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천안 가산리 유적 출토 철제초두(鐵製鐎斗)의 보존처리 및 부식 특성

        신지수 ( Jisu Shin ),조남철 ( Namchul Ch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2 문화재과학기술 Vol.17 No.1

        천안 가산리 유적에서 출토된 철제초두(鐵製鐎斗)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토대로 보존 처리를 진행하여 원형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과학적 분석으로는 X선 회절 분석, 금속현미경 관찰, SEM-EDS 분석, 라만 마이크로분광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회주철 조직이 관찰되었으며 철이 먼저 부식되어 탄소만 남는 흑연 부식이 확인되었다. 주요 부식화합물은 X선 회절 분석과 라만 마이크로분광 분석을 교차검증하여 Goethite, Magnetite로 동정하였다. 유물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X-ray 촬영을 하였고 육안 관찰을 토대로 유물기록카드를 작성하였다. 처리 전 조사를 바탕으로 이물질 제거, 1차 접합, 탈수 및 건조, 강화 및 건조, 2차 접합 및 복원, 색맞춤 순서로 처리를 실시하였다. 과학적 분석을 통해 철제 유물의 제작 기법과 부식 특성 등을 알 수 있었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보존처리를 진행하여 유물의 원형을 찾아주었다. 전체적인 형태는 편구형으로 다리는 철제초두에서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ㄱ’자형으로 확인되며 구연부는 전(顎) 상부의 동체로부터 그대로 구연단까지 내경이 이어지며 둥글게 마감된 것으로 관찰된다. 철제초두 중에서도 매우 특이한 형태를 가지므로 가치가 큰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를 통하여 철제초두의 보존처리 및 과학적 분석의 자료를 축적함으로써 철제초두 보존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tripod Iron Cauldron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Gasan-ri in Cheonan was analyzed scientifically and conservation treatmented based on the results,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s scientific analysis, X-ray diffraction analysis, metallurgical microscope observation, SEM-EDS analysis, and Raman micro-spectroscopy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gray cast iron structure, which is rarely found in cast artifacts, was observed, and graphite corrosion, in which iron corroded first and only carbon remained, was confirmed. The main corrosion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Goethite and Magnetite by cross-verification of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Raman micro-spectroscopy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artifact, X-ray was taken, and a relic record card was created based on the visual observa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before treatment, the treatment was performed in the order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irst bonding, dehydration and drying, reinforcement and drying, second bonding and restoration, and color matching. Through scientific analysis,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iron artifacts were found,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ppropriate conservat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to find the original form of the artifact. The overall shape is spherical, and the legs are confirmed as a ‘ㄱ’ shape, which is very rare in Tripod Iron Cauldron, and it is observed that the lip of Tripod Iron Cauldron part is connected from the upper body of Jeon(顎) to the lim of Tripod Iron Cauldron end and finished in a round shape. It seems to be of great value because it has a very unique form among Tripod Iron Cauldrons, an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iron candle conservation by accumulating data from conservation treatment and scientific analysis.

      • KCI등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의 사회과학적 지식과 교육목표 영역, 생활주제, 누리과정 내용과의 관계 분석

        박선미 ( Park Seon-m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1

        본 연구는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에 포함된 사회과학적 지식과 생활주제, 교육목표 영역 및 누리과정 내용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3-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에 제시된 5,057개 활동을 분석하여 교육목표에 따른 사회과학적 지식, 교육목표의 영역, 누리과정 내용 범주 및 내용을 추출하여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모든 연령에서 사회과학적 지식 중 지역사회 문화와 생활주제 우리나라의 연결 강도가 가장 높은 가운데 우리나라를 제외한 사회과학적 지식과 관련있는 생활주제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지역사회 문화와 우리나라는 연결 중앙성값 역시 가장 높아 누리과정 지도서의 핵심적인 사회과학적 지식과 생활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연령에서 사회과학적 지식 중 지역사회 문화와 교육목표 영역중 태도, 규칙과 기술 간 연결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강조되는 교육목표의 영역은 연령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지식 관련 교육목표가 강조되고 있었다. 셋째, 사회과학적 지식과 누리과정 내용 간 연결에서는 모든 연령에서 누리과정 내용 범주 중 사회에 관심갖기가 지역사회 관련 사회과학적 지식과 가장 연결 강도가 높았으며 연결 중앙성값 역시 높은 색인어였다. 다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회관계 영역 이외의 누리과정 내용 역시 사회과학적 지식과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사회과학적 지식이 균형있게 포함되도록 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the social scientific knowledge, educational objectives, themes and Nuri curriculum contents of the activities in the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For this, 5,057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and text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strongest weight between the `community culture` in the social scientific knowledge and `our country` in the themes of all ages, but according to ag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themes related to social scientific knowledge except `our country`. In addition, `community culture` and `our country` ha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values. Second, the weight between `community culture` and `attitud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 domains, `rules` and `skill` of that were very high of all age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highlighted domain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according to ages. The higher the age, the domain of `knowledge` was more highlighted. Third, there was the strongest weight between `having an interest in the society` of Nuri curriculum contents category and the social scientific knowledge related to `community`, and these two indexes ha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values. But the higher the age, it was shown that the weight between Nuri curriculum contents except those in the domain of `social relation` and social scientific knowledge were high.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basic data for the balanced inclusion of social scientific knowledge of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 KCI등재후보

        황남대총 98호분 출토 유리의 과학적 분석

        조경미,유혜선,강형태 국립중앙박물관 1999 박물관보존과학 Vol.1 No.-

        황남대총 98호분 북분과 남분에서 출토된 유리시료 40점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리의 성분조성은 주사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형분광기(SEM-EDS)를 사용하여 정량분석 하였고 다변량해석법을 통하여 시료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시료 40점 모두 Na₂O를 약 20%정도 함유한 소다-석회(Na₂O CaO-SiO₂)유리임을 확인하였으며, 다시 5개 주성분(SiO₂, AI₂O₃, Na₂O, CaO, K₂O)으로 다변량해석[주성분분석(PCA)]을 실시한 결과 2개의 群으로 분류되었다. I 群에 포함된 시료는 Al₂O₃의 농도가 9.7%로 높고 CaO의 농도는 2.2%인데 비하여 Ⅱ群에서는 각각 3.2%,4.9%의 범위로 나타났다. 특히 시료 No.12의 노란 색으로 편석된 부분을 미소부위 XRD로 분석한 결과 PbSnO₃임을 국내 최초로 확인할 수 있었다. 鉛을 함유한 시료 중 No.12, 17은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로 납동위원소비를 측정하였고 선형판별식 분석법(SLDA)을 이용하여 납의 산지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각각 중국 남부, 한국 남부의 납광석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Elemental analysis of 40 glass samples from the Northern Tomb and the Southern Tomb of Hwangnam-daechong No. 98 was performed. Fourteen compositions of each sampl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by SEM-EDS and glass samples were classified by multivariate analysis such as PCA. All of 40 samples were confirmed to be Na₂O CaO-SiO₂ system with about 20% of Na₂O.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doing PCA on concentrations of 5 major elements (SiO₂, AI₂O₃, Na₂O, CaO, K₂O). Samples included in group I showed the concentration of AI₂O₃ is about 9.7% and that of CaO, about 2.2%. In group II, concentration of Al₂O₃ is about 3.2% and that of CaO, about 4.9%. Especially yellow grains embedded in sample No.12 were shown to be PbSnO₃ by micro XRD, which was the first coloring material ever found in Korea. Lead isotope ratios of samples No.12 and No.17 which contained lead were measured by TIMS. The origin of lead was traced by means of multivariate analysis such as SLDA. The result showed that lead from southern China and southern Korea had been used for making glass.

      • 선박충돌흔의 법과학적 분석

        구성완(S.W. Ku),김영남(Y.N. Kim),최강호(G.H. Choi),박일남(I.N. Park),이상은(S.E.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7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해양사고에 대한 원인규명 및 과학적인 조사를 지원하고자 사고조사방법과 이화학적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두 가지 사례에 적용, 분석 하였다. 첫 번째 사례는 선박의 충돌흔을 분석하여 두 물질 사이의 유사성을 검토하였으며 두 번째 사례는 폐기물 내부에 페인트 성분의 함유여부를 분석하였다. 정밀분석을 위하여 현미경, 적외선분광계 및 열분해가스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각 사례별로 사고 경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객관적 분석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과학적 증거 분석은 증거재판주의로 변화하는 형사소송법에 입각해 적절한 사고규명방법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해상사고를 예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o examinate the cause of marine accident and to support scientific investigation, we suggested the method of accident investigation and physical-chemical analysis and applied this method to two case. In first case, we investigated the similarity between two materials through analysing the evidence of ship collision. In second case, we analysed whether the component of paint is contained in wastes or not. For detailed analysis, we used Stereoscopic Microscope, Microscope Infrared Spectroscopy and Pyrolyzer GasChromatography. In result, we got the objective analysis data to help to catch on to circumstances about accident. Lately, because the law about criminal action is changed on the objective evidence, such scientific analysis is very important. Furthermore we expect this can be useful to prepare how to protect marine accident.

      • 용인 신갈 출토 목관 표면 적색 물질의 과학적 조사

        정다연 ( Dayeon Jeong ),전지민 ( Jimin Jeon ),김우현 ( Woohyun Kim ),조남철 ( Namchul Ch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3 문화재과학기술 Vol.18 No.1

        본 연구는 용인 신갈 출토 목관의 표면에 도포된 적색 물질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고대 안료의 사용과 제작 방법을 연구하였다. 분석 대상 시료는 휴대용 XRF를 사용하여 적색 물질의 성분을 알아보았으며, 실체현미경과 SEM-EDS 분석을 통해 표면의 세부 상태 및 단면구조를 확인하였다.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표면에는 흙 등의 이물질과 적색 물질이 혼합되어 있었으며, 단면 관찰을 통해 적색 물질이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XRF와 SEM-EDS 분석 결과, HgS와 CaCO<sub>3</sub>이 서로 혼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용인 신갈에서 출토된 목관은 표면에 진사(HgS)를 사용한 적색 물질과 바탕물질로 호분(CaCO<sub>3</sub>)을 혼합하여 일정한 두께로 표면에 도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ancient pigments in Korea through the scientific analysis of red materials applied to the surface of wooden coffin excavated in Shingal, Yongin. The sample was analyzed using a Portable XRF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the red materials, and the detailed condition and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urface were confirmed using a Optical Microscope and SEM-EDS analysis. Observations with a Optical Microscope revealed that the red materials were mixed wit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on the surface, and cross-sectional observations confirmed that the red materials were applied with a certain thickness. XRF and SEM-EDS analyses revealed that HgS and CaCO<sub>3</sub> were mixed with each other.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wooden coffin excavated in Shingal, Yongin used HgS as reddish materials on the surface and CaCO<sub>3</sub> as a base material, which were mixed and applied to the surface with a certain thickness.

      • KCI등재

        국제관계의 과학적 역사: 시뮬레이션과 반사실적 분석

        민병원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6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27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historical and scientific approaches in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upon existing discourses of scientific history. Collingwood's notion of mapping or reenactment of history, beyond the simple collection of crude facts, has been approved by many historians so far. This paper furthers this notion by investigating how the approval can be conducted scientifically as its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relations has not been enough. This paper finds the way of conducting simulations and counterfactual analyses as the two promising methods in social sciences because they are useful tools for scientific reenactment of history.This paper emphasizes the role of the historians and their reenactment of history and reevaluate the implications of necessities and contingencies in reorganizing histories. Then,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method of simulation can build the mechanism of explanation by combining both necessities and contingencies, and how the method of counterfactual analysis can produce alternative historical paths that are plausible in the real histories. With these details, the paper searches any possibility of restructuring a new kind of scientific history.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 역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국제관계의 연구에서 어떻게 역사와 과학을 접목시킬 수 있는가에 관한 논의를 전개한다. 역사가 ‘단순한 사실’의 수집을 넘어서서 역사가들이 만들어내는 ‘지도’ 또는 ‘재구성’이라는 콜링우드의 역사관은 지금까지도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도 이러한 입장에 동조한다. 하지만 이러한 공감대가 어떻게 ‘과학적’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깊은 논의들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회과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시뮬레이션과 반사실적 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이러한 역사적 ‘재구성’이 어떻게 실천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어떻게 과학적 역사가 가능할 수 있는지를 짚어보고 있다. 이러한 취지 아래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 역사가 궁극적으로 역사가들의 주관적 시각과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재구성’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부각시킴과 동시에 그것을 위해 필요한 역사의 필연성과 상황의존성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재평가한다. 이러한 논의 위에서 시뮬레이션 방법이 어떻게 필연성과 상황의존성을 조합한 ‘설명’의 메커니즘을 구축할 수 있는지, 그리고 반사실적 분석방법이 어떻게 적은 수의 사례만을 지닌 역사연구에서 가능한 대안의 역사경로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본 논문은 새로운 과학적 역사를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탐구 요소 분석: 과학탐구실험을 중심으로

        조헌국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8 교과교육학연구 Vol.22 No.3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elements of scientific inquiry (SI) presented in seven kinds of textbooks, and discussing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students' SI. This study categorized SI into six elements: identifying problems, designing inquiries, implementing inquiries, interpreting data, drawing conclusions, and communicating results. Then, each textbook was examined to reveal what elements are included in each sec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each section of the textbooks highlighted different elements of SI: SI in history of science focused on implementing inquiries and making conclusions while SI in everyday life tended to emphasize all of the SI elements. SI in up-to-date science, on the other hand, concentrated on designing inquiries and making conclusions. In terms of the SI elements, activities related to identifying problems were only a few, and the activities for designing inquiries rarely included making hypotheses, controlling variables, and experiences for designing experimental procedures. Also, a large proportion of implementing inquiries were based on examining documents; rather than engaging in empirical activities. Data interpretation rarely involved comparisons between theory and experiments, and the process of deducing conclusions lacked evidence and logical inference. Also insufficient were appropriate strategies for presentation and discussion in respect to communication. Based up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several implications about how science teachers should teach the inquiry experiment of scienc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learners. 본 연구는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7종의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적 탐구 활동의 요소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조사하여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탐구를 문제 인식, 탐구설계, 탐구 수행,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의사소통의 6단계로 범주화하고, 교과서별 및 단원별 탐구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역사 속의 과학 탐구는 탐구 수행과 결론 도출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생활 속의 과학 탐구는 문제 인식에서 결론 도출, 의사소통에 이르는 전체 탐구과정의 비율이 높았고, 첨단 과학 탐구는 아이디어 제시 중심의 탐구 설계 및 아이디어 평가를 통한 결론 도출 과정의 비율이 높았다. 탐구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문제 인식이 다른 영역에 비해 매우 적었고, 탐구 설계 과정에서 구체적인 가설 설정이나 변인 통제, 실험 설계의 경험이 부족하였다. 그리고 탐구 수행에서는 직접 조작위주의 실험 실습보다 자료 조사가 더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으며, 자료 해석 과정에서는 표나 그래프의 이해와 자료 변환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지 않았고, 이론과 실험의 비교를 통해 가설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되지 않았다. 결론도출 과정에서는 충분한 논리적 추론이나 근거가 부족하였고, 의사소통 단계에서도 적절한 발표나 토의 전략이 절실히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탐구실험> 교과목 지도 시에 교사가 학생의 과학적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해 고려해야 할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등록문화재 제666호 F-51D 무스탕 전투기 과학적 분석

        강현삼,장한울,김수철,이의천 국립중앙박물관 2020 박물관보존과학 Vol.23 No.-

        The scientific analysis of a ‘F-51D Mustang Fighter’(Registered Cultural Heritage 666), one of the War Memorial of Korean collections, was carried out. The paint layer and canopy were discolored due to a constant outdoor exhibi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cientific survey and analysis processes we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future dismantling and restoration of the fighter.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pigment components have confirmed red oxide of iron, Fe₂O₃ organic pigments, such as Cobalt Blue, phthalocyanine blue, etc., yellow PbCrO₄, white TiO₂, black Fe₃O₄, and gray Fe₃O₄ + TiO₂. It has been also confirmed that Alkyd resin was mainly used for painting. The fighter’s canopy was Poly methyl methacrylate(PMMA), and Al was detect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ghter body, wings, and tails. 전쟁기념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등록문화재 제666호 F-51D 무스탕 전투기의 과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F-51D 무스탕 전투기는 1950년 6월 25일 전쟁이 발발하자, 7월 2일 우리 공군이 미국으로부터 인수해 최초로 운용한 전투기이다. 전쟁기간 동안 북한군을 상대하여 괄목할 만한 작전을 펼친 한국 공군의 주력기이다. 본 연구 대상은 625전쟁 당시 직접 사용된 기체로 현재까지 과학적 조사·분석이 이루어지지않았으며 차후 해체 및 복원을 계획하고 있다. 지속적인 옥외 전시로 인해 도료층 및캐노피가 변색되었으며 도료의 박락 및 균열 또한 확인되었다. 비파괴 과학적 분석을 통해 대형유물의 해체 및 복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P-XRF를 사용하여 적색, 청색, 황색, 백색, 흑색, 회색을 중심으로 안료 성분 분석을 진행하였고, 전투기에 사용된 도료의 수지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적외선 분광분석(FT-IR-ATR)을 하였다. 몸체, 날개, 꼬리날개에 사용된 금속의 성분 분석도 함께 진행하였다. 안료 성분 분석은 적색 산화철인 벵가(Fe₂O₃), 프탈로시아닌 블루계 등의 유기안료, 황색의 황연(PbCrO₄), 백색의 티타늄화이트(TiO₂), 흑색의 철흑(Fe₃O₄), 회색의 철흑(Fe₃O₄)+티타늄화이트(TiO₂)가 확인되었다. 전투기 외부 도장에 사용된 수지는 주로 Alkyd 수지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청색의 경우Acryl 수지를 이용하여 도장 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투기 캐노피는 투명성과 내광성이 우수한 Poly methyl methacrylate(PMMA)로 확인되었다. 전투기 몸체, 날개, 꼬리날개에서 모두 알루미늄(Al)이 주성분으로 검출되었다. 꼬리날개부 후면부의 경우 철-아연 도금(함석)이 사용된 것을 보아 과거 복원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신입직원 선발시스템 개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H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이승철,어수봉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공개채용 측면에서 국내 신입직원 선발의 문제점을 제시한 이후 H공사를 사례로 선발시스템 개선 컨설팅을 통해 선발기준을 수립하고, 선발도구의 개발, 선발과정에서의 평가, 입사 후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신입직원 선발과정과 평가 결과가 다른 기업 인사담당자의 신입직원 선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회사 내부의 직무전문가(SME: Subject Matter Expert)를 대상으로 신입직원 선발역량을 추출하여 역량사전을 만들었으며, 선발역량을 기반으로 선발 매트릭스(Matrix) 및 평가기준, 선발도구 등을 개발하였다. 평가자 훈련을 통해 평가결과의 정확성을 높임으로써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시도하였으며, 입사자를 대상으로 선발역량에 대한 사후 평가와 내부직원을 대상으로 선발기준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순위에 대해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평가자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셋째,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타당도 검토에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였다. 넷째, 각 평가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신뢰도 지표로는 내적 일관도 지수인 Cronbach’s α를 이용하였다. 다섯째, 상관계수 및 기초통계량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합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일곱째, 군집분석을 통해 NCS 직업기초능력 평가역량 4가지와 H공사 5개 선발역량 간의 관계성을 탐색하였다. 여덟째 선발기준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으로 계층화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예측 타당도와 증분적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여러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시사점을 가진다. 신입직원 선발과 관련하여 선발기준을 수립하고 선발도구를 개발하여 이에 대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평가와 관련하여 직무평가와 같은 예측변인을 반영한 예연타당도까지 하나의 일관된 과정을 체계적이고 실증적으로 접근했다는 것이다. 또한 사례를 중심으로 접근함으로써 학문적이고 이론적인 측면보다 실용적 측면의 효용이 높다는 것이다. 많은 기업들이 직원 선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채용에 대한 비용보다는 입사 후 교육에 훨씬 더 많은 예산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한 면에서 직원의 선발과정에서 효과성은 기업에서 성과를 낼 수 있는 직원을 뽑는 것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in the bond adopt surface, to develop selection criteria by improving the adoption system the H Corporation as case after presenting the problem of domestic new employee selection,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tools, evaluation of in the process of selection, after joining We tried to analyze the whole process leading up to the evaluation. As a result, the new employee selection process and evaluation results, so that it can help new employees selection of personnel managers of other companies, tried to derive some meaning. In the course of the study, experts of the interior of the duties of the company (SME: Subject Matter Expert) to the target, and to create the competency dictionary to extract the new employee selection capability,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selection ability matrix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such as selection tools. 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evaluation results through a rater training, and attempting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selection criteria to target the ex-post evaluation and internal employees of the selection ability to target the joined person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nd ex-post investigation on priority. Analytical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to confirm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econdly, it was confirmed rater reliability. Third, we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tool. The reasonable investigation, was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rth,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each assessment tool. As an indicator of reliability, using the internal consistency is also an index Cronbach's . Fifth, it presented a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asic statistics. Sixth, it was carried out discriminant analysis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acceptance in order to navigate. Seventh, it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selection criteria of H Corporation of evaluation capacity of NCS core competency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Eighth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order of priority the analysis of the selection criteria was trying to make. Finally, we analyze the predictive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through this is as follows. First, to demonstrate for the adoption system efficacy H Corporation one of the companies as the case felt a lot of shortage. In addition, the number of analyzed is small, but had to try some of the analytical method, in many cases the result itself does not come out, before this study is started, how to construct a research sufficient It does not take into account was miss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between the internal evaluators were low it is also a problem. Many companies, while aware of the importance for the selection of employees, is a reality that you are using a lot more of the budget to education after joining from the adoption of cost. In such aspects, effects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employee can see has important meaning than choosing the employee can produce results in companies.

      • KCI등재

        육군 분석평가제도 발전 방향

        김증기 ( Jeung Ki Kim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8 국방연구 Vol.51 No.3

        ROK Army will require more scientific approach in military power construction through trials of national defense reformation 2020. However acquisition of financial support will be expected more difficult to construct technology-based future army. The function of analysis & evaluation system supports more effective decision-making in military power construction by applying scientific analysis technique. In order to put forth an effective national defense reformation and secured financial support, break-through development of analysis & evaluation system is essential. In this paper, it analyzes-the world most advanced-US army`s PPBES (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and Execution System) and analysis & evaluation system. Then ROK Army`s PPBEES (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and Execution Evaluation System) and analysis & evaluation system is diagnosed,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ROK Army`s analysis & evaluation system is suggested. First of all, a general regime and procedure regarding PPBEES and analysis & evaluation system should be systematized. Secondly, an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analysis & evaluation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