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상화 경험이 여성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손은정 한국여성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1 No.4

        There were some theories explaining the reason of gender differences in a few mental disorders whose women's prevalence ratio is higher than men's. However, the previous theories have provided just partial explanations for gender differences. In this study, the alternative explanation for women's mental health would be presented by exploring objectification theory. Women's body is more objectified by others than men. It is called sexual objectification. The repetition of sexual objectification may cause self-objectification by internalizing the observer's point for their body. Self-objectification is likely to bring about some negative experiences: shame, anxiety, the lack of peak motivational state, the deficiency for an awareness of internal bodily states. The accumulation of negative experiences lead to mental health risks: eating disorders, depression, sexual dysfunctions. The objectification theory has been proved by empirical studies by this tim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ed that (a) sexual objectification causes self objectification, (b) the experiences of objectification are different between women and men, (c) the experiences of objectification changes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d) objectification had an effect on eating disorders, negative emotions, performance ability, and non-adaptive behaviors. The implication of objectification theory is the proposal of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concept 'self objectification'. The concept of 'self objectification' might be clarified, and the range of research based on the objectification theory should be broaden in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온라인 피해 경험을 통해 본 성적 대상화와 온라인 성폭력 문제

        김수아,장다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4 No.1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invasive properties of online verbal sexual harassment, the recording and/or distribution of sexual assault image without consent(‘illegal recording’, ‘digital sex crimes’)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ose who have experienced being victimized by online sexual violence (digital sexual violence). This is closely associated with sexual objectification culture of women. Interview results revealed problems such as how issues involving verbal harassment were being dealt with too lightly under current laws or how they were already being considered everyday affairs online. Also, in the case of crimes using images, even if there is no physical exposure within the scope of sexual shame as discussed by current laws, victims had a tendency to perceive them as sexual violations. Even in the case of everyday looks shooting, sexual disparagement and indignity appeared identically during distribution processes and the fact that personal images were being consumed after being reduced to sexual images was a shock to those experiencing it. In cases of distribution, the issue of sexual shame felt by individuals was also caused by the patriarchal culture and double sexual norms of Korean society. The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was operating like a constituting principle of male-centered online culture. Where sexual jokes and sexual harassment were actually being made a cultural code in personal internet broadcast culture, cultural contexts in which illegal photography and filming are being consumed as obscene material or pornography instead of being considered a criminal act. 이 연구는 온라인 성폭력(디지털 성폭력) 피해 경험자와의 심층 면접 결과를 통해, 온라 인을통한언어적성적괴롭힘및비동의촬영, 유포등의문제가어떤침해의성격을가지 며성적대상화문화와어떤관련이있는지를드러내는것을목표로한다. 면접결과, 언어 를 이용한 괴롭힘 문제가 현행법상 가볍게 취급되고 온라인 상에서 이미 일반화된 문화적 경향이라는 문제가 나타났다. 비동의 촬영 및 유포 범죄에서는 현행법상 성적 수치심의 판단 범위인 신체 노출이 되지 않아도 피해자들이 성적 침해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노출이 없는 사진도 유포 과정에서 성적 비하와 모욕이 동반된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개인 의 이미지가 성적 이미지로만 환원되어 소비되는 것에 모욕감을 느끼고 있었다. 여성의 성적 대상화가 남성 중심 온라인 문화의 구성 원리로 오랫동안 자리잡고 있으며 이미지 중심 문화가 될수록 더욱 강화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인터넷 개인 방송에서 성적 농담과 비하가 유머 코드가 되고 있고, 불법촬영물은 범죄가 아닌 음란물로 소비되는 것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가 시각적 볼거리가 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문화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자기애와 성폭력의 관계: 경로모형 검증

        박갑제,임성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9 No.1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ual path model in which entitlement rage and sexual dominance on the one of two pathway, sexual permissiveness and sexual objectification on another pathwa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narcissism and sexual aggression.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whether alcohol use and rape myths acceptance have moderating effects in the pathways from sexual dominance and sexual objectification to sexual aggression on our path model. Data from 368 male college students in four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xhibited that narcissism affected sexual aggression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entitlement rage and sexual dominance, and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sexual permissiveness and sexual objectification. Furthermore, alcohol use and rape myths acceptance onl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sexual dominance and sexual aggression on our model. We discussed the meaning of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본 연구는 자기애와 성폭력의 관계에서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애가 특권 분노에 영향을 미치고 특권 분노가 성적 지배에 영향을 미쳐 성폭력으로 연결되는 경로와, 자기애가 허용적 성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허용적 성태도가 성적 대상화에 영향을 미쳐 성폭력으로 연결되는 경로로 구성된 이중 경로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각 경로의 2차 매개변인인 성적 지배와 성적 대상화가 성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알콜사용과 강간통념수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모형적합성과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충청지역 4개 대학교에서 수집한 368명의 질문지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모형검증 결과, 다양한 대안모형과 적합도 비교에서 1, 2차 매개변인들이 완전 매개하는 연구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모형의 성적 지배가 성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성적 지배동기가 높으면 알콜사용 수준이 높을 때 또는 강간통념수용 수준이 높을 때 성폭력이 대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및 제언이 기술되었다.

      • KCI등재

        사르트르 철학에서 ‘대상화(objectification)’의 문제: 누스바움의 대상화 이론에 관한 비판

        이솔 한국현상학회 202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99 No.-

        The problem of sexual objectification is one of the central issues in contemporary feminist philosophy. In "Objectification"(1995), Nussbaum criticizes the fact that objectification has been regarded as negative term in previous feminist work, arguing that positive objectification is possible when it is accompanied by respect for the other as a person. This article will show that Nussbaum's discussion of objectification suffers from a problem of 'arbitrariness' and offer a new way to reflect on the issue of objectification based on Sartre's model of relationship for others. Nussbaum's "positive objectification" has a fundamentally arbitrary status in that the other may or may not be treated as a person, depending on the subject's intentions, and there is always room for violence to intrude into the relationship. For Sartre, on the other h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other into a subject from an object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left to one's arbitrary choice. Rather, the gaze of the other forms the limit of my subjectivity. Through Sartre's philosophy, we can see that feminist discussions of objectification are based on false notions of the other and the subject, and we can find new ways to think about the problem of objectification.

      • KCI등재

        한국판 성적 대상화-가해 척도(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Scale—Perpetration Version) 타당화 연구

        우성범(Sung-Bum Woo)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2

        성적 대상화는 인간을 성적인 대상물로 바라보거나 성적인 강요를 하는 것으로 최근 사회문제로 관심을 받고 있으나 객관적 과학적 측정도구에 제한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성들이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성적 대상화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Gervais, Davidson, Styck, Canivez, DiLillo(2018)이 개발한 ISOS-P(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Scale—Perpetration Version)를 번안하고 타당화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로 번역하고 내용타당도를 확인한 K-ISOS-P척도를 전국의 성인남성 8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관련한 주요변인들을 함께 조사하였다. 전체 표본 중 29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가지 하위요인이 추출되었고 각 문항의 내용에 따라 ‘원치 않는 노골적 성적 접근’, 과 ‘신체응시 및 평가’로 명명하였다. 541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검증 하였다. 또한, 한국판 남성 규범이 성적 대상화 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한국사회의 남성문화 규범이 성적 대상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Sexual objectification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 social problem by viewing humans as sexual objects or making sexual coercion, but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objective scientific measurement tools. In this study, the Interpersonal Serial Objectification Scale (ISOS-P) developed by Gervais, Davidson, Styck, Canivez, DiLillo (2018) was adapted and validated as a tool for measuring sexual objectification targeting women. To this end, a survey of 840 adult men nationwide was conducted on the K-ISOS-P scale,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confirmed the content validity, and related major variables were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299 people out of the total sample, two sub-factors were extracted, an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each question, they were named ‘unwanted explicit sexual approach’, and ‘physical examination and evalu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ce and discrimination validity were verified for 541 people.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Korean version of male norms on sexual object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male cultural norms in Korean society affect sexual objectification.

      • KCI등재

        호칭어 ‘아가씨’의 사용 양상 : 사회언어학적 분석

        박시은(Park, si eun) 한국사회언어학회 2020 사회언어학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erm ‘agassi’ by analyzing the pattern of actual language use of it in the aspect of sociolinguistic perspective. Through this work, it will be possible to figure out the change of meaning of the ‘agassi’, and the causes of conflict situations of using it in modern society. In chapter 2, the difference between ‘agassi’ as an address term and as a reference term is represented. Chapter 3 shows the chronicle change in the use of ‘agassi’ being originated from its etymology, ‘agissi’. It turns out that the use of ‘agassi’ has evolved for in the order of Honorific form, kinship and Non-Honorific form. Chapter 4 investigates the tendency and its cause of the negative interpretation of ‘agassi’ in modern society. The reason why the address term ‘agassi’ causes social displeasure is because it is regarded as ‘sexual objectification’. It can be sub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gassi’ is (1) the expression that emphasis sex in social life, (2) associated with specific occupational groups which is socially unacceptable, and (3) used often in the situation of sexual harassment.

      • KCI등재

        성적대상화 경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 자기대상화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진주,이영순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through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Participants were 229 females in their 20s who completed online assessm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tercorrelations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and self-objectifica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n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cept clarity. The mediation model show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was full mediated by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There was also a moder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path from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to self-objectification. Finally, self-concept clarit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objectification on self-objectification through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성들의 성적대상화 경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가 자기대상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자기개념 명확성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가 성적대상화 경험을 매개하여 자기대상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대 여성 2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대상화 경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 및 자기대상화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자기개념 명확성과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는 성적대상화 경험과 자기대상화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성적대상화 경험과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와 자기대상화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가 성적대상화 경험과 자기대상화를 완전매개하는 경로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재한 중국 여자 유학생의 대인관계에서의 성적 대상화 경험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차별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백근영,김애란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4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perceived discrimination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on eating behavior through internalization,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among femal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Results from 228 femal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dicated that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ndirect positive relationship with negative eating behavior through mediation by internalization,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Additionally, perceived discrimin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and body surveillance. Finally, perceived discrimination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on negative eating behavior through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for future research and therapy practice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상화 이론을 바탕으로 재한 중국 여자 유학생의 대인관계에서의 성적 대상화 경험이 내면화, 신체감시, 신체수치심을 매개하여 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성적 대상화 경험과 내면화, 성적 대상화 경험과 신체감시의 관계를 지각된 차별감이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228명의 재한 중국 여자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조절된 매개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조절된 매개효과는 일부가 지지되었다. 첫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재한 중국 여자 유학생의 대인관계에서의 성적 대상화 경험이 내면화, 신체감시, 신체수치심을 매개하여 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지각된 차별감은 성적 대상화 경험과 신체감시의 관계만을 조절하였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지각된 차별감이 조절하는 성적 대상화 경험과 신체감시의 관계가 신체감시와 신체수치심을 매개로 섭식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제시했고, 후속 연구를 제언했다.

      • KCI등재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여자 청소년의 몸과 남성적 시선, 그리고 몸의 주체성

        선주원 청람어문교육학회 2019 청람어문교육 Vol.0 No.71

        The article focused on the violence of a young woman's body being "seen" or "dirty" by her masculine gaze and discourse, and the body's perception of self-reliance through reflection of sexual objectivity and the body's perception of self-reliance through overcoming traumas of sexual violence, and looked at the problems of male eyes and body self-reliance in a young woman's body in a young adult novel. The body of a female teenager is imaged as a 'visible body' by masculine gaze and discourse, and its imprint is viewed through Kim Hye-jeong's 《Diet School.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see how young girls are striving to build and image slim bodies, how they are internalized and imaged their own bodies, and how they reflect on the ideal body image defined by others. Imaging a pregnant female teenager's body as 'dirty' was discussed through a discussion on catching Lim Tae-hee's mouse. Through this discussion, the suicide of a young woman who considers the fetus in her stomach a "rat" and perceives her body to be dirty showed that the body's ideal image was influenced by masculine discipline and the value system. The recognition of the body's original value through reflection on sexual objectification was discussed through Park Hyun-wook's 》unsympathetic world. This shows that the eyes of male teenagers who force their girlfriends to have sex are based on sexual targeting of women's bodies. However, the fact that a teenager is responsible for having sex with a girlfriend and reflect on the fact that her body is of inherent value rather than sexual object shows that the formation of sexuality was the foundation. As a young woman overcame her own sexual violence and trauma, she looked at who Lim Tae-hee's avatar was. This showed that the two young girls who were sexually assaulted by their cousins and their fathers gradually reflected her own will and attitude in recognizing the body's original value by her own eyes, not by her masculine gaze, as she moved away from anger or self-abus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이 글은 여자 청소년의 몸이 남성적 시선과 담론에 의해 ‘보여지는’ 몸 혹은 ‘더렵혀진’ 몸으로 이미지화되는 것의 폭력성, 그리고 성적 대상화에 대한 성찰을 통한 몸의 본래적 가치 인식과 성폭력의 트라우마 극복을 통한 몸의 주체성 인식에 초점을 두어,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여자 청소년의 몸에 대한 남성적 시선과 몸의 주체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여자 청소년의 몸이 남성적 시선과 담론에 의해 ‘보여지는 몸’으로 이미지화되는 것과 그것의 각인은 김혜정의 《다이어트 학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여자 청소년들이 날씬한 몸만들기와 이미지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그 과정에서 남성적 가치체계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몸을 타자화하여 어떻게 이미지화하는지, 그리고 타자에 의해 규정된 이상적인 몸의 이미지에 대해 어떻게 성찰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신한 여자 청소년의 몸이 ‘더렵혀진’ 것으로 이미지화되는 것은 임태희의 《쥐를 잡자》를 통해 논의되었다. 이 논의를 통해 뱃속의 태아를 ‘쥐’라고 여기면서 자신의 몸이 더렵혀졌다고 인식하는 여자 청소년의 자살에는 남성적 규율과 가치체계에 따른 몸의 이상적 이미지화가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적 대상화에 대한 성찰을 통한 몸의 본래적 가치 인식은 박현욱의 《동정 없는 세상》을 통해 논의되었다. 이를 통해 여자 친구에게 섹스를 강요하는 남자 청소년의 시선에는 여성의 몸을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시선이 깔려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남자 청소년이 여자 친구와의 섹스에는 책임이 따르며, 여자 친구의 몸이 성적 대상이 아닌 본래적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성찰하는 것에는 성주체성의 형성이 토대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자 청소년이 친족의 성폭력과 그 트라우마를 극복하면서 몸의 주체성을 회복하는 양상은 임태희의 《나는 누구의 아바타일까》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촌 오빠와 아버지에게 성폭력을 당한 두 여자 청소년이 상호 간의 소통을 통해 분노감이나 자기학대에서 벗어나 점차 자기 몸의 주체성을 성찰하는 것은 남성적 시선이 아닌, 자신의 시선에 의해 몸이 갖는 본래적 가치를 인식하는 그녀 자신의 의지와 태도가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대인 성적 대상화 경험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준의 내면화가 섭식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 무용 전공 여대생과 일반 여대생 비교

        김시연,백근영,서영석 한국여성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5 No.4

        This study extends the literature on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by testing, based on extant literature on objectification theory, a model that examines (a) links of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s to eating disorder-related variables and (b) the mediating roles of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The present study also tested these core constructs with dance majors, as their experiences with these constructs may differ. A multiple-groups analysis comparing these women (n = 98) with non-dancers (n = 154) indicated that objectification theory can be extended to the dance majors. However, structural invariance analyse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may not be identical for these groups. The dance majors had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ation and disordered eating but weaker relationships between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between body shame and disordered eating, and between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s and body surveillance than did non-dancer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