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능동-수동지연행동과 자기조절학습전략과의 관계

        신을진,고진경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지연행동과 능동지연의 하위요인(결과만족, 압력선호, 의도적지연결정, 마감능력)을 조합하여 어떤 군집이 형성되는지,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군집이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각 척도에 있어 어떤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3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개의 군집(비지연집단, 수동지연집단, 능동지연집단)이 나타났다. 이중 능동지연집단은 지연행동이 평균이고, 능동적지연의 하위 척도인 결과만족, 압력선호, 의도적 지연결정도 평균 이상이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전략 중 초인지전략,자기효능감, 시간과 학습환경, 노력조절, 또래학습에서 수동지연집단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비지연집단은 지연행동은 평균이하이고 능동지연의 하위 요인 중 압력선호와 마감능력은 평균이상이었으며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전반적으로 모두 높았다. 수동지연집단은 지연행동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능동지연의 하위척도들은 모두 평균이하였으며,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전반적으로 모두 낮았다. 이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s natural groupings of people in terms of the Tuckman Procrastination Scale and the sub-factors of Active Procrastination (outcome satisfaction, preference for pressure, intentional decisions to procrastinate, and the ability to meet deadlines) and what differences are observed among the identified groups of subjects with respect to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ducted on a sample of 360 undergraduates have led us to identify three groups of students :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the Passive-Procrastination Group, and the Active-Procrastination Group. The subjects clustered into “the Active-Procrastination Group” have achieved above-average scores both on the Procrastination Scale and on the three sub-factors of Active Procrastination (outcome satisfaction, preference for pressure, intentional decisions to procrastinate). They have also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ubjects in “the Passive-Procrastination Group” on the four sub-scales out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self-efficacy, time and learning environment, peer learning). The subjects who belong to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have earned below-average scores on the Procrastination Scale and above-average scores on the two sub-factors (preference for pressure and the ability to meet deadlines) of Active Procrastination. In general, they have demonstrated xcellence i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 subjects in ”the Passive-Procrastination Group“ have obtained the highest scores on the Procrastination Scale and below-average scores on the sub-factors of Active Procrastination. They tend to be behind the other groups of subjects on the relevant scale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what has been found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we will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 KCI등재

        의과대학 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 행동 간의 관계 : 의과대학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조민아(Mina Cho),이윤선(Yoon-S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의과대학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학업 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의과대학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의과대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자기지향완벽주의, 사회부과완벽주의, 의과대학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학업지연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자기지향완벽주의, 사회부과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의과대학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의과대학생의 자기지향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사회부과완벽주의는 의과대학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과대학 스트레스는 학업지연행동과 정적 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과대학 스트레스는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부과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스로 완벽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한 의과대학생들은 학업 지연행동을 적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와 달리 사회적으로 부여되는 완벽주의 경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스트레스가 높아질 때, 지연행동이 증가할 수 있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기지향완벽주의 경향이 있는 학생들도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얻을수록 학업지연행동을 더 적게 하게 되므로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정서적 지지와 격려가 중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medical school stress,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medical students. And we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cal school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lso,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156 who enrolled college of medicine, Seoul, using survey from February to March of 2019. To measu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ocial support, medical school stres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e used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The medical school stress scale, The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and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For correlational analysis, we us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cal school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self-oriented perfectionism among medical stud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we found no relations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lso, we fou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dical school stres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We found medical school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also, we fou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oreover, we found medical school stress fully mediated socially-prescribe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ocial support moderated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Conclusions Medical students who have self-oriented perfectionistic tendencies are not likely to procrastinate. However, Students who hav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re tend to academic procrastinate when they felt stress. And also, the effect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differed according to social support level. More social support buff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 KCI등재

        수동지연 및 능동지연과 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박주현,송주연,이우걸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연구논총 Vol.4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동지연 및 능동지연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습상황에서 수동지연과 능동지연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동지연 및 능동지연과 성향, 동기, 정서, 전략, 학업성취 변인들 간 상관계수의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학교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체계적 선정기준에 따라 메타분석에는 최종적으로 국내 연구 242개와 95,051명의 연구대상자가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수동지연은 적응적인 변인들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부적응적 변인들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수동지연의 부적응적 양상을 재확인하였다. 능동지연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능동지연은 성향 중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능동지연은 자기효능감과 기본심리욕구와 정적 상관, 가치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능동지연은 정서 및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능동지연은 자기조절전략(동기조절, 인지조절, 메타인지, 행동조절)과 모두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동지연의 부적응적 양상은 중·고등학생에서 두드러졌으다. 본 연구는 능동지연이 긍정적 변인인 가치와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고, 학업성취 및 정서와의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은 점을 토대로 능동지연을 학습 상황・맥락과 관계없이 항상 적응적인 전략으로 개념화하는 것에는 조심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assive and active procrastination with related variables, aiming to understand their roles in educational settings. To achieve thi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average effect size was calculated by combin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ctive or passive procrastination and related variables(personality variables, motives, affect, strategies, academic achievement). After applying the systematic selection criteria, the meta-analysis finally included 242 domestic studies and 95,051 study subjects.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passive procrastination negatively correlates with adaptive variables but positively correlates with maladaptive variables, confirming the maladaptive nature of passive procrastin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tive procrastination and the related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active procrastin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fectionism-related evaluation concerns. Second, active procrastination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value. Third, active procrastination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motions or academic achievement. Fourth, active procrastination demonstrat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elf-regulation strategies. Last, the maladaptive features of passive procrastination were more pronounced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conceptualize active procrastination as an adaptive strategy regardless of the learning situation or context, based on the fact that active procrastination show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value and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cademic achievement or emotion.

      • 고등학생의 미래결과에 대한 고려와 자기통제가 능동 지연행동과 수동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지영(Moon, Jiyoung),한세영(Han, Sae-Young)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20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4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contemplation of future consequences and the exercise of self-control affected active and passive procrastination behaviors evinced by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510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that queried the components of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self-control, as well as active and passive procrastination was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path analyses.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significant results: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was found to indirectly influence active and passive procrastination through the element of self-control. High scores in the sub-scale CFC-Future prompted higher self-control which, in turn, caused higher active procrastination and lower passive procrastination. Higher tallies in the sub-scale CFC-immediate were found to initiate lower self-control which, in turn, generated lower active procrastination and higher passive procrastination. In conclusion, the present investigation confirmed that the cognition of future consequences and the application of self-control affect both active and passive forms of procrastinat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anners in which the thinking of future consequences influences active and passive procrastination behaviors exhibited by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ospective investigations into the theme of procrastination during adolescence.

      • 시간관과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관계: 반추적 사고의 매개효과

        박지은, 송현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7 No.1

        본 연구는 지연행동과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시간관과 일반적 지연, 시간관과 취침시간 지연행동, 반추적 사고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취침시간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67명(남 150명, 여 317명)을 대상으로 시간관 척도, 취침시간 지연행동 척도, 반추-반영 척도, Lay의 일반지연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관, 일반적 지연과 취침시간 지연행동, 반추적 사고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일반적 지연과 취침시간 지연행동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시간관과 일반적 지연, 시간관과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과거부정적 시간관, 현재쾌락적 시간관, 현재숙명론적 시간관은 취침시간 지연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미래지향적 시간관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시간관과 일반적 지연, 시간관과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반추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반적 지연의 경우, 과거부정적 시간관과 일반적 지연 간의 관계를 반추와 숙고가 부분매개 하였다. 또한 현재숙명적 시간관과 일반적 지연과의 관계를 반추가 부분매개 하였다. 반면,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경우, 과거부정적 시간관과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반추와 숙고가 부분매개 하였으며. 현재쾌락적 시간관과 취침시간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숙고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현재숙명론적 시간관과 취침시간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반추가 부분매개 하였다. 본 연구는 취침시간 지연행동과 관련된 변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취침시간 지연행동만이 가지는 특성을 탐색하여 보다 더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evance between procrastination and bedtime procrastination and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bedtime procrastina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erspective and general procrastination, between time perspective and procrastination, and ruminative thought. In order to do so,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467 college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universities in the capital area(150 males, 317 females). The measurement methods conducted were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Bedtime Procrastination Scale, Rumination-Reflection Questionnaire, Lay’s General Procrastination.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ime perspective, general procrastination, bedtime procrastination, ruminative thought are significantly related on verification.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st-negative time perspective, present-hedonistic time perspective, present-fatalistic time perspective and bedtime procrastination and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future time perspective on verification. Secondly, we have observed the mediator effect of ruminative though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erspective and general procrastination and that of time perspective and bedtime procrastination. As a result, in the case of general procrastination, rumination and refle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negative time perspective and general procrastination. Also, rumin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nt-fatalistic time perspective and general procrastin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edtime procrastination, rumination and refle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negativetime perspective and bedtime procrast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nt-hedonistic time perspective and bedtime procrastination, partial mediation of reflection demonstrated a significant effect. Moreover, rumin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nt-fatalistic time perspective and bedtime procrastination Its significance resides in the fact that the understanding of factors related to bedtime procrastination. Also, it can be expected to help in more effective treatment intervention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unique to bedtime procrastination.

      • KCI등재

        학업지연 행동의 기질적, 환경적, 동기적 선행요인 검증

        이선영(Sun-Young Lee),김성일(Sung-il Kim),봉미미(Mimi B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3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학습자의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업지연 행동의 선행요인으로써 학습자의 기질적, 환경적, 동기적 요인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연구 1의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 결과, 학습자가 자신이 속한 수학 교실을 숙달목표구조로 지각하고, 수학 교과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흥미가 높을수록 학업지연 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가 지각하는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숙달목표구조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흥미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수학 교과에 대한 실패공포와 유용가치는 학업지연 행동을 설명하지 않았다. 연구 1의 결과로부터 학업지연 행동에 회피적인 심리 기제가 관여하는지를 추가로 검증하기 위하여 후속 연구를 하였다. 연구 2의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 결과,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업지연 행동은 감소하는 반면 학습자가 정서비용을 높게 느낄수록 학업지연 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흥미와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에서 정서비용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Academic procrastination refers to learners" irrational delay of schoolwork in the learning process. Academic procrastination deteriorates learners" successful academic experience and induces negative affection such as guilt and shame. In spite of diverse attempts to clarify anteceden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findings on relevant antecedents have been either inconsistent or limited in scope. In this research, we examined potential anteceden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that included learners’ disposi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environmental and motivational factors. Moreover, we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the antecedents to explain their predictive pattern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In Study 1, contrary to our expectation, neither learners’ fear of failure nor learners’ utility value direct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Mastery goal structure,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rest were direct negative predictor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self-efficacy was also a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mastery goal struct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s well as between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Study 2, academic self-efficacy was again a direct negative predictor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lso, both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rest negatively predicted learners’ emotional cost, which in turn,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Even though interest did not predict academic procrastination directly in Study 2, it indirect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via emotional cost.

      • KCI등재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선미(Sunmi Kim),오은주(Eunjoo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선정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적지지가 가지는 효과성과 그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인한 학업지연행동을 빈번하게 겪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지연행동으로 인한 어려움을 다룰 때 고려할 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 남부 소재 네 개의 인문계 고등학생 385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SPSS(28.0.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신뢰도 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가 제안한 위계적 회기분석과 Sobel Test를 진행하였으며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iken과 West가 제안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변수들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ayes가 제안한 방법에 따라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패공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가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실패공포를 통해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적지지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지지가 평균 이상일 경우에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평균보다 낮은 경우에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실패공포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지지는 학습자에게 각각 다른 방식으로 인식되어 학업지연행동에 상이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무조건적인 사회적지지를 제공하는 대신 학습자의 성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사회적지지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s by fear of fail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ethods For this research,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385 students (177 males and 208 fe-males) attending four academic high schools located at southern Gyeonggi Province.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ed.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other words, students with hig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tendency to experience academic procrastination often. Second, it was found that fear of failur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meditated through fear of failure.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s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Furthermore, social supports were found to strengthen the impact between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so-cial supports, the greater the impact between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However, when the fear of failure was low,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s, the less academic procrastin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fear of failure was high,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appeared frequently regardless of the level of social suppor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fear of failure, people perceived reputation from others negatively or pos-itively, which can be thought to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Fourth, social prescribed perfectionism affe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through fear of failure controlled by the social support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the moderated mediation of social supports by fear of failure when social supports were average or above average. On the other hand, when social supports were low, the moderated mediation of social supports by fear of failure was found to be invali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cademic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fear of failure, social supports can be perceived to learners in different ways and have different effect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social supports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tendencies instead of providing unconditional social supports.

      • KCI등재

        중학생 대상 단계적변화모형 기반학업지연행동극복 그룹코칭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정재희,탁진국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3

        The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program to overcome academic procrastina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processes of change including the consciousness-raising, emotional arousal, self-reevaluation, commitment, reward, countering, environment control, helping relationships. and confidence enhancement.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eight sessions including 9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final program was completed after a preliminary experiment on 19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54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assigned 16 for the experiment group, 16 for the comparison group, and 22 for the control group. While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coaching program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time management program.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program. The experiment, comparison, and control group were tested in pre, post, and follow-up(1 month, 3 months) in order to decisional balance of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self-efficacy of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stages of change in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program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on 41 individuals, 13 in the experiment group, 13 in the comparison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13 who scored low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he pre-test. One-way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homogeneity of the three groups, and then mixed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teraction between time interval and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ime interval and group was significant in cons recognition of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self-efficacy of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stages of change in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academic procrastination. Thus, the group coaching program to overcome academic procrastina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modifying overcoming academic procrasti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oaching effectiveness was mainta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단계적변화모형을 기반으로 중학생의 학업지연행동극복을 위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행동변화에 유용한 의식의 고양, 정서적 각성, 자기 재평가, 전념, 보상, 대체, 환경통제, 주변의 도움 등 8가지 변화기법과 자신감 증진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1회 90분씩 총 8회기로 구성하였으며, 19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실험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54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 통제집단 22명으로 나누어 배치한 후, 실험집단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계적변화모형 기반 학업지연행동극복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학업지연행동극복을 위한 시간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어떤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 사후, 추후(1개월, 3개월) 시점에 학업지연행동조절 의사결정균형, 학업지연행동조절 자기효능감, 학업지연행동조절 변화단계, 학업지연행동,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세 집단의 동질성 확인을 위한 일원배치분산분석 후 사전, 사후 시점과 실험, 비교, 통제 집단 간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혼합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업지연행동조절 의사결정균형 중 학업지연행동조절 손실 인식과 학업지연행동조절 자기효능감, 학업지연행동 변화단계, 학업지연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추후에도 코칭의 효과가 유의하게 지속되었다. 이에 단계적변화모형 기반 학업지연행동극복 그룹코칭이 중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향후 연구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통제소재, 미래시간조망, 그릿(grit)과 지연의 관계 분석

        권대훈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4

        Procrastination is the tendency to delay initiation or completion of important tasks(Lay, 1986), and acts as a negative factor in the achievement and growth. Procrastination is an almost universal human tendency, but is poor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locus of control, future time perspective, grit, and procrastination. Two hundred and four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Locus of control scale,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Grit scale, and Procrastination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ocus of control, future time perspective, and gri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crastination respectively. Second, future time perspective ful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locus of control to procrastination, and grit ful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locus of control to procrastination. Third, path analysis showed that 1) locus of contro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grit respectively, 2) future time perspectiv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grit and procrastination respectively, 3) gri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rocrastination, 4) future time perspective and grit doub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locus of control to procrastination. 지연은 중요한 일의 시작이나 완성을 의도적으로 미루는 경향성으로, 개인의 성취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연은 대부분의 인간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경향성이지만, 아직까지 명쾌하게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 연구는 통제소재, 미래시간조망, 그릿(grit)이 지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통제소재, 미래시간조망, 그릿과 지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둘째, 미래시간조망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지, 그리고 그릿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지 검증하고, 셋째, 미래시간조망 및 그릿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 10월 둘째 주에 경상북도 북부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2개 고등학교에서 표집한 고등학교 1학년 204명에게 통제소재 척도, 미래시간조망 척도, 그릿 척도, 지연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소재, 미래시간조망, 그릿은 각각 지연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미래시간조망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했고, 그릿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했다. 셋째, 경로분석 결과 미래시간조망 및 그릿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고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연행동 관련 변인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송정은,김희진,Song, Jung-Eun,Kim, Hee-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지연행동에 관한 연구를 메타 분석하여 지연에 미치는 변수들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학술지 49개, 석사 64개, 박사 1개 등 총 114개 연구에서 312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억제변인에서 154개, 유발변인에서 158개 총 312개 사례(k)의 효과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연행동의 억제변인을 보면, 평균 효과크기는 .333이었으며, 유발변인의 평균 효과크기는 .215이었다. 자기통제 -.587과 성실성 -.548로 지연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미래지향 시간관, 자율규제, 자기효능, 메타 인지전략, 학문적 자기효능, 자기조절, 적극적 스트레스 극복 스타일 등의 변인이 중간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지연행동의 효과크기는 .369이었으며, 학업 지연행동의 효과크기는 .308로 일반 지연효과가 학업 지연효과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지연행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통제'와 '성실성' 변인 및 '시간관리', '미래지향 시간관' '자기조절' 등 지연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에 대한 관리 및 자기효능감 향상, 유발변인의 극복을 위한 개입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ariables that affect procrastination through a meta-analysis of studies on theses published in journals. A total of 114 studies analyzed 312 papers,finding a total of 312 effects comprising 154 protective and 158 triggering variables. As a result, the average effect of protective variables was 0.333, and the mean effect of triggering variables was 0.215. Self-control (-0.587) and conscientiousness (-0.548) variables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procrastination. Time management, time perspective, autonomous norms, meta-recognition strategies, academic self-efficiency, self-control, and active stress coping style variables have a moderate impact. The effect of general procrastination was 0.369, and the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0.308, indicating that procrastination in generalis greater than academic procrasti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seems to be necessary to prevent procrastination that, in addition to self-control and conscientiousnes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ocrastination(such as time management, time perspective, and self-regulation)whichneeds to be managed.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plans to improve self-efficacy and to control triggering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