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harpe의 방법론을 이용한 한국 주식형펀드의 운용스타일 및 성과분석

        강장구(Jang Koo Kang),이창준(Chang Jun Lee) 한국증권학회 2010 한국증권학회지 Vol.39 No.2

        본 논문에서는 추정된 계수의 합이 1이 되는 제약을 두어 각 계수를 포트폴리오의 가중치로 해석할 수 있으며, 공매도가 허용되지 않는 주식형펀드의 특성을 반영하여 각 계수에 비음수제약을 가하는 Sharpe(1992)의 스타일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내 주식형펀드의 운용스타일 및 성과분석을 시도하였다. 논문의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주식형펀드의 대형주와 성장주에 대한 노출정도가 소형주와 가치주에 비해 현저히 높지만, 주식의 시가총액비율에 비하면 오히려 펀드의 소형주와 가치주에 대한 노출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주식형펀드의 운용스타일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소형 스타일에 투자하는 펀드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셋째, 본 논문에서 사용된 두 벤치마크 포트폴리오 군에 대하여 펀드의 주별 평균초과수익률이 0.05%연 2.60%), 0.06%(연 3.12%)로 각각 추정되어 펀드의 평균수익률이 스타일 포트 폴리오의 수익률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스타일 가중치의 시간가변성을 고려한 조건부모형을 통한 성과분석에서도 국내 주식형펀드의 양의 초과수익률은 유지되었으며, Fama and French(1993)의 3요소 모형 및 Carhart(1997)의 4요소 모형을 이용한 강건성 검증에서도 양의 초과수익률이 재확인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vestment styles and performance persistence of equity funds in Korea using Sharpe (1992)`s style analysis methodology. Unlike the regression analysis, both the portfolio and positivity constraints are imposed in style analysis proposed by Sharpe. The empirical findings documen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relative to the market capitalization of stocks in each style portfolio, equity funds in Korea have high exposure to the small and value stocks, though the absolute exposure of large and growth stocks are higher than that of small and value stocks. Second, the investment styles are time-varying. Especially, funds that invest in small stocks have increased over the last seven years. Third, using the two style benchmark portfolios, equity funds create the abnormal annual return of 2.60% and 3.12%, respectively. Finally, outperformance of equity funds in Korea is confirmed using the condi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For robustness check, we employ the famous Fama and French three-factor model (1993) and Carhart four-factor model (1997) as our performance measure and the outperformance is still present.

      • 한국 벤처캐피탈의 투자성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김종권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5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05

        우리나라와 국가 규모가 비슷한 이스라엘의 경우에는 벤처캐피탈이 정부주도로 출범한 후 육성되었다. 이러한 벤처캐피탈의 특성은 창업자가 연구개발에만 전념할 수 있어서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사업이나 제품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부가가치가 큰 중요한 금융업이 될 전망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벤처캐피탈이 가지고 있는 위험특성에 대한 분석과 위험을 고려한 투자성과 평가를 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비체계적 위험이 체계적 위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수의 지역이나 업종에 집중투자한 결과로 보인다. 위험을 고려한 투자성과분석을 위하여 총위험을 고려한 Sharpe척도와 체계적 위험을 고려한 평가모형 Jensen척도를 토대로 종합주가지수와 코스닥 벤처지수, 벤처캐피탈의 성과를 비교분석에서는 벤처캐피탈의 위험과 투자성과가 크게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Sharpe 및 Jensen 척도에서 검증이 된 것으로 (-)로서 시장포트폴리오(종합주가지수)나 코스닥 벤처지수 보다 투자성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하지만 표본의 수가 짧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The size of state in Korea is like Israel, this country's venture capital is ruled by government. This venture capital's character is below: the concentration on research of venturer affect positively at quality of products. This paper lies with venture capital's risk character &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venture capitals have lager unsystematic risk than systematic risk, which implies they specialize in specific business and/or regional areas instead of diversification. The Sharpe & Jensen measures reveal that the performances of Korean venture capitals are very low relative to even the market portfolio(Kospi) and Kosdaq Venture Index. Contrary to this, Venture firm's performance according to Entrepreneurship will cause to push up stock price.

      • KCI등재

        가치비율의 정보효과 연구

        김종택(Kim, Jong-Taek) 글로벌경영학회 2014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가치비율(value variables)이 투자정보로서 독립된 정보효과를 제공하는지 검증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주식시장이 최초 개장한 1980 년부터 2012 년까지의 장기시계열데이터 (long-term serial data)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방법과 차익거래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사용하여 가치비율의 정보효과를 분석하였다. 수익률을 산출할 수 있는 1981 년부터 2012 년도까지 매 연도 3월말에 B/P, E/P, C/P, S/P등 가치비율을 산출하여 삼등분 포트롤리오로 구분하였고 가치주포트 폴리오수익률에서 성장주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차감함으로써 가치주투자전략의 수익률을 산출 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함으로써 가치비율의 정보효과와 가치주투자전략의 우수성까지 함께 규명 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결과, 가치비율들은 매우 낮은 상관성을 가진 상태에서 포트폴리오 및 가치주투 자전략의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가설1>를 지지하였다. 둘째, 고가치비율 그룹에 소기업주식이 밀집해 있는가를 보기 위한 상세 기업규모 히스토그램 분석결과에 의하면, 고가치비율 그룹에 소기업주식이 밀집해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치비율 정보는 소기업효과와는 또 다른 독립된 정보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가설2>를 지지하였 다. 셋째, 가치비율에 따른 가치주투자전략의 투자성과가 통계적으로 양(+)의 유의성을 띄는 것으로 보아서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성장주투자전략보다는 가치주투자전략이 더 유효하고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어 <가설3>을 지지하였다. 넷째, 네 종류 가치비율 중에서 B/P기준의 가치주투자성과가 가장 높게 나타남으로써 B/P가 시장모형(market model)에 추가되어 베타(β)와는 또 다른 주식가격 결정요인으로서 역할을 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다섯째, 샤프지수(sharpe’s measure) 측정결과, 네 종류의 가치비율 중에서 B/P를 기준으로 포트 폴리오를 구성한 후 수립한 가치주투자전략을 향후 9개월간 보유할 때의 샤프지수가 0.1159로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가장 우수한 가치주투자전략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종합하면, 한국주식시장에서 가치비율은 투자정보로서 그 정보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 며, 특히 B/P는 주식가격결정요인의 또다른 핵심요인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part of behavioral financial research. It examined information contents of value variables(B/P, E/P, C/P, S/P) in Korean stock market. So far, Most of these behavioral financial studies have showed more confidence in value premium than growth premium. there also were these types of studies done for a few years in Korean stock market. But Existing domestic financial literatures have failed to present the effectiveness based on risk and return in holding period. So, This study examined that value variables had independent contents each other and had independent contents against small firm effect and value strategies were more statistically effective than growth strategies. Besides, This study examined what the best influential value variable was and also presented the best value strategy in Korean stock marke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value variables had independent contents each other <hypothesis#1>and also had independent contents against small firm effect. <hypothesis#2> and value strategies were more effective than growth strategies in korean stock market.<hypothesis#3> Besides, Among various types of strategies, It was verified that “Based on B/P & 9-month holding value strategy” was the best value strategy in view of performance magnitude and sharpe’s measure(RVAR : reward-to-variability). Particularly, This study was remarkable in terms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value variables based on massive long-term serial data(32 years)

      • KCI등재

        모멘텀전략과 역투자전략의 유효성 연구

        김종택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5

        본 연구는 한국주식시장에서 모멘텀전략(momentum strategy)과 역투자전략(contrarian strategy)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981년부터 2012년까지 32년 동안의 장기시계열데이터 및 포트폴리오 모형과 차익거래 모형을 적용하여 차익포 트폴리오를 생성하였고 이의 성과를 산출한 후 그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만약 이 차익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이 통계적으로 유 의적인 양(+)으로 나타나면 역투자전략이 유효한 것이며, 반대로 유의적인 음(-)을 보여준다면 모멘텀전략이 유효하다는 것 을 뜻한다. 모멘텀전략과 역투자전략은 모두 행태재무학적으로 주식시장의 비효율성을 암시하는 이례현상(anomaly)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성과 기준에서 패자주식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전에는 승자주식보다 성과가 분명히 나빴지만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후에는 역전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명백한 주가과잉반응(overreaction) 현상이다. 즉, 한국주식시장에서는 모멘텀전략이 아니라 역투자전략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과거성과 변수에 기초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후 차익거래모형에 의하여 수립한 차익포트폴리오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단기 과거성과 변수보다는 장기 과거성과 변수를 이용해서 차익포트폴리오를 구성할수록 보유기간수익률이 상승하 는 패턴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보여주었다. 셋째, 특히, 과거성과 변수 중에서 24개월과 36개월을 사용하고 보유기간을 9개월 이하로 하는 차익포트폴리오 전략들의 샤 프지수(Sharpe’s measure)가 모두 유의적인 양(+)으로 나타나 차익포트폴리오를 9개월 이하로 보유하는 것이 매우 안정적 인 투자성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위험대비무위험초과수익평가 측면에서 살펴본 샤프지수 비교결과, 과거성과 변수 36개월에 기초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후 3개월간 보유한 경우로서 샤프지수가 0.07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역투자전략인 경우였다. 요약하면, 한국주식시장은 주가과잉반응 현상이 더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역투자전략이 더 유효한 것으로 판 단되며, 가능한 많은 과거정보를 바탕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후 가능한 한 단기간 포트폴리오를 보유할 때 보다 더 안정 적인 역투자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make sure of the fact which of the momentum strategy and the contrarian strategy is more effective in Korean stock market. I conducted the empirical tests by 5,475 non-financial samples from 1981 to 2012 in the Korean stock market. I evaluated the differential performances of the various arbitrage portfolios by using 3, 6, 9, 12, 24, 36 months risk-adjusted buy and hold returns. The main empirical evidences I found are as follows:First, when I compared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between Loser portfolios and Winner portfolios in terms of before and after making the portfolios, Loser portfolios outperformed the winner portfolios. It showed evidence that a stock price overreacted and then the contrarian strategie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momentum strategies in Korean stock market. Secon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nalysis of arbitrage portfolios, It showed that arbitrage portfolios based on the long-term past performanc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higher and more effective than ones of based on the short-term past performance variable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harpe’s measure, Arbitrage portfolios with the 24 months-past performance or 36 months-past performance and under 9 months-holding in the future were mostly significant and positive in statistics. Fourth, through the Sharpe’s measure, I found that the contrarian strategy with the 36 months-past performance and 3 months-holding in the future was the most excellent effective strategy in Korean stock market. The Sharpe’s measure of that case is 0.0771 and the most high among all strategies. Shortly, it is seemed that Korean stock market has more the contrarian characteristics than the momentum characteristics and also, contrarian strategies are more effective than momentum strategies.

      • 한국 벤처캐피탈의 투자성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김종권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5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1

        우리나라와 국가 규모가 비슷한 이스라엘의 경우에는 벤처캐피탈이 정부주도로 출범한 후 육성되었다. 이러한 벤처캐피탈의 특성은 창업자가 연구개발에만 전념할 수 있어서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사업이나 제품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부가가치가 큰 중요한 금융업이 될 전망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벤처캐피탈이 가지고 있는 위험특성에 대한 분석과 위험을 고려한 투자성과 평가를 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비체계적 위험이 체계적 위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수의 지역이나 업종에 집중투자한 결과로 보인다. 위험을 고려한 투자성과분석을 위하여 총위험을 고려한 Sharpe척도와 체계적 위험을 고려한 평가모형 Jensen척도를 토대로 종합주가지수와 코스닥 벤처지수, 벤처캐피탈의 성과를 비교분석에서는 벤처캐피탈의 위험과 투자성과가 크게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Sharpe 및 Jensen 척도에서 검증이 된 것으로 (-)로서 시장포트폴리오(종합주가지수)나 코스닥 벤처지수 보다 투자성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하지만 표본의 수가 짧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 3-D Shape Recovery from Image Focus Using no-reference sharpness metric based on inherent sharpness

        Fahad Mahmood,Muhammad Tariq Mahmood,Javaid Iqbal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7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10

        Recovering an accurate depth map from its corresponding 2-D images using shape from focus architecture is a convoluted issue in computer vision and signal processing society. This paper contributes a new robust focus measure for 3-D shape recovery based on discrete wavelet transform and inherent sharpness approach. This novel focus measure technique utilizes no-reference sharpness metric based on inherent sharpness approach. The no-reference sharpness metric estimates a perceptual sharpness score based on the coefficients of discrete wavelet transform. To obtain the data of high frequency elements in an image the perceptual sharpness metric utilizes diagonal coefficients and approximated sub-signal of wavelet decomposition.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scheme is evaluated by comparing it with state of art shape from focus approaches by conducting experiments on real and synthetic image sequences. Two global statistical metrics are utiliz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by conducting experiments on real world images and synthetic image sequences. The evaluation is estimated on the basis of monotonicity and unimodality of the focus measure curve. The experimented results are then discussed in various forms to support the proposed scheme.

      • KCI등재

        Efficient Sharp Digital Image Detection Scheme

        Hyoung Joong Kim,Elena Tsomkob,Dong-Hoi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7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2 No.4

        In this paper we present a simple, efficient method for detection of sharp digital images. Recently many digital cameras are equipped with various autofocusing functions to help users take well-focused pictures as easily as possible. However, acquired digital pictures can be further degraded by motion, limited contrast, and inappropriate amount of exposure, to name a few. In order to decide whether to process the image or not, or whether to delete it or not, reliable measure of image quality to detect sharp images from blurry ones is needed. This paper presents a blurriness/sharpness measure, and demonstrates its feasibility using extensive experiments. This method is fast and easy to implement, and accurate. Regardless of the detection accuracy, existing measures are computation-intensive. However, the proposed measure in this paper is not demanding in computation time. Needless to say, this measure can be used for various imaging applications including autofocusing and astigmatism correction.

      • KCI등재

        주파수 도메인 정보를 이용한 영상의 Sharpness 평가 방법

        최현수(Hyunsoo Choi),이철희(Chulhee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1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6 No.3

        In this paper, a new no-reference sharpness measure using frequency domain coefficients is proposed. Although most existing sharpness measures used pixel intensity to compute the blur degree, the proposed sharpness measure computes the sharpness using frequency coefficients. To assess the perceived sharpness of a given image, the image is re-blurred by a Gaussian low pass filter and a new quality measure function was defined using the frequency domain coefficients of the given image and the re-blurred image. To evaluate the proposed algorithms, TID2008 quality assessment database was us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quality assessment method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subjective scores.

      • KCI등재

        성과 측정지표와 순위상관관계 -국내 주식형펀드를 중심으로-

        유은정 ( Eun Jung Yoo ),김상배 ( Sangbae Kim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6 금융지식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4가지 성과 측정지표들을 통해 추정된 국내 주식형펀드의 상대적 순위가 일치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2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총 996개의 국내 주식형펀드의 월별 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였다. 전체 표본을 이용하여 추정된 결과의 강건성을 검증하기 위해 5가지 방법으로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표본펀드를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 트레이너비율 그리고 MPPM은 다른 성과 측정지표들과 낮은 순위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존편의를 고려하기 위한 생존펀드와 소멸펀드의 구분, 그리고 표본 펀드를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한 분석에서도 전체 표본과의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표본기간을 표본기간1(2002년 1월 - 2005년 12월)과 표본기간2(2006년 1월 - 2015년 3월)로 구분한 분석에서는 표본기간1에 비해 표본기간2에서 트레이너비율과 MPPM은 샤프비율과의 순위상관계수가 많이 하락한 것을 발견하였다. 트레이너비율에서의 이러한 결과는 전체 표본에서 트레이너비율의 낮은 순위상관관계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베타의 불안정성 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상치를 제거한 분석과 위험회피계수를 조정한 분석에서는 MPPM이 샤프비율과 낮은 순위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은 투자자의 위험회피성향보다는 수익률에서의 이상치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MPPM은 수익률의 이상치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약하면, 국내 주식형펀드의 성과를 평가할 때, 트레이너비율 그리고 MPPM은 샤프 비율과 낮은 순위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국내에서도 성과 측정지표의 선택이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과 측정지표의 선택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 not performance measures find virtually identical rank ordering using Korean equity fund data. To do so, we use 996 equity funds, which exist more than 24 months for the sample period of January 2002 to March 2015. Using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we compare the relative ranking orders which are generated by 15 different performance measures, including the Sharpe ratio, Jensen`s alpha etc. The results from the whole sample data show that performance measure have different rankings. This is the case of Treynor ratio and MPPM(Manipulation-Proof Performance Measure). The results of 5 robustness tests show that the low rank correlation of Treynor ratio is driven by the unstability of betas in the Korean stock market, while MPPM is very sensitive to the existence of outliers in fund returns. Overall, our result implies that the choice of the performance measure is actually important for fund performance evaluation, as shown in Ornelas et al.(2012).

      • KCI등재

        디지털 TV의 영상신호 특성 측정시스템 구현

        성영모(Young-Mo Sung),임재권(Jae-Kwon Ee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8 No.8

        Image signal is finally transmitted to the digital display panel through the various image processing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n image signal measurement system for measuring image signal characteristics from the image board system that receives and processes input image signal(LVDS).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nel input image signal, we suggest a method for measuring the sharpness after displaying a specific bar pattern to the TV set under test and the contrast ratio in patterns with more changes than single colors. In addition, this study implemented the system to measure image signal characteristics and applied the system to measurement of image signal characteristics of LCD TV, and PDP TV set. This system can measure comprehensive effect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used in image boards of the digital T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