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약포정탁(藥圃鄭琢)의 시문(詩文)에 나타난 선비정신 연구

        이정화 ( Jeong Hwa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3 No.-

        약포는 생래적으로 근면한 학자의 천품(天稟)을 타고났다. 남명과 퇴계로부터 학문을 전수 받은 약포는 특히 퇴계로부터 배운 것이 더 많았다고한다. 퇴계는 위기지학(爲己之學)에 충실한 성현(聖賢)의 공부법을 강조한 스승이었다. 약포는 전란의 시기에 국정을 잘 이끌었던 공로가 컸음에도 부귀영화를 누리는 것을 바라지 않아 고관대작(高官大爵)의 자리에 연연하지 않은 채 낙향하였다. 고아한 지조로 선행을 실천한 약포의 선비정신이야말로 자손만대에 걸쳐 이어져야 할 것이다.<한가히 지내며 흥을 느껴 지은 시(閒居感興十二絶其十二)>에서는 대학(大學)의 가르침인 수신(修身) 제가(齊家)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이치를 제대로 실천할 때에야 비로소 군자의 삶이 완성된다는것을 일깨우고 있다. 약포는 도심(道心)을 보존하기 위해 부지런히 선(善)을 추구함으로써 군자의 삶을 이룰 수 있었다. 약포의 한시에서는 가난한 생활 속에서 편안한 마음으로 유도(儒道)를 구현하는 군자의 모습을 빈번히 발견할 수 있다. 약포의 선비 정신이 시공(時空)을 초월하여 널리 존숭(尊崇)을 받아온 까닭도 공자와 안회 같은 성현(聖賢)들이 견지하였던 인(仁)의 마음을 몸소 체득하고 이를 실천한 선비였기 때문이다.<화남공 시첩의 첫 번째 시에 삼가 차운한 시(奉次華南公詩帖首韻五首其五)>는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실천한 안자(顔子), 곧 안회(顔回)의 도심을 흠모하며 지은 작품이다. <조 남명 스승님을 애도한 시(輓曺南冥先生)>는 안회의 도심(道心)과 다를 바 없이 고결한 마음으로 살았던 남명의 선비정신을 시화한 것이다. 이 시에서는 남명(南冥)이 넉넉지 않은 생활 여건 속에서도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실현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약포는 남명의 선비정신이야말로 천년만년토록 유자(儒者)의 본보기이며, 시대를 초월해 널리 계승되어야 할 소중한 가치임을 입증하고 있다. Yakpo Jeong tak had in mind the character of scholars from birth. He learned the attitude of scholar, as well as been the foundation of learning from Toegye and Nammyeong. Yakpo Jeong tak learned to be nice to study the mind, learning to practice and lived a scholar. He was trying to save a country in crisis. He lived a pure heart. So always lived in peace of mind despite a poor life. Yakpo Jeong tak``s Poetry has contained the appearance of this life. He had hoped to live as a wise man. During his whole life, he learned the spirit of Confucius, who lived wisely. Therefore, Yakpo Jeong tak``s Poetry has been reflected in the study of Confucius and Confucianism. The mind is always careful to live in the right mind is expressed in his poetry. There is also the generosity expressed in his poetry. He expressed the mind to honor the teacher. Teachers look that appeared in his poetry has appeared as a very great scholar. His mind will be respected in the scholar mind in history that succeeded in length.

      • KCI등재

        梅巖文學에 나타난 學問 認識

        이정화 택민국학연구원 2023 국학연구론총 Vol.- No.31

        Nongam(聾巖) educated his children based on the family's long tradition. Thanks to this academic spirit of Nongam(梅巖), the study of Maeam, his son, became more and more solid. Maeam's view is that studies that do not practice the logic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re useless. Maeam's lecture was to control the mind and reflect on it. Maeam's mind, which fostered his disciples and devoted himself to learning, is to practice Neo-Confucianism well. Toegye(退溪) established or reconstructed numerous Confucian academies several times. Maeam, who witnessed this teacher's appearance from the side, also paid attention to the academic spirit contained in the Confucian academy and performed his duties solemnly. Maeam was a scholar 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harpening his mind, so the studies he pursued are also linked to this perception. His studies are related to humanism in that it is a philosophy of life that has a good influence on people, and it is based on grinding the mind. Maeam's studies are concentrated on lectures for the practice of Neo- Confucianism. Maeam was a scholar who did not even like high government posts. Maeam means not a fancy government post, but a lecture. It contains a message of hope that if a person tries to live like a person, a valuable life can unfold. Through study, you can realize this fact, and only after you realize it, can the life of a true scholar unfold.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life and learning. His daily routine was to practice his life, which was meant to be lectured, with respect. Maeam is not just a person who is just a person of ostentation and table-top public opinion, but a scholar who has awakened that sincerity should be contained in it is Maeam. Maeam realizes for herself which way to choose for animals and humans. Maeam, who wishes for a world without a sense of defeat,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the attitude of mind to practice reason. Toegye was very enthusiastic about teaching, so he became a model for his teacher through learning. The traces of the right scholar remain in his literature, and through this, his status could be established as a scholar who is revered for generations of descendants. The height and depth of life and spirit are achieved by the tradition that has been built over the years and the Neo-Confucianism that has been sought under Toegye. Maeam's life and spirit are based on the deep reflection and study of Confucian scholars. Maeam's academic life and literature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y are also in line with the poetic spirit of scholars belonging to the same school. Maeam, who admires her teacher's writing, confesses that her writing is only very lacking. At this time, Maeam's mind resembles a teacher who lived as a humble scholar. This allows you to confirm the student's mind that matches the teacher's mind. Maeam, who recalls the past when he was taught by his teacher in nature, is a disciple who faithfully inherited the spirit of his teacher. Therefore, Maeam did not change his will to study despite the difficult environment, and he maintained his strong mental strength. 매암의 강학(講學)은 마음을 잘 다스려 성찰하기 위한 것이다. 제자를 양성하고 학문에 정진한 매암은 성학(聖學)을 잘 실천하기 위함이었다. 매암의 학문이 성학(聖學)의 실천을 위한 강학(講學)에 집약되어 있음을 주목함으로써 매암을 한층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할 수 있다. 왕자사부(王子師傅)의 벼슬조차 달가워하지 않았던 선비가 매암이었으므로, 직책을 마다하고 다만 조정에 나아가 사은숙배(謝恩肅拜)하고 물러나왔다는 점에서 매암이 뜻한 바는 화려한 벼슬살이가 아니라 강학(講學)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수기(修己)에 철저한 퇴계는 강학에의 열의가 남달랐으므로, 학문으로 스승의 귀감이 되기에 이르렀다. 스승의 글을 우러르는 매암은 자신이 쓴 글이야말로 매우 졸렬한 것에 불과함을 고백하고 있다. 이럴 때 매암의 마음은 겸손한 학자로 살아간 스승의 그것을 닮고 있다. 이로써 스승의 마음과 합치된 제자의 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산수자연 속에서 스승의 가르침을 받은 지난날을 회억하는 매암은 스승의 정신을 충실히 계승한 제자이다. 따라서 매암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변함없이 강학 의지가 꺾이지 않은 강인한 정신력을 견지하였을 것이라 사료된다. 매암에게 있어 삶의 본질은 마음의 다스림과 무관하지 않은 것이다. 매암의 시정신은 본말이 전도되지 않는 삶에 충실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마음이 외물로 인해 동요되지 않을 수 있었다. 성학의 완성을 위해서는 먼저 성인의 학문을 궁구해야 하며 그 다음에 생활에 이를 잘 실천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선비들이야말로 매우 소중한 존재인 것이다. 매암은 마음을 갈고 닦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한 선비였으므로, 그가 추구한 학문 또한 이러한 인식과 맞물려 있다. 그의 학문은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생활 철학으로 자리한다는 점에서 휴머니즘과 관련이 있으며, 마음을 갈고 닦는 것을 근간으로 한다. 매암의 가문에서는 아버지와 그 자제들이 모여 시로써 창수하는 것으로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매암은 이와 같은 창수 문화야말로 자손만대에까지 실천해야 할 소중한 유산임을 보여주었다. 매암은 벼슬자리가 없어서 봉록이 없는 현실을 한탄하기보다 자손들에게 더 이상 실천하라고 가르쳐줄 학문의 깊이가 없음을 한탄해야 하는 것이 선비의 참 마음임을 보여주었다. 매암의 휴머니즘은 오랜 세월에 걸쳐 실천으로 완성된 그의 학문과 무관하지 않다.

      • KCI등재

        윤동주 시에 나타난 선비의식의 양상

        이종옥(Lee, Jong-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06 문화와 융합 Vol.28 No.-

        This dissertation began from realizing the excessive lack of researches for Korean ideology compared to sufficiency of researches of Western ideologies for Yoon Dong Ju and that the evaluations of him as a national poet is so controversial, as his life and works do not reveal clear resistance. He was a scholar-type poet with a soft and warm nature, but strong will in the inside. Therefore, this dissertation studied what pity and shame that appears frequently in his poems through scholars perspective. Pity that appears frequently in Yoon Dong Jus poems is the image of humanity, a virtue a scholar must have. The scholar nature of Yoon Dong Ju, which is always soft and warm is well shown through his poems. Humanity is the mind to give humanistic, benevolent, kind love to people, and also a mind to sympathize for others. His love began at affection for the family for parents and siblings and widened its scope to brother? neighbor? all human being. The affection(pity) in his poems are well represented through his strong will for independency. The image of pity that comes from inside of him based on his scholars mind made his will for nurturing of virtue and will for independency even stronger. Shame that appears frequently in Yoon Dong Jus poems is the image of justice, which is a virtue that scholars must have. His scholars nature, with soft and warm on the outside and strong will in the inside, is well shown in his poems. Justice originates from shame that one feels from doing something wrong. The reason shame is a dominant image in his poems are actually based on his scholars mind, the image of shame aroused from justice makes his nurturing of virtue and will for independency even stronger. The image of pity and shame are revealed as pain, sadness, humiliation, hatred, and pity for others, and unified his will for independency. Yoon Dong Ju was not a fighter-type, but a soft on the outside and strong in the inside-type scholar. This dissertation unified him as a poet and poetic speaker by revealing his strong will towards independence in union without any inflection through his life and work until he was arrested after writing, Poet written Easy ¹by Japanese police. Through this dissertation, the justice that Yoon Dong Ju is a national poet is rose based on our ideology.

      • KCI등재

        退溪詩를 통해 본 ‘學問’의 의미

        이정화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1

        This paper considers the correlation between poetry and scholarship.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the minds of enlightenment, temperance, and practice reflected in poetry. Toegye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control his own mind. His study is based on the mind of the scholar who intends to learn. He did not want profits, riches, or material abundance, but a poet who sought only spiritual abundance, including righteousness, honesty, and good deeds. His learning was aimed at self - perfection, and he was able to reach experiential enlightenment. Therefore, his life and poetry could provide a very pure and correct mind. The secular people suffer from mental illness due to private greed. Toegye shows in his poetry that this mind sickness can also be eliminated through the control and study of the mind. His poetry contains content to control his mind and study hard. In addition, the task assigned to him is to be a clean scholar, and his poetry is depicted in the way of practicing the Confucius' academic studies. His sincere heart has been proven by humble words and actions, and this fact has also been pursued in his poetry. 퇴계 당시에 그가 구현한 유도(儒道)의 경지에 대해 아는 사람들은 매우 적었으니, 도를 환하게 바라보면서도 아직까지 도를 미쳐 못 본 듯이 갈구하였던 학자가 바로 퇴계였다. 이러한 그의 학문자세를 통해 배움에 뜻을 둔 군자의 마음을 알 수 있다. 퇴계에게 학문이란 위기지학을 일컫는데, 천리(天理)를 제대로 알고 이를 실천하는 삶은 자신을 수양하는 가운데 완성되는 것이다. 위기지학에 힘쓴 성현들을 존숭한 퇴계는 그들이 남긴 역대 잠언들을 직접 써가면서 평생의 수양 덕목으로 삼았으니, <경재명(絅齋銘)>이 그러한 예에 해당된다. 퇴계는 성학(聖學)을 궁구함으로써 스스로 천(天)의 신명과 일치하는 깨달음의 공부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학문을 강론한(講學)> 시에서는 목숨을 버릴지라도 의(義)를 견지하겠다는 맹자의 가르침을 성찰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로써 유도의 이치를 깨닫는 학문은 자기완성을 목표로 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의 공부 방법이 핵심임을 알 수 있다. <동재에서 일을 느끼며(東齋感事 其四) 읊은 네 번째 시에는 학문에 대한 체험적인 깨달음이 잘 나타나 있다. 끊임없이 성학을 온축해가며 자신의 내면을 수양하였던 퇴계의 내면에는 도심(道心)이 충만해 있었다. 퇴계는 참다운 스승의 가르침이야말로 수기(修己)에 뜻을 둔 이들에게 매우 중요한 것임을 일깨우고 있다. <도산에서 뜻을 말한(陶山言志)> 시에서는 학문을 강론하고 수기에 힘쓴 퇴계의 마음이 투영되어 있는데, 이러한 삶 속에서 고결한 학문 정신이 완성될 수 있었다. 마음의 병은 사리사욕을 따르는 속인(俗人)의 기질과 무관하지 않으니, 성학을 연마해야 병든 마음을 바로잡을 수 있다는 이치를 시화하기도 하였다. <달밤에 동재에서(東齋月夜)> 읊은 시는 존덕성재(尊德性齋)라는 명칭에 깃든 주자의 가르침을 생각하며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있고 있다. 이로써 퇴계의 공부는 수기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퇴계는 단지 안다는 것에만 머물지 않고 그 앎이 완전히 자기 것으로 될 때까지 몸으로 익히는 공부 즉, 실천의 공부를 행하였다. 성학에의 가르침을 토대로 실천하였던 그의 지행합일(知行合一)은 <저녁(暮)> 시에도 반영되어 있다. <계상에서… (溪上…)> 시에 나타난 퇴계의 참마음은 겸손한 삶의 실천 의지에 의해 구현된 것이다. 퇴계시에서는 배우는 것 자체에만 의미 있는 것이 아니라, 이를 잘 실천하는 것에 더 큰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통해 선행의 실천을 중시한 군자의 학문을 강조하고 있다.

      • 嶺南地域에서의 蘆沙學派와 寒洲學派의 成立과 學說交流

        김봉곤 한국공자학회 2007 공자학 Vol.14 No.-

        Nohsa(蘆沙) Scholars’ faction in Youngnam area was formed through Yeongnam Sarim(士林-gentlemen) increasingly keeping company with Nohron (老論-a political party). in the 19th century. Not only Jung Yeo Chang(鄭汝昌)’s family firmly tied with Kim In Hoo(金麟厚)’s family by marriage but also many scholars all around Jinju, Sancheong and Hapcheon including Jo Sung Ga(趙性家), Choi Sook Min(崔琡民), Jung Jae Gyoo(鄭載圭) and etc. Most of Nohsa Scholars’ families in Youngnam area tried to make scholarly achievement based on their economical success around the 19th century. They made strong connection with Nohron families in that area based on their scholarly power and extended their activity spaces by conducting various activities in that area where Jo Sik and Jung Yeo Chang were respected. Gi Jung Jin’s philosophy of Li-Yil-Li-Bun-Soo(理一理分殊) and idea of Wi-Jung-Cheok-Sa(衛正斥邪) deeply influenced Hanju Scholars’ Faction. For although Hanju(寒洲) Scholars’ Faction in 1870’s period was formed in Youngnam area by the scholars including Heo Yu(許愈), Gwak jong suk(郭鍾錫), Lee Jeong Mo(李正模) etc, facing to Lee Hwang(李愰) scholars’ attact to the theory of mind equal to reason(心卽理), Hanju Scholars’ Faction wanted to firmly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faundation by suppoting Nohsa(蘆沙)’s theory. Therefore in the theory Hanju(寒洲) Scholars’ Faction was similar to Nohsa(蘆沙) Scholars’ faction and Heo Yu(許愈), Gwak jong suk(郭鍾錫) was deeply tied with Jung Jae Gyoo(鄭載圭) in the many sides including political, social, scientific activites. 본고는 19세기 후반 전반적으로 주리설이 확산되는 배경하에 영남지역에서 기호학파인 노사학파와 심즉리설을 주장한 한주학파가 어떻게 성립되었으며, 두 학파간에 어떠한 학술 교류를 진행하였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먼저 영남지역의 노사학파는 영남 사림들이 기호학통 계통의 인물들과 활발히 교유하면서 형성되었다. 기정진 대에는 함양의 정여창 가문과 장성의 김인후 가문이 혼반관계로 연결되어 있어서 함양의 사림들이 기정진을 자주 찾아오기 시작하였다. 이후 함양의 정여창 가문과 가까운 산청의 여흥민씨 가문을 비롯해서 진주의 趙性家, 崔琡民이 찾아오고, 합천에서 鄭載圭 등이 찾아오면서 노사학파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대체로 영남의 노론가문 출신으로, 왜란 때 창의하였거나 이괄의 난 등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웠으나, 상당기간 동안 영락한 집안의 후손들이었다. 이들은 당대나 부친 대에 재산 형성에 성공하고 학문을 통해서 영남지역에 다시 두각을 나타내고자 한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학문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이 지역 노론 가문과 연대를 강화해 나갔으며, 조식과 정여창을 숭앙하는 기풍이 강한 이곳에서 그들의 선양 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해 갔다. 그러한 결과 하동, 진주, 산청, 함양, 합천, 의령 일대에 노사학파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지고, 많은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한편 한주학파는 寒洲 李震相(1818-1886)이 1870년에 이르러서야 허유 등에게 비로소 적극적인 강학활동을 전개하면서 형성되었다. 그러나 영남 서부 지역은 오랫동안 퇴계학설의 영향이 깊은 곳으로 이진상의 심즉리설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이진상은 자신의 심즉리설이 주자와 퇴계설의 근본 취지를 계승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이진상이나 그의 문인들은 정재규와의 논쟁을 통해 호남의 저명한 성리학자였던 기정진으로부터 자신들의 학설을 입증받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진상의 호발설이나 명덕, 지각설 등이 기정진에 의해서 검토되었고, 이진상이나 허유, 곽종석 등은 기정진의 학설중에 사단칠정을 리발로, 명덕을 리로, 지각을 리의 작용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남 지역 노사학파는 지각설이나 심설에 대해서 이진상의 학설과 밀착되게 되어 기정진의 학설이 더욱 주리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영남지역 노사학파와 한주학파는 이진상 사후에도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져 노사학파의 조성가와 최숙민, 정재규, 그리고 한주학파의 허유, 곽종석간에 밀접한 교분이 있게 되었다. 특히 정재규는 허유와 함께 삼가지역의 학문을 이끌면서 함께 조식을 크게 선양하였으며, 곽종석과도 자주 성리학과 시국에 대해 토론하였다.

      • KCI등재

        武夷精舍雜詠에 나타난 晦庵 朱熹의 선비 精神 硏究

        이정화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8 No.-

        Zhu Xi studied to realize natural and discipline. He was thinking of the mountain study area. He exists in the mountains numerous all natural objects were perceived as valuable. He looks different creatures look wonderfully unfold considered. Mountains to practice the way of true scholars, as well as livelihood unity of nature and the peace of the area was made​​. The mountain area is a virtue to learn who will awaken. A person a self-know the a working man with your for the dies the There is a saying. One who was born to meet the real world, it is not easy to take off. He met a friend and helping to live the joy of the written poem. Zhu Xi empathy and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peaceful world to have a heart. Green tea is associated with a profound scholar. He sits nestled in a quiet and lived himself weeping. Tea gave help to the bookish, is necessary to clear the mind. Green tea is also keeping true scholar's mind is very useful. That the dying person who remains forever. The character of a great scholar is forever admired. He studied hard in order to complete the character. 회암은 자연과 학문의 이치를 깨닫기 위해 공부하는 유자(儒者)들에게 그것이 가능한 격물(格物)의 공간으로써 무이산의 가치를 입증한 학자였다. 「무이정사잡영(武夷精舍雜詠)」 서문(序文)에서, 무이산의 진면목은 한 마디로 단정 지어 말할 수 없을 만큼 높고 깊은 이치를 깨닫게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회암은 무이산에 존재하는 수많은 자연물 하나하나를 모두 소중한 존재로 인식하며, 그러한 생명체들이 펼쳐 보이는 만물상(萬物相)은 똑같은 날이 하루도 없음을 경이롭게 여기고 있다. 이것이 곧 회암의 산수 취향이라 할 수 있다. 그는 무이산에 서식하는 자연물을 통해 대자연의 경이로운 현상들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산수에서 터득하는 것이 많음을 절감하였던 것이다. 이로써 그의 산수 취향과 격물치지(格物致知)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회암에게 있어 무이산은 참 선비의 길을 실천하는 삶의 터전일 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합일이 이루어지는 평화의 공간이었다. 구도(求道)의 마음을 견지한 회암은 무이산이 인지(仁知)의 미덕을 체득할 수 있는 공간임을 자각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그는 무이정사에서 하루하루 덕을 쌓으며 살았으니 「정사(精舍)」의 시를 통해 이러한 그의 삶을 확인할 수 있다. 사람은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기꺼이 죽는다는 말도 있듯이, 세상에 태어나서 진정한 벗 한 사람을 만나기는 참으로 쉽지 않은 것이다. 회암의 시에는 자신과 의기투합해서 살아갈 수 있는 도우(道友)를 만났을 때의 심정을 시화한 것이 적지 않다. 이는 다른 사람과의 공감과 소통을 통해 평화로운 세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마음을 형상화한 것이기도 하다. 유가(儒家)에서는 ‘하나’인 마음을 그 씀씀이의 옳고 그름에 따라 도심(道心)과 인심(人心)으로 구별하여 부르도록 명명(命名)하였다. 특히 회암이 중요시한 ‘천리(天理)’는 인욕(人欲)과는 상대되는 개념인데, 그는 알인욕(遏人欲) 존천리(存天理), 즉 인욕을 막아 천리를 보존하기 위한 학문에 전념하였던 것이다. 그의 시에는 주야(晝夜)에 상관없이 항상 거경궁리(居敬窮理)하는 선비의 참마음이 투영되어 있다. 그의 선비정신은 도심(道心)을 구현한 삶에서 비롯된 것이다. 예로부터 선비와 차는 불가분의 관련을 지니고 있었거니와, 회암이 은거한 무이산은 특히 바위 틈에서 자란 암차(巖茶)의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조용한 곳에 자리를 잡고 좌정(坐定)하여 자신을 수양하는 것으로 은거 생활에의 의미를 두었던 회암에게 있어 차는 학문에 정진하는 가운데 방심하기 쉬운 마음을 맑게 추스르는 데에 유용했던 것이다. 또한 다담(茶談)의 시간은 참 선비의 마음을 고취시키는 데에 매우 유용했으리라 사료된다. 「다조(茶竈)」 시 에서 ‘세향(細香)’이란 제재는 몰후(歿後)에도 아름다운 향기가 사라지지 않는 참 선비의 인격을 형상화한 것인데, 고래(古來)로 공부하는 사람들은 그러한 향기를 성현(聖賢)의 삶과 학문정신을 통해 느껴왔다. 회암 역시 ‘세향(細香)’처럼 고매한 인격의 가치를 깨달아 성학을 근간으로 연마(硏磨)한 결과 마침내 자신의 학문으로 인격을 완성하였기 때문에 후세인들에게 영원한 선비의 향기를 남길 수 있었다.

      • KCI등재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의 성리설性理說 연구

        박학래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6

        Hong Jik-pil is a representative scholar leading the Nak group of Kiho region from the late eighteenth to early nineteenth centuries. Unlike Oh Huisang, another scholar of the Nak group, he as an established scholar plays a crucial role in not only academia, but also politics. Despite of his academic achievements, we did not pay attention to his theories and arguments so far. Hong has had a consistent stance on main topics of Horak controversy with his theories of Mind. Especially, he opens full scale debates on li-qiof Mind, which is one of the core issues since the mid nineteenth century, by discussing on an Illuminated Virtue and the substance of Mind being raised yet. In this vein, the examination of his theor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is to prove his successive stance on the Nak group of Kiho region in Horak controversy. Furthermore, it is to investigate Kiho group’s academic interests and pursuits throughout the nineteenth century. By being aware of changes of Horak controversy in early nineteenth century, I will examine Hong’s learning and its development and, especially, analyze his theory of Mind-Nature. I will prove that his theor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is to identify the genuine goodness of Mind via the qi-frame of Root and Branch. Finally, I will hold that his theory is mainly focusing on framing the structure and basis of cultivation. 홍직필洪直弼(號 梅山, 1776~1852)은 18세기 후반을 거쳐 19세기 전반기 기호 낙론계를 주도한 대표적인 산림학자이다. 그는 당대 낙론의 또다른 산림학자인 오희상과는 달리 뚜렷한 사승 관계 속에서 낙론을 대표하는 학자로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상당히 비중 있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동안 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그의 학문적 위상에 비해 미미하였다. 하지만 그는 심론을 중심으로 호락논쟁의 주요 주제에 대해 일관된 입장을 제시하였고, 특히 미발심체未發心體와 명덕明德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19세기 중반 이후 기호학계의 핵심 논쟁인 심에 대한 리기논쟁의 본격적인 서막을 열었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성리설을 검토하는 것은 호락논쟁에 대한 19세기 기호 낙론계의 계승적 입장을 확인하는 것인 동시에, 19세기를 관통하며 전개된 기호학계의 학문적 관심과 지향을 그 시단에서부터 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19세기 전반기 기호학계의 호락논쟁 추이에 유의하면서 홍직필의 학문 형성과 전개를 호락논쟁과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검토하였으며. 특히 그가 가장 관심을 기울였던 주제인 호락논쟁과 이와 연관한 그의 리기심성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의 성리설이 기의 본말론을 통한 심본선의 확인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논의는 수양의 근거와 수양의 현실적 구조화를 위한 체계를 마련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매산<SUP>梅山</SUP> 홍직필<SUP>洪直弼</SUP>의 성리설<SUP>性理說</SUP> 연구

        박학래(朴鶴來)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6

        홍직필洪直弼(號, 梅山; 1776~1852)은 18세기 후반을 거쳐 19세기 전반기 기호 낙론계를 주도한 대표적인 산림학자이다. 그는 당대 낙론의 또다른 산림학자인 오희상과는 달리 뚜렷한 사승 관계 속에서 낙론을 대표하는 학자로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상당히 비중 있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동안 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그의 학문적 위상에 비해 미미하였다. 하지만 그는 심론을 중심으로 호락논쟁의 주요 주제에 대해 일관된 입장을 제시하였고, 특히 미발심체未發心體와 명덕明德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19세기 중반 이후 기호학계의 핵심 논쟁인 심에 대한 리기논쟁의 본격적인 서막을 열었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성리설을 검토하는 것은 호락논쟁에 대한 19세기 기호 낙론계의 계승적 입장을 확인하는 것인 동시에, 19세기를 관통하며 전개된 기호학계의 학문적 관심과 지향을 그 시단에서부터 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19세기 전반기 기호학계의 호락논쟁 추이에 유의하면서 홍직필의 학문 형성과 전개를 호락논쟁과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검토하였으며. 특히 그가 가장 관심을 기울였던 주제인 호락논쟁과 이와 연관한 그의 리기심성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의 성리설이 기의 본말론을 통한 심본선의 확인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논의는 수양의 근거와 수양의 현실적 구조화를 위한 체계를 마련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Hong Jik-pil is a representative scholar leading the Nak group of Kiho region from the late eighteenth to early nineteenth centuries. Unlike Oh Huisang, another scholar of the Nak group, he as an established scholar plays a crucial role in not only academia, but also politics. Despite of his academic achievements, we did not pay attention to his theories and arguments so far. Hong has had a consistent stance on main topics of Horak controversy with his theories of Mind. Especially, he opens full scale debates on li-qiof Mind, which is one of the core issues since the mid nineteenth century, by discussing on an Illuminated Virtue and the substance of Mind being raised yet. In this vein, the examination of his theor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is to prove his successive stance on the Nak group of Kiho region in Horak controversy. Furthermore, it is to investigate Kiho group’s academic interests and pursuits throughout the nineteenth century. By being aware of changes of Horak controversy in early nineteenth century, I will examine Hong’s learning and its development and, especially, analyze his theory of Mind-Nature. I will prove that his theor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is to identify the genuine goodness of Mind via the qi-frame of Root and Branch. Finally, I will hold that his theory is mainly focusing on framing the structure and basis of cultivation.

      • KCI등재

        여말선초 道學의 성격과 道統論

        심예인 ( Shim Yea-in )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85 No.0

        Chosŏn was a nation established by taking the “learning of principle”(K. Ihak 理學 C. lixue) as its ruling ideology. The learning of principle was also called the “learning of the Way”(K. Tohak 道學 C. daoxue). While the learning of principle is a value neutral concept used to explain all things by the principle, the learning of the Way is a concept that contains the logic of regarding other theories as heterodox teachings along with the strong sense of the lineage of the Way. The learning of the Way of Chosŏn has been mostly used as a term merely referring to meanings and principles focusing on practicality(義理實踐) of the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Kim Goeng-pil and Cho Kwang-jo. As the learning of the Way was introduced during the late Koryŏ period, however, the diverse usages of the term were found and moreover, its characteristics changed over a period of time. In the late 14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Way was used as a term indicating Cheng-Zhu learning from the Yuan dynasty or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tself. The learning of the Way focused on the way of study maintaining constant inquiry and study(道問學) and regulating the world(經世實踐).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stood out as the logic of regarding Buddhism and Taoism as heterodox teachings. In the 15th century, the usage of the learning of the Way also based on classical studies and focused on the way of study maintaining constant inquiry and study(道問學) and regulating the world(經世實踐). The learning of the Way based on classical studies played a role as statecraft learning or ideology for rulers as well as literati. However, as hegemonic rulers like King Sejo or Prince Yŏnsan and corrupt political forces such as old meritorious elites emerged, it came to be difficult to rectify the society only with the learning of the Way valuing the classical studies based on the explication of the classics. Hence, from the late 15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Way related to cultivate oneself(節義實踐) was advocated while the learning attitudes of honoring virtuous nature(尊德性), such as controlling the mind, nourishing inner nature, and abiding in reverence, were greatly encouraged. The learning of the Way was extended to the learning of the heart-mind (K. simhak 心學 C. xinxue), which was concerned with the cultivation of mind. Above all, the key point of the learning of the Way is carrying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Among the scholars pursuing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it was Yi Saek who was aware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Yi Saek claimed the authenticity of the learning of principle from Yuan dynasty by putting Xu Heng on the rank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The arguments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argument on the shrine service to Chinese Confucian scholars, on the shrine service to Korean Confucian scholars, and on th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not served in the shrines. It is remarkable to note that opinions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were swayed by the social value of the time resulted in the incessant replacement of spirit tablets in the shrines. Arguments on the lineage of the Way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are characterized by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rulers and that of Confucian scholars.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rulers was an attempt to reestablish the royal lineage by the kings of Chosŏn, which was a state of the learning of the Way. This royal lineage was considered to have ceased since Emperor Wu of the Zhou dynasty. This was exposed in the idea proposed by Chŏng To-jŏn and Park ŭi-Jung.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Confucian scholars was the assertion that, after Confucius, the Way passed down to the Chinese literati was again transmitted to the Confucian scholars of Chosŏn. The argument is subdivided into the officially recognized form of shrine service and the form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approved by the Confucian scholars. The orthodox lineage from Yi Che-hyŏn through Yi Saek to Kwŏn Kŭn was mainly accepted by the literati up to the 15th century. All of them, however, were removed from the object of spirit tablets by reason of either inclination to Buddhism or lack of fidelity. In reality,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there were various arguments about the orthodox lineage based on transmission of scholarship. The first of them was the lineage of the Way from Xu Heng to Yi Saek. The second was the lineage from Yi Che-hyŏn through Yi Saek to Kwŏn Kŭn. The third was the lineage from Yi Saek through Chŏng To-jŏn to Kwŏn Kŭn. The fourth was the lineage from Kwŏn Kŭn, Kil Jae, Kim Suk-ja, and Kim Jong-jik to Kim Gwing-pil. Besides, Pak Yŏng suggested the lineage from Chŏng Mong-ju, Kil Jae, Kim Suk-ja, Kim Jong-jik, Kim Gwing-pil, and Chŏng Pung to Pak Yŏng as well as we can see the movement of putting Kim An-kuk on the spirit tables, before Yi Hwang says four sages. In conclusion, as for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there were various lineages of the Way, regardless of the orthodox lineage made by rural Neo-Confucian literati after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 KCI등재

        여말선초 道學의 성격과 道統論

        심예인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5

        조선은 理學을 지배이념으로 하여 성립된 나라이다. 이학은 道學으로도 불렸다. 이학이 만물을 理로 설명하는 가치중립적인 개념이라면, 도학은 道統의식과 함께 타 사상에 대한 闢異端의 논리를 내재한 개념이다. 그동안 조선의 도학은 주로 김굉필과 조광조를 비롯한 유학자들의 의리실천학을 지칭하는 용어로만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도학은 이미 고려 말 이학이 도입되면서부터 그 용례가 발견될 뿐 아니라 시기별로 그 성격을 조금씩 달리하였다. 14세기 말 도학은 당시 원나라에서 도입된 程朱學 내지 이학 자체를 뜻하는 용어로 쓰였다. 이때 도학은 道問學의 학문 방법과 경세실천에 집중되었고, 특히 불교와 도교를 배척하는 벽이단의 성격이 두드러진다. 15세기 도학 역시 도문학의 학문방법과 경세실천에 집중되었다. 여기에 사대부뿐만 아니라 군주를 위한 학문과 사상으로서 治道學 내지 經世學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세조나 연산군과 같은 覇道的 군주와 부패한 정치세력이 부상하자, 15세기 말부터 절의실천적 도학이 주장되는가 하면 治心․養性․居敬과 같은 수신의 학문 태도, 즉 尊德性의 학문방법이 크게 권장되었다. 도학이 이제 마음을 닦는 心學으로 확대된 것이다. 도학의 핵심은 무엇보다 도통을 잇는 데 있다. 여말선초 이학자 가운데 가장 먼저 도통을 정리한 인물은 李穡이다. 이색은 원나라 許衡을 도통의 반열에 올려 원대 이학의 정통성을 주장하였다. 여말선초의 도통론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된다. 중국의 선유들에 대한 文廟從祀 논의, 조선 유자들에 대한 문묘종사 논의, 문묘에 종사되지 않은 유자들의 도통 논의가 그것이다. 도통논의에서 두드러진 점은 당대 사회의 가치에 따라 도통론이 좌우되어 문묘 종사의 대상들이 끊임없이 入享과 黜享을 거듭했다는 사실이다. 여말선초의 도통론은 君主道統論과 儒者道統論으로 특징지어진다. 군주도통론은 周나라 武王 이후 끊어졌던 王統을 이학의 나라인 조선의 국왕에 의해 다시 잇고자 한 도통론이다. 이는 박의중과 정도전에게서 그 단초가 나타난다. 유자도통론은 공자 이후 사대부의 영역으로 내려온 도학의 전수가 조선의 유자들에 의해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유자도통론은 문묘종사를 통해 공인되는 형태와 유자들 사이에 존재한 도통의식 또는 도통론의 형태로 구분된다. 15세기까지는 이제현에서 이색을 거쳐 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불교에 기울거나 절의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이들은 모두 문묘 종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실제로 여말선초에는 학문의 전수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도통론이 존재하였다. 첫째, 원대의 허형에서 고려의 이색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둘째, 이제현-이색-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셋째, 이색-정도전-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넷째, 권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그밖에도 박영은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정붕-박영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을 제시하였고, 박세채의 기록을 통해 이황이 4현을 언급하기 전까지 김안국을 도통의 반열에 올리려는 움직임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여말선초 도통론은 16세기 중반 이후 士林勢力에 의해 정해진 도통과는 별개로 다양한 도통의 계보가 존재했다. Chosŏn was a nation established by taking the “learning of principle”(K. Ihak 理學 C. lixue) as its ruling ideology. The learning of principle was also called the “learning of the Way”(K. Tohak 道學 C. daoxue). While the learning of principle is a value neutral concept used to explain all things by the principle, the learning of the Way is a concept that contains the logic of regarding other theories as heterodox teachings along with the strong sense of the lineage of the Way. The learning of the Way of Chosŏn has been mostly used as a term merely referring to meanings and principles focusing on practicality(義理實踐) of the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Kim Goeng-pil and Cho Kwang-jo. As the learning of the Way was introduced during the late Koryŏ period, however, the diverse usages of the term were found and moreover, its characteristics changed over a period of time. In the late 14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Way was used as a term indicating Cheng-Zhu learning from the Yuan dynasty or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tself. The learning of the Way focused on the way of study maintaining constant inquiry and study(道問學) and regulating the world(經世實踐).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stood out as the logic of regarding Buddhism and Taoism as heterodox teachings. In the 15th century, the usage of the learning of the Way also based on classical studies and focused on the way of study maintaining constant inquiry and study(道問學) and regulating the world(經世實踐). The learning of the Way based on classical studies played a role as statecraft learning or ideology for rulers as well as literati. However, as hegemonic rulers like King Sejo or Prince Yŏnsan and corrupt political forces such as old meritorious elites emerged, it came to be difficult to rectify the society only with the learning of the Way valuing the classical studies based on the explication of the classics. Hence, from the late 15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Way related to cultivate oneself(節義實踐) was advocated while the learning attitudes of honoring virtuous nature(尊德性), such as controlling the mind, nourishing inner nature, and abiding in reverence, were greatly encouraged. The learning of the Way was extended to the learning of the heart-mind (K. simhak 心學 C. xinxue), which was concerned with the cultivation of mind. Above all, the key point of the learning of the Way is carrying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Among the scholars pursuing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it was Yi Saek who was aware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Yi Saek claimed the authenticity of the learning of principle from Yuan dynasty by putting Xu Heng on the rank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The arguments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argument on the shrine service to Chinese Confucian scholars, on the shrine service to Korean Confucian scholars, and on th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not served in the shrines. It is remarkable to note that opinions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were swayed by the social value of the time resulted in the incessant replacement of spirit tablets in the shrines. Arguments on the lineage of the Way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are characterized by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rulers and that of Confucian scholars.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rulers was an attempt to reestablish the royal lineage by the kings of Chosŏn, which was a state of the learning of the Way. This royal lineage was considered to have ceased since Emperor Wu of the Zhou dynasty. This was exposed in the idea proposed by Chŏng To-jŏn and Park ŭi-Jung.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Confucian scholars was the assertion that, after Confucius, the Way passed down to the Chinese literati was again transmitted to the Confucian scholars of Chosŏn.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