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셔널리즘의 張力과 對日 ‘協力(collaboration)’의 이해— 중일전쟁기 ‘漢奸’ 문제 再考 —

        박상수 중국근현대사학회 2017 중국근현대사연구 Vol.76 No.-

        Examining the collaboration-related terms and recent literatures in minute detail, this article reconsiders the Hanjian question during the War. Beyond the nationalist interpretation, regardless of resisting nationalism or collaborative nationalism, this article poses four problems of the existing collaboration studies that should be sublated: Firstly, dichotomous approach between patriotism and treason. When paying attention on complexity, ambivalence, and ambiguity in collaborator’s motivation and practice, we could approach the integrity of the Wartime history. Secondly, teleological approach assuming the victory of the resisting nationalism. The collaboration could be properly, if not impartially, understood from the wartime contemporary context and structure beyond the post-occupation perspective. Thirdly, moralistic dogma. History research is not to pass moral judgement, but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context from which the moral judgement stems. Fourthly, tensile force of nationalism. Nationalistic approach does not help understand the historical events occurring in the time or in the place in which nationalism was not yet formed. These limits identified in the existing studies have presented an obstacle to objective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Wartime collaboration. Future researches focusing on the context and conjuncture of the Wartime in which the collaboration was possible could contribute to reconstruction of the integrity of Wartime history, including contemporary Chinese socio-political structure, Republican political culture, the degree of the Nationalist state capacity to propagate its power into society, the local context etc...

      • KCI등재

        빈곤원인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사회구조, 복지제도, 정치 및 노동시장제도의 영향과 한국에 주는 함의(1981-2012)

        심상용 ( Sim Sang Yo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4

        이 연구는 빈곤에 대한 국제비교연구로서 사회구조, 복지제도, 정치 및 노동시장제도의 영향과 한국에 주는 함의를 규명하고자 했다. 한국을 포함한 18개국의 1981~2012년 자료를 바탕으로 Unbalanced Panel Design 방법을 적용해 결합시계열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실증결과, 사회구조적 요인의 영향력은 복지제도에 비해 매우 적었다. 1인당GDP는 빈곤율 완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실업률이 미치는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며, 제조업고용과 고령화수준은 복지제도에 비해 영향력이 적었다. 이는 경제성장만으로는 빈곤을 완화하기에는 역부족이며 사회복지확대를 위한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비례대표선거제도는 좌파정당의 영향력을 확대해 빈곤극복을 위한 개입의 기회를 제공하고, 의원내각제는 그 전제임이 확인됐다. 이에 명목상 운영되는 비례대표제를 전면 개선해 정치적 다양성을 확보함으로써 친복지적인 좌파정당이 확대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 보수정당의 친복지화와 함께 중앙좌파정당의 친복지적 지향성을 강화해야 한다. 나아가 내각책임제를 도입해 국정운영의 비례적 대표성을 확립하고 의회와 내각의 균열을 해소시킬 필요가 있다. 정규직에 대한 고용보호는 빈곤율은 완화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고 노조조직률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상관관계분석결과 임금협상의 집중도는 노조조직률, 복지국가확대, 빈곤완화, 고용보호를 매개하는 사회적 조정의 창구로 나타났다. 이에 노사정 간의 사회적 조정관계를 확립하고 노조의 강화와 함께 공공재에 대한 사회적 교환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대부분의 국가에서 비정규직의 비중이 낮은 구성효과 때문에 비정규직에 대한 고용보호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은 다른 나라와는 달리 비정규직의 비중이 매우 큰 예외적인 국가라는 점을 고려해, 비정규직에 대한 고용보호에도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This study is an of comparative poverty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ocial structure, welfare institutions, political and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on Korea. This study accomplished pooled time-series-cross-sectional regression analysis appling Unbalanced Panel Design method based on the data of 1981~2012 involving Korea. As a result, the influences of socio-structural factors were inferior to those of welfare institutions. Because the power of left party can be enlarged, proportional election system provides a chance of intervention to overcome poverty. Nominal parliamentary system might as well be enlarged for the enlargement of pro-welfare left party, and it needs to reinforce pro-welfare orientation of center-left party with a change of the attitude of conservative party. It needs to introduc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to establish proportional representativeness of government operation and to resolve the cleavage between parliament and cabinet. Protection for regular worke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alleviate poverty rate and union density had an effect also.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age coordination appeared as a base of social coordination to mediate union density, welfare state, poverty alleviation, employee protection. Meanwhile, protection for irregular worker was not significant because of composition effect. But in Korea it needs to consider that irregular workers extraordinary represent a considerable share of total and to specially pay attention to protect irregular worker.

      • KCI등재

        내셔널리즘의 張力과 對日 ‘協力(collaboration)’의 이해

        朴尙洙(Sang-Soo PARK) 중국근현대사학회 2017 중국근현대사연구 Vol.76 No.-

        Examining the collaboration-related terms and recent literatures in minute detail, this article reconsiders the Hanjian question during the War. Beyond the nationalist interpretation, regardless of resisting nationalism or collaborative nationalism, this article poses four problems of the existing collaboration studies that should be sublated: Firstly, dichotomous approach between patriotism and treason. When paying attention on complexity, ambivalence, and ambiguity in collaborator’s motivation and practice, we could approach the integrity of the Wartime history. Secondly, teleological approach assuming the victory of the resisting nationalism. The collaboration could be properly, if not impartially, understood from the wartime contemporary context and structure beyond the post-occupation perspective. Thirdly, moralistic dogma. History research is not to pass moral judgement, but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context from which the moral judgement stems. Fourthly, tensile force of nationalism. Nationalistic approach does not help understand the historical events occurring in the time or in the place in which nationalism was not yet formed. These limits identified in the existing studies have presented an obstacle to objective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Wartime collaboration. Future researches focusing on the context and conjuncture of the Wartime in which the collaboration was possible could contribute to reconstruction of the integrity of Wartime history, including contemporary Chinese socio-political structure, Republican political culture, the degree of the Nationalist state capacity to propagate its power into society, the local context etc...

      • KCI등재
      • KCI등재

        구조적 부정의에 대한 책임: 아이리스 영의 법적 책임 모델(liability model)과 사회적 연결 모델(social connection model)의 구분에 대한 연구

        서원주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2 시대와 철학 Vol.33 No.2

        본 논문에서는 아이리스 매리언 영(Iris Marion Young)이 제시한‘법적 책임 모델’과 ‘사회적 연결 모델’ 사이의 구분을 검토한다. 영에 따르면, 부정의한 사회적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사회 구성원들의 책임을 다루기 위해서는 우리가 개별 행위에 대해 책임을 묻는 방식과 다른 관점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영은 우리가 기존의 행위중심적 책임을 논의하는 관점을 ‘법적 책임 모델’로, 그리고 부정의한 사회적 관행들에 대한 참여자들의 책임을 묻는 관점을 ‘사회적 연결 모델’로 명명한다. 우리는 이 논의를 요약적으로 살펴본 뒤, 해당 구분의 유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배리(Barry)와 맥도널드(Macdonald)의 비판에 대답을 시도한다. 배리와 맥도널드는 구조적 부정의에 대한 책임 논의가 법적 책임 모델의 확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기에, 사회적 연결 모델과 같은 별도의 책임관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나는 이 반론이 분명 유의미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문제시하려는 구조적 부정의의 층위를 다루기에는 여전히 좁은 것으로 나타난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liability model’ and the ‘social connection mode’ suggested by Iris Marion Young. According to Young, dealing with the problems arising from unjust social structures requires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way we hold ourselves accountable for individual actions. For this reason, Young categorizes our current view of specific action-oriented responsibility as the ‘liability model,’ whereas the view of asking participants to take responsibility for unjust social practices as the ‘social connection model’. We briefly review the distinction and attempt to answer the criticisms of C. Barry and K. MacDonald that question the validity of the distinction. Barry and MacDonald argue that the social connection model can be replaced with the extension of the liability model, which makes Young’s suggestion unnecessary. I believe the extended liability model is still narrow to improve structural injustice, so that the social connection model should not be abandoned yet.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독신모가구 빈곤의 거시적 결정요인 국제비교

        심상용(Sim, Sang-Y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포함한 OECD 주요국을 대상으로 사회구조적 요인, 복지제도, 노동시장 및 정치제도 등 독신모가구 빈곤의 국가 간 다양성에 영향을 끼치는 거시적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1981년부터 2012년 기간에 대해 불균형패널설계(unbalanced panel design)방법을 적용한 결합시 계열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독신모가구의 빈곤율은 국가 간 다양성이 현저했다. 1인당GDP는 빈곤위험감소에 기여하지 못했고, 여성고용율과 15세미만 아동비율은 빈곤위험을 증가시켰다. 전체사 회복지지출, 아동에 대한 현금지출, 노조조직률, 정규직에 대한 고용보호, 비례대표선거제도, 누적좌파 내각, 누적여성의석수는 독신모가구의 빈곤위험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경제성장 일 변도와 노동시장유연화 위주의 탈빈곤전략에서 탈피해 보편적 복지제도, 아동에 대한 복지급여와 일- 가정양립정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노조조직률향상과 고용보호확대 등 조정된 노동시장제도 를 설계하고, 비례대표선거제도 등 합의제정치모델을 도입해 좌파정치세력과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acro causes influencing on the diversity of single-mother households poverty among OECD Countries including Korea. This study carried out pooled time series cross-section analysis applying unbalanced panel design on the period from 1981 to 2012. There is marked diversity on single-mother households poverty. GDP per capita does not contributes to reduce poverty, and female employment rate and % population 0-14 exacerbate poverty. Several factors contribute on poverty reduction including social spending, child cash spending, union density, employment protection on regular workers,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cumulative left cabinet, cumulative women seat. In Korea, it needs to overcome the limit of anti-poverty strategy mainly based on economic growth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it needs to enlarge universal welfare institutions, child benefits,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and to design adjusted labor market institutions including union density and employment protection, to introduce consensus political model including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to enhance left power and women’s represent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