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중 이형동의(異形同義) 관용어의 의미 생성 양상 - 완전 이형동의 관용어를 대상으로 -

        王寶霞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3 No.-

        본고는 의미 내용, 심리 요인, 비유 방식, 그리고 문화 배경에 따라 한․중 이형동의 관용어 의 의미 생성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여기서의 의미 내용은 구성 요소의 기본적 의미와 파생적 의미를 가리킨다. 의미 내용에 따라 구성 요소들의 기본적 의미와 파생적 의미를 관찰하여 그들이 어떠한 의미로 관용의미 에 기여하는지를 대조하면서 이형동의 관용어가 형성되는 원인을 밝혔다. 심리요인은 관용어 의 생성에서 근본이 된다. 한국과 중국의 언중은 서로 다른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언어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심리적 연상 작용도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심리적 인지 때문에 한중 양국에서 같은 의미를 표현하는 데에서 사용하는 어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 용어의 성립 요건 중 기본이 되는 것은 비유 방식이다. 서로 다른 형태인 관용어가 한 언어에 서는 사물의 유사성을 이용하는 은유에 의해, 다른 한 언어에서는 인접성에 따른 환유에 의해 의미가 산출되기 때문에 관용의미가 같아질 가능성이 있다. 또는 양국 간의 문화적 차이는 관 용어의 질적 차이가 생기는 데에서 더욱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양국의 관용어에는 의미는 같 지만 구성 요소가 해당 나라의 문화에 따라 그 나라 자신만 가지는 특수한 언어 표현을 사용 하는 것이 모두 문화적 차별성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상의 내용에 근거하여 한․중 이형동의 관용어의 의미 생성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들을 종합해 보면 이형동의 관용어의 경우는 구성 요소들 사이에 동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과 비유 방식이나 인지 방식, 그리고 각 나라의 문화 등 이유에 의해서 구성 요소들이 결합하는 과정 에서 동의 관계가 형성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studied on the formation aspect of idioms with different shapes but same meanings in Korean and Chinese by researching the content of semanteme, psychology factor, method of figure and cultural background. The content of semanteme meant the basic meanings and derivative meanings of constituents. Follow the content of semanteme and search the basic meanings and derivative meanings of constituents by comparison, found out how did the basic meanings and derivative meanings contribute the idiomatic meanings and pointed out the formation cause of idioms with different shapes but same meanings by comparing the basic meanings and derivative meanings. Psychology factor was the root of idioms' formation. Because the Korean and Chinese speakers had different historic, political, social, linguistic background, their psychological aspect could get different points. By reason of the psychological cognition, with the same meaning, they got different lexicons to express in Korean and Chinese. The methods of figure is the basic requisite in idioms' establishment requisites. To the idioms with different shapes, the similarity of things could be used as a metaphor in one language but followed the proximity as a metonymy in anther language. So the idiomatic meanings could be the same one. Cultural differences mainly made the idioms' qualitative differently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ough idioms in Korean and Chinese had the same meanings, but formation factors got effects on the country's cultural that special expressions be used. It also concluded the discriminations. In summary, this paper searched the meanings' formation aspect of idioms with different shapes but same meanings in Korean and Chinese. We can find that the formation factors of idioms with different shapes but same meanings get relations with each other in their combinations by the method of cognitions, the country's culture, the method of figure etc.

      • KCI등재

        日本語の条件表現形態「なら」に関して

        金慶惠(김경혜)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4

        본 연구는 일본어 조건표현을 나타내는 형태 ‘nara’에 관한 연구이다. ‘nara’는 선행절의 명제의 외곽에서 후행절과 접속한다. 그리고 어떤 상황을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 대전제이다. 또한 ‘nara’는 조동사 [da]에서 파생되었지만 조건표현을 나타내는 형태로 독립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조사로 인정을 해야 한다고 본다. ‘nara’가 나타나는 구문특징은 선행절의 내용에 상관없이 화자가 어떤 상황을 조건으로 설정하는 기능이 우선이기 때문에 진리나 일반적으로 반복성이 있는 일을 나타내는 경우 이외에는 표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nara’는 화자의 심적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형태이므로 후행절의 문말에는 단정적인 서술 표현을 제외하고는 모달리티가 제한받지 않는다. 시제표시의 경우를 보면 ‘nara’는 구문내용이 현재나 미래시점의 사항에 관한 표현이 가능하지만 선행절의 시제표시에 한한 것이고 후행절은 ‘nara’조건문의 문말특징 그대로 발화 시이거나 발화 시 이후에 나타나게 된다. 즉, ‘nara’문은 모달리티 및 시제표시와 깊은 연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nara’의 의미특성을 보면 ‘nara’는 기본적으로 조건성을 나타내는데, 확장된 의미특성으로는 가정조건표현에 나타나는 가정성, 반 사실적조건표현에 나타나는 가상성, 화제나 주제의 제시성을 내포하고 있고 이러한 의미특성을 가지고 어떤 상황을 조건으로 설정해서 제시하여 그에 관한 화자의 심적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형태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form nara, which represents the conditional meaning in Japanese. The form nara connects to the upcoming main clause, and influences from outside of the proposition of the preceding clause. Its use has the premise that sets the situation to a condition. The from is derived from the auxiliary verb [da] and is established as a form representing the conditional meaning, so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connective. The syntax characteristic of nara is that the it functions to set up a situation as a condi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proposition of the precrding clause is true or not, and thus the form is not constrained unless it indicates a truth or a general repetition of an event. Since nara is a form to express the psychological attitude of the speaker, the Modality that conveys the speaker’s will appears at the end of the upcoming clause and the Modality is not constrained except for an assertive narrative representation sush as the description statement. In the case of Tense indication, nara can be expressed in the syntax content of the future point of view, but this is for the preceding clause only, and the upcoming elaus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tence of nara, appears at the time of utterance or after the time of utterance. Such special features of the nara statement are so because the syntax of nara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display of the Modality and the Tense. Finally, nara "s semanteme is basically a condition, the purpose of which is, in the form of semantic characteristics, to present a hypothesis, semi-realistic condition that appears in the expression of assumption conditions, the presentation of a topic or subject, a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circumstances that are presented by setting the condition to indicate the psychological attitude of the speaker.

      • KCI등재

        자유주의 권리관계와 인간소외

        이봉철(Bong-Cheol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사회과학연구 Vol.21 No.1

        This study is to expose the alienation issues out of rights-relations currently being practised in liberal societies. Western liberal rights theories are employed as the main object of analysis. After establishing model structures of liberal rights-relations, I, based on them, evaluate three structures built in the current liberal rights-relations.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latter structures have such characteristics as inequality in inter-subjects relation, non-reciprocity in transaction relation, and imbalance in inter-semanteme relation. Alienation is caused from these characteristics: at the first hand, it appears to exist in the inter-subjects relation with being centered on the duty(obligation)-bearer; yet, the multifaceted and overlapping nature of rights-relations is to make it be expanded into the whole constituents of society, who are, in their everyday lives, the ever-participants of rights-relations. Rights-relations, diffusing out alienation over the whole society as thus, eventually collapse itself into the ones of wrong-guided property rights. With introducing some theorists' criticisms concerning the pan-social problems caused by alienation-laden property rights relations, I rounded up the study.

      • KCI등재

        “都”的語義考察及敎學方法硏究

        郭爽(Guo Shuang) 중국어문학연구회 2012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72

        부사“都”는 사용빈도가 아주 높은 부사이다. 한국학자와 중국학자들이“都”에 관한 많은 연구를 하였다. “都”는 대외한어교학 중에서도 아주 중요한 어법 포인트이다. 하지만 대부분 연구는 “都”의 의미 분석만을 치중하고 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못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都”의 의미 분석에 국한하지 않고 외국학생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都”의 교수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대 중국어 부사의 분류 원칙과“都”의 어법특징에 따라“都”의 의미를 세 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해야한다. 다시 말해 범위부사, 어기부사 그리고 시간부사로 나누어져있다. 범위부사“都”의 의미는“都”의 기본의미 이며, 어기부사로서의 의미로는 파생의미이다. 양자사이에는 내적으로 연계성 많다. 강조의미를 나타낸“都”와 공성의미를 나타낸“都”는 의미상으로는 상통한다. 모두 법위부사의 어법화이다. 공성의미가 점점 약해지면서 강조의미만 남게 되었고 총괄적인 의미는 사라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외한어어휘교수법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한국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교수현장에서 적용 할 수 있게 실용적으로 교수법을 정리하였다. 학생들에게 부사“都”를 체계적으로 가르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준술어 개념을 이용한 어휘관계 기술 - 전문용어 데이터 구축의 관점에서 -

        임근석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3 언어사실과 관점 Vol.58 No.-

        본고는 Mel’cuk & Polguère(2008)과 Polguère(2012) 등에서 제안된 준술어(quasi-prédicat) 개념을 소개하고 그 특징에 대해 한국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의미소(sémantème)’는 온전한(plein) 어휘 요소(불. lexie, 영. full lexical unit)의 기의(signifié)를 가리키는 것으로, 뽈귀에르 교수는 의미소를 ‘결속(liant)’의 유무와, 사태와 존재의 구분이라는 두 가지 기준을 이용하여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본고에서 다루는 준술어는 결속의 의미를 가지며 존재를 지시하는 유형이다.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개념적 유사성이 있는 준술어와 술어명사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서도 비교하였다. 기존의 전문용어 기술이나 데이터 구축에서는 언어학적 관점에서 언어 정보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반성과 함께 본고에서는 준술어를 이용할 경우 전문용어의 언어학적 정보를 더 풍성하게 기술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히었다. 첫째, 검토대상이 되는 전문용어가 준술어일 경우 뜻풀이에 준술어와 내재적 술어(prédicat inhérent)가 표상하는 사태를 이용하여 정의항을 기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준술어인 전문용어가 가지는 어휘 결합의 특성을 준술어적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 KCI등재

        日本語動詞「ねらう」の意味論的考察 -「めざす」之の對照を通して-

        김경혜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2

        [nerau] and [mezasu] are the verbs in synonym relations which always require the goal. This paper carried out contrastive analysis from a semantic point of view, intended for Japanese transitive verbs [nerau] and [mezasu] which have syntax such as 「N1 ga N2 wo V(/V te ~ sur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semantic scope by analyzing the goal(to be object) and character(of object chosen by two verbs), thereby abstracting the sememe and illuminating general semantic characteristics. [nerau], in the analysis process, was confirmed to be a verb which has sememe such as [limitation] and [Harming], while [mezasu] was confirmed to have sememe of [mobility] in connection with agent. [nerau] reverified the semantic scope through [passive verb] and [possible expression]. From the result of having analyzed, below findings were obtained. [nerau] : It chooses an object which shall have an undesirable effect and sets it as its goal. But in case of having satisfied part of conditions or chosen unspecific object, and of being very specific what action should be taken, it is not that it has only undesirable effects. [mezasu] : Assuming the goal exists at the place where values can be recognized, it shows the process of reaching the place. Furthermore, it implies semantic function which goes through stages giving efforts and time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goal. Even aiming at [te type], it examined independence of [nerau] and [mezasu]. It, however, has not been proved yet that the selected analysis method has implied universality.

      • KCI등재

        科技術語及行業語的詞義泛化硏究

        기화룡 ( Hwa Ryoung Ki )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3

        An important way of making word`s meaning from single to more is to borrow from technical terms which have fixed meaning ,and put them into general use. It also marks that the word is abundantly developing. The fact of borrowing and change in internal factor of word`s meaning can yield new non-specific sense with a relatively higher grade. Non-specialization of technical terms has broad prospec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