음 이후의 삶이나 윤회의 차원에서 또 다른 초월과 극복의 가능성을 찾기보다는 철저하게 현실 삶의 계기로서 죽음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들에게 죽음은 삶의 존재론이면서 동시에 변증법적인 계기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