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일반)사회교육의 위기와 대처 방안

        이재권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3

        This paper starts from a premise tha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currently facing a cris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oot causes as to why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facing a crisis and to propose countermeasure solutions. At start, the root causes as to why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facing were analyzed by separating them into five types. First, can be cited would be the reasons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society. The disorderly ideological mood of the modern society is manifested as apathy towar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advancements in the media have enabled easy access to the knowledge and news about the society, an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disadvantaged in terms of utilizing videos, is not able to attract the interest of students. Secon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s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the studies of diverse backgrounds. In practice, however, it is not able to achieve substantial integration either theoretically or realistically. Third, today’s students who lack vocabulary skills are losing interest in the curriculum due to the difficult social science terminology. Fourth,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s facing a crisis due to the misstep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uch as the over issuance of certification for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teachers, the curriculum autonomy of the principal’s authority, the reduction of social study research subjects in the student aptitude test, the intensive completion system, the problems for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s, etc. Fifth, the overly abstract curriculum general studies and the ambiguous course titles have contributed to the erosion of course identity. The fact tha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centered too much around the Western theories is also acting as a reason for being neglected by the student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solution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author of this study. The solutions are already included in the root cause analysis for the crisis. Additionally suggested in the proposed solution are, firs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not focus on the learning of knowledge only, but also needs to strengthen humanistic approach such as character education. Second, in devising the problems for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s, a writing test based on social science classics should be employed. This way, a foundation for the creative education that is being societally required today can be established. 이 논문은 현재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그 대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먼저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게 된 원인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는 현대사회의 일반적 성격과 관련된 이유를 꼽을 수 있다. 현대사회의 탈 이념적 분위기가 (일반)사회교육에 대한 무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매체의 발달로 사회에 대한 지식과 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동영상 활용이 불리한 (일반)사회교육이 학생들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있다. 둘째, (일반)사회교육은 다양한 배경의 학문들을 통합한 통합교과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실질적인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셋째, 어휘력이 부족한 오늘날 학생들은 어려운 사회과학 용어 때문에 교과에 대한 흥미를 잃고 있다. 넷째, 일반사회 교사자격증 남발, 학교장 권한의 교육과정 자율화, 수능에서 사탐과목의 축소, 집중이수제, 임용고사의 문제 등 교육행정의 잘못으로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고 있다. 다섯째, 지나치게 추상적인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목) 명칭의 애매함이 교과의 정체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한국 (일반)사회교육의 내용이 지나치게 서구의 이론 중심으로 짜여 있는 것도 학생들에게 외면당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의 해결 방안은 위기의 원인 분석에 들어 있으며, 이에 추가하여 논자 나름의 해결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교육이 사회과학 지식의 학습에만 치중하지 말고 인성교육과 같은 인문학적 접근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임용고사 문제 출제에서 사회과학 고전에 바탕을 둔 논술 시험을 실시하자는 것이다. 그래야 오늘날 사회적으로 요청되는 창의적 교육의 바탕이 마련될 수 있다.

      • KCI등재

        2022 개정 사회과 및 도덕과 교육과정의 법교육 내용 요소 분석

        배화순 한국법교육학회 2024 법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교육의 중핵 교과인 사회과와 도덕과의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법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초・중・고등학교 전반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법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교과 간 연계나 융합을 통한 법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주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법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법교육의 내용 요소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법교육 내용 요소 분석틀에 기반하여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주요 특징을 학교급별로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사회과 외에도 초등학교 1~2학년군의 통합교과나 5~6학년군의 도덕과에서도 법교육 내용 요소가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에서의 법교육 방안, 초등학교 5~6학년군의 사회과와 도덕과에서 공통되는 법교육 내용 요소(인권 등)에 대한 교과 연계 및 융합형 법교육 교수・학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학교의 경우, 주로 법의 기초나 헌법, 사회법 등의 내용은 사회과 일반사회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인권 관련 내용은 사회과 역사 영역이나 도덕과 등에서도 상당히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권과 같은 법교육의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중학교 사회과 일반사회와 역사 영역 간의 연계・융합 혹은 중학교 사회과와 도덕과 간의 교과 간 연계・융합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고등학교의 경우, 통합사회나 한국사와 같은 공통 과목에서 법교육 내용 요소를 상당 부분 포함하고 있으며, 사회과나 도덕과의 여러 선택 과목에서도 법교육 관련 내용 요소가 일부 나타나고 있었다. 인권, 정의, 불평등 등의 요소는 사회과 일반사회, 역사, 지리 영역의 고등학교 과목에 걸쳐 광범위하게 반영되고 있으며, 도덕과에서도 핵심적인 내용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를 토대로 하는 법교육 중심 교과 내, 교과 간 연계나 융합 자료를 개발하여, 교사들이 과목 수업 자료 혹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2022 개정 사회과 및 도덕과 교육과정 법교육 내용 요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학생의 법교육 경험이 보다 확대되고, 교과 내 혹은 교과 간의 연계나 융합을 통한 법교육이 점차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w-related education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which are fundamental subjects of citizenship education. This analysis aims to scrutinize the content covered acro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ed law-related education. The study commenced wit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law-related education, emphasizing its content elements and focusing on significant prior studies. Subsequently,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a law-related education content analysis framework, which delineated key features by educational level. In the updat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law-related education components are significantly incorporated not only in Social Studies but also in integrated subjects for grades 1-2 and in Moral Education for grades 5-6. This inclusion necessitates the formulation of strategies for law-related education in integrated subjects for the early grades and the development of pedagogical strategies for common elements, such as human rights, in the later grades. In middle schools, foundational legal topics, including the constitution and social law, are primarily discussed within the general social studies area of Social Studies. Additionally, there is a pronounced focus on human rights within both the history segment of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signaling a requirement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pedagogical and assessment materials centered on these themes. In high schools, prevalent subjects like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Korean History encompass substantial law-related education components, and several elective courses in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also include related content. Elements such as human rights, justice, and inequality are broadly represented across high school subjects in general social studies, history, and geography, and are fundamental components in Moral Education. This extensive representation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resources that assist teachers in employing these elements within lesson materials 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aw-related education content element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this study articulates the aspiration that the exposure to law-related education will be expanded through this research, thereby enhancing the implementation of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ed educational approaches.

      • KCI등재

        사회과를 통한 인성교육의 현실과 과제

        설규주(Seol, Kyujoo),은지용(Eun, Jiyo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을 통한 인성 함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사회과의 인성교육 관련 요소를 탐색하고, 사회과 인성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델파이 조사 결과, 전문가들은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중 차별이나 갈등, 인권 침해, 사회 문제, 삶의 터전 등의 주제가 참여, 협동, 평화 등과 같은 인성요소와 연계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또한, 지식 중심 교육, 사회과 시수 부족, 사회과 인성교 육 자료 부족, 사회과 인성교육 지원 체제 미비 등을 사회과 인성교육의장애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인성 요소를 부각시키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일상적인 사회과 수업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는 점, 사회과 교사 차원에서 인성교육을 고려한 교육과정 및 수업 재구성 노력을 실천해야 한다는 점, 교육 당국 차원에서 사회과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고 독려해야 한다는 점, 사회과 교사의 인성 친화적 발언과 태도가 중요하다는점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ffort to make strategies for character building through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its purposes were to identify element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ocial studies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ocial studies, its problems, and solutions through an expert Delphi survey, and to discuss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the experts mentioned that content elements such as discrimination, conflict,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social issues, and base of life 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might be associated with character elements such as participation, cooperation, and peace. In addition, they pointed out obstacles to social studies character education such as knowledgecentered education, lack of social studies class hours, poor materials for social studies character education, and inadequate systems to support social studies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character elements should be spotlighted and utiliz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at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should be applied in social studies classes, that the curriculum and teaching should be restructured in consider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character education, that the activation of social studies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supported and encouraged by educational authorities, and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character-friendly words and attitude are important.

      • KCI등재

        사회과 인성교육 개념 및 요소에 대한 탐색

        은지용 ( Ji Yong E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교과의 본질적인 성격과 목표에 부합하면서도 국가·사회적 과제로 부각된 학교 인성교육 강화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데 있다. 즉, 본 연구는 사회과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사회과 인성교육의 본질적 의미,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인성 관련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회과 인성교육 핵심요소를 추출·선정하고, 인성교육 핵심요소들이 사회과 교육과정 적용 과정에서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교육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논리적 틀을 제공하며, 나아가 사회과 인성 교수·학습의 기초적인 원리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삼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인성교육은 사회적 맥락과 실천을 강조하는 사회 교과의 성격을 고려하여 공동체 생활의 유지 및 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시민적 ‘가치·덕목’을 기반으로 하되, 공동체 생활에서 발생하는 인성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와 행동 실천을 강조하는 ‘인지·행동적 인성요소’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인성 교육 관련 국내외 학자 및 단체가 제시한 인성요소, 국가 수준 교육과정 문서인 교육과정 총론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기반으로 인성교육 요소들을 추출한 후, 교과 본질 준거와 사회적 요구 준거를 기반으로 사회과 인성교육 핵심요소를 선정하였다. 즉, 교과 본질 준거와 사회적 요구 준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의’, ‘인권’, ‘공감’, ‘관용’, ‘참여’, ‘갈등해결력’, ‘문제해결력’ 등 7가지를 사회과 인성교육 핵심요소로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사회과 인성교육 핵심요소로 추출·선정된 ‘인권’, ‘정의’, ‘관용’, ‘공감’, ‘참여’, ‘갈등해결력’, ‘문제해결력’ 등의 개념 및 의의를 고찰한 후, 사회과 인성교육의 주요 내용을 교육과정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인성교육 핵심요소를 연계시켜 고찰하였다. 특히 사회과 인성교육 핵심요소는 상호 배타적으로 각 핵심요소와 관련된 학습요소에 단선적으로 연계되기보다는 일련의 사회과 수업 과정 속에서 밀접히 상호 연계될 수 있으며, 연계되었을 때 보다 의미 있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theoretical basis for providing a measure that is consistent with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social studies, and with which we can respond flexibly to the requirement for strengthening personality education in school, which has got prominent as a social task. That is to say, for the sake of strengthening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his study takes it as its significance to extract and select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by considering the essential meaning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ts relation with curricula,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related to personality etc. entirely, to provide a theoretical and logical framework for how the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are systematically incorporated into the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o exert educational effects, and furthermore to offer basic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personality in social studies. The contents of the work carried out to attain such go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s defined as a concept that is based on social and civic ``values and virtues`` contributed to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lif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but also subsumes ``cognitive and behavioral personality elements`` that emphasize active engagement and practice for the sake of solving personality related problems occurring in community life. Second, after extracting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he personality elements presented by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and organizations,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 curricular document in the national level, an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is paper selects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s of the subject`s nature and social requirement. That is to say, considering the references of the subject`s nature and social requirement entirely, this paper finally selects ``justice,`` ``human rights,`` ``sympathy,`` ``tolerance,`` ``participation,`` ``ability to resolve conflicts,``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as 7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hird, after examining the concepts and significance of the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human rights,`` ``justice,`` ``tolerance,`` ``sympathy,`` ``participation,`` ``ability to resolve conflicts,``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this study discusses main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n connection with the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focusing on curricular contents. In particular, rather than being linearly connected with learning elements related exclusively to each other, the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an b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e course of social studies classes.

      • KCI등재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Social Studies related STEAM Education

        Eunjin Lim(임은진),Hyuksoo Kwon(권혁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3

        Integrated education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both in Korea and globally.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the STEAM education since 2011. Many teachers have practiced integrated education at all school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research outcomes related to social studies subject about integrated STEAM education and seek the direction of STEAM education for social studies.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for 109 papers related to STEAM education in social studies published as listed journals and dissertations from 2010 to 2018. Results of research trends analysis of social studies related STEAM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results of social studies related STEAM education have been published steadily every year. Most of these studies were master"s degree-related thesis. They were published evenly when analyzed by school grade level. Second, quantitative studies made up half of the research to see the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ll studies measured the effect on the affective domain of students. Third, papers of STEAM education in social studies were limited to class in the classroom. The majority of them use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Main subjects applied in convergence with social subjects were music and art. In order to further develop STEAM education centering on social studies, there is a need to go beyond academic-oriented approaches and regular curriculum.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build social educational theories for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 beyon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programs.

      • KCI등재

        사회과교육을 받은 인간: 사회과교육의 관점에 관한 재고찰

        노경주 ( Kyung Joo Roh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3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교수도 학습도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점에서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 관한 관점을 재고찰하고, 그 관점들이 추구하는 ‘사회과 교육을 받은 인간’을 재조명하며, 관점 정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사회 교과의 존재 이유로서의 우리가 길러내야 할 인간상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교사교육과 교육과정 및 교수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 관한 관점을 문화유산 전수, 사회과학 탐구, 개인 발달, 반성적 탐구, 사회 변혁 관점으로 규명하고, 각 관점이 사회과교육을 받은 인간으로 순응적 기능인, 사회과학적 탐구자, 사회적 자아실현인, 반성적 의사결정자, 변혁적 실천가를 추구하는 것으로 밝힌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변혁적 실천가를 길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반성적 탐구를 그 목적에 부합하는 수단으로 삼는 사회과교육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교사 교육, 교육과정과 교수법,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problem that teaching and learning do not occur in social studies classrooms, revisits the perspectives o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explores ‘the educated person in social studies’ which each perspective expects through teaching social studies. Based on this review, this study distinguishes the perspectives on social studies education as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 social scientific inquiry, individual development, reflective inquiry, and social transformation. And this study identifies conformist functional person, social scientific inquirer, social self-actualizer, reflective decision maker, and transformative vanguardist as‘the educated person in social studies.’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social studies education of which goal is to foster transformative vanguardist and method is reflective inquiry. And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ing, and further research.

      • KCI등재후보

        생태적 사회과 교육의 방향 탐색

        문현진,남상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3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direction of the ecological Social Studies education: applying ecological principles to Social Studies. The ecosystem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cludes: social phenomenon which constitutes the main subject, learners,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home and social atmosphere which affects both learners and teachers, and other external factors such as educational policies. Every constituents interact in the class, that is to say that the system can be defined as the sum of the mentioned factors. The lack of flow in this ecological network, however, has been pointed out recently. Applying the ecological principles which contains species diversity, organic emergence and co-evolution to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s an alternative effort for them. The latest tren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highlights the high level thinking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It is also reached to an agreement that both are necessary for the Social Studies class: the constructivist view of knowledge, and the effective method which helps both individual and group learners. Contextualism, integration, diversity, and spontaneity are not only the principles of ecology but also the components which form Social Studies education. Mentioned features of Social Studies can be applied to recover the substantiality of studying community,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process which guarantee the organic emergence, and the evaluation methods for co-evolu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의 원리를 사회과교육에 접목해 생태적 사회과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사회과 학습생태계는 사회과의 주요 주제인 사회현상과 학습자, 교사, 그 재료인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각종자료, 가정과 사회 분위기, 정책 등 사회과 수업을 둘러싼 요소들이 만드는 상호작용의 총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사이의 관계망이 원활하지 못함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적 시도로 종 다양성의 보장과 창발성의 발현, 공진화 등의 원리를 내포한 생태학을 사회과교육과 접합해 사회과 학습 생태계 회복의 길을 찾아보고자 한다. 최근의 사회과교육은 고급사고력의 함양과 자기주도적 학습관을 강조한다. 구성주의적 지식관과 학습자 개인과 집단의 능력을 동시에 발현하기 위한 학습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은 어느 정도 합의를 이루었다. 이러한 경향을 통해 알 수 있는 사회과교육의 맥락성, 통합성, 다양성, 자발성 추구는 생태학의 원리인 동시에 사회과교육의 성격을 이루는 요소들이라 할 수 있다. 생태학 원리들은 사회과 학습공동체의 지속가능성 회복, 창발성이 발현되는 내용선정과 조직, 공진화를 위한 방법과 평가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에서의 시민성 교육 -2015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를 중심으로-

        박남수 ( Park Nam-s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에서의 시민성 교육의 특징을 밝히고,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의 성격, 목표, 내용을 시민성 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탐색하였다.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에서는 교과의 정체성을 시민성을 함양하는 교과로 규정하고, 지식보다는 시민으로서의 삶에 필요한 기본적인 인성과 기능을 갖춘 시민상을 지향하고 있다. 시민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의 내용은 사회인식 관련 내용뿐만 아니라 자립생활과 도덕교육 관련 내용을 학습자의 삶을 중심으로 융합하여 조직하고 있다. 이러한 시민성 교육의 특징은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의 정체성을 시민성 교육에 두고 있다는 점과 사회과의 내용을 학습자의 삶을 중심으로 융합하여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의 실현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사회과에서 함양해야 할 다양한 시민역량을 고려한 교과역량의 보완, 사회인식 교과로서의 성격의 명확화, 생활연령에 적합한 사회적ㆍ문화적 경험을 반영한 내용의 선정 및 조직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향후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이러한 과제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s challenge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I reviewed critically about the identity, goals, and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the social studies of the basic curriculum, the identity of the social studies is defined as a subject that cultivates citizenship, and aims to raise citizens who have basic personality and skills necessary for life as a citizen rather than knowledge. In order to nurture these citizens,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organized centered on learners' lives including not only related to social cognition but also contents related to the elements of independent living and moral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citizenship education is to place the identity of social education in citizen education and to pursue the curriculum centered on learners by fusing the contents of social science centered on the life of learners. However, it has the task of clarifying the identity as a social awareness subject, complementing the subject capacity considering various civic competencies to be raised in social studies, and organizing contents reflecting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 suited to the age of life. Therefor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more in-depth and sufficient discussion about these problems is needed.

      • KCI등재

        일본 시민성교육의 계보와 사회과의 과제

        하라다 도모히토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시민성교육 계보를 추구하는 것을 통해 사회과의 과제를 규명하고, 사회과의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다.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① 시민성 육성의 목적 내지 배경, ② 지향해야 할 시민성의 구체상, ③ 시민성 육성 방법이란 3가지 관점에 주목하면 일본의 시민성 교육 계보는 제1기(1889~1945), 제2기(1947~1989), 제3기(1990~현재)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에는 메이지 헌법 체제에 걸 맞는 제국 신민의 육성을 위해 천황을 통합의 상징으로 위치를 부여하는 “위로부터의 사회화·공민화”가 실행되었다. 제2기에는 당초 일본국 헌법 체제를 뒷받침하는 평화롭고 민주적인 주권자=국민을 육성하기 위해 새롭게 창설된 사회과나 학급회·학생회·클럽 활동 등의 특별교육활동을 통해 “위로부터의 사회화·공민화”가 도모되었다. 다만, 일본 사회의 부흥과 고도경제성장에 따라 국민 간에 사익 우선의 개인주의적 가치관이 지배적이 되고, 1960년대 이후는 문부성의 통달이나 학습지도요령을 통한 “위로부터의 사회화·공민화”가 다시 부활·강화되었다. 제3기에는 세계적인 탈냉전과 글로벌화, 국내적인 재정난과 복지 정책의 경색 등을 배경으로 주체적으로 사회에 참가하고 자기 책임을 질 수 있는 공민=세계 중의 일본인 육성이 지향되었다. 그를 위해 학교 교육에서는 「살아가는 힘」을 중시해서 총합적인 학습 시간이 신설됨과 동시에, 사회적으로도 봉사 활동이나 시티즌십 교육 등에 관심이 고양되었지만, 그것들은 다분히 일시적 붐의 색채가 농후하고, 또한 “위로부터의 사회화·공민화” 에 그친 점에서 종전과 다를 바 없다. 다음으로 이러한 시민성 교육의 계보를 토대로 사회과가 담당해야 할 시민성의 육성은 시민으로서 바람직한 행동이나 태도면까지도 포함한 능력이 아니라 오히려 그 전제가 되는 시민적 리터러시에 한정·특화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사회과가 시민적 리터러시를 기르기 위한 방책으로 이하의 3가지를 제언했다. 첫째는 사회과 중의 공민적 단원·분야나 공민과의 내용을 재편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① 기존 제도나 원리를 학습하는 종전의 방법에서 현실 사회의 분석과 의사결정으로 학습 중점을 이동시킨다. ② 사회 제 개념을 종전처럼 기억해야 할 용어로 간주하는 것에서 사회 사상을 분석·설명하는 도구로 재인식한다. ③ 시민적 지식으로서 민주주의와 시민, 지역·국가·세계와 다중 아이덴티티, 세금(경제), 선거(정치, 재판원(법), NPO(사회)를 중시한다. ④ 시민적 기능으로 조사, 자료독해, 비판적 사고, 의논, 의견 표명을 중시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둘째는 다시 지리와 역사교육을 「사회과 지리」 「사회과 역사」 교육으로 간주해 실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① 지리학이나 역사학의 고유 논리나 방법에 의거하는 것이 아니라,현대 세계(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지리학이나 역사학의 개념·방법을 활용한다. ② 관념적인 해석이나 근거에 기초하지 않는 설명을 배제하고, 증거(정보·데이터·사료 등)를 토대로 해석·설명의 구축과 의논·의사결정을 중시하는 것이다. 셋째는 사회과 수업과 교실을 쇄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① 교사의 강의와 판서(talk & chalk)에 의거한 수업에서 학생의 발표와 의논을 중심으로 한 수업으로 전환한다. ②교실의 책상 등의 배치를 교사와 학생의 대면형에서 コ 자형(U-sh... The purpose of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to pursue the genealogy of citizenship education in Japan examine the challenges of social studies, and future prospects of the social stud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① to background, the purpose of fostering civic ② should pursue citizenship sphere phase, (3) three perspectives on citizenship nurturing way to note the genealogy of citizenship education in Japan the first stage (1889-1945), the second period (1947-1989), the third stage (1990 - current)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stage was performed in a given location to foster the Meiji constitutional system worthy of the subjects of the empire, the emperor as a symbol of integration “from the top of socialization. Citizens Tue". During the second phase, through the newly created social studies in order to foster a peaceful and democratic system to support the Constitution of Japan originally = National Sovereign or doin Student Association club activities, such as special education activities "from the top of socialization. Citizens Tuesday" There was promoting. Sykes first between individualistic values of the national revival of Japanese society and the high economic growth in the dominant, but since the 1960s, the revived "from the top of the masterminds of the ministry or teaching guidance through socialization. Citizens Tue” was reinforced. The third stage, the backdrop of the global post-Cold War and globalization, the crunch of welfare policy and domestic financial woes, as the initiative to participate in society that may be responsible citizens of the world = Japanese upbringing was oriented. For him in school education as the sum of time learning new emphasis on the ?iving force,?the same time, social volunteering and citizenship education, and interested cat, but they dabunhi fad of color and rich, "from the top perching on the socialization of citizens Tue” is not the same as before. Made it clear that foster the desired behavior or attitude as a citizen, even including the ability to be responsible for the lineage of these civic education based on social studies, citizenship, but rather on the premise that civic literacy should be limited. Specialized. Roadblocks to raise civic literacy, and social studies into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irst or civics and social studies in our civil section of the rally. Specifically ① learning the principles of existing institutions or the war in the way of learning shifts the emphasis to the analysis of the reality of the society and decision-making. ② social concept to remember as usual terminology considered as social thought from the description. Analysis as a tool to reorient ③ civic knowledge as aims in the region. Country world and multi-identity, democracy and citizenship, tax (economic), election (political, trial (law), NPO (social) function. ④ civil investigations, material reading, which emphasizes critical thinking, counsel, opinion, among others. Second, the practice is again considered the geography and the history of education, history,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Geography "education. Specifically ① pursuant to the inherent logic of geography or history, or how well, and how to take advantage of the concept of geography or history, for understanding the modern world (society). ② ideological interpretation or description based on the foundation does not preclude, and will b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the evidence (information, data, feed, etc.). Discuss and build decision-making that emphasizes Third,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classroom makeover. Specifically ① pursuant to the teacher’s lecture and Writing (talk & chalk), the center of one of the students in the class presentations and discuss the transition into the classroom. ② can be thought of as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type of face-to-face classroom desk layout コ-shaped (U-shaped class) to switch to.

      •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른 사범대학 일반사회교육과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박은종(Park Eun jo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연구 Vol.23 No.-

        현대 사회는 세계화 정보화ㆍ전문화ㆍ다양화 사회이다. 아울러 지식기반사회, 지식 정보화 사회이기도 하다. 지식과 정보가 폭증하고 사회 구성원인 인간들의 역동적인 활동이 사회를 이끄는 시대인 것이다. 본 연구는 2009학년도부터 일선 초ㆍ중ㆍ고교에 연차적으로 적용되는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교사 양성 대학으로서 목적 대학인 사범대학 일반사회교육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 아래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토대 위에서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일반사회교육과의 교육과정을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구분 비교,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영역별 구분 비교,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이수 학년별 구분 비교 등을 준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견주어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일반사회교육과 교육과정은 첫째, 교과교육학에 비하여 교과내용학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며, 둘째, 교육교육학 측면에서 교과 교육의 교육사, 교육내용학 측면에서 문화인류학 영역의 교과목이 소홀히 취급되고 있었으며, 셋째,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이수 학년 구분 비교 측면에서 교과교육학의 이수 학년을 좀 더 하향하고, 제4학년의 교과내용학 이수 부담을 감축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고 사료되고 있다. 결국,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인 학생 중심 교육, 역사 교육 강화, 한국 정체성 교육 강조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원 양성 대학인 사범대학의 일반사회교육과 교육과정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정,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Modern society is the age of the globalization, the information-oriented, the specialization, and the diverse society. In addition, It is a knowledge-based and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t is the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soar. These days, dynamic activities are required. This studies are for improving desirable curriculum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it is based on “2007 Revision Social Studies Education Curriculum” that would be applied to a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from the year of 2009. For the studies, I analyzed the curriculum of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in the Konju University. I compared the subject pedagogics and the subject contents, the area of subject pedagogics and the area of subject contests, and the grade of subject pedagogics and the grade of the subject contents. Analysi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ubject contents have higher percentage than the subject pedagogics. And the subject of ‘history of education’ and ‘cultural anthropology’ are treated badly. And then I think that the grade for the subject pedagogics should be lowered and the subject contents for the seniors are too much. Finally, the curriculum of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be revised in good direction. That’s the way to make education of student-centered, history education reinforcement, South Korea identity-based on “2007 Revision Social Studies Education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