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재삼 시에 드러난 온전성에 대한 지향으로서의 슬픔

        박진희(Park Jin hee)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90 No.-

        이 글은 ‘슬픔’이 ‘온전성의 그리움에서 오는 아픔’이라는 가정을 수용하는 데서 출발하여 박재삼의 시에 발현되고 있는 ‘슬픔’이 존재의 온전성에 대한 지향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박재삼 시의 경우 ‘온전성’은 인간됨의 조건이라 할 수 있는 진·선·미의 층위에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자연이 그 표상이 되고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진(眞)’은 우주적 이법에 대한 인식과 성찰의 측면에서, ‘선(善)’은 윤리적 감각과 실천의지의 측면에서, ‘미(美)’는 심미적 지평으로서의 측면에서 연결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온전성에 대한 지향과 슬픔의 발현은 전기시에서는 주로 ‘미’의 측면에서 후기시에서는 ‘진’과 ‘선’의 측면에서 주로 드러나는 양상을 보인다. 박재삼 시의 ‘슬픔’은 단순한 감각의 차원에서 발현되는 정서가 아니다. 원인에 있어서 나 발현 양상에 있어서 매우 다성적인 의미를 담지하고 있는, ‘종합 지적 성격’을 갖는 정서라 할 수 있다. 슬픔의 정서를 인간됨과 관련한 온전성의 지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상투화된 의미의 경계를 초월함은 물론, 관념적·실존적 층위에서 모두 의미의 지평을 확장했다는 데 박재삼 시의 의의가 있다.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at emotions in Park Jae-Sam s poetry such as sorrow which are merely assessed as thoroughly being on personal level are not only based on the poet s temperament or personal affairs but they are related to awareness of reality and subsequently to criticism on it and that; its medium is the emotion of compassion based on sorrow.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lluminate a point placed the sorrow that appears at the Park Jae-sam Poems that comes from the orientation about the wholeness. Park Jae-sam Poems case of ‘wholeness’ is connected over true·good·beauty and Nature is its representation. Sorrow of Park Jae-sam Poems is not a sentiment expressed at the level of mere sensation. First, Sorrow of Park Jae-sam Poems connected beauty. This beauty go beyond simple aesthetic dimension. At the Aesthetic dimension sorrow is disclosed image of twinkle. Beauty is delicacy may relate to innocence. Second, Sorrow is active in terms of moral sentiment turned out to be. Sadness can share of self-oriented sorrow, and community oriented sorrow. Self-oriented sorrow turned out to be introspection. The sadness of community oriented Go to unity. The sorrow have paradoxical power. Lastly, emerging in the process of sorrow in the cognitive dimension is exploring nature and source oriented. Nature and a man of great promise as a ‘unfinished’ in poems of this trend for the rite is complete with human existence seems visible aspect through the contrast. Sorrow of Park Jae-sam Poems includes a very complex means. It has a comprehensive intellectual nature. Significance of the Park Jaesam Poems is having escaped from a fixed meaning by connecting the emotion of sadness with orientation about the wholeness.

      • KCI등재

        슬픔 얼리기와 문학 창작 교육

        김효주 ( Kim Hyo-joo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이 글은 슬픔 얼리기 프로그램을 통해 문학 창작과 문학치료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슬픔 얼리기란 슬픔에 대한 거리두기를 뜻한다. 슬픔 얼리기는 자신이 겪은 슬픔에 대해 좋다 나쁘다 등과 같은 분별을 하거나 성급한 판단을 하지 않는 것이다. 또, 자신의 슬픔을 암시하는 것이지 풀어서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진정한 마음의 치료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시 읽기라는 간접 경험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이 투영된 시를 자신이 직접 창작해야 한다는 점을 중시한다. 그리고 시 쓰기가 치료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 슬픔에 대해 고민한 흔적을 시 속에 담을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방적으로 시 쓰기를 권할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점진적 쓰기 단계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줄글쓰기와 시 쓰기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슬픔에 대해 점진적으로 다가갈 수 있게 하였다. 줄글 쓰기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슬픔을 일정부분 드러내게 하는 전략이다. 학습자들은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겪은 슬픔의 경험을 추체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슬픔 얼리기 방식으로는 시 쓰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렇듯 이 글에서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완급강약을 조절하면서 자기 슬픔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 슬픔이라는 것을 온전히 드러내는 것도, 그렇다고 온전히 숨기는 것도 옳지 않다. 드러내기와 숨기기 사이를 조절할 줄 아는 능력, 그것이 슬픔을 대할 때 가장 필요한 태도이다. 그런 점에서 시를 읽고 쓰는 교육이 소중하다. 시는 적절히 보여주고 적절히 숨겨주는 비법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 시대 슬픔의 치료는 문학에서 시작하여 일정기간 치료 과정을 거쳐 다시 문학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반복되어야 한다. This paper tried to seek for a plan to closely connect creative writing to literary therapy through Freezing Sorrow Program. Freezing sorrow refers to distancing from sorrow. Freezing sorrow is neither differentiating nor hastily judging sorrow one has felt : i.e. it is good or bad. Also, it is implying his or her sorrow not revealing that. This paper attaches importance to the point that one has to create poems to which his or her experiences are reflected by him or herself rather than indirect experiences of reading poems so that a true healing of the mind can be made. In addition, for writing poems to function as healing, one should be able to include the traces of concerns with his or her own sorrow in the poem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gradual writing step to it rather than to force to write poems. This paper allowed learners to gradually approach their own sorrow through `prose writing` and `poetry writing`. Prose writing is a strategy that allows learners to reveal their own sorrow to some extent. The learners can re-experience their experiences of sorrow through this process. Next, poetry writ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as the method of freezing sorrow. Like this, this paper tried to seek for a plan to allow the learners themselves to control speed and dynamics by presenting a concrete program to overcome their sorrow. In the world we are living in, neither is right to fully reveal sorrow nor to completely hide it. An ability to control between revealing and hiding is an attitude that is most necessary when one faces sorrow. In that sense, it is precious to teach reading and writing poetry. This is because poetry possesses a secret to properly show and hide. After all, healing sorrow of this epoch of ours should begin from literature, go through a process of heal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proceed back to literature. And this process should be repeated.

      • KCI등재

        哀怒喜樂에 대한 心理․生理的 해석과 그 易學的 근거- 『동의수세보원』 「四端論」을 중심으로 -

        임병학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5

        SaDanRon in DonguiSuseBowon is very important chapter tounderstand philosophy principl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because it discusses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rinciple directlyby connecting with sorrow energy․anger energy․joy energy․pleasureenergy. A brief summary of the contents of the body, First, pleasure․anger․sorrow․joy and sorrows․anger․joy․pleasure are different sphere’sproblem. That is it said pleasure․anger․sorrow․joy in human naturesituation but when saying body’s concrete physiological function, itmentioned in sorrows․anger․joy․pleasure order by writing sorrowenergy․anger energy․joy energy․pleasure energy. And however SaDanRon said about energy about existential humanbody’s energy, it devide Hoyunjiki(浩然之氣), character and nature’senergy, sorrow energy․anger energy․joy energy․pleasure energy. Andit devide sorrow energy․anger energy․joy energy․pleasure energy totemper and mind, discuss on position of the thing and its functions. If we look the relations based function of sorrow energy․angerenergy․joy energy․pleasure energy, sorrow energy and laziness energy are position of vertical position rising strately and descend strately,but anger energy and joy spirit are horizontal potion lengthen crosslyand diminish crossly. So We know that these four energys are theprinciples of Daedae(待對)’s relations. And In SaDanRon, Lee Jae-Ma mention sorrows․anger․joy․pleasure tothe thing and its functions of human nature and emotion, so it becomeseight. those are related the eight Diagram of The Diagram of KingWen’s eight trigram(文王八卦圖)Sorrow nature․anger nature․joy nature․pleasure nature are arrangedto four directions, Sorrow emotion․anger emotion․joy emotion․pleasureemotion are assigned four corners. 『東醫壽世保元』 「四端論」은 동무의 철학사상을 哀氣․怒氣․喜氣․樂氣와 연계시켜 四象醫學의 원리를 직접적으로 논하고 있기 때문에 사상의학의 철학적원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장이다. 먼저 「四端論」에서의 喜怒哀樂과 哀怒喜樂은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즉,인간 마음의 작용인 情의 입장에서는 희노애락이라 하였지만, 몸의 구체적인생리적 작용을 논할 때는 哀氣․怒氣․喜氣․樂氣라 하여 애노희락의 순서로 논하고 있다. 또 현존적인 인간 몸의 氣에 대하여 논하면서도 인격성을 위주로 하는 浩然之氣와 생리적 氣인 哀氣․怒氣․喜氣․樂氣를 구분하고 있으며, 哀氣․怒氣․喜氣․樂氣를 다시 性氣와 情氣로 나누어 體用의 입장에서 논하고 있다. 哀氣․怒氣․喜氣․樂氣의 작용을 중심으로 그 관계를 보면, 哀氣와 樂氣가 直升과 陷降하는 종적 입장이라면, 怒氣와 喜氣는 橫升과 放降하는 橫的 입장이라 하겠다. 따라서 哀氣와 樂氣․怒氣와 喜氣는 서로 對待的 관계임을 알수 있다. 그리고 「四端論」에서는 肺脾肝腎을 네 모퉁이의 四象이라고 하여, 『格致藁』「儒略」에서 文王八卦圖가 인간 본성의 이치를 담고 있다고 한 내용과 종합하면, 易學의 文王八卦圖를 통해 「四端論」의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있다. 哀怒喜樂을 性과 情의 體用으로 논하여 8개가 되어 文王八卦圖의 八卦와직접 결부되어, 哀性․怒性․喜性․樂性은 네 정방에 배치되고, 哀情․怒情․喜情․樂情은 네 모퉁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 KCI등재

        〈수성지(愁城誌)〉에 나타난 ‘시름’[愁]의 정체

        전성운(Sung-woon Chun) 어문연구학회 2007 어문연구 Vol.54 No.-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the true colors of sorrows in Suseongji. This thesis began to reconsider the result of study on Susoengji that were a criticism, a satire, an allegory, a resistance and a curse toward the reality which the writer face up to.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considered the observation process of sorrows and coping with sorrows in Suseongji.<BR>  We could not know the origin and reasons of Sorrows. Sorrow is a kind of something inscrutable and uncontrollable, even though the king of mind and the limitless being. This means that sorrows deny itself to be determined logically and rationally. This also means that rationally and logically coping with the sorrows is impossible. The only way of coping with sorrows are drinking liquors.<BR>  And also, characteristics of style in Suseongji are irony and wit. Sorrows are deny itself to be determined logically and rationally. So it is the only way to cope with liquors and express by wit and irony. In actual fact, when the Liquor appeared, the style of Suseongji abruptly change. The slow and gloom mood suddenly change into bright and speed. And every sorrows surrender under the general Liquor except Gulwon. It seems that the writer failed to plot out the rational narration.<BR>  This thesis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on the study of Suseongji. Past studies on Susoengji focus on the reality in it and writer"s critical attitudes toward contemporary world. But this thesis concentrated on the work itself. By this method, it is cleared these several points. First, there are self-reflections as a human beings in Suseongji and also, romantic trends in literary works at 16th century. Second, researchers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style of Suseongji, its its techniques of writing and the origin etc. As fact, the researcher of Suseongji should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hosa and Suseongji.

      • KCI등재

        김수영 시의 설움에 대한 고찰

        오채운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硏究 Vol.- No.80

        In reference to ‘sorrow’ of Kim Sooyoung’s poem, this study examined cause and perception of reality of sorrow, method and space responding to sorrow, and conquest and time of sorrow. Sorrow of Kim Sooyoung’s poem was happened by viewpoint that people themselves are seen as the sorrowful existence, severance and alienation in the relations with others, and suppression of an external power. A narrator’s responses to sorrow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pace, and showed double attitudes such as positiveness and negativeness. This was to show an intellectual agonizing continuously because of convert conflict. Therefore, sorrow not was overcame, but showed an aspect to make a new conflict. Kim Sooyoung selected a silence as the biggest cause of this. Therefore, Kim Sooyoung’s poem showed an attitude of anger about a silence of all bystanders with a narrator. This implied that one person becoming silent about injustice in the inner workings of humankind will be remained as a sorrowful existence forever. 김수영의 시에서 ‘설움’과 관련하여, 설움의 원인과 현실 인식, 설움을 대하는 화자의 태도, 설움의 극복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았다. 김수영의 시에서 설움은 인간 자체를 서러운 존재로 보는 시각,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단절되고 소외될 때, 외부적인 권력의 억압에 의해서 발생한다. 설움을 대하는 화자의 태도는 공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긍정과 부정의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는데 이는 내면적 갈등으로 끊임없이 고뇌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그런 이유로 설움은 극복되는 형식을 취한다기보다는 새로운 갈등을 만들어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시간이 주어져도 내면세계에 갈등만 존재하고 그 갈등 속에서 방황하는 모습을 보여줄 뿐이다. 이렇게 되는 가장 큰 원인으로 김수영은 침묵을 꼽는다. 그래서 김수영의 시는 화자와 더불어 주변인 모두가 침묵하는 것에 대해 분노하는 태도를 보인다. 인간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불의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한 인간은 영원히 서러운 존재로 남게 될 것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챗GPT 담화를 통한 시어 고찰의 실제와 활용방안 -김수영의 시어 ‘설움’의 의미 해석을 중심으로-

        김웅기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Kim Soo-young’s poetic language ‘the emotion of sorrow’ in conversations with ChatGPT, implemented by the discourse-based AI model GPT-4, and to examine and compare the actual interpretations and errors, misreadings derived from each session in ChatGPT, and to probe the possibilities for utilization in literary discourse. ‘The emotion of sorrow’ is a symbolic concept used in certain periods of poetry, and an emotion that occupied him right after the war, as written in Kim Soo-young’s reminiscence of his time in a prisoner-of-war camp in 「A Pitiful History」. For example, he actively used the poetic function of ‘the emotion of sorrow’ by transforming it through various inflectional endings. Works where ‘the emotion of sorrow’ appears as a poetic term are mainly early poems written around 1953. Particularly in early poems written between 1953 and 1955, such as 「Spider」, 「Kura Chung-hwa」, 「Sorrow Ripening Inside the Room」, and 「Helicopter」, 'the emotion of sorrow's narrative appears directly along with Kim Soo-young’s poetic responses through ‘life’. In the initial discussion, ‘the emotion of sorrow’ was interpreted to a degree as a tendency to transform into sorrow, fatigue, or death. However, considering discussions that it also influenced later poetry, after the 4․19 Revolution, it can be seen as the driving force for Kim Soo-young’s positive mental state of freedom and love, which brought about a change in his poetic attitude. The primary premise of this paper is based on this view, and what it ultimately seeks to argue is whether the sorrow of Kim Soo-young is not just a simple emotion or poetic term but led to freedom of spirit and existential consideration, as a final determination of self-existence, which can be read through conversations with ChatGPT.

      • KCI등재

        기녀시조와 규방가사의 恨의 표출양상 비교연구

        김지은(Kim, Ji-Eun) 한국시조학회 2012 시조학논총 Vol.36 No.-

        본 연구의 의도는 남성우위의 폐쇄적 사회에서도 꿋꿋이 정신문화의 한 축을 형성한 조선시대 여성문학 중 기녀시조와 규방가사를 대상으로 하여 그 안에 스며 있는 恨의 표출양상을 살펴보고 비교하고자 하는 데 있다. 물론 두 시가의 장르가 전혀 다르고 작자의 신분적 층위도 분명 차이가 있지만 조선이라는 질곡의 시대를 살아내야만 했던 동시대의 여성들이 짊어진 한의 본질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전제하에서 시작하였다. 기약 없이 생이별한 남편을 기다리며 몸부림치는 규방여인의 恨과, 재회할 기약도 없는 그리움에 운명을 맡겨버린 기녀의 恨 모두 담긴 모양은 다르지만 동질성이 있다고 보았다. 본고에서 다루어진 규방가사는 남편과의 생이별이나 사별을 다룬 작품만 살폈지만 그 외에도 恨의 범위와 대상은 다양하다. 연구의 최초 접근은 기녀시조는 기녀라는 신분의 특수성과 시조창으로서의 장르적 성격으로 인해 한의 정서가 개방적으로 표출되고, 규방가사는 규중에 갇혀 자신의 한을 오로지 안으로만 삭여야 했던 규중 여성들의 작품이므로 한의 정서가 폐쇄적으로 표출되는 작품이 많을 것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사회적 배경이나 환경, 작자의 신분과 처지, 혹은 장르의 특성과 연결시킬 수 있는 문제에 지나지 않았다. 막상 작품의 텍스트를 접해 보면 규방가사가 훨씬 자신의 슬픈 감정을 구체적이고 솔직하게 표출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오히려 한을 개방적으로 ― 즉 열린한으로 드러내고 있다. 반면에 기녀시조는 사대부와의 만남을 통해 우회적인 말하기를 모방해서였는지 비교적 간접적이고 비유를 통해 슬픔을 폐쇄적으로 ― 닫힌 한으로 드러내고 있다고 보았다.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expression aspects of sorrow around ‘Gisaeng Sijo’ and women’ quarters’ lyrics among literatures of women from Chosun Dynasty which formed a mainstay of the moral culture even in male-oriented closed society. Of course, genres of the two poetries are completely different and there is a very distinct difference in social status of the author, bu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aking that the essence of sorrow of women who had to endure the fetters of Chosun Dynasty was not very different. Deep sorrow of zenana who was torn apart from their husband without any promise of return and sorrow of gisaeng(official dancing girl) who was destined to long for reunion without any promise are different but fell under the same homogeniety. women’ quarters’ lyrics explained above are about works of lifelong parting or separation by death, but the range and subject of sorrow are also very diverse. The research first started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re are a number of works that embodies sorrow as ‘Gisaeng Sijo’ expressed sorrow openly through a characteristic of status of gisaeng and genre characteristic of sijo(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and as women" quarters’ lyric is about zenana who was confined in their boudoir and had to repress their sorrow. However, this is nothing but an issue that can be related to the social background or environment, status and position of the author, or characteristic of a genre. When you look at the text, women" quarters’ lyrics was actually depicting sorrow rather openly that it expressed sad emotions more specifically and in more detail. On the other hand, ‘Gisaeng Sijo’ expressed sorrow through comparatively indirect expressions and figure of speech because it was imitating the indirect way of talking through the meetings with a nobleman.

      • KCI등재

        윤동주의 시(詩)에서 드러나는 신학 세계 ― 하나의 신학적 분석

        백충현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4 No.-

        One of the most favorite poets to Koreans is Dong-Ju Yoon(尹東柱)(December 30, 1917 ~ February 16, 1945). Upon the occasion of the 70th anniversary of his death(that is, 2015), and that of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that is, 2017), there have been more interests in him and also more in-depth studies on his poetry. There have been more than 500 studies including master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Many of them conducted a study on his poetry in terms of Christian faith, consciousness, idea, thought, or spirit, but there are not so many studies in terms of “theology.” And most of these studies remained in securing and establishing the connection between his poetry and Christianity. This paper goes further to seek to analyze the theological world represented in his poetry, especially systematically in more detail, because a theological analysis of his extant poems shows many aspects of his theological world. And it is so because it shows many theological loci such as the doctrine of creation, the doctrine of God, christology, pneumatology, Christian life and so on. In order to do this project, this paper does not focus merely on some Christian words or terms, which might have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his poetry. Instead, this paper, considering the entire situation, that is, his historical and existential situation, and comprehending the overall steam of his poetry written from 1934 to 1942, seeks to take a look into the theological world represented in his poetry. Seen in this approach, the most central theme of his theological world is ‘sorrow.’ And his poetry has a sorrowful world, which leads to eternal sorrow, and, which, in turn, comprehends the sorrow of eternal God. The eternal God is a sorrowful God! Thus this paper argues that his poetry shows a theology of eternal sorrow, or a theology of the eternity of sorrow. A theological work conducted in this paper will contribute much, necessarily and significantly, to a reconstruction of the theological world represented in his poetry, and also to a discovery of some implications of his poetry for Korean Church and Korean Christians in today’s context.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랑하는 시인 윤동주(尹東柱)(1917년 12월 30 일 ~ 1945년 2월 16일)에 대한 관심이 그의 서거 70주년(즉, 2015년) 과 그의 탄생 100주년(즉, 2017년)을 계기로 더욱 많아졌고 그의 시(詩)에 대한 연구가 더욱 심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윤동주에 관한 연구는 석 ‧ 박사 학위논문을 포함하여 500편이 넘는데, 이들 중에는 그의 시(詩)에 관하여 기독교 신앙, 의식, 관념, 사상, 정신 등등의 관점에서 많은 연구들이 제시되어 왔지만, “신학”의 관점에서는 그렇게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들 대부분은 그의 시(詩)와 기독교와의 연관성을 확보 및 확립하는 데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서 윤동주의 시(詩)에서 드러나는 신학 세계를 조직신학적으로 세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윤동주의 현존하는 시(詩)들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보면, 그의 신학 세계의 여러 면모들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특히, 조직신학의 주요주제들(theological loci) 중에서 창조론, 신론, 기독론, 성령론, 기독교인의 삶과 관련하여 그의 신학 세계의 여러 면모들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단순히 기독교적 단어나용어 하나하나에 천착하지 않는다. 그것은 윤동주의 시(詩)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로 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접근보다는 오히려윤동주가 살았던 역사적, 시대적, 실존적 상황을 총체적으로 고려하면서, 그리고 1934년부터 1942년까지 쓰인 그의 시(詩) 전체의 흐름을 파악하면서 그의 시(詩)에서 드러나는 신학 세계를 살펴보고자한다. 이렇게 접근하여 보면, 윤동주의 시(詩)에서 드러나는 신학 세계를 보여주는 가장 중심적인 주제는 ‘슬픔’이다. 세계는 슬픈 세계이며, 세계 안에서의 슬픔은 영원한 슬픔으로 이어지고, 영원한 슬픔안에서, 즉 슬픔의 영원성 안에서 영원하신 하나님의 슬픔을 포착한다. 영원하신 하나님은 슬퍼하시는 하나님이시다! 그래서 윤동주의시(詩)가 그려내는 신학 세계는 ‘영원한 슬픔의 신학’ 또는 ‘슬픔의영원성의 신학’이다. 본 논문에서 수행하는 신학적 작업은 윤동주 시(詩)에서 드러나는신학 세계를 재구성함과 동시에, 그것이 오늘날의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 및 한국기독교인들에게 제시하는 함의들을 이끌어내는 데에매우 필수적이고 의미가 있는 작업이 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박재삼 초기 시에서의 ‘슬픔’에 대한 심미적 탐색 연구

        류순태(Ryu, Sun-tae)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0 No.-

        이 글의 목적은 시인 박재삼(1933~1997)이 그의 초기 시에서 보여주었던 ‘슬픔’에 대한 관심을 ‘슬픔’에 대한 시인의 심미적 탐색 활동으로 바라보고 그 방법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박재삼은 야나기 무네요시가 말한 ‘비애미’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그의 시에 ‘가장 슬픈 것’을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담아내려고 하였다. 그런데 시인의 ‘슬픔’에 대한 심미적 탐색은 방법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통해 이루어졌다. 첫째, ‘한’으로 대표되는 ‘한국적 슬픔’을 심미적 차원에서 관조하는 단계이다. 둘째, ‘슬픔’이 지닌 진실성을 심미적 차원에서 자각하고 그것을 구현해내는 단계이다. 셋째, ‘슬픔’의 본질을 심미적 차원에서 생의 원동력으로 재정립해 내는 단계이다. 박재삼은 이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슬픔’을 심미적 차원에서 탐색함으로써 ‘슬픔’이 ‘아름다움’으로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들뿐만 아니라 근대적 세계에서도 존재해야만 하는 이유를 분명하게 제시하여 주었다. 그 결과, 박재삼의 초기 시에서 이루어진 ‘슬픔’에 대한 심미적 탐색은 독특한 ‘슬픔 시학’으로서 한국현대시문학사에서 중요한 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k Jae-sam’s aesthetic exploration of ‘sorrow’ in his early poems. Based on his sympathy for ‘beauty of sorrow’ mentioned by Yanagi Muneyoshi(柳宗悅, 1889~1961), Park Jae-sam tried to capture ‘the saddest thing’ as ‘the most beautiful thing’ in his early poems. By the way, his aesthetic exploration of ‘sorrow’ was made through the following steps in the methodological level. First, it is a stage to contemplate ‘Korean sorrow’ represented by ‘Han’ in line with pursuing the most beautiful thing. Second, it is the step of realizing and capturing the embodied aspect of ‘sorrow’ in line with pursuing the most beautiful thing accompanied by the truth. Third, it is a step to redefine the essence of ‘sorrow’ as the driving force of life in line with pursuing the most beautiful thing. Through these steps, Park Jae-sam clearly presented both various possibilities that ‘sorrow’ can exist as a beauty and the reason why it should exist in the modern world. As a result, Park Jae-sam’s aesthetic exploration of ‘sorrow’ in his early poems was able to take a important place as a unique poetics for sorrow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 KCI등재

        1920년대 한국 근대가곡에 내재되어 있는 슬픔의 서사와 그 역설

        신혜승 ( Hye Seung Shi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이화음악논집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가곡을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예술로서가 아니라, 시대상황을 끊임없이 성찰해 가는 과정을 통해 완성된 복합적인 사회문화 현상으로 보고,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실체로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920년대 근대 한국인들의 삶에서 노래가 주었던 정서적 역할이 무엇이었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가곡과 동요를 통해 근대 한국인의 심상이 어떻게 표출되었는지를 슬픔을 매개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1920년대의 가곡과 동요의 가사를 추출하여 서사의 원형을 탐색하였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나라를 잃은 슬픔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어서 이야기의 결합성에 있어서는 높은 서사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어 슬픔에 관한 관점의 변화를 시도하여, 종래의 허무주의적이고 무기력한 슬픔이 아닌 `죠흔 슬픔`, `최고의 덕이자 최선의 반항으로서의 슬픔`의 의미를 가지고 가곡과 동요에 대한 새로운 서사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슬픔도 시대를 사는 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가곡을 통해 전하고, 한국 근대사 인물들이 냉혹한 슬픔, 쓰라린 슬픔, 고독한 슬픔, 거룩한 슬픔 속에서 살았지만 종국에는 사람들을 힘들게 했던 그 슬픔이 결국 삶의 힘이 되었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근대 한국인이 느꼈을 정서와 감성을 슬픔을 매개로 재구성함으로써 과거의 노래들이 시공간을 초월하여 소통되고 공감되고 향유되기를, 노래가 가지고 있는 슬픔의 메시지가 다양하게 변주되어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Each song which speaks for any aspect of the time is not just a static work of music. It is instead a dynamic event of complex phenomenon which shows the convergence of materials in various departments of study. In this research, modern Korean songs that were compo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1920s will be used as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rrative of sorrow and its paradox, song lyrics in the 1920s will be selected in order to explore the archetype of narrations. Next, by viewing historical facts with subjectivity and imagination, I will draw out various inherent emotions of sorrow and reconstruct cultural truth and establish narratives with a new perspective. Korean figures share the same pain of losing their country, and therefore their stories can be combined and concentrated to present an epic narrative. The message that sorrow can become the strength and motivation for life is delivered through song. Korean figures in modern history tries to convey that although they have lived through many different types of sorrow ranging from bitterness to loneliness, it was this very factor that became their strength. This would mean that even today, we can feel great sympathy from their sorrow. The reconstruction of the emotion and sensibility of historical viewpoints by Korean figures in modern history transcends space and time. I anticipate the future where music can communicates its deep, intrinsic messages of both sympathy and enj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