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非小說 漢文坊刻本 刊行에 대한 書誌的 고찰

        옥영정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1 No.-

        이 연구는 한문으로 간행된 비소설방각본에 대해 기존의 연구에서 다소 부족한 면이 있는 서지적 고찰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연구대상인 한문방각본은 방각본 가운데 그 서사 문자가 한글이 아닌 ‘漢文’인 것을 말한다. 다만 본고에서는 한문 방각본 가운데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소설류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먼저 방각본의 정의와 특징에 대한 기존의 논의 가운데 몇 가지 주요 쟁점을 검토해보았다. 우선 방각본에 대한 서지학적 논의를 통하여 정의를 재고하였다. 방각본의 정의는 민간의 범주와 상업성의 성격을 고려하여 “민간이 영리를 목적으로 간행한 목판본 또는 고활자본”을 일컫는 것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방각본의 특징을 살펴본 후 한문방각본의 내용과 특징, 형태서지적 특징, 간행의 유형 등을 다루었다. 내용적 특징과 형태서지적 분석, 간행의 유형은 방각본의 특징을 서지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특히 간행의 유형에서는 국내판본의 전승, 국외판의 번각, 새로운 간행으로 구분하여 해당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국내 전존하고 있는 한문방각본의 원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bibliographical consideration on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of nonfiction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centered on what has been insufficiently coped with in previous researches. The subject,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indicates the ones written with not Korean but Chinese characters, but fiction occupying much of the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is not included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several main issues among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First, the definition was reconsidered through bibliographical discussion on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the author clarified that the definition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should be adjusted to be block books or old movable-type books that were published on the purpose of profit by common people, by consideration of the scope of common people and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viability. After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ere established,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material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ublication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were coped with. Content characteristics, material bibliographical analysis, and types of publication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ere considered from bibliographical aspect. As for types of publication, in particular, the author presented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origins of the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in Korea by dividing into transmission of domestic printed books, reprinting of foreign printed books, and new publication and providing relevant cases respectively.

      • 학술연구 : 慶北地方 現傳 板本 考察

        윤동원 ( Dong Won Yun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3 디지틀 도서관 Vol.69 No.-

        경북지방에 현재 전해지고 있는 판본은 942종 71,478판이 전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판본의 소장처는 297곳이었다. 판본이 비교적 많이 소장된 지역은 안동과 상주, 구미, 성주, 경주지역이었다. 소장처별 분석에서는 문중이 261곳, 서원·향교가 10곳, 사찰이 10곳, 박물관·도서관이 8곳, 齋舍 4곳, 개인 1곳, 기타 3곳이었다. 판본의 간행은 경제적 능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가장 많은 판본이 판각된 곳은 동학교당, 안동권씨, 도산서원, 풍산류씨, 의성김씨, 안동장씨, 영일정씨, 김해김씨, 전주류씨, 밀양박씨 문중이었다. 주제 분석에서는 집부의 개인문집 및 사부의 전기류가 많이 판각되었다. 이것은 저자의 자손이나 인척, 문인, 후학 등이 그 선조나 인척, 스승, 사숙, 선배 등에게 추모의 마음을 가지고 개인의 자비나 문중의 경비 또는 문인, 후학들이 모금하여 간행한 결과이다. 이중 동학류 판본은 상주시 은척면에 있는 동학교당의 판본들로 동학경서, 동학가사들이었다. 불경류는 봉정사, 부석사, 도리사, 은해사, 운문사, 적천사, 대학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 판본들이었다. 판각연대의 분석에서는 대부분이 18세기에서 20세기에 판각되었다. 귀중서에 해당하는 임란이전에 판각된 것이 15종이며, 完板本은 169종이었다. 이외에도 1장 또는 2장 정도만 누락된 판본도 103종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경북지방 전체 판본의 33%에 해당하는 것으로 경북지방에서 현재 전하는 판본의 質뿐만 아니라 소장상태도 양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판각된 목판의 전적 간행여부를 알아본 결과 현재 전하지 않는 전적은 65종으로 파악되었다.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re are 942 types and 71,478 editions of the woodblock-printed books currently in the Gyeong-book region. The number of institutions who have woodblock-printed books is 297. The regions which possess woodblock-printed books are Andong, Sangju, Gumi, Sungju, and Gyeongju. The woodblock- printed books are possessed by 261 clans, 10 seowons and hayanggyos, 10 temples, 8 museum and library, 4 jaesas, 1 private and 3 others in the analysis classified by possessing institutions. The publication of the woodblock-printed book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economic capacity, and therefore, Donhakgyodang, Andong Kwon, Dosanseowon, Pungsan Ryu, Uiseong Kim, Andong Jang, Youngil Jeong, Gimhae Kim, Jeonjoo Ryu, Milyang Park clan had the most number of woodblock-printed books engraved. In the analysis of their topics, many personal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and biographies were engraved. This is a result of the writers` descendants, relatives, writers, or junior scholars collected personal funds or clans` expenses to publish them on the remembrance towards their relatives, teachers, and senior scholars. Among these, the Donhak type woodblockprinted books were Donghak Confucian classics, Donghak word books, and were located in Donghakgyodang`s woodblock-printed books in Eunchuk-myun, Sangju-si. Buddhist scripture type woodblock-printed books are held by Bongjeongsa, Buseoksa, Dorisa, Eunhaesa, Woonmoonsa, Jeokcheonsa, university museums, etc. In the period analysis of the engraving, most of them were engraved between the 18th and 20th century. Those engraved before the Imran are 15 types, which fall under the Guijoongseo, Wanpanbon were 169 types. Beside thes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re are 103 types of woodblock-printed books missing only one or two pieces. This accounts for about 33% of all the woodblock-printed books in entire Gyoungbook region. This also tells that not only the quality but also the condition of the woodblock-printed books are fine. After researching the presence of Jeonjeok publication of the engraved woodblockprinted books, there are 65 types of Jeonjeok which have not been descended to the present.

      • KCI등재

        조선시대 책판의 구조構造 연구

        박순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0

        Printing woodblocks are wooden plates that letters are carved reversely to print books. They are composed of printing plates and end pieces. As the strongest points of printing woodblocks, they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and books in the same forms can be printed abundantly. To maintain the advantages, there should be no deformation of printing woodblocks. On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wood, there is no perfect method to prevent the deformation. But, how long the deformation could be delayed wa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 This paper intended to examine what preservation methods are remained at printing woodblocks in the Joseon Dynasty. The targeted printing woodblocks were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which are housed in the woodblock archives in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ACKS) and other printing woodblocks which were investigated directly on spots. Although the preservation method was sometimes one, it was applied to each printing woodblock plurally. Especially, it was highlighted that there was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end pieces and thickness of printing woodblocks in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printing woodblocks. This study’s topicis very improper to be handled in humanities and will be high in completeness after going through a lot of criticism and modification of relevant researchers later. Also, more objective consideration will be needed through turning various materials into data.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has been inherited to us for about 800 years. Also, there are innumerable printing woodblocks in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500 years old and more. Even though these printing woodblocks are inherited to us well at present, they are cultural assets which cannot avoid disappearing in future. If their restoration is needed by necessity of future generations, with an idea that restoration nearer the original forms will be possible only after correct understanding of them, this paper came to be written. It is thought that lots of supplement is necessary and co㎜ents of related scholars are required. 책판은 책을 인쇄하기 위해 글자를 거꾸로 새긴 나무판으로, 글씨를 새긴 판면과 마구리로 구성되어 있다. 책판의 가장 큰 장점은 오래 보존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난 뒤에도 같은 형태의 책을 다량으로 인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책판이 가진 이 장점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책판의 변형이 없어야 하는데, <나무>라는 재질의 특성상 변형을 막을 수 있는 완벽한 방법은 없으며, 다만 얼마나 오랜 시간 변형을 늦출 수 있는지가 책판 보존의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본고는 조선시대의 책판에 어떤 보존 기법이 남아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국학진흥원 장판각에 소장된 <유교책판>과 직접 현장에서 조사한 책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책판의 보존기법은 때로는 한 가지만, 때로는 복수적으로 각각의 책판에 적용되었으며, 특히 마구리와 책판의 두께가 책판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있음도 부각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룬 내용은 목판 연구를 위한 아주 미약한 시작일 뿐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가 기다리고 있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며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던져 놓는다.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이 750년 동안 전해져 오고, 한국국학진흥원의 <유교책판>도 500년 이상 된 책판들이 다수 있다. 이 책판들은 현재는 잘 전승되고 있지만,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사라질 수밖에 없는 문화재들이다. 만약 후대의 필요에 의해 책판의 복각이 필요하다면 책판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보다 원형에 가까운 복각이 가능하다는 생각으로 본고의 작성을 시작하였다. 많은 보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관계학자들의 지적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복판과 인경본 비교를 통한 고려대장경판 보존관리

        朴惠仁(Park Hyein) 미술사연구회 2020 미술사연구 Vol.- No.38

        The Goryeo Tripitaka woodblocks are the only extant Tripitaka woodblocks carved in Chinese characters, and are included on UNESCO’s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112 of the 81,352 woodblocks that constitute the Goryeo Tripitaka are duplicates a term that refers to woodblocks of which two or more copies exist. 50 of the 112 duplicate woodblocks are thought to be first editions dating from the reign of Goryeo king Gojong (1236~1251); as such, they are highly valuable. These duplicates show various damage due to conservation processes or repeated printing,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preservation and repair history of the blocks.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duplicate woodblocks and examine the history of their preserv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printed texts. I begin with brief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duplicate woodblocks. The sutra that accounts for the highest number of duplicates is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But since examination of the entire sutra is not possible, I take a sample of 15 blocks and examine them for signs of damage including whether end blocks (maguri) and metal fasteners (jangseok) are present, and whether repairs have been performed. I then examine prints made from these woodblocks, focusing in particular on whether blocks used to make prints in 1381 were still being used in 1865 by gauging the level of similarity between printed copies from each of these two periods. I compare the sutra now in the collection of Otani University, which was printed in 1381, with the copies at Woljeongsa Temple and Oseam Hermitage, which were printed in 1865, and with the copies at Tongdosa and Haeinsa temples, printed in 1899. In order to gauge changes that occurred between 1381 and 1865, I analyze all 130 volumes of Prajñāpāramitā Sutra, finding that no changes have occurred. This indicates that the Goryeo Tripitaka woodblocks were fundamentally managed in a stable manner until 1865. However, comparison of printed copies does reveal traces of repair to heavily damaged duplicate blocks. The Woljeongsa and Oseam copies show the following signs of repair in duplicate blocks in places where the original blocks have been worn or their corners damaged: cases where damaged parts have been cut off in order to prevent further damage; cases where repair has been attempted after cutting; cases where repairs have been completed after cutting; and cases where repaired parts have been damaged again after repair. These various examples of repair indicate that such measures were taken continuously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especially after 1865. Moreover, examples of supplementary carvings show us that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duplicate blocks dating from the 1899 prints onwards were supplementary carvings with boundary lines between the columns of characters. I believe these replacement carvings with boundary lines were produced after 1865, in cases where woodblocks that had been repaired were nonetheless deemed unsuitable for printing.

      • KCI등재

        조선시대 책판의 구조<SUB>構造</SUB> 연구

        박순(朴焞)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0

        책판은 책을 인쇄하기 위해 글자를 거꾸로 새긴 나무판으로, 글씨를 새긴 판면과 마구리로 구성되어 있다. 책판의 가장 큰 장점은 오래 보존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난 뒤에도 같은 형태의 책을 다량으로 인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책판이 가진 이 장점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책판의 변형이 없어야 하는데, <나무>라는 재질의 특성상 변형을 막을수 있는 완벽한 방법은 없으며, 다만 얼마나 오랜 시간 변형을 늦출수 있는지가 책판 보존의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본고는 조선시대의 책판에 어떤 보존 기법이 남아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국학진흥원 장판각에 소장된 <유교책판>과 직접 현장에서 조사한 책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책판의 보존기법은 때로는 한 가지만, 때로는 복수적으로 각각의 책판에 적용되었으며, 특히 마구리와 책판의 두께가 책판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있음도 부각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룬 내용은 목판 연구를 위한 아주 미약한 시작일 뿐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가 기다리고 있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며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던져 놓는다.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이 750년 동안 전해져 오고, 한국국학진흥원의 <유교책판>도 500년 이상 된 책판들이 다수 있다. 이 책판들은 현재는 잘 전승되고 있지만,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사라질 수밖에 없는 문화재들이다. 만약 후대의 필요에 의해 책판의 복각이 필요하다면 책판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보다 원형에 가까운 복각이 가능하다는 생각으로 본고의 작성을 시작하였다. 많은 보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관계학자들의 지적이 요구된다. Printing woodblocks are wooden plates that letters are carved reversely to print books. They are composed of printing plates and end pieces. As the strongest points of printing woodblocks, they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and books in the same forms can be printed abundantly. To maintain the advantages, there should be no deformation of printing woodblocks. On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wood, there is no perfect method to prevent the deformation. But, how long the deformation could be delayed wa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 This paper intended to examine what preservation methods are remained at printing woodblocks in the Joseon Dynasty. The targeted printing woodblocks were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which are housed in the woodblock archives in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ACKS) and other printing woodblocks which were investigated directly on spots. Although the preservation method was sometimes one, it was applied to each printing woodblock plurally. Especially, it was highlighted that there was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end pieces and thickness of printing woodblocks in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printing woodblocks. This study’s topicis very improper to be handled in humanities and will be high in completeness after going through a lot of criticism and modification of relevant researchers later. Also, more objective consideration will be needed through turning various materials into data.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has been inherited to us for about 800 years. Also, there are innumerable printing woodblocks in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500 years old and more. Even though these printing woodblocks are inherited to us well at present, they are cultural assets which cannot avoid disappearing in future. If their restoration is needed by necessity of future generations, with an idea that restoration nearer the original forms will be possible only after correct understanding of them, this paper came to be written. It is thought that lots of supplement is necessary and comments of related scholars are required.

      • KCI등재

        1658~1661년(順治年間)신흥사 수륙재 의식집의 간행

        김현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The woodblocks in Shinheungsa-temple produced in 1658~1661(SoonChi 16~18, the name of an Ching dynasty era reign name). In total, those collections in ShinHeungsa-temple have 269 woodblocks. It is composed of some Sutras such as the Sutra of Lotus(Pundarika Sutra), the Sutra for filial duty and collections of prints for buddhist ritual. The woodblocks were used to print Buddhist book for the buddhist ritual, especially for the deceased-SuryuckJae(水陸齋). After 17th century, whole Chosun had to have recovered from 2 times Invasions, the Japanese and Chinese(Ching dynasty) Invasions of Chosun. The people would only responded to the pray and the buddhist rituals, SuryukJae. Therefore the Buddhist rituals, SuyrukJae, were held for consolation the spirits of the deceased by wars during the period very often at many buddhist temples in whole country. The woodblocks of Shinheungsa-temple shows prevalent of SuryukJae in around the east side of Kangwondo province include Shinheungsa-temple in the 17th century and after. The prints collection for the ritual were in great demand to hold the ceremony, SuryukJae as guide books. It is reported 39 kinds of the ancient guide books of a buddhist ritual, SuryukJae, remained untill now. However the woodblocks of Shinheungsa –temple are the only the woodblock relics in Kangwondo province now, the old books printed from blocks as well. It was reported that the print collections of Shinheungsa-temple from the woodblocks are the most various kinds and the largest numbers and the oldest of prints by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e woodblocks of Shinheungsa-temple are very important relics, not only perfect numbers of the temple woodblocks for SuryukJae in 17th century but also for the study of ancient korean words. 순치 15~18년 신흥사에서는 대규모의 판경불사가 이루어졌다. 이때 간행된 경서들은 『법화경』, 『부모은중경』을 비롯한 경전류와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수설수륙재의소』, 『진언집』, 『운수단가사』와 같은 의식집, 그중에서도 수륙재와 관련된 것 대부분이다. 양란 이후 17세기는 전쟁의 피해 복구가 사회적 요구였으며, 이와 더불어 민심을 위로하기 위한 민간 발원의 수륙재가 전국적으로 성행하게 되었다. 순치년간 신흥사 경판들의 구성을 통해서 강원도 영동지역에서도 수륙재와 같은 불교 의식이 성행했었음을 알 수 있다. 신흥사 소장 경판의 판본들은 수륙재의 설행에는 꼭 필요한 의식집이라는 점에서 이 지역에서의 수륙재의 성행과 그에 따른 의식집의 수요가 대단히 많았음을 짐작케 한다. 또한 조선시대 전기 1470년부터 17세기까지 전국 사찰에서 수륙재 의식에 필요한 경판이 대량으로 제작되었고, 이때 인출된 판본은 39종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들 판본은 대부분 전라도와 경상도 사찰 경판에서 인출된 것이 전해지는 가운데, 강원도 지역에서 인출된 판본은 현재 신흥사판이 유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판본(서적)만을 보더라도 강원도 지역 내에서는 신흥사 판본의 경전이 수량과 종류면에서 가장 많았으며, 현존하는 판본 중에서도 판각년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더욱이 사찰본 의식집의 경판 자체를 제대로 소장 보존된 것은 신흥사와 흥국사(여수) 경판이 유일한데, 이 중에서도 신흥사 소장 경판은 내용과 구성면에서 거의 완전히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특히 소장 경판 중에서 『진언집』은 불교사적인 의의 외에도 당시 한글의 일반적인 표기법을 반영하고 있어 국어사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신흥사 소장 경판은 불교사, 서지학, 국어학 등의 연구 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강원도 내 유일한 사찰판 경판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완벽하게 갖추고 있는 17세기 수륙재의식집 목판이다.

      • 일반논문 : 경남지역(慶南地域) 민간(民間) 소장(所藏) 목판(木板)의 보존(保存) 현황(現況)과 성격(性格)

        김종건 ( Kim Jong Geon ) 南冥學硏究院 2015 南冥學 Vol.20 No.-

        경남 지역에서 직접 조사한 목판은 전체 20개 시군 155개소에 698종 28, 451장이다. 직접 조사하지 못한 해인사의 팔만대장경 등을 더하면 경남 지역은 우리나라에서 목판을 가장 많이 소장한 지역이 된다. 그 중 사찰소장판을 제외한 민간 소장 목판은 19개 시군 139개소 489종 24, 787장이다. 목판 소장처 수로는 진주와 밀양, 목판 종수나 장수로는 밀양과 진주순으로 가장 많다. 문필 활동이 왕성하였고 목판 문집 간행이 많았던 두 지역에 목판이 가장 많이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경남지역에는 문화재로 등록된 목판이 전국 162종 가운데 53%인 83종이 남아 있다. 이 중 사찰 소장 13건을 제외한 70건이 민간 소장 목판이다. 따라서 경남지역의 현존 목판은 양에서뿐만 아니라 질적인 면에 서도 대단히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경남 지역 목판의 보존 환경을 보면, 박물관 · 전시관 · 도서관 o 사료관 등 전문적인 보관 시설에서 관리하고 있는 비중이 높다. 목판은 그 소재가 나무이기에 충해, 습기로 인한 균열, 마모, 화재 등 훼손되기 아주 쉬우며, 문서에 비해 보존 관리에 많은 정성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화 유산이다. 보존 환경의 개선을 위해 좀더 관심과 노력이 경주될 필요가 있다. 경남지역에 현존하는 목판의 성격을 보면 유교 목판이 96.11% 로 절대적인 비중을 점하고 있고, 유교 목판은 책판이 주를 이루 고 있다. 유교 책판은 문집 · 실기 o 유고 등 개인 저작이 2/3를 차 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역사 · 전기류가 잇고 있다. 판각 시기는 20세기 전기가 가장 많고 19세기 후반의 것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제국주의 침략과 일제 침략 상황이었던 19세기 후반 이후 20세기 전반기까지 국가 존망의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후학이나 후손 차원에서의 선현들의 문적 보존 계승을 향한 관심이 오히려 더 열 정적이었음을 보여준다. 경남지역에 많은 인출용 목판이 남아 있다고 하는 것은 대단히 의미가 크다. 목판에는 선현들의 내면 세계가 담겨 있는 기록의 원형이 남아 있고, 경제적으로 막대한 비용을 감수하면서 나무에 새겨 전승하고자 한 후손 · 후학들의 열정, 그리고 그것을 지금까지 소중히 간직해 오면서 기울인 소장처 관련자들의 정성 등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현존 목판을 앞으로 보다 더 잘 보존 계승하여 우리의 소중한 기록문화 유산인 목판이 가진 가치와 목판에 담긴정신을 더욱 발전적으로 현창하기 위해 앞으로 보다 더 큰 관심과 정성이 기울여져야 할 것이다. The number of current eXIstmg woodblocks, which are directly observed in 155 locations from the South Gyeongsang area, are 28, 451 plates of 698 types. Adding other woodblocks such as woodblock of Tripitaka Koreana in Haeinsa Temple not directly surveyed, the South Gyeongsang area has the most woodblocks. Among them, woodblocks preserved privately except for woodblocks preserved in temples are 24, 787 plates of 489 types in 139 locations. In the aspect of the number of holding places, Jinju and Milyang is the best. As for the number of types and plates, Milyang is the best and Jinju is the second. It is because literary activity is active and publishing of wood-block anthology is frequent in these regions. In the South Gyeongsang area, 83 of woodblocks among 162 types registered as cultural assets remain. Among those, except for 13 preserved in temples, 70 are privately preserved ones. Therefore, current existing woodblocks in the South Gyeongsang area give significant point to consider toward us, not only in the aspect of quantity but also in quality.Considering the environment for preservation of woodblocks in the South Gyeongsang area, the rate of using specialized storing utilities is high such as museums, libraries and, galleries. Because woodblocks are made up of wood, they are easy to be damaged by insects, humid circumstance and fire. Also, they require much more concerns and expenses for preservation and controlling than cultural assets of paper. More cares and efforts are highly needed for improving the preserving environment. When we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woodblocks in the South Gyeongsang area, confucianism woodblocks rating as 96.11 % take the highest rate and they are mainly book plates. Among confucianism book plates, private works including anthology takes 2/3 and what follow after them are works of history and biography. The period of engraving on woodblocks is mainly early 20th century and works of the late 19th century follow after them. The reason why the period of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m, from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is the period of active engraving of woodblocks can be found in passion of descendents. Their passion for preserving and continuing our former sages`` literary works, though they met the situation of national crisis, finally make this enormous result. Woodblocks are precIOUS recording inheritance that our ancestors presented toward us by engraving on the wood. Especially, printing woodblocks are the heritage of the will of our descendents in order to deliver the deep thought of ancestors and preserve with much care. Besides, woodblocks are another significant recording inheritance in that they contain all of important information which cannot be found from books published by using woodblocks on margins or edges in the form of letters engraved or written with chinese ink. Nevertheless, because of development of modern printing system, the value of woodblocks functioning as print media has disappeared. We need to give high attention toward the fact that the South Gyeongsang area still contains lots of printing woodblocks. In woodblocks, we can find the original record of our ancestors`` spirit, descendents`` passion to hand it down paying high financial cost, efforts and cares of people concerned with preserving locations. Much more huge concerns and efforts are highly requested to develop the spirit and value of our precious recording cultural assets, woodblocks.

      • 중국 민간연화(民間年畵)의 제작 기법 및 회화성 - 18세기 소주(蘇州)지역 민간연화를 중심으로 -

        우영숙(Woo Young Sook) 한국민화학회 2018 한국민화 Vol.- No.9

        이 논고는 회화의 대중화에 기여한 목판민간연화의 일반적인 제작기법을 소개하고, 동시에 수인목판화 제작기법에 회화성을 더하기 위한 조각기법, 인쇄기법, 채색기법에 대한 고찰이다. 민간연화는 중세에서 근대를 향해하는 시기에 활발하게 제작되어 회화의 대중화에 기여한 대표적인 중국의 민간미술이다. 수인 목판민간연화에 회화성을 더하기 위한 민간화단의 노력과 창의성은 민간회화의 예술성으로 나타났다. 18세기 소주지역의 민간예술가들은 회화적인 아름다움을 갖춘 연화판화를 제작하기 위하여 반인반화(半印半畵)의 방식을 사용하면서 세 가지 기법을 적용하였다. 첫째, 인물의 얼굴부분과 이목구비는 반드시 채색을 하는 것이다. 둘째, 2-3장의 농담흑판으로 인쇄하여 수묵화의 우아하고 자연스러운 멋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셋째, 다양한 선판을 활용하여 인쇄한 후 채색하는 방법으로 판화예술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18세기 소주지역의 민간화단에서는 새로운 화법과 소재를 선택하여 예술성이 두드러지는 연화가 제작되었다. 소주의 조각공들은 청 왕궁의 판화제작에 참여한 경험, 문인화의 모각, 서적 삽도 제작, 전승되어오는 화보의 활용 등에 이르기까지 연화의 제작에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소주민간화단에서 추구한 새로운 화법으로 제작된 작품은 세화용의 화조 및 화훼연화, 풍경과 풍속을 그린 연화, 다양한 풍속과 길상을 표현한 인물연화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된 문인들의 전통산수화와 당시 소주 주변의 풍경과 풍속을 결합시킨 독특한 구도와 내용으로 아름다움을 드러내었다. 그 중에서도 두드러지는 특색은 서양화법의 도입과 새로운 화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서양 동판화의 선각기법과 조감도 방식의 투시법을 전통기법과 적절히 운용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형식의 판화를 만들었다. 소주 민간연화는 전통적인 소재를 계승하고, 당시 유행하던 문화를 종합적으로 수용하여, 예술품이자 상품으로 제작하여 도시시민계급과 경제력이 있는 일반 대중에게 보급된 문화상품의 성격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당시의 민간연화는 상품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추구한 민간미술이자, 경제적인 번영 후에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나는 대중의 문화적인 욕구에 응답한 대중미술이라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not only an introduction to the general manufacturing process of woodblock-printed New Year paintings, which was a major contribution to the popularization of folk paintings, but also a study of carving, printing, coloring skills used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at substantially added the realistic presentation of the woodblock paintings with watercolors. New Year painting is a representative form of visual folk art in China, which was immensely produced and populariz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medieval to the modern era. Folk artists’ relentless effort and creativity to add the realistic presentation of the world into the woodblock paining became unique artistic value of the folk art. In the eighteenth century, folk artists of Suzhou area used half-print half-paint method to create New Year paintings with realistic presentation, and the method can be characterized into three techniques. First, faces and facial features of humans were always painted, not printed. Second, artists printed with two to three black color woodblocks, so that they could depict the natural yet elegant beauty of the ink-and-wash painting. Third, various relief printmaking woodblocks were used to print the bases, and, subsequently, the artists painted and colored the arts. This technique maximized the beauty of printed artworks. Folk arts from Suzhou inherited traditional subject matters and accepted the popular cultures at its time, so the arts display some quintessenti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rt that were spread out to the citizens and wealthy populations: namely, the paintings were created as an art and commercial products. New Year paintings, by then, were folk arts that pursued both the commercial and artistic values and a popular art that answered to the general publics’ needs for culture after the economic success. By the eighteenth century, artists of Suzhou produced some remarkable New Year paintings by choosing the new techniques and subject matter. Sculptors of Suzhou made various attempts to produce the new form of art, by utilizing their previous experiences from creating arts for the Royal Palaces of Qing dynasty, mimesis of Southern School of Chinese panting, producing illustrations for books, and using the sketches from previous generations. The artworks of the folk artists of Suzhou with the new techniques can be easily found in paintings for wishing good luck, New-Year paintings, and painting of persons that depicted the customs and Gil-sang(Auspicious Sign). The beauty of these paintings lied on the unique composition and contents, which were a mixture of traditional paintings of landscape and the customs and views of Suzhou at the time. One of the salient features of the paintings was a usage of western techniques, which evolved into a new drawing technique. By adopting the ‘Etching’ and ‘Perspective drawing method’ from aerial view, which were common techniques in Western copperplate-printed paintings, into a traditional techniques, the artists of Suzhou was able to produce the new form of woodblock printed paintings. The artistic value and realistic presentation of the Suzhou woodblock New Year paintings are results of effort and strong will of the folk artists. The effort to maintain the traditional art and creativity to mix the tradition and the new technique resulted in a form of art that showed a novel form and composition. Such effort and creativity resemble the passion of today’s folk artists.

      • KCI등재

        근세 말 일본의 재해와 회화: <재해 니시키에(災害錦繪)> 범주의 가능성-호소에, 나마즈에, 코레라에, 하시카에의 상호비교를 통하여-

        박병도 한국역사민속학회 2020 역사민속학 Vol.0 No.58

        New types of woodblock prints appeared following disasters that occurred at the end of the Edo period in Japan. Namely, after the Ansei Edo Earthquake of 1855, Namazu-e (catfish print) emerged, the 1858 cholera epidemics resulted in Korera-e (cholera print), and the measles epidemic of 1862 led to Hashika-e (measles print). Although Namazu-e and Hashika-e studies began respectively in the 1960s and the 1990s, Korera-e has never been studied before, and further, no comparat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etween the three. To compare and categorize these prints, I add Hoso-e (smallpox print), which preceded these prints, and point out three similarities:(1) expression of supernatural beings that cause and prevent disasters, (2) expression of death and humor for survivors, and (3) practical tools based on magical function and informative media. These similarities suggest that woodblock prints inspired by disaster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woodblock prints and therefore need to be specially categorized. The category I suggest is “Disaster Woodblock Print (Saigai Nishiki-e),” which presents the practical purpose of coping with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earthquakes and epidemics by making woodblock prints. 근세 말 일본에는 재해가 연달아 발생하고 이어 이와 관련된 민속회화가 등장한다. 1855년의 안세이 에도지진과 나마즈에(鯰繪), 1858년의 안세이 콜레라대유행과 코레라에(コレラ繪), 1862년의 분큐 홍역대유행과 하시카에(はしか繪)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 회화들의 전사(前史)로서 18세기 후반부터 등장하는 포창 관련 회화인 호소에(疱瘡繪)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가운데 나마즈에에 대해서는 1960년대부터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호소에와 하시카에는 1990년 이후에서야 연구자료로 인식되었고 코레라에에 대해서는 아직 제대로 연구된 적이 없다. 그리고 이들 회화를 서로 비교하거나 묶어서 보려는 시도도 이루어진 적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 회화들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 지진과 전염병이라는 재해사태가 있었고 회화 속의 상징이 재해를 인식하고 대처하는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이들을 <재해 니시키에(災害錦繪)>로 칭하며 이 범주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재해 니시키에>의 세 가지 공통점을 ①재해를 일으키고 막는 초자연적 존재, ②풍자와 죽음의 표현, ③복합적 실용성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재해 니시키에>는 재해사태를 있는 그대로 표현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당시 사람들이 재해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으로 등장했음이 드러난다. ‘재해의 상징화’로 등장한 이들 회화는 서로 묶어서 파악할 때 이러한 특징이 제대로 드러나고 다른 니시키에와도 구별된다는 점에서 <재해 니시키에>는 범주로서의 유효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冊板目錄을 통해본 조선시대 善山지역의 목판인쇄문화 연구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06 서지학연구 Vol.34 No.-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publishing culture of every region in the Joseon period, this study analyzes the Catalogue of the Woodblocks to examine the woodblock printing in Seonsan, Gyeongbuk Province, which was well-known for Youngnam Confucian Scholars. First of all, in this study, based on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actual inspection of books,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eonsan region is reviewed. Then, the contents of books mentioned in the Catalogue of the Woodblocks are specifically discussed. It could help describe the printing situations of individual publications, and understand better the general situation of woodblock printing culture in Seonsan region.Twelve titles of books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and thirty two titles of books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are finally confirmed. Most of them are the Confucian classics and educational books compil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Compared with the late Joseon, the majority of printing blocks made at private residences focused on the private collection of local works or the authentic record. Also, this study introduces Seonsan-Bu Sojae Chaekpanki recently known as the catalogue of the woodblocks located in Seonsan, and examines its editorial style, the period and background of its publication, and the contents of printing blocks listed in the book.In the Joseon period, most provincial districts collected their own printing blocks, and printed books with them. Some of those blocks have been handed down until now. In order to inherit, preserve and develop them as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 more research on the scale and types of publications and the investigation on their existence should be conducted. 이 연구는 조선 시대 각 지방의 출판 문화 활동을 파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영남 사림의 근원지로 알려진 경북 선산지역의 목판인쇄문화를 책판목록의 기록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조선 시대 이전의 역사 기록과 실물 자료를 바탕으로 선산 지역의 역사와 문화적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책판 목록에 수록된 간행된 서책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이는 책판목록에 수록된 다른 지역의 간본 연구를 체계화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선산 지역을 언급하고 있는 책판 목록을 조사하여 종합화하였으며, 그 다음에 개별 서책의 간행 상황을 밝혀서 선산 지역에서 간행된 목판 인쇄 문화의 전체적 상황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조선 전기 12종, 조선 후기 32종의 간행 서책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산 지역의 책판 목록으로 새롭게 알려지는 善山府所在冊板記에 대한 소개와 함께 편찬체제, 작성시기와 그 배경, 수록 책판 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조선 시대에 전국 郡 단위 이상의 각 고을 마다에는 대부분 책판이 소장되어 있었고 서책을 간행하였으며, 현재까지도 전해지고 있는 것도 있지만 이를 지역의 문화 유산이나 전통으로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 연구와 같이 실제 간행된 서책의 규모, 종류, 실존 여부 등을 파악하는 중간 단계의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