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

        장명덕,이명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이 연구는 두 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 초등학생들이 작성한 평일과 일요일 과학자와 회사원의 하루 일과표의 비교를 통해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2) 학생 및 교사의 과학자 및 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이미지 조사 방법으로서 '과학자의 일과표 그리기(DASS: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주시 소재 초등학교 1개 학급 6학년 30명(남:15명, 여:15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이들이 작성한 하루일과표와 이에 대한 면담을 통해 과학자와 회사원의 생활시간(필수, 의무 및 여가생활시간)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회사원에 비해 과학자의 의무생활시간은 많고 필수생활시간이나 여가생활시간은 적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일요일에는 더욱 두드러진 양상을 보인다. 둘째, 학생들의 인식하고 있는 과학자와 회사원의 필수생활시간에 있어 차이는 수면시간의 차이에 의한 것이며, 과학자의 수면시간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인식은 회사원에 비해 다양함을 보인다. 셋째, 학생들은 과학자가 회사원에 비해 의무생활시간 중 직업과 관련된 일을 하는데 사용하는 시간은 많으나, 가정관리와 관련된 일을 위한 시간은 적을 것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자의 여가생활시간은 회사원에 비해 적을 뿐 아니라 그 활동 유형에도 차이를 보인다. 다섯째, '과학자의 일과표 그리기(DASS: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를 통해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자의 생활모습에 대한 다양한 정보 뿐 아니라 기존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DAST로는 분석하기 어려운 학생들의 과학자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해냄으로써 새로운 접근방식으로서 그 가능성과 유용성을 보였다. This article aims to (a) investigate children's images of a scientist's life style by comparing children's drawings about a scientist's schedule with those about a company employee's schedule in a weekday and on Sunday; and (b) examine the usefulness of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 (DASS)' test as a new instru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a scientist and his/her work. To do those, thirty sixth- grad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15 boys and 15 girls, were selected from a classroom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ongju city. The children's drawings wer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individual interviews. The interviews facilitated the clarification of any ambiguous attributes of the drawings by questioning after their completion. Several significant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work: First, the children conceived that a scientist has more mandatory time, and less necessary and leisure time than does a company employee. Interestingly, many children thought that a scientist has similar life style on Sunday to that in a weekday, unlike a company employee. Second, in case of necessary time use in a weekday and on Sunday, the difference between a scientist and a company employee results from their sleeping time. Also, the children showed more various conceptions of a scientist's sleeping time than those of a company employee's sleeping time. Third, in case of mandatory time use, the children conceived that a scientist spends more time for his/her occupational work and less time for his/her housework activities than does a company employee. Fourth, the children's drawings showed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a scientist's and a company employee's leisure time use and activities. Finally, the DASS test indicated its possibility and usefulness as an instrument for investigating learners' images on a scientist and his/her work. The instrument exhibited several distinctive children's conceptions that is difficult in identifying by using the DAST, a popular instrument.

      • KCI등재

        우리나라 생명과학 관련 분야 재미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있는가?

        이영희 ( Young Hee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7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에 대한 이해는 오랜 시간동안 과학교육학계의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중의 하나가 되어 왔다. 지난 20여 년간 과학교육에서 과학의 본성이 가지는 중요성에 의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현장에서 과학 활동을 하고 있는 과학자들이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Taylor et al., 2008; Wong & Hudson, 2008; Bayir et al., 2014). 최근에 들어서 과학교육 연구자들은 과학교육에서 과학자들의 긍정적 영향과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과학자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개념을 알아야 할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Southerland et al., 2003; Taylor et al., 2008). 이와 같은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학교육계에서 널리 인식된 과학의 본성 주요 측면이 실제 현장에서 과학 활동을 하는 과학자들에 의해서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재미한국 과학기술자협회(KSEA: Korean-American Scientists and Engineers Association) 소속의 과학자들 35명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였다. 과학자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는 과학적 소양에 근거한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 틀(Lee, 2013)을 기반으로 개방형 질문을 통한 설문지 작성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전체 참여 과학자들의 설문후 지원한 4명의 과학자를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는 과학자들은 대부분의 영역에서 과학 교육에서 제시된 과학의 본성과 일치되는 견해를 갖고 있었으나 몇 가지 영역에서는 상반되는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과학교육에서 제시된 다양한 과학의 본성 측면 중에서 과학지식의 잠정성 및 가변성, 과학의 다양한 사회적 영향, 과학의 한계성, 그리고 과학 활동의 협력성 등의 과학의 본성은 비교적 잘 이해하고 있었으나 반면 다양한 과학지식의 차이, 과학 탐구의 다양성, 그리고 상상력 및 창의력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측면으로는 1. 과학 지식에 대한 본성에서는 약 60% 이상의 설문 참여 과학자들이 과학적 이론이 더많은 증거로 뒷받침되면 과학적 법칙이 될 수 있다고 말하였으며 2. 과학의 탐구적 본성에서는 약 60%이상의 과학자들이 과학의 탐구 방법을 몇 가지 단계를 거치는 실험과정에 국한하는 매우 제한된 과학의 본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3. 과학적 사고의 본성에서는 약 50% 과학자들이 과학 활동에 있어서 상상력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견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4. STS적인 과학의 본성(ThemeIV) 측면에서는 과학교육에서 제시하는 과학의 본성 견해와 높은 일치률(약 90%)로 같은 견해를 갖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것은 과학자들이 현장에서 과학 활동만으로 철학적 반성을 통한 모든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기는 어렵지만(Bayir et al., 2014) 사회 속에서 직업 활동으로써 체험한 STS적인 과학의 본성 측면은 내면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has been a consistent topic as one of the most importantgoals in science education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Even though there is a variety of research related with the NOS conducted in science education, few researches has been conducted for the conception of scientists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Bayir et al., 2014; Taylor et al., 2008; Wong & Hudson,2008). Recently, researchers in science education turned their attention to identifying views of scientist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since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of scientists in science education (Southerland et al., 2003; Taylor et al., 2008).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Korean scientis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he use of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the views of 35 scientists who belong to the Korean-American Scientists and Engineers Association (KSEA)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were explored. Findings show that while the scientists have more informed views with respect to the tentativ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cultural and social influence embedded in science, the limitation of science, and the collaboration of science with others, the scientists have more naive views about the distinction between laws and theories, the existence of a universal scientific method, and the importance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As such, it can be assumed that the scientists cannot conceptualize their notion in a philosophical sense even though they are engaged in scientific work in reality (Bayir et al., 2014).

      • KCI등재

        과학자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담긴 과학사 에피소드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윤경 ( Yun Kyung Lee ),신동희 ( Dong 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를 다양화하기 위해 과학자들의 인간적인 면이 드러난 에피소드를 활용한 ‘과학자의 희로애락 프로그램’을 개발해 학생들의 반응을 파악했다. 과학자의 다양한 이미지를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가 어떻게 다양해졌는지, 자신의 과학 학습과 진로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은 과학자의 희로애락 관련 총 5개 주제, 10차시로 구성되었고, 20명의 고등학생들이 참여했으며 이 중 5명의 수업 전후 조사지, 수업 중 상호 작용, 활동지 자료, 면담 자료, 수업 현장 노트 등을 심층 분석했다. 과학자의 인간적인 면을 나타내는 수업의 흐름은 먼저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떠올리기, 과학사 에피소드 읽기, 과학자의 인간적 측면 탐색하기, 과학자의 상황 공감하기, 과학자의 인간적 측면 평가하기 등의 단계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과학자도 감정을 가진 평범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과학자에게 친밀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과학자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도 갖게 되었다. 학생들이 과학자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게 됨으로써 과학과 과학자에 대해 더 큰 지지를 보낼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To provide students an alternative image of science and scientist, we developed five lesson plans that include scientist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in their life. Through the 10 hour lessons with the five topic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ur program on students’ image change toward scientists, their science learning, and their career development in science field. Twenty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our program and five of them were analyzed. The qualitative data included opinionnaire surve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ield note, video recording, students’ worksheets, and interview. The science episode lessons that reflect the human side of scientists were designed in five steps. The first step is the one about imaging of scientists, the second step is the one about reading scientists’ episode in their life, the third step is the one about investigating human side of scientists, the fourth step is the one about feeling sympathy in scientists’ context, and the last step is the one about judging human side of scientists.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got to feel familiarity in scientists as well as confidence in science. By obtaining the alternative image of scientists after the clas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play roles of well-prepared supporters with scientific literacy.

      • KCI등재

        과학자들의 일상과 연구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통한 대학생들의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변화 탐색

        이현옥 ( Hyunok Lee ),문지영 ( Jiyeong Mu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2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선행 연구에서 대상 및 국가를 넘어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정형적 이미지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 및 조사 도구에 따라 몇몇 새로운 이미지가 제시되지만 아직 정형적 이미지가 주도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자들의 일상과 연구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를 맥락으로 하여 대학생들의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인식변화의 경로를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활용한 다큐멘터리에는 오랜 기간 실제 과학자들을 촬영하여 제작한 것으로 다양한 과학자들이 등장할 뿐 아니라 과학연구와 함께 개별 과학자들의 일상적인 삶을 조명하며 그들의 모습을 다각적으로 담아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총 109명의 대학생(인문계열 33명, 자연계열 35명, 사회계열 41명)으로 과학기술관련 교양 수업에서 해당 다큐멘터리를 시청하고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에세이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70명, 64.2%)의 학생이 인식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하였고 그들 중 대부분은 다큐멘터리를 계기로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에서 보다 현실적인 인식으로 변화하였다.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으로는 1) 감정기복을 겪는 평범한 일반인, 2) 반복되는 실패에도 인내심을 가지고 목표에 매진, 3) 지식의 최전선에서 창의성을 발휘, 4) 협력과 경쟁의 공존, 5) 경제적·현실적 장벽에 좌절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인식변화가 없다고 보고한 학생들(39명, 35.8%) 중 다수가 원래부터 과학자에 대한 현실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서술 하였다. 결국, 전체 연구 참여자 중에서 소수의 학생들만이(8명, 7.3%)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를 고수하였다. 이를 해석하면 대학생들이 갖는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는 과학자들의 현실적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를 시청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쉽게 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결과는 대학생들이 서술하는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가 내적으로 깊은 인상을 형성하는 인식 내용이기보다는, 외부에서(예, 학교 및 대중 매체 등) 주어지는 과학자에 대한 대표적인 특징을 단순히 보고하거나 묘사하는 것일 수 있다고 추론해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내용뿐 아니라 미묘한 인식 차원도 고려해볼 수 있었다. In spite of a growing number of recent studies that indicate students are coming to view scientists with more varied images, the stereotypical image of scientists remains in many students’ minds. In this study, the authors explore how college students change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through the use of a documentary that focuses on scientists’ daily lives, including laboratory life, and their emotional ups-and-downs. We analyzed 109 college students’ essays on perceptions about scientists after watching the documentary. As a result, 64.2% of the college students declar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scientists. The students’ new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are as follows: 1) scientists undergo emotional ups-and-downs just like any normal person; 2) scientists experience numerous failures while researching; 3) science does not have a fixed answer and scientists undertake research with creativity; 4) scientists conduct research in collaboration, but also in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s; 5) scientists are often frustrated with their socio-economic status. The students’ previous perceptions on science and scientists were mainly stereotypical ones that have bee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of the other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change their perceptions, the majority declared that they have new perceptions such as 1) - 5). Only a small percentage of students (7.3%) had unchanged stereotypical perceptions.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as that college students relatively easily change their stereotypical images of scientists after watching the documentary but, alternatively, th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ost stereotypical images of college students are not perceptions that form a deep impression, but rather they are simply depictions of representative images of scientists given from outside sources (e.g. the mass media and school).

      • KCI등재

        과학자의 연구 사례에 관한 비네트 개발 및 효과 탐색

        박재용 ( Park Jaeyong ),이기영 ( Lee Kiyou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초등과학교육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cientist vignettes and to explore their effects to change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s, scientific attitudes, and the nature of science. The scientist vignettes developed in this study include research cases on seven scientists, including British zoologist Jane Goodall. Each vignette consists of 4 to 6 pages in consideration of the reading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ntains illustrations describing the main contents of the text. In addition, scientist vignettes contain descriptions on terms and text boxes explaining the higher concepts, and each vignette contains questions that students can think deeply based on the story of the scientist.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scientist vignettes,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of scientists, scientific attitudes, and the nature of science in 56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conducted group interviews with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conducting pre-test and post-test using a narrativ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6 questions, students became more sophisticate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c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sts after experiencing scientist vignettes and thei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changed into a more moder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Also, in a group interview with teachers, teachers assessed that scientist vignettes would positively affect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the nature of science, and forming a scientific attitude, especially in increasing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We discussed ways to effectively utilize scientist vignett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

      • KCI등재

        한국 여성 과학자의 ‘과학자 되기’에서 보이는 특징

        조아라(Cho Ara),박진희(Park Jin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0 아시아여성연구 Vol.49 No.2

        여성 과학기술 인력 정책의 실용성을 높이자면 여성 과학자의 ‘과학자 되기’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21인의 여성 과학자와의 생애사에 관한 심층 면접 결과를 토대로 한국 여성 과학자의 ‘과학자 되기’에서 보이는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과학자로서 입문하는 과정과 과학자로서 경력 쌓기 과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과정에서 보이는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한국 여성 과학자들은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가정 환경에서 성장하면서 고등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고, 교육 과정에서 과학과 수학에 대한 자신의 적성을 발견하고 과학자로서의 길을 택하게 되었다. 과학과 수학에 대한 막연한 흥미보다는 그 분야에서 보이는 자신의 능력에 바탕하여 과학 분야를 선택하고 있었다. 과학자로서 훈련 과정에서는 1950-60년대 출생의 경우 대학원 과정에서 구조적 성차별을 경험하였고, 초기 여성과학자의 경우는 유학 과정에서 결혼으로 인한 제도적 불평등을 겪었지만 이를 성차별로 인식하고 있지는 않았다. 과학자로서의 경력 쌓기에서는 세대별 차이를 보였다. 1920-40년대 출생의 경우, 학위를 마친 후에 ‘소수’ 여성 과학자의 이점으로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게 대학에 자리를 잡고 교육자로서 경력을 쌓아 성차별 경험은 적었다. 이에 비해 1950-60년대 출생 여성 과학자들은 경쟁의 심화로 대학, 연구소에서 자리를 잡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고 연구자로서 경력을 쌓는 과정에서 성차별에 직면하게 된다. 여성 과학자들이 과학자 사회에서 주변적 지위에 있음은 메이저 대학 소속 여성 과학자의 비율이 적다는 데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그런데 여성 과학자들은 이런 성불평등의 과학자 사회에서 나름대로의 생존 전략을 개발하여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features of 'becoming a scientist' of Korean women scientist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with twenty-one women scientists. The questions are open structured, in order to let the interviewees describe their life freely. By analyzing the recorded interview texts, we tried to reconstruct the process of becoming a scientist, and to characterize it. The features of becoming a scientist can be described in two different stages: 1) the entrance stage to scientific field 2) the career-making process as a scientist. For Korean women scientists, a family milieu had affected the entrance to scientific fields. Most of them were brought up in liberal and democratic families, which provided them with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The awareness of their superiority in science or mathematics also helped them to take a scientist as a vocation. During the career-making, the old and young generation had different experiences of gender inequality. While the old generation had relatively few hindrances to take jobs in universities due to the benefit of minor groups as women scientist, the young generation experienced gender inequality in many ways. However, Korean women scientists have developed the strategies to be adaptable in the male oriented science community.

      • KCI등재

        전문가 사사 R&E에서 과학영재의 행위주체적 연구 참여를 지원하는 교수적 특성 -교수자와 학생의 위치짓기를 중심으로-

        이민주,하희수 한국과학교육학회 202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3 No.4

        The scientist-led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 aims to strengthen gifted science students’ research capabilities under the guidance of scientists. Students' actual research experiences in scientist-led R&E activities range from understanding how scientists conduct research to actively participating in research. To develop R&E that promotes student agency, i.e., student participa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dagogical characteristics that supported gifted science students’ agentic participation in the scientist-led R&E program.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learners and scientists in three teams undertaking R&E activities every three months. The interview covered their perceptions of R&E activities, student participation, and scientists’ support for the activities. The recordings and transcripts of the interviews were used as primary data sources for the analysis. The trajectory of each team’s activities, as well as the learners’ and scientists’ dynamic positioning were identified. Based on this analysis, we inductively identified the pedagogical characteristics that emerged from classes in which the scientists supported the students’ learning and engagement in research. Regarding agency, three types of student participation were identified: 1) the sustained exercise of agency, 2) the initial exercise and subsequent discouragement of agency, and 3) the continuous non-exercise of agency. Two pedagogical characteristics that supported the learners’ agentic participation were identified: 1)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take part in research management and 2) scientist-student interactions encouraging learners to present expert-level ideas.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pedagogies that foster gifted science students’ agentic participation in scientist-led R&E activities. R&E 활동은 과학영재 학생이 이공계 전문 연구자의 지도를 받으며 연구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실제 전문가 사사R&E 활동에서 학생의 연구 경험은 과학자 주도의 연구 이해부터직접적인 연구 참여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와같은 R&E 활동 참여를 학생의 행위주체적 연구 참여로 보는 관점하에서, 과학영재의 행위주체적 연구 참여를 지원한 교수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재학교에서 운영된 R&E 활동에서 형성된 4개 팀에 속한 학생, 교수, 조교를 대상으로 면담을 약 3개월 간격으로 실시했다. 면담에서는 R&E 활동에 대한 인식, R&E 활동에서의학생 활동, 지도 교수 및 조교의 지원 등을 다루었고, 면담 내용은녹음 및 전사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했다. 분석 과정에서는 면담 항목들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각 팀의 활동 과정을 정리하고, 활동 과정에서의 교수자와 학생의 위치짓기 변화 과정과 행위주체성의 발현 양상을 도출했다. 그리고 학생의 행위주체적 연구참여를 지원한 교수 에피소드로부터 나타나는 교수적 특성을 귀납적으로 도출했다. 과학영재의 행위주체성 발현은 행위주체성의 지속적발현, 행위주체성의 발현 및 좌절, 행위주체성의 지속적 미발현으로3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각 유형의 행위주체성 발현 과정에 영향을 미친 교수적 특성은 과학영재의 연구 운영 참여 기회 개방, 학생이전문성 있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수자-학생 간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R&E 활동에서 과학영재 학생의 행위주체성을 지원하는 교수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직업인으로서의 과학기술자 및 여성 과학기술자, 그리고 역할모델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이혜숙,최경희,이재경,마경희,이기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이공계 위기를 극복하고 또한 여학생의 이공계 진출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 자료로서, 중고등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인으로서 과학기술자에 대한 인식, 여성의 이공계열 진학 및 과학기술 관련 직업을 갖는 것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국내외의 남녀과학기술자의 인지도와 존경하는 남녀과학기술자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직업인으로서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은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으나, 대학 전공과 직업 선택에 대한 관심이 보다 구체화되는 2학년이 1학년보다 그리고 이러한 부정적 인식을 자신의 일로 심각하게 고려할 가능성이 높은 이학공학정보과정 학생이 인문사회어문과정 학생보다 부정적 인식이 높다. 또한 여학생의 이공계 진학과 여성 과학기술자에 대한 인식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문항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여성의 사고나 신체적 차이로 인한 이공계 진학의 부적합성'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정도가 낮았지만, '취업과 근무조건 등 비교적 현실적 측면'을 반영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국내외의 남녀과학기술자의 인지도는 남성과학기술자에 비해 여성과학기술자, 특히 여성과학기술자 중에서도 국내 여성과학기술자에 대한 인지도가 훨씬 낮게 나타났다. 또한 높은 비율의 여학생들이 존경하는 여성 과학기술자의 상을 갖지 못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ous issues contributing to the current issues of students not wanting to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further explore various strategies to encourage their higher education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area. The study administered survey on students' perception towards the science related profession including respondents' gender, grade, their attitude towards woman scientists, perception on the woman scientists, scientists as profession, their level of knowledge on the scientists, and if there is any they respect. The results indicated that overall perceptions on the scientists as career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positive. but there was more negative acceptance for the juniors since they are more concerned with their majors at the university; higher for students who are in the natural science area than the ones in the social science school since they are more directly related than others. The perception on the woman scientists and girls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was positive.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response level among the items. Among these. considering the job availability and conditions, the perception was more negative than the others. Also the result indicated that both boys and girls disagree that the science-related profession may be gender-inappropriate for girls due to physic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Results also indicated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scientists, they had higher awareness for male scientists than that of the female, and also international ones than the national ones. And many girls did not have positive image of a successful woman scientists.

      • KCI등재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환경 개념과 환경과학자 이미지 분석

        김동렬(Dong-Ryeul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13 環境 敎育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6th grade students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through their concepts of environment and images about environmental scientists. Firstly,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n investig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s of the environment,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rate of their object-centered concept, through which they regard the environment as a single space or a space including living organisms or living organisms and humans altogether, was higher than the rate of their relation-centered concept, through which they interpret the environment in the aspect of interac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s. This fact is considered to imply that the environment education should advance toward a direction where an integrated and interrelated balance should be emphasized. Secondly,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ages about an environmental scientist,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y showed a low rate of drawing picture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wearing a lab gown as a standard image because of their outdoor activities. A number of students drew picture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carrying out research with experimental tools as a symbol of research, with a high rate of students drawing picture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analyzing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taking pictures of polluted areas with technical tools, such as a computer and a camera. As for the alternative image about environmental scientis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er rate of drawing pictures of female environmental scientists than a previous research on students drawing pictures of other kinds of scientists, and there were lots of pictures they drew of young environmental scientists carrying out environment-related activities. As for the additional image about environmental scientists, the majority of students drew picture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carrying out research activities with trees in the forest, followed by pictures about conducting environment-related research activities through observation and experimental measurement.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문학에 나타난 과학기술자 형상화 고찰: 최근 『조선문학』(2020~2022)에 게재된 시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오태호 북한연구학회 2023 北韓硏究學會報 Vol.27 No.1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the pattern of the shaping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North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Kim Jong-un era, focusing on the text published in 『Chosun Literature』 between 2020 and 2022, during the COVID-19 period. Since the 7th Party Congress in 2016, North Korea has continued to express expectations for a science and technology powerhouse beyond “imperialist blockade” and “frustration of the North Korea-U.S. summit” until recently before and after the 8th Party Congress in 2021. In the short story, Cho Hoon-il’s 「White-Eye Maiden」 analyzed the meaning of the shape of a female scientist lying in bed due to “hair loss and gas poisoning” while devoted to metal research. In Lee Chul’s science fantasy novel, 「Higher Faster」, the character of a three-dimensional figure was analyzed through the contents of a young chemist who was in internal conflict due to a conflict of opinions on Earth. Second, Kim Hye-young’s 「Luck」 focused on the devoted efforts of the scientist’s head of households on business trips throughout the country like the “modern Hong Gildong” and the sacrifice of his wife behind it. Song Hye-kyung’s 「Talent」 noted the concreteity of the meaning of the leader Kim Jong-un, who selects “pioneering talents in future science” as “Today’s National Scientist.” The poems paid attention to Lee Myung-ok’s 「Doctor of Women’s Engineering I Know」 and 「The House of Scientists」 by Ryum Hyung-mi. In the works of the two poets, the devoted exploration of minerals by the “Female Engineering Doctor” and the story of married scientists who succeeded in launching satellites are captured as poetic seeds, embodying the unique delicacy and maternal dedication of female scientists. In the end, the “image of a scientific engineer” revealed in literary works presupposes the love of the people of the leader, but it is seen as a struggle to build a socialist powerhouse through self-reliance beyond imperialist blockade. 본고는 코로나 시기인 2020~2022년 사이에 『조선문학』에 발표된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정은 시대 북한문학에 나타난 과학기술자 형상화 양상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작성된다. 2020년대 초반 북한은 2016년 제7차 당대회 이래로 2021년 제8차 당대회를 전후한 최근까지 ‘제국주의 봉쇄’와 ‘북미 정상회담의 좌절’을 넘어 지속적으로 과학기술 강국에 대한 기대를 표명하고 있다. 그리하여 『조선문학』에서도 지속적으로 ‘과학기술 지향’을 드러내는 문학 작품들이 게재되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북한문학의 동시대적 현장을 독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적 접근에 해당한다. 단편소설에서는 먼저 ‘청년 과학자의 두 양상’으로 조훈일의 「흰눈처녀」에서는 금속 연구를 위해 헌신하다 ‘탈모와 가스 중독’으로 병상에 누워 있는 여성 과학자 형상의 의미를 분석하였고, 과학환상소설인 리철의 「더 높이 더 빨리」에서는 지구에서 의견 충돌로 내적 갈등을 벌이던 두 청년 화학자가 우주 비행에서 의기투합을 벌이는 내용을 통해 입체적 인물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수령형상문학에서의 과학 인재 형상’으로 김혜영의 「행운」에서는 ‘김정일의 지도’로 ‘현대판 홍길동’처럼 전국 곳곳으로 출장길에 오르는 과학자 가장의 헌신적인 노력과 그 이면에 깔린 아내의 희생을 주목하였고, 송혜경의 「인재」에서는 ‘미래 과학의 선구적 인재’를 ‘오늘의 국가과학자’로 선정하는 김정은 수령형상이 내포하는 의미의 구체성을 분석하였다. 시에서는 리명옥의 「내가 아는 녀성공학박사」와 렴형미의 「과학자의 집」을 주목하였다. 두 시인의 작품에서는 ‘여성공학박사’의 광물에 대한 헌신적 탐구, 인공위성 발사를 성공시킨 부부 과학자 내외의 이야기 등이 시적 종자로 포착되면서 여성 과학자 특유의 섬세함과 모성적 희생의 노력이 형상화된다. 결국 문학작품 속에서 드러난 ‘과학기술자의 형상’은 지도자(김정일 또는 김정은)의 인민 사랑이 전제되긴 하지만, ‘개별 과학자의 헌신과 희생, 신념에 찬 노력’을 기반으로 제국주의 봉쇄를 넘어 자력갱생을 통해 사회주의 강국을 건설하기 위한 분투로 포착되고 있음이 드러난다. ‘과학기술자 형상화’는 김일성과 김정일 이래로 김정은 시대에 이르기까지 북한식 ‘과학기술 강국’에 대한 강조 속에 대내외적 고립을 넘어 자력갱생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북한식 특유의 자구책에 해당한다. 여전히 ‘과학자와 기술자’가 농업, 어업, 임업 등 각종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인재’로 생산력의 비약적 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것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물론 그 중심에는 ‘전민과학기술인재화’의 모토 속에 ‘인민대중제일주의’를 실현하려는 ‘김정은의 영도’가 ‘인민사랑’의 위민 정신 속에 핵심으로 자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