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구만의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2)

        이황진(李黃振)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5

        본고는 『약천집』과 당대의 다른 문인들의 문집에서 찾아낸 남구만과 관련된 시들을 통해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남구만의 현존시를 재검토하며, 당대 문인들의 문집에서 『약천집』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남구만의 시 13수와 남구만의 시에 차운한 다른 문인들의 시 20여 수를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남구만의 현존시는 총 294수이다. 3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1과 권2는 남구만이 처음 유배를 갔던 1679년을 기점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편집자(아들 남학명)가 이 시점을 부친(남구만)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약천집』 「시」에는 남구만의 시 외에 다른 사람의 시가 ‘부원운附元韻’(14번) 혹은 ‘부차附次’(1번)라 하여 덧붙여 지기도 했는데, 단 한번 ‘부차’가 된 것은 남구만이 두 번째 유배를 받아 경흥으로 갔을 때 지은 시에 차운한 관찰사 박태상의 시이다. 여기에는 남구만의 함경도 관찰사 시절의 업적을 되새기며 남구만의 애국심과 민족의식과 문학적 성취 등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깃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경향을 살펴보았다. 『약천집』 「시」에서는 남구만의 31세(1659년) 이전의 시작기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적잖은 만시가 산삭되었을 것으로 유추되는데, 이는 편집자가 『약천집』에 수록할 시를 균형 있게 배분하며 선별하였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ems related to Nam Gu-man and listed in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s well as in Yakcheonjip and thereby to identify the compiling intent and compiling pattern for the part 「Poems」 in Yakcheonjip. Chapter 2 examined surviving poems by Nam Gu-man, and discovered from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nd presented, 13 poems by Nam Gu-man not contained in Yakcheonjip and 20 or so poems written by other writers by using the same rhymes as those of Nam Gu-man’s poems. The total number of remaining poems by Nam Gu-man, as verified by the author of this article, is 294. Chapter 3 examined the compiling intent for 「Poems」 in Yakcheonjip. In the 「Poems」, “Book 1” and “Book 2” are divided, in terms of when the poems were written, by the year 1679 when Nam Gu-man was exiled for the first time, which may be because the compiler Nam Hak-myeong (son of Nam Gu-man), recognized that year as the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his father. Also, 「Poems」 in Yakcheonjip contains other people’s poems in addition to those by Nam Gu-man, as ‘adding the original poem whose rhyme is used in another poem)’ (No. 14) or ‘adding a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the original poem’ (No. 1), and the single example of the latter was Provincial Governor Park Tae-Sang’s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Nam Gu-man’s poem written when the latter was exiled for the second time to Gyeongheung. The intent here seems to be to remember Nam Gu-man’s accomplishments as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and to emphasize his patriotism, national awareness and literary achievements. Chapter 4 examined the compiling pattern for 「Poems」 in Yakcheonjip. All poems written by Nam Gu-man on or before 1659, when he was 31 years old, were deleted from 「Poems」 in Yakcheonjip, and due to political situations of his time, poems related to certain figures were excluded from the same. Also, one can see that quite a few poems mourning the dead were deleted, which implies that the compiler maintain balance in selecting poems to be listed in Yakcheonjip.

      • KCI등재

        최치원의 현존시 재고

        이황진(Lee, Hwang-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29 No.-

        이미 수십 년 동안 최치원의 시문과 관련한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필자가 본고에서 최치원의 현존시에 대한 재고를 시도한 이유는 현전하는 최치원시의 작품수에 대한 견해가 여전히 조금씩 다르며, 더러는 선행연구자의 오류를 여전히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존시 작품 중 그 시가 과연 정말 최치원의 작품인지 의심해볼 여지가 있는 시가 몇 수 있는데도 여태껏 그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먼저 현존시의 작품수에 대해 선행연구자들의 언급을 시대순으로 살펴보며 현재 127수의 시가 최치원의 시로 인정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과거 한 때 최치원의 시라고 여겨진 적이 있었으나 위작이라고 판명된 시나 아직 최치원의 시라고 인정받지는 못하였지만 최치원의 시일 가능성이 있는 시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음유향』 소재 ?비파?, 서거정의 『동인시화』 소재 ?과해연구(過海聯句)?, 이기의 『송와잡설』 소재 칠언절구 한 수, ‘최치원이 12세 당으로 유학갈 때 장인과 나누었다는 송별시’, 최영성이 위작이라고 고증한 ‘가야산절경19명소’는 실질적으로도 최치원의 현존시로 받아들일 수 없음을 재차 확인하였다. 최치원이 찬술한 『법장화상전』 속에 들어있는 ?몽중작(夢中作)?은 중국연구자들 중 간혹 이를 현존시 목록에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이는 작품의 일부일 뿐 독립된 하나의 시로 인정할 수 없을 것이다. 반면, 김수영에 의해 제기된 ?서회(書懷)?와 금강산의 구룡폭포 옆에 새겨진 ‘천장백련(千丈白練), 만곡진주(萬斛眞珠)’는 최치원의 시로 인정해도 될 것 이라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여러 선행연구자들이 아무런 논란 없이 최치원의 시로 인정해 와 현존시 127수에 포함되어 온 시 중에서 필자가 보기에 위작일 가능성이 있거나 그 진위여부에 의심이 드는 시 ?각미암엄석(刻眉菴嚴石)?, ?석류?, ?증산승(贈山僧)?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For several decades,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dealing with Choi Chi Won’s poetry and prose. But this author tries to consider Choi Chi Won’s remaining poems in this study because there still exist quite different views about the number of remaining works written by Choi Chi Won and some of them still follow the errors made by advanced researchers. Also, among the poems believed to be his remaining poems, there are some that still need to be doubted to decide whether they are really the works of Choi Chi Won’s, but few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this up until now. First of all, the study has examined the mentioning of advanced researchers about the number of his remaining poems periodically and found that presently 127 poems are being acknowledged as Choi Chi Won’s poems. And the study also has examined the poems proved to be forgeries even though they were once believed to be Choi Chi Won’s and the ones possible to be his even if they are not yet acknowledged as Choi Chi Won’s. Lastly, among the poems included in the 127 remaining poems of Choi Chi Won’s since many of the advanced researchers have regarded them as his with no objections, this author raises questions about ?Gakmiameomseok?, ?Seokryu?, and ?Jeungsanseung? because they seem to be forgeries to this author or should be doubted for their authenticity.

      • KCI등재

        남구만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 (2)

        이황진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ems related to Nam Gu-man and listed in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s well as in Yakcheonjip and thereby to identify the compiling intent and compiling pattern for the part 「Poems」 in Yakcheonjip. Chapter 2 examined surviving poems by Nam Gu-man, and discovered from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nd presented, 13 poems by Nam Gu-man not contained in Yakcheonjip and 20 or so poems written by other writers by using the same rhymes as those of Nam Gu-man’s poems. The total number of remaining poems by Nam Gu-man, as verified by the author of this article, is 294. Chapter 3 examined the compiling intent for 「Poems」 in Yakcheonjip. In the 「Poems」, “Book 1” and “Book 2” are divided, in terms of when the poems were written, by the year 1679 when Nam Gu-man was exiled for the first time, which may be because the compiler Nam Hak-myeong (son of Nam Gu-man), recognized that year as the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his father. Also, 「Poems」 in Yakcheonjip contains other people’s poems in addition to those by Nam Gu-man, as ‘adding the original poem whose rhyme is used in another poem)’ (No. 14) or ‘adding a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the original poem’ (No. 1), and the single example of the latter was Provincial Governor Park Tae-Sang’s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Nam Gu-man’s poem written when the latter was exiled for the second time to Gyeongheung. The intent here seems to be to remember Nam Gu-man’s accomplishments as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and to emphasize his patriotism, national awareness and literary achievements. Chapter 4 examined the compiling pattern for 「Poems」 in Yakcheonjip. All poems written by Nam Gu-man on or before 1659, when he was 31 years old, were deleted from 「Poems」 in Yakcheonjip, and due to political situations of his time, poems related to certain figures were excluded from the same. Also, one can see that quite a few poems mourning the dead were deleted, which implies that the compiler maintain balance in selecting poems to be listed in Yakcheonjip. 본고는 『약천집』과 당대의 다른 문인들의 문집에서 찾아낸 남구만과 관련된 시들을 통해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남구만의 현존시를 재검토하며, 당대 문인들의 문집에서 『약천집』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남구만의 시 13수와 남구만의 시에 차운한 다른 문인들의 시 20여수를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남구만의 현존시는 총 294수이다. 3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1과 권2는 남구만이 처음 유배를 갔던 1679년을 기점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편집자(아들 남학명)가 이 시점을 부친(남구만)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약천집』 「시」에는 남구만의 시 외에 다른 사람의 시가 ‘부원운附元韻 ’(14번) 혹은 ‘부차附次 ’(1번)라 하여 덧붙여지기도 했는데, 단 한번 ‘부차’가 된 것은 남구만이 두 번째 유배를 받아 경흥으로 갔을 때 지은 시에 차운한 관찰사 박태상의 시이다. 여기에는 남구만의 함경도 관찰사 시절의 업적을 되새기며 남구만의 애국심과 민족의식과 문학적 성취 등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깃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경향을 살펴보았다. 『약천집』 「시」에서는 남구만의 31세(1659년) 이전의 시작기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적잖은 만시가 산삭되었을 것으로 유추되는데, 이는 편집자가 『약천집』에 수록할 시를 균형 있게 배분하며 선별하였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김현 중⋅후기 비평에 나타난 비평 전략의 변화 양상

        한래희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이 글은 김현의 문학론과 비평관에 바슐라르와 아도르노의 이론 수용이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는 문제의식을 기초로 이전의 연구들이 소홀히 다루었던 1980년 이전 김현의 비평 전략과 그 후의 비평 전략의 차이를 드러내고 그런 변화가 일어난 배경과 변화가 가지는 의미⋅시사점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1980년 이전 김현 비평의 특징은 ‘문학적 이미지를 통한 초월’로서의 문학관과 ‘시의 독자로 남기’의 비평 전략으로 요약된다. 이 시기 김현에게는 문학의 자율성 옹호와 자율적 문학의 사회비판적 역할의 정당화가 당면 과제로 등장하는데 바슐라르의 이론과 아도르노의 부정성의 미학이 그에 대한 설득력 있는 해결책으로 수용된다. 상상력과 의지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바슐라르의 이론은 문학적 초월이 지닌 가치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예술의 무기능성과 부정성을 기초로 한 아도르노의 이론은 무용성과 비억압성을 두 축으로 하는 김현의 문학일반론의 정당화 근거로 간주된다. 이들 이론에서 문학적 초월 체험이 그 자체로 사회 부정이라는 관점의 근거를 발견함으로써 김현은 ‘시의 독자로 남기’를 주된 비평 전략으로 채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1980년 이후에는 ‘부정적 유토피아주의’와 ‘고난의 자리에 머물기’라는 것으로 김현 비평의 전략적 초점이 바뀌게 된다. 무자비한 폭력이 휩쓸고 간 사회 속에서 김현은 문학의 역할과 존재의의는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과 마주한다. 새로운 존재자의 드러냄이라는 의미의 문학적 유토피아는 이제 불가능성의 가능성이라는 의미의 부정적 유토피아라는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은 ‘부정적 현실주의’의 필요성이라는 형태로 김현 비평에 나타난다. 문학을 통한 초월이 허위일 수 있지만 그렇다고 문학만이 할 수 있는 저항의 방식이 있다는 믿음을 결코 포기할 수 없다. 이때 김현이 택한 비평 전략이 ‘고난의 자리에 머물기’로, 이것은 도피와 자기부정이라는 위험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시의 독자로 남기’에서 ‘고난의 자리에 머물기’로의 변화가 전자의 후자로의 대체라고 말할 수는 없다. 김현은 마지막까지 ‘시의 독자로 남기’라는 태도에 대한 신념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변화는 야만의 시대와의 대결이라는 과제 앞에서 시의 독자로 남기라는 불변의 기반 위에 고난의 자리에 머물기 전략을 구축한 것이라 말하는 것이 더 옳을 것이다. 요컨대 김현 비평의 전략 변화는 문학적인 것의 가치와 문학만이 할 수 있는 저항의 방법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려는 신념⋅의지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hange of strategy in Kim Hyun’s criticism before and after the year 1980. Bachelard and Adorno have a great effect on the change of Kim Hyun’s literary strategy, so the literary theory of them is one of the important points in this study. The distinct feature of Kim Hyun’s criticism in 1970s’ is summarized as this: Literature as transcendence and remaining the reader of poem. The urgent problem Kim Hyun faces in this period is the defence of autonomy of literature and justification of social role of literature as a negation of society. Kim Hyun accepts the literary theory of Bachelard and Adorno as an answer to those problem. The union of Imagination and will is the feature in Bachelard’s theory of imagination. The negativity is the characteristics of Adorno’s theory, which becomes grounds for the justification of Kim Hyun’s literary theory. Kim Hyun changes the literary strategy in 1980s’ from remaining the reader of poem to negative utopianism and staying at suffering. Kim Hyun needs new strategy because he faces the strong criticism from opponent part like this: the method of literary negation is like powerless elitism and is an ideology in itself. The literary utopianism which mean the appearance of new existence can’t help becoming the negative utopianism. Negative realism is regarded as new method of negation. The shift from remaining the reader of poem to staying at suffering means that Kim Hyun always believes that there must be an literary resistance, and he thinks of his criticism as advocate of individualism.

      • KCI등재

        김현 중,후기 비평에 나타난 비평 전략의 변화 양상

        한래희 ( Lae Hee Han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hange of strategy in Kim Hyun`s criticism before and after the year 1980. Bachelard and Adorno have a great effect on the change of Kim Hyun`s literary strategy, so the literary theory of them is one of the important points in this study. The distinct feature of Kim Hyun`s criticism in 1970s` is summarized as this : Literature as transcendence and remaining the reader of poem. The urgent problem Kim Hyun faces in this period is the defence of autonomy of literature and justification of social role of literature as a negation of society. Kim Hyun accepts the literary theory of Bachelard and Adorno as an answer to those problem. The union of Imagination and will is the feature in Bachelard`s theory of imagination. The negativity is the characteristics of Adorno`s theory, which becomes grounds for the justification of Kim Hyun`s literary theory. Kim Hyun changes the literary strategy in 1980s` from remaining the reader of poem to negative utopianism and staying at suffering. Kim Hyun needs new strategy because he faces the strong criticism from opponent part like this : the method of literary negation is like powerless elitism and is an ideology in itself. The literary utopianism which mean the appearance of new existence can`t help becoming the negative utopianism. Negative realism is regarded as new method of negation. The shift from remaining the reader of poem to staying at suffering means that Kim Hyun always believes that there must be an literary resistance, and he thinks of his criticism as advocate of individualism.

      • KCI등재

        이황의 만매(晩梅)에 나타난 출처관과 도통의식 - 『매화시첩』을 중심으로 -

        심예인 ( Shim Yeain ) 퇴계학연구원 2021 退溪學報 Vol.150 No.-

        동아시아에서 매화는 봄을 알리는 꽃으로, 일찍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송대 이학을 집대성한 주자 역시 매화를 노래하였고, 주자를 본받고자 했던 이황도 평생 매화시를 써 내려갔다. 다만, 이황은 早梅의 고절한 모습뿐만 아니라 늦은 봄 뭇 꽃들 사이에 피어나는 晩梅를 노래하였다. 千紫萬紅의 꽃들 사이에서 피어난 만매가 곧 여러 선비들 사이에 존재한 빼어난 군자처럼 비쳐졌던 것이다. 이황이 마주했던 16세기 정치 현실은 수많은 척신들의 득세로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그는 온갖 색태와 향기가 가득한 속에서도 고고하고 깨끗한 자태와 은은한 향기를 퍼뜨리는 만매를 높이며 순선무악한 理를 추구하였다. 이황은 평소 자신이 송대의 선현으로부터 너무 늦게, 너무 멀리 떨어진 편벽한 곳에서 태어났음을 탄식하곤 하였다. 하지만 선현보다 늦었다 하여 탄식만 한 것은 아니었다. 이황은 도산에 은거하며 도의를 닦고 심성을 길렀다. 그에게 은거는 단순히 세상과 인연을 끊고 산림에 칩거하며 사는 방식이 아니었다. 주자가 무이산에 들어가 정사를 짓고 저술 및 강학 활동을 하면서 정주 이학을 완성한 자취를 본받고자 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도산은 이황의 이학이 자라나는 학문 공간이자 조선 이학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거듭된 조정의 부름에 세상을 그저 외면하지만은 못하였다. 도의를 닦아 세상을 경륜하고자 했던 이황이지만, 조정에 나아가서는 검은 먼지에 물들지 않는 뭇 꽃들 속 만매와 같이 자신을 지켜냈다. 한편, 이황은 16세기 중엽 조선 사회에 존재했던 다기한 도통의식과 넘쳐나는 이설 속에서 정주 이학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주자로부터 370여 년 뒤 조선의 땅에 태어난 이황은, 주자의 도가 아직 밝혀지지 않아 적막함을 안타까워하였다. 그러면서도 주자와의 정신적 교류를 통해 하나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하였다. 실제로 이황은 만매에 의지해 천자만홍과 같은 학풍과 사조를 정화시키겠다는 뜻을 내비추기도 하였다. 이때 조매가 주자의 이학에 비유된다면, 만매는 이황의 이학에 비유할 수 있다. 주자의 이학을 잇겠다는 이황의 생각이 만매를 통해 강한 도통의식으로 드러난 것이다. 여기에는 중국의 이학을 조선의 이학으로 정착시키려는 이황의 학문적 사명감과 자부심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령 찬바람에 꺾이고 꽃을 틔우지 못한다 하더라도, 매화의 뿌리가 굳게 내렸다면 훗날 반드시 꽃을 피워낼 것이라 노래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혀진다. 이황이 주자 이학을 조선의 땅에 뿌리내리게 했으니, 늦게 꽃을 피우는 만매처럼 이학의 향기가 퍼지기를 기대하고 소망한 것이다.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 매화분에게 물을 주라고 한 것도, 매화로 상징되는 조선의 이학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은 아니었을까. 그가 만년에 유독 만매를 노래하고, 죽기 전 마지막으로 『매화시첩』을 편찬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결국 이황이 그토록 노래한 만매는 혼탁한 현실을 정화하는 유일한 理이자, 천자만홍과 같은 선비 가운데 고절한 빛을 지켜낸 도학군자로 비쳐진다. 나아가 다양한 학통 내지 異說 속에서 피어난 이황의 이학이자, 주자 이학의 도통을 계승한 16세기 조선의 이학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East Asia, plum blossoms[梅花] have been loved by many as a flower that heralds spring. Zhuxi, who compiled the Song dynasty’s ‘Principle’, recited poems of plum blossoms, and Lee Hwang, who wanted to imitate Zhuxi, also wrote plum blossoms poems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Lee Hwang wrote poetry on the theme of plum blossoms blooming among the flowers in late spring[晩梅], as well as the noble appearance of early-blooming plum blossoms[早梅].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mong the many flowers was reflected like a man of virtue that existed among many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Lee Hwang faced was disturbing the court with the rise of numerous maternal relatives of royal family. Even in the midst of all kinds of colors and fragrances, he pursued the principle of pure goodness by exalting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at spread a noble and clean appearance. Lee Hwang used to lament that he was born too late and too far away from ancient sages of Song dynasty in a secluded place. But he did not just sigh. He hid in Dosan(陶山), cultivating moral principles and nurturing his nature. For him, hiding was not simply a way of living in the forest after cutting off ties with the world. It was intended to imitate the traces of Zhuxi who systematized th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while entering Muyi Mountain, building a temple, writing, and teaching. In that sense, Dosan is the place where Lee Hwang’s studies grew and the cradle of Joseon’s neo-Confucianism. However, he could not turn away from the world due to repeated calls from the court. He, who wanted to practice the world by cultivating morality, went to court and defended himself like a late-blooming plum blossom that was not stained by black dust. He tried to reveal his plight and feelings about resigning and remaining in office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On the other hand, Lee Hwang tried to systematiz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in the midst of the multifaceted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道統意識]’ and the overflowing dissenting opinions that existed in Joseon society in the mid-16th century. He sympathized that the way of Zhuxi was still unknown in Joseon 370 years after Zhuxi. He earnestly wished to become one with Zhuxi through spiritual exchanges. In fact, he expressed his intention to purify academic traditions of various schools by relying on late-blooming plum blossoms. If the plum that blooms early is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Zhuxi, the plum that blooms late can be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Lee Hwang. Lee Hwang’s idea of succeeding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was revealed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s a strong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t seems that there was Lee Hwang’s sense of academic mission and pride that ‘Chinese learning of principle’ transferred to Joseon and settled as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Even if the plum blossoms are broken by the cold wind and fail to flower, his poems are read in the same vein, saying that if the roots of the plum are firmly planted, they will surely bloom in the future. Since he made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take root in the land of Joseon, he hoped that the fragrance of ‘learning of principle’ would spread lik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e reason he asked to water the plum flowerpots at the moment of his last breath must have been his wish to continue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symbolized by plum blossoms. This is the reason why he recited poems of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in his later years, and compiled the last book 『Plum Blossom Poem[梅花詩帖]』 before he died. After all, in Lee Hwang’s poems,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 was the only principle[理] to purify the turbid political situation, and was a man of virtue who kept the stern light among scholars like many flowers. Furthermore, it meant the ‘Lee Hwang’s learning of principle’ established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traditions and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in the 16th century, which inherited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of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 KCI등재

        김택영의 초기 기행시집 『호령건연록(湖嶺巾衍錄)』 연구

        한영규 ( Han Young-gyu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9

        이 글에서는 새로 알려진 김택영의 초기 기행시집 『湖嶺巾衍錄』(1878)을 상세히 소개하고, 이 시집에만 실려있는 창강의 새로운 시를 중심으로 그 시적 특성을 살폈다. 이 시집에는 총 77제 96수의 시가 실렸는데, 이 가운데 「邊山遇金岩」 등 27제 35수의시는 다른 곳에 수록되지 않았던 것으로,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시편들이다. 이 시집에 실린 시들은 크게 세 가지의 특성을 지녔다. 첫째, 창강은 삼남 지역의 이름난 역사 유적을 직접 찾아가 대면하고 그 정회를 시에 담았는데, 유적의 위용 앞에서 자신의 처지를 되돌아보며 스스로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표출했다. 이러한 감정은 그의 내면에 功業이나 명망을 얻고자 하는 강한 열망을 지니고 있다는 반증으로 해석된다. 둘째, 여행지의 고독감 속에서 그는 명망 있는 師友들을 떠올리거나 직접 방문하여 그리운 마음을 기탄없이 없이 표출했다. 자신의 스승 이응진ㆍ김윤식ㆍ서응순을 떠올렸고, 존경하는 선배 이중하ㆍ이상수를 직접 찾아가 자신의 속마음을 적극적으로 표출했다. 특히 유배 간 이건창을 그리워하는 시를 수차례 지으면서, 그와의 만남이 단절된 것을 가슴아파하였다. 즉 이 시기 창강은 이들 사우와의 인간적 관계에 절대적 의의를 부여하고, 사우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는 절박감을 강렬하게 표현하였다. 셋째, 삼남여정에서 견문한 바의 鄕風土俗과 민간의 언어를 적극 수용하여 참신한 시로 창작하였다. 그 결과, 삼남 지방의 풍속ㆍ전설ㆍ속담 등을 활용한 토속성 짙은 여러 시편이 산출되었다. 이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창강 시의 새로운 모습이다. This paper is a detailed analysis of Kim Taek-young's newly known collection of poems, Horyunggeonyeonrok(湖嶺巾衍錄, 1878). The collection contains 96 poems, 35 of which were not included elsewhere, and are newly known. In other words, poems, which account for one-third of the total number of poems, have been newly known to us. This collection of poems is valuable in that it shows the original manuscript of 29-year-old Kim Taek-young. This collection of poems is a collection of travel poems that express their feelings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or 60 days. Several poems, such as "Listen to the Goose(聞雁)", which are one of his representative works, were created intensively during this journey. Thus, 1878 was a time when passion for poetry and ability as a poet reached its peak. The poems in this collection have three main characteristics. First, he visited historic site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aptured their appreciation in the poem, in which he expressed his self-reflection by looking back on his situation. Second, he thought of a famous senior and friend in the solitude of a travel destination, or visited in person to express his longing without hesitation. Third, the local customs and civil language experienc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actively accepted and expressed in fresh language. These three points are a new aspect of his poem, which has not been known.

      • KCI등재

        홍윤숙의 원체험과 전쟁, 피난, 평화 이미지 -『여사 시집』(1962)과 시극 「에덴, 그 후의 도시」(1967) 중심으로-

        박연희 ( Park Yeonhee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3 사이 Vol.34 No.-

        이 글은 홍윤숙의 해방기 시에 드러난 현실 인식의 특징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여사 시집』(1962)을 전후로 하여 한국전쟁의 원체험을 재독할 수 있는 전후 세계의 형상을 분석해 한국 전후 시문학사에서 홍윤숙의 독자적인 면모를 고찰한 것이다. 특히 시극 「에덴, 그 후의 도시」는 전후시에 반복되었던 나무 이미지와 전후 세대의 단절되고 불안한 심리를 전면화하고 있어 이에 주목해 문학사적으로 평가되온 그의 지성적인 면모를 살폈다. 한국전쟁 세대가 전후 사회의 새로운 일상과 급변하는 현실정치에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추적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시극 「에덴, 그 후의 도시」는 홍윤숙의 전후문학에서 주목된다. 이는 산업화 시기에 경제적 성공을 맹목적으로 추구해온 ‘남자’의 파멸의식을 다루되, 그의 소유욕과 정신착란을 에덴 신화의 원죄에 비유해 고통의 정체를 상징적으로 밝힌 텍스트이다. 남자는 시극의 중요한 무대 배경인 ‘에덴 그 후의 병든 나무’처럼 고립된 방에서 자기 붕괴에 이르는 타락과 파멸의 시간을 겪는다. 남자는 끊임없이 평화를 갈구하지만, 홍윤숙은 이를 회복 불가능한 것으로 처리하며 그러한 원인으로 식민지와 세계대전, 한국전쟁 등을 거쳐온 생애―홍윤숙이 경험한 자기 세대의 모순―을 적시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로는 홍윤숙의 해방기 문학은 이별, 즉 분리와 단절의 시적장면에서 그리움, 불안의 감정이 고조될 때마다 이를 새로운 혁명의 순간으로 형상화한 반면에, 전후문학에서는 생존 방식으로서 피난, 탈주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상태를 반복한다. 한국전쟁기 잔류 경험과 1·4 후퇴의 역사적 트라우마 속에서 그의 전후문학은 죽음을 극복하기 위한 이동 서사를 등장시키지만 번번히 단절, 지연, 차단되는 것으로 끝난다. 이는 냉철한 지성과 감정의 절제라는 홍윤숙의 문학사적 위상을 제대로 재평가할 부분이다. 홍윤숙 문학에 고유한 지성은 복합적인 전쟁 경험으로 재맥락화될 때 현실을 겨냥한 전후 문학으로 재독할 수 있는 역사적 가능성을 지닌다. 그는 한국전쟁 이후 억압되어 있던 역사적 전망과 비로소 마주하게 된 상황에서 미완의 평화를 구현할 시적 이념과 표상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Hong Yun-sook’s unique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ostwar poetr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her perception of reality in her poe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nalyzing the shape of the postwar world in which the original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can be reread around Collection of Yeosa’s Poems(『여사 시집』, 1962). In particular, 「Eden, the City Afterwards」 foregrounds the image of trees that was repeated in postwar poetry and the disconnected and anxious psychology of the postwar generation, and we examine his intellectual side, which has been evaluated in literary history. It is important to trace how the Korean War generation responded to the new everyday life and rapidly changing realpolitik of postwar society. As we have seen, Hong Yun-sook’s literature of the liberation period is characterized by a poetic scene of separation and disconnection, in which emotions of nostalgia and anxiety are heightened and transformed into a new moment of revolution. Postwar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reiterates the structural impossibility of evacuation and escape as a mode of survival. Amidst the historical trauma of residency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1.4 retreat, his postwar literature presents a narrative of migration to overcome death, but it is repeatedly interrupted, delayed, and blocked. Rather, it is this postwar awareness that will allow us to properly reevaluate Hong Yun-sook’s status in literary history as a writer of sober intellect and emotional restraint. The intellect inherent in Hong’s literature, when recontextualized with the complex experience of war, has the historical potential to be re-read as postwar literature aimed at reality. It was only when he was confronted with the historical outlook that had been suppressed after the Korean War that he discovered the poetic ideology and representation that would embody the unfinished pe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