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남남인 河大觀의 가문 계승의식과 향촌 사회활동

        김봉곤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58 No.-

        본고는 영조대의 하동 안계 마을의 학자 하대관의 가문계승의식과 향촌사회활동을 알아 본 것이다. 시기는 1748년부터 1758년까지 10년에 걸친 기간이다. 하대관의 글이 오로지 이 시기에 걸쳐 남아 있기도 하지만, 이 시기의 그의 활동이 1759년 가을부터 전개되는 종천서원 시비의 배경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문집의 분석을 통해 볼 때, 하대관은 부친으로부터의 가학을 통해 자랑스러운 선조들의 업적을 알게 되어, 그의 학문은 선조들의 전통과 남명학을 이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그의 학문은 향당에서 충절과 효행, 경의를 중시하는 성격을 갖는다. 그는 영남남인 외에도 기호 남인과의 교류를 강화하여 자신의 가문과 진주 사족들의 위상을 높이려고 했다. 『겸재집』 간행, 족보편찬, 교육과 교화활동, 부당한 조세징수 반대, 『진양지』 간행 등은 모두 이러한 그의 사상을 반영한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family consciousness and the rural community activities of a scholar Ha Dae-gwan in the Ahngye village, Hadong, during King Yeongjo's reign. The period is ten years from 1749 to early 1759. Although the writings of Ha Dae-gwan remain only during this period, it is also because his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have formed the background of Jongcheon- seowon Dispute that began in the fall of 1759.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Ha Dae-gwan learned the accomplishments of proud ancestors through the Family Study from his father, and his study aimed at inheriting the ancestral traditions and Nammyeonghak. Therefore, his study showed that he emphasized fidelity and filial piety, strengthened the exchange with Kiho-namin, and carried out activities to accomplish it in the rural community. Publication of 『Gyeomjaejib』, publication of genealogies, education and edifying activities, opposition of unfair tax collection, and publication of 『Jinyangji』 would reflect his ideas.

      • 嶺南地域에서의 蘆沙學派와 寒洲學派의 成立과 學說交流

        김봉곤 한국공자학회 2007 공자학 Vol.14 No.-

        Nohsa(蘆沙) Scholars’ faction in Youngnam area was formed through Yeongnam Sarim(士林-gentlemen) increasingly keeping company with Nohron (老論-a political party). in the 19th century. Not only Jung Yeo Chang(鄭汝昌)’s family firmly tied with Kim In Hoo(金麟厚)’s family by marriage but also many scholars all around Jinju, Sancheong and Hapcheon including Jo Sung Ga(趙性家), Choi Sook Min(崔琡民), Jung Jae Gyoo(鄭載圭) and etc. Most of Nohsa Scholars’ families in Youngnam area tried to make scholarly achievement based on their economical success around the 19th century. They made strong connection with Nohron families in that area based on their scholarly power and extended their activity spaces by conducting various activities in that area where Jo Sik and Jung Yeo Chang were respected. Gi Jung Jin’s philosophy of Li-Yil-Li-Bun-Soo(理一理分殊) and idea of Wi-Jung-Cheok-Sa(衛正斥邪) deeply influenced Hanju Scholars’ Faction. For although Hanju(寒洲) Scholars’ Faction in 1870’s period was formed in Youngnam area by the scholars including Heo Yu(許愈), Gwak jong suk(郭鍾錫), Lee Jeong Mo(李正模) etc, facing to Lee Hwang(李愰) scholars’ attact to the theory of mind equal to reason(心卽理), Hanju Scholars’ Faction wanted to firmly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faundation by suppoting Nohsa(蘆沙)’s theory. Therefore in the theory Hanju(寒洲) Scholars’ Faction was similar to Nohsa(蘆沙) Scholars’ faction and Heo Yu(許愈), Gwak jong suk(郭鍾錫) was deeply tied with Jung Jae Gyoo(鄭載圭) in the many sides including political, social, scientific activites. 본고는 19세기 후반 전반적으로 주리설이 확산되는 배경하에 영남지역에서 기호학파인 노사학파와 심즉리설을 주장한 한주학파가 어떻게 성립되었으며, 두 학파간에 어떠한 학술 교류를 진행하였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먼저 영남지역의 노사학파는 영남 사림들이 기호학통 계통의 인물들과 활발히 교유하면서 형성되었다. 기정진 대에는 함양의 정여창 가문과 장성의 김인후 가문이 혼반관계로 연결되어 있어서 함양의 사림들이 기정진을 자주 찾아오기 시작하였다. 이후 함양의 정여창 가문과 가까운 산청의 여흥민씨 가문을 비롯해서 진주의 趙性家, 崔琡民이 찾아오고, 합천에서 鄭載圭 등이 찾아오면서 노사학파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대체로 영남의 노론가문 출신으로, 왜란 때 창의하였거나 이괄의 난 등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웠으나, 상당기간 동안 영락한 집안의 후손들이었다. 이들은 당대나 부친 대에 재산 형성에 성공하고 학문을 통해서 영남지역에 다시 두각을 나타내고자 한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학문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이 지역 노론 가문과 연대를 강화해 나갔으며, 조식과 정여창을 숭앙하는 기풍이 강한 이곳에서 그들의 선양 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해 갔다. 그러한 결과 하동, 진주, 산청, 함양, 합천, 의령 일대에 노사학파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지고, 많은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한편 한주학파는 寒洲 李震相(1818-1886)이 1870년에 이르러서야 허유 등에게 비로소 적극적인 강학활동을 전개하면서 형성되었다. 그러나 영남 서부 지역은 오랫동안 퇴계학설의 영향이 깊은 곳으로 이진상의 심즉리설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이진상은 자신의 심즉리설이 주자와 퇴계설의 근본 취지를 계승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이진상이나 그의 문인들은 정재규와의 논쟁을 통해 호남의 저명한 성리학자였던 기정진으로부터 자신들의 학설을 입증받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진상의 호발설이나 명덕, 지각설 등이 기정진에 의해서 검토되었고, 이진상이나 허유, 곽종석 등은 기정진의 학설중에 사단칠정을 리발로, 명덕을 리로, 지각을 리의 작용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남 지역 노사학파는 지각설이나 심설에 대해서 이진상의 학설과 밀착되게 되어 기정진의 학설이 더욱 주리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영남지역 노사학파와 한주학파는 이진상 사후에도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져 노사학파의 조성가와 최숙민, 정재규, 그리고 한주학파의 허유, 곽종석간에 밀접한 교분이 있게 되었다. 특히 정재규는 허유와 함께 삼가지역의 학문을 이끌면서 함께 조식을 크게 선양하였으며, 곽종석과도 자주 성리학과 시국에 대해 토론하였다.

      • KCI등재

        松山 權載奎의 蘆沙學 繼承과 嶺南地域에서의 活動

        김봉곤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2 남명학연구 Vol.34 No.-

        본고는 19세기 말 이후 영남지역 노사학파의 모습과 송산 권재규의 노사학의 계승과 영남지역에서의 활동을 분석한 것이다. 경상우도 지역은 19세기 이래 당색이 약화되고 幼學層이 성장하면서 학문 활동이 활발해지게 되었다. 이에 많은 학자들이 조야에 학문적 명성이 높았던 奇正鎭을 찾아가 수학하였다. 영남의 노사학파는 남인 출신도 있었지만 대체로 노론 위주의 인물들이었다. 영남의 노사학파는 정재규를 중심으로 활발한 강회활동을 통해 성리학이나 기정진 학설의 심화를 도모하였다. 이에 기정진의 主理論이나 衛正斥邪思想이 영남지역에 널리 보급되게 되었다. 1890년 간행된 『答問類編』이나 1901년 奇正鎭 문집의 목판본 간행 역시 이러한 과정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러나 淵齋 宋秉璿이나 艮齋 田愚 등의 기호학계에서는 기정진이 지은 「猥筆」이나 「納凉私議」의 내용이 栗谷 李珥의 학설과 다르다고 문제 삼았으며, 노사학파에서는 기정진의 학설을 변호하면서 이들과 활발한 학술토론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정진 학설을 비판하였던 연재나 간재 학파, 변호하였던 영남지역 노사학파 모두 성리학 이해 수준이 깊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정재규의 문인 권재규 역시 이러한 학술토론에 참여하여 노사학을 철저히 계승하게 되었다. 권재규는 어려서는 崔琡民에게서 배우고, 1888년부터는 鄭載圭에게 급문하였다. 그는 정재규로부터 주자학과 기정진의 학설을 전수받고, 노사학을 주리설에 기반한 理一分殊와 心性一致說 등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에 그는 정재규가 「猥筆」과 「納凉私議」를 변호하였을 때, 理主氣僕의 관점과 이기심성에 관해 철저히 이일분수를 관철하는 의견을 개진하여 정재규에게 모두 수용되었다. 이후 권재규는 정재규의 뒤를 인물로 지목되었으며, 정재규가 타계한 이후에는 夷川 南昌熙에 제기된 심설의 반론에 대해 農山 鄭冕圭의 동의를 받음으로서 권재규의 학설이 영남지역 노사학의 정통설로 굳어지게 되었다. 이어 1916년 정면규가 1918년 明湖 權雲煥이 타계함으로서 권재규는 영남지역 노사학파를 실질적으로 이끌어 가게 되었다. 기정진과 정재규로 이어지는 노사학을 계승한 권재규는 일제치하에서 영남지역에서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 노사학파가 영남지역에 계속적인 성세를 구가할 수 있게 하였다. 그는 기정진 문인들의 문집 간행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동문들과의 교유를 통해 성리학이나 예학, 노사학설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으며, 향사 등을 통해 노사학파의 명맥을 유지해갔다. 또한 활발한 강학활동을 통해 단성지역을 비롯한 경상 우도 지역에 많은 문인을 배출하였는데, 문인들에게 노사학파의 위정척사의 주지를 강론하고 그 자신 솔선수범하여 실천하였다. 그는 日帝治下를 노예의 상태로 규정하고 우리의 예의와 정신을 잃지 않아야 강토를 회복할 수 있다고 하였고, 해방이 되자 예와 덕에 기반한 유도가 실현되기를 기대하였다. 서양의 정치나 기술을 배울 수는 있으나, 우리 강토와 유학에 기반한 정신을 다시는 그들에게 빼앗겨서는 안 된다고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권재규는 기정진과 정재규의 학설을 계승하고 동문들과의 활발한 교유와 문인들에 대한 강학활동을 통해 노사학을 전파하고 위정척사사상을 철저히 실천하였다. 이에 의리와 도덕에 기반을 둔 노사학이 일제 치하와 해방 이후 줄곧 영남지역...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tate of the Nohsa scholars' faction of the Yeongnam region and how Gwon Jae Gyu carried on the tradition of the Nohsa discipline while concentrating on his activities throughout Yeongnam province in the late 19th century. Since the 19th century, when political dissension began to die down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younger Confucian scholars with their vibrant academic activities started to expand. Subsequently, many flocked to join Nosa Ki Jeong Jin, who was the most revered scholar at the time, to study under his tutelage. Nohsa scholars' faction in Yeongnam mostly consisted of people with Nohron background although there were a few from the Namin side as well. With Jeong Jae Gyu as the central figure, Nohsa scholars' faction of Yeongnam sought to intensify Neo-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Ki Jeong Jin through series of rigorous lectures. Thereupon, Juri philosophy and Wi-Jeong-Cheok-Sa doctrine were to become widely prevalent in the Yeongnam region. These events led to the publication of 『Dapmunryupyeon』in 1890 and the collection of Ki Jeong Jin's writings issued in xylograph in 1901. However, scholars from the Kiho faction such as Yeonjae Song Byeong Seon and Ganjae Jeon Wu would take issues with Ki Jeong Jin's 『Oepil』 and 『Nabryangsaui』, claiming that they are at odds with Yi Yi's theory. Nohsa scholars' faction, while defending Ki Jeong Jin's theory, would engage in ardent academic debate over the matter with the opposing Kiho faction. Such exchanges would eventually deepe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for Nohsa scholars' faction of Yeongnam region as well as for those on the opposing side, who criticized Ki Jeong Jin's theory, such as those from the Yeonjae and Ganjae factions. Gwon Jae Gyu, a scholar under Jeong Jae Gyu, would come to participate in one of these debates, eventually carrying on the tradition of the Nohsa discipline. Gwon Jae Gyu had learned a Confucian classic from Choi Suk Min, but after 1888 he would affiliate himself with Jeong Jae Gyu. He would learn the doctrines of Neo-Confucianism and Ki Jeong Jin from Jeong Jae Gyu, with further studies of Nohsa doctrine based on Juri philosophy by way of Yi-Il-Bun-Su and Shim-Seong-Il-Chi theories. When the time came for Jeong Jae Gyu to defend『Oepil』 and 『Nabryangsaui』, Gwon would offer suggestions regarding Yi-Ju-Gi-Jong and Yi-Gi-Shim-Seong that these should be realized by Yi-Il-Bun-Su, and they were wholeheartedly embraced by Jeong Jae Gyu. Henceforth, Gwon Jae Gyu would be named as Jeong Jae Gyu's successor. After Jeong's death, Gwon's Shim-Seong-Il-Chi theory would be disputed by a former colleague Nam Chang Hui. However, Jeong Myeon Gyu, who was Jeong Jae Gyu's successor, would step in and give his approval cementing Gwon's theory as being legitimate within Nohsa discipline in the Youngnam region. Following Jeong Myeon Gyu's death in 1916 and Gwon Yun Hwan, shortly after, in 1918, Gwon Jae Gyu would be left, in effect, to lead the Nohsa scholars' faction of the Yeongnam region. Gwon Jae Gyu, who had succeeded the line descending from Ki Jeong Jin to Jeong Jae Gyu, under Japanese rule, saw to it that Nohsa scholars' faction continue to flourish in the Yeongnam region by staying active. Gwon devoted himself to issuing collected works of Ki Jeong Jin's disciples, while refining Neo-Confucianism, Yehak, and Nohsa doctrines by maintaining close association with many of his alumni. He also sought to keep the tradition of Nohsa scholars' faction alive by holding series of commemoration ceremonies. He has successfully produced many disciples from Danseong and Gyeongsangwudo region through his persistent pursuit of study. Gwon would expound on the significance of Wi-Jeong-Cheok-Sa, while personally setting an example to his scholars. He denounced the state of the Japanese rule as no better than being under the yoke of slavery. He insisted that never losing our civility and sense of ...

      • KCI등재

        嶺南地域 蘆沙學派의 成長과 門人 鄭載圭의 役割

        김봉곤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0 남명학연구 Vol.29 No.-

        본고는 노사학파가 19세기 후반 영남 서부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과 성장과정, 그리고 문인 정재규의 역할을 분석한 것이다. 노사 기정진은 1840년대부터 서학을 배척하고 의리와 도덕의 확산을 꾀하였던 산림학자로서 중앙정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1850년대에는 영남의 노론학자들로부터 동방 도학의 정통을 계승한 인물로 받들어질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 뿐만 아니라 기정진의 일족이나 문인들도 세도정치기와 대원군 집권기에 점차 중앙정계와 향촌사회에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19세기 이래 영남 서부지역에서 당색의 대립이 약화되고 다른 당파나 지역 간의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주리론과 위정척사사상에 바탕을 둔 노사학파가 형성될 수 있었다. 당시 영남 서부의 노사학파는 남인 출신도 있었었지만 대체로 노론 위주의 인물들이었으며, 새롭게 성장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학문을 통해 가문을 일으키려는 인물이 많았다. 이들은 향촌질서를 바로잡기 위하여 지방관과 협조하여 향약 실시나 『소학』 교육을 중시하였으며, 강학활동에 힘써 영남 서부 지역에 많은 문인들을 배출하였다. 또한 이들은 정여창과 조식을 숭앙하는 기풍이 강한 이곳에서 이들을 모신 서원이나 사우의 향례에 참여하거나 강회를 자주 개최하여 진주와 하동․산청․합천․의령 일대의 영남지역에 노사학파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계속 넓혀 나갔다. 이러한 영남지역에서의 노사학파의 성장은 특히 정재규의 노력에 힘입은 바가 컸다. 정재규는 기정진 사후 적극적으로 강학 활동을 전개하여 영남지역 내에서 가장 많은 문인을 배출하였는데, 동문이나 문인들과 자주 강회를 열어 성리학과 예학을 강론함으로서 기정진의 주리론이 널리 보급되고 위정척사의 주지가 훼손되지 않게 하였다. 그는 또한 기정진의 학설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해 『답문류편(答問類編)』을 편찬하였으며, 1901년 기정진의 문집을 목판본으로 중간했을 때에도 단성의 신안정사에서 직접 일을 주관하였다. 그리고 문집 간행 이후 기정진의 논설인 「외필(猥筆)」이나 「납량사의(納凉私議)」등에 대해 영남지역의 노론이나 송병선, 송병순, 전우 등이 이단으로 배격하였을 때, 정재규는 동문과 문인들에게 기정진의 학설을 변호하게 하였으며, 본인도 직접 논서를 지어 기정진의 주리론이 결코 주희나 이이의 학설과 어긋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하였다. 또한 정재규는 영남지역에서 위정척사운동과 의병운동을 일으켜 기정진의 위정척사사상을 계승하였다. 그는 1881년 신사척사운동에 가담하고 1895년에 서부 영남의 유림들과 함께 의병운동을 전개하여 개화에 반대하고 일제의 침략에 항거하였다. 이어 그는 1905년 일제의 국권침탈로 나라가 위태로워지자 민심의 결집을 주장하고 의병운동을 일으키고자 하였다.그는 자신을 따르는 문인들과 함께 1905년 12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충청도의 최익현과 전라도의 기우만과 함께 각지에 포고문을 보내고, 의병을 모으기 위해 문인들을 유생들에게 파견하였다. 비록 무력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의병이 제대로 모이지 않은 상태에서 실패하였지만 의리를 중시하는 영남지역 노사학파의 위상을 제고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circumstances to which Nohsa scholars' faction was able to form and develop in the western part of Youngnam province in the late 19th century while conducting close analysis of the pivotal role Jeong Jae Gyu(鄭載圭) played within the larger picture. Since the 1840s rustic literati Gi Jeong Jin(奇正鎭) began to catch the attention of the political circles of the time with his rejection of Western learning while insisting on spreading righteousness and moral principles. By the 1850s he was widely heralded as the legitimate heir to the orthodox 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by the Youngnam Nohron scholars. Furthermore, Gi's kinsmen and disciples began to distinguish themselves among political circles of the central and the provincial governments during the reign of Taewongun and the "In-law government" period. From the 19th century on, disputes between political parties started to die down considerably making exchange between rival factions and regions possible. These conditions provided a fertile ground for Nohsa scholars' faction based on Ju-Ri philosopy and "Wi-Jeong-Cheok-Sa(衛正斥邪)“,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doctrine to take shape. At that time, although there were some from the Namin camp, those who had Nohron influences formed the majority of the Nohsa scholars' faction. Particularly, those who had aspirations to restore honor to their family name by way of academic legacy fueled by the newly acquired economic wealth were on the rise. To establish order in the provincial districts Nohsa adherents would implement "Hyang-Yak(鄕約)" by working closely with local officials. Highly regarded were the learnings of "Sohak" that these scholars tirelessly devoted themselves to spreading the word bringing up many disciples in the western Youngnam area. Taking into account that Youngnam has traditionally been a regional stronghold of Jeong Yeo Chang and Jo Sik devotees, Nohsas would regularly hold lectures and participate in memorial services in shrines and seowons(private academies) dedicated to these idolized scholars of the past. Consequently, these efforts helped to widen Nohsa faction's influences over Jinju, Hadong, Sanchung, Hapcheon and Euiryeong area. Jeong Jae Gyu's role in the rise of Nohsa faction in Youngnam region is undenialble. After Gi Jeong Jin's death, Jeong's aggressive propagation won him the largest number of disciples in all of Youngnam. By holding regular lectures with his colleagues and disciples stressing Neo-Confucianism and the "Yehak"(study of rituals) he would make sure that Gi Jeong Jin's Ju-Ri philosophy and "Wi-Jung-Cheok-Sa" doctrine passed on untarnished. Jeong Jae Gyu would later publish "Dap-Mun-Ryu_Pyeon(答問類編)“ in order to teach Gi Jeong Jin's theory in a more systematized way. In 1901, when Gi Jeong Jin's collection of works were being reprinted in a woodcut edition, he would personally supervise the entire process. Later when Gi Jeong Jin's rhetorical writings such as 「Oe-Pil(猥筆)」and 「Nap-Ryang-Sa-Eui(納凉私議)」 were being denounced as heresy, by the likes of Song Byung Seon, Song Byung Sun, Jeon Woo and the Nohron faction of Youngnam region, it was Jeong Jae Gyu who would rally his colleagues and disciples to defend Gi's theories. And Jeong himself would, through his own writings, stress that Gi Jeong Jin's Ju-Ri philosophy was not in any way a contradiction to Ju Hui or Lee Yi's theories. Jeong Jae Gyu would further advance Gi Jeong Jin's "Wi-Jung- Cheok-Sa" doctrine by organizing volunteer's army movement in the Yeongnam region. In 1881 he took part in the "Shin-Sa-Cheok-Sa" movement. And in 1895, together with Confucian scholars in western Youngnam, he would launch the volunteers' army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and the Western influences. In 1905, when the very existence of his nation was in great peril, due to Japanese attempt at violating the national sovereignty, he contended ...

      • KCI등재후보

        남원지역 동학농민혁명과 士族의 대응

        김봉곤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4 南道文化硏究 Vol.0 No.26

        남원은 호남지역 최초로 동학이 전파되고, 1894년 동학농민군이 혁명의 핵심 기지로 삼은 지역이었다. 본고는 이러한 남원지역의 동학농민혁명기간 중 주로 사족의 대응에 관해 살펴본 것이다. 남원은 1864년 최제우(崔濟愚)가 처형되면서 동학의 맥이 끊기게 되었으나, 1880년 후반 남원 둔덕의 김홍기( 金洪基) 등의 노력에 의해 다시 동학을 신봉하게 되었다. 1891년 무렵에는 교도수가 크게 늘어 1892 삼례집회, 1893년 복합상소, 보은집회, 금구집회 등 각종 집회에 참여하였다. 동학교도 수가 크게 증가하고 활동이 활발 해지자, 남원지역 사족들은 동학을 이단으로 배척하고, 변란을 일으킬 것을 우려하였다. 이에 김택주(金澤柱) 등은 1893년 1월 서울에서 호남 지역의 동학배척상소를 주도하였으며, 동학의 전파를 막기 위해 마을마다 실 시된 향약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러나 김개남(金開男) 등이 이끄는 동학농민군에 의해 1894년 6월 25일 남원성이 함락되고, 남원지역은 보국 안민과 척왜양의 중심지가 되면서 7월 중순 수 만 명이 집결하기도 하였다. 8월 19일 이후 운봉의 박봉양이 이 끄는 민보군과 맞서기 위해 재집결한 동학농민군은 9월 이후 일본군을 격퇴하기 위해 남원과 담양을 비롯한 구례, 태인, 임실 등 전라좌도 지역에서 각종 식량과 무기를 탈취하였으며, 10월 14일에는 남원을 떠나 출병하 였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일본군의 우수한 화력에 맞서지 못하여 실패하였고, 남원지역 역시 운봉의 박봉양 (朴鳳陽)의 민보군(民堡軍)에 패배하여 실패하고 말았다. 남원의 동학농민혁명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사족들은 부호의 경우는 많은 재산을 빼앗겼으나, 학덕이 있는 사 족들은 별다른 피해를 겪지 않았다. 동학농민군은 혁명의 수행을 위해서 향촌사회 지식인인 유생들의 지원을 받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유생들 역시 대부분 위정척사 사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동학농민군이 일본 군을 격퇴하기 위해 봉기한 것에 대해서 그리 부정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이 난을 일으킨 역도로 규정된 데다가 박봉양의 민보군이 동학농민군이 우세를 보이자, 사족들은 박봉양의 민보군과 연합하여 남원 지역 동학농민군을 격퇴하였다. 이후 남원지역은 민보군에 의해 일부 사족을 제외하고는 평민, 노비들이 주로 희생을 당하였으며, 사족들은 일본군의 남원 진출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Namwon is the first area in Honam where Donghak was spread. It was the basis of the Donghak peasant force for the revolution in1894.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sponse of local houses withpower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amwon. In Namwon, the legacy of Donghak ended with the execution ofJae-woo Choi in 1864. However, with the effort of Hong-gi Kimfrom Doonduk, Namwon in the late 1880s, the spark of Donghakstarted once again in the area. By 1891, the number of followershad increased significantly. They attended various meetingsincluding the Samrae meeting in 1892, Bokhapsangso, and the Boeunand Geumgoo meetings in 1893. With this rise in the number ofDonghak followers (along with their activities) local houses withpower firmly excluded Donghak as a heresy. They were concernedabout the possibility of a civil war breaking out. Therefore,Taek-joo Kim(金澤柱) and others led the Donghak exclusion appealin Honam in Seoul in January, 1893 and participated in local codesfor preventing the spread of Donghak. Despite of such efforts, Namwon castle fell to the Donghakpeasant force lead by Gae-nam Kim(金開男) on the 25th of June,1894 and Namwon became the center of ‘Bogukanmain’ and ‘Cheokwaeyang’. Tens of thousands of people gathered in mid-July. The Donghak peasant force was gathered around August 19 to seizefood and weapons in left Jeolla-do (Namwon, Damyang, Gurae,Taeil, Imsil and other places). The food and weapons were gatheredfor a fight against Japanese troops. The Donghak peasant force wasdispatched on October 14. However, the Donghak peasant forcefailed to overcome the powerful firepower of Japanese troops, andeven Namewon fell under the Minbo-gun(民堡軍) led by Bong-yangPark(朴鳳陽) in Namwon.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Namwon, local houses with power lost their wealth to the Donghakpeasant force. However, houses with both learning and virtue werenot significantly damaged. That’s because the Donghak peasant forcewas in need of the support of Confucian scholars for leading theirrevolution into success. Since most Confucian scholars had the ideaof ‘Wijungchuksa’, they were not negative about the Donghakpeasant force rising up against Japanese troops. However, when theDonghak peasant force was labeled as ‘rebellion’ and started to bedefeated by government forces which were forming a union withJapanese troops, local houses with power formed the Minbo-gun forsuppressing the Donghak peasant force. After the revolution, withthe exception of some local houses, many plebeian origins andservants had fallen victim and many local houses were verynegative about Japanese troops marching in Namwo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