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고대 피리의 연원(淵源)에 관한 소고(小考) -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

        문주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5 No.-

        ‘Piri(Korean Pipe)’ is written as Pillyul in Chinese character. It is categorized into a vertical instrument with Gyeobseo(Double reed) and an important wind instrument which leads the main melod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s. In this study, I have not only figured out the concepts and the shapes of different types of Piri, which was widely used over the ancient Central Asia, but also examined how the ancient Korean Piri was introduced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In addition, I have mainly examined the relevant literature to ascertain parts of the fact on how the ancient Korean Piri was introduced and the process of its being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domestic circumstances of music field. Focusing on the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 I have studied on its names and structures including the channels of its dissemination. The following demystifies the result. 1. ‘Piri’ means ‘Pillyul’ and is written 觱篥, 篳篥 in Chinese character. It was also called ‘Biyul(悲篥)’, or ‘Gagwan(笳管)’, or ‘Duguan(頭管)’. 2. The Piri introduced to Goguryeo is a vertical instrument. 3. Piri is conjectured to have been introduce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o Goguryeo by the countries on the Silk Road such as Anguk, Soreuk, Guja, Gochang, Seoryang, Yeonak, etc.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Piri is a vertical wind instrument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4. In Goguryeo, there were Dae-Piri(large Piri) and So-Piri(small Piri) which were different in the length of the instruments, as well as Dopi-Piri, which was made of a peach skin, as a unique instrument of the time. 5. There is no literature proving that Pillyul and Ssang-Pillyul existed in Goguryeo, however,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they existed in the time, considering Piri playing image, carved on Jeokjoham stupa of Great Master Jizeung in Bongam-Sa and Ssang-Piri which has been transmitted in Ganghwa-Do. ‘피리’는 한자어로 필률(觱篥・篳篥)으로 표기된다. 한국 전통악기 분류방법 중에서 겹서(Double reed)를 가진 종적악기(縱笛樂器)로 분류되며, 한국 전통음악 연주시 주선율을 이끌어가는 중심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관악기이다. 본 연구는 고대 중앙아시아에 다양한 모습으로 산재했던 피리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형태를 파악하고 한국고대 피리가 서역으로부터 어떻게 유입되었는가를 고찰하고자하였다. 또한 피리가 국내의 음악적 상황에 적응하며 수용되어가는 편린들을 문헌자료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피리가 어떻게 국내에 수용되었는가를 파악하기위하여 피리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있는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고대와 현대의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한국 고대 피리에 관한 명칭, 악기구조, 전파경로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피리’는 ‘필률’를 의미하며, 한자로는 觱篥, 篳篥으로 표기된다. ‘필률’ 이외에 ‘비율(悲篥)’, ‘가관(笳管)’ 또는 ‘두관(頭管)’의 악기명칭도 사용되었다. 둘째, 고구려에 유입된 피리는 갈대서와 관대를 가진 종적악기이다. 셋째, 피리는 안국・소륵・구자・고창・서량・연악 등의 실크로드 상의 국가들을 거치면서 직・간접적인 유입경로를 통하여 고구려에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피리는 서역계 종적관악기이다. 넷째, 고구려에는 관대의 길이를 달리하는 대피리와 소피리가 있으며, 복숭아 껍질을 이용한 도피피리도 고구려의 독자적인 악기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문헌기록에 나타나는 필률과 쌍필률이 고구려에도 있다는 기록은 발견할 수 없으나,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함에 조각된 피리 주악상과 현재 강화도에 전승되는 쌍피리 등을 고려하면, 고구려에서도 이 두 가지 악기가 존재하였을 개연성이 충분하다.

      • KCI등재

        피리협주곡의 시대별 전개양상

        윤형욱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이화음악논집 Vol.22 No.3

        Compared to a continuous performances of piri concerto, the study about this subject is only limited the analysis of solo melody and the techniques.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on looking into piri concerto on the whole through chronological changing process. The hronological period is divided into 4 stages. Embryonic stage, growing stage, expansion stage and golden stage along with social, cultural circumstances and major composers’ achievement. For embryonic stage from 1950s to 1970s, piri concerto using traditional music like Jeong-Ak and Maenari was announced through composition contest hosted by the country after the very first piri concerto by Kim Hee Jo Folk Song Sketch for Piri and Orchestra. 1980s, we call it growing stage. During this period, because of the influence of Guk-Ak’s popularization, western musical expression was appeared to existing musical pieces. Also, popular interest toward Pansori, Samulnori, and Sanjo was spread to a subject matter of piri concerto. Thus, Sanjo became a theme of a musical piece. In 1990s which was expansion stage, various composers started to express different emotions and materials. Collaboration appeared with the use of improved instrument. And also instrument players actively participated in composing. Lastly, new generation composers appeared and made piri concerto using variety of materials and techniques during golden age. Thus, piri concerto grew rapidly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Moreov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iri techniques, piri performers brought the techniques of western instrument to broaden the techniques of piri. This study closely looked into developments of piri concerto. Piri oncerto developed hand in hand with the history of creative music and it goes on even at present. To overcome and develop the piri concerto, we have to find the limitation and its solution. Through this study, hopefully it will. 본 논문은 피리협주곡의 시대별 전개양상을 통해 피리협주곡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초의 피리협주곡이 창작된 시기부터 2017년까지를 시간적 범위에 두고 사회·문화상황과 주요 작곡가의 업적에 따라 ‘태동기’, ‘성장기’, ‘확장기’, ‘전성기’ 네 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태동기’는 1950~1970년대까지로 1957년 발표된 최초의 피리협주곡을 시작으로 국가 주체의 작곡 공모전을 통해 정악과 메나리 등 전통음악을 용재로 한 피리협주곡들이 발표되기 시작하였다. ‘성장기’는 1980년대로 국악 대중화의 영향으로 서양음악어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작품들이 발표되었다. 또한 판소리와 사물놀이, 산조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은 피리협주곡까지 전파되어 산조를 소재로 한 품이 작곡되었다. ‘확장기’는 1990년대로 작곡가들이 다양한 소재와 감정을 표현하기 시작했으며, 개량악기를 사용한 협연곡이 등장하였다. 또한 악기 연주자들이 작곡에 활발하게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전성기’는 2000년대 이후로 새로운 세대의 작곡가들이 등장해 다양한 어법과 소재를 활용하여 개성이 드러나는 피리 협주곡을 작곡하기 시작하였다. 그로 인해 피리협주곡이 양적·질적으로 비약적 팽창을 이루었다. 또한 피리 연주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피리연주가들은 서양 관악기의 연주법을 피리에 도입하여 피리 연주법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피리협주곡의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피리협주곡은 창작음악의 역사적 흐름과 함께 성장하였으며, 현재도 계속 해서 성장해 나가는 과정에 있다. 앞으로 피리협주곡이 더욱 발전해 나가기 위해선 현재 피리협주곡이 갖고 있는 음악적 한계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피리협주곡의 전개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그 방안을 찾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피리교재의 기초연주법내용 분석 연구

        김성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3 No.-

        This paper examines the basic techniques in piri textbooks currently available on the basis of the precedent studies on piri techniques in order to present a new direction to the training of basic piri techniques, and the findings are listed below. Firstly, the piri techniques presented in the precedent studie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stages: a stage to make a sound and a stage to play tunes. The sound making stage includes the playing posture and embouchure while the playing stage can be divided into the techniques for melody progress, the techniques for emphases and ornateness. All these techniques should be mastered to play the piri instrument. In the training of basic techniques, however, the playing posture, embouchure, and fingering should be prioritized as proposed in this paper. Secondly, there are 13 kinds of the piri relevant textbooks and music books which can be found through search engines as of April of 2019. The textbooks are considered to be of 5 in total excluding those more of music books. Thirdly, all the five piri textbooks available at present include the training of basic piri techniques when analyzed mainly with the playing posture, embouchure, and fingering. However,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nd problems in that they commonly take very small portions for the basics with lack of practice songs as well as the use of ununified terms. As mentioned above, it is considered problematic that piri textbooks currently available have very little contents for basic techniques and they lack in unity in the use of ter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basic techniques in contents and give clear and lucid account utilizing figures and photographs. It is also proposed to include practice songs in each stage for better training of the embouchure and fingering of piri. Also, the use of the unified terms for the parts of piri can prevent the beginners from falling into confusion.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피리 연주법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현재 나와 있는 피리교재의 기초연주법내용을 분석해서 새로운 피리 기초 연주법교육의 방향을 제시해보려 하는데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피리의 연주법을 분류해 보면, 우선 소리를 내는 단계의 연주법과 연주를 하는 단계의 연주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소리를 내는 단계의 연주법을 연주 자세와 취법으로 볼 수 있으며, 연주를 위한 연주법에는 선율 진행을 위한 연주법과 음색을 바꾸기 위한 연주법, 강조나 꾸밈을 위한 연주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피리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이런 연주법이 모두 숙달되어야 하겠지만,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기초 연주법에서는 연주자세교육과 취법, 안공법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둘째, 현재 2019년 4월을 기준으로 도서검색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피리와 관련된 교재와 악보집은 13종이 있다. 여기서 악보집 성격이 강한 교재를 제외하면 총 5종이다. 셋째, 현재 나와 있는 피리교재 5종의 기초연주법내용을 연주 자세교육과 취법, 안공법을 위주로 분석해보면, 피리교재의 기초 연주법교육에 관한 부분은 모든 교재에 수록이 되어 있다. 하지만 각각의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공통적으로 분량이 너무 작고 연계된 연습곡이 미비하다는 점과 통일된 용어를 쓰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나와 있는 피리교재의 기초연주법내용을 분석해본 결과 기초연주법에 대한 분량이 너무 작다는 점과 용어의 통일성이 부족한 점이 문제라고 생각된다. 우선 기초연주법교육을 위한 내용이 늘어 나야하고, 그림이나 사진 등을 활용하여 알기 쉽게 설명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취법교육과 안공법교육을 위해 각 단계별로 연습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 피리의 각 부분에 대한 명칭을 통일한다면 초보자들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 피리의 기원과 서역 문화의 영향

        이용식 ( Lee Yong-shik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21 藝術論集 Vol.22 No.-

        피리는 전통음악에서 주선율을 연주하는 중요한 악기의 하나이다. 피리는 3종류가 있는데, 중국에서 유래된 당악을 연주하는 당피리, 오래전부터 전승되는 우리 고유의 음악을 연주하는 향피리, 그리고 노래 반주나 소규모 편성의 방중악에서 연주하는 세피리가 있다. 3종류의 피리는 관대의 굵기도 차이가 있어서 그 음량에서도 차이가 난다. 피리 종류의 겹서 악기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역에 두루 분포한다. 중국의 구완(管) 또는 비리(觱篥), 일본의 히치리키(觱篥), 중앙아시아나 아랍권에 전승되는 발라반(balaban) 또는 두둑(duduk) 등의 악기는 피리와 같은 계통의 악기이다. 이들 피리 종류의 악기는 문화전파와 문화접변에 의해 확산된 것이다. 이글에서는 아시아의 피리 종류의 악기의 역사와 구조적 특징을 통해 우리나라 피리의 기원을 밝히고, 피리 종류 악기의 범(汎) 아시아적 보편성과 우리나라 피리의 독특한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고구려의 피리 계통 악기는 서역에서 고구려로 직접 들어온 악기로서 (복숭아) 나무 껍질로 만든 관대를 갖는 악기이다. 이 악기는 서역에서 중국에 전해져서 대나무 관대를 갖는 다른 피리 계통의 악기와는 다른 것이다. 고구려 피리는 나무 관대를 갖는 악기로서 호부의 악기가 아닌 속부(俗部)의 악기로 구분해서 다른 피리 계통의 악기와 구분한다. 그리고 고구려의 피리가 중국의 수나라와 당나라에 전해지면서 중국에서는 이를 도피피리라 표기했다. 고구려 피리는 백제를 거쳐 일본에 전해져 일본에서 막목(莫目)이 되는데, 이는 서역에 오래 전에 존재했던 피리의 원형이 되는 악기인 맘(mam)의 음차이다. 이 악기는 고구려 멸망 이후 거문고나 젓대와는 달리 신라에 전승되지는 않았다. 신라에는 당나라에서 대나무 관대의 피리가 전해져 당피리와 향피리가 되었다. The piri, the double-reed bamboo obo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usical instruments which plays the main melody in the ensemble music. There are three kinds of the piri; the dang-piri, originated from Chinese Tang dynasty and used for the Chinese-origined pieces, the hyang-piri, the native instrument played for the native pieces, and the se-piri, the slender instrument played in chamber music and song accompaniment. The three kinds of piri are different in their sizes and the volume. The double-reed oboe is, in fact, a universal wind instrument in Asia; the guan or the bili in China, the hichiriki in Japan, the balaban or duduk in Central Asia and Islam world, and so on. The double-reed oboes exist in Asian cultures by the diffusion transmission.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origin of the Korean piri by examination of the Asian double-reed oboes. In this regard, I will discover the pan-Asian universality of the double-reed oboe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iri. The piri in the Goguryeo dynasty is imported from the West. Its tube is made of the wood. It is different from the double-reed oboe of the China whose tube is made of the bamboo. It was introduced in the Chinese courts and is called dopi-piri, literally pear-skin oboe. It was also introduced to Japan via Baekje dynasty and is called makmok. The term is originated from the man in the West. It has not been transmitted in Korea since the Unifined Silla dynasty. In Silla, the double-reed oboe whose tube is made of the bamboo was introduced from China and used widely.

      • 조선시대 觱栗差備의 활동양상 - 官과 民의 음악적 징검다리

        진윤경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5 콘텐츠 문화 Vol.7 No.-

        한국의 전통 관악기 필률(觱篥)은 큰 음량과 이동이 용이하다는 특성을 바탕으로 야외에 서 행해졌던 조선시대 궁중과 민간의 행악과 연향악 및 의식음악의 반주악기로 널리 사 용되었다. 따라서 전통 합주악곡에 있어 필률차비(觱篥差備)1는 음악을 이끌어나가는 리 더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그러나 음악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과는 별개로 이들의 신분은 매우 낮았으며 특수한 집단에서만 필률을 전승할 수 있었다. 필률은 궁중 음악기관인 장악원에 속하거나 민간 전문예인집단에 속하지 않고서 는 쉽게 접근 할 수 없는 악기였으며, 연주자들은 전문적이고 폐쇄적으로 연주법을 전승해 왔다. 조선시대 필률차비의 학습은 크게 궁중의 장악원과 민간의 세습가계로 구분되어 이루어졌다. 장악원의 악공은 고취, 등가, 헌가와 같은 악대에 소속되어 궁중에서 열리는 조참, 조회, 진연, 제례 등 국가적 차원의 공식 적인 예연에 참여하였다. 이 중에서 관악기 중심의 악대인 고취, 헌가에 서 사용하는 악곡은 당필률로 연주되었고, 관현편성으로 무용반주를 비 롯한 연향을 담당한 등가에서 향필률을 사용한 악곡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 외에 장악원의 필률차비들은 궁중 밖에서 연주되는 사악(賜樂)을 담당 하기도 했는데 사악으로 내려지는 정재와 음악은 궁중의 것과 동일하면 서 인원만 축소되어 연행되는 것이기도 했다. 한편 민간의 필률차비들은 무업이나 연희 음악을 담당하기도 했지만 일부는 삼현육각 악대에 소속 되어 관속 연주자로서 공연예술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관속기관인 군영 과 지방 관아의 연주를 담당하면서 궁중에서 장악원 필률차비가 했던 역 할을 동시에 해나가기도 했다. 이렇듯 연주자들이 활동을 펼쳤던 공간과 연주악곡은 궁중과 민간의 뚜렷한 구분이 있어 이분법적으로 나누어지는 것이 아니었다. 물론 장악 원의 필률차비들은 당필률을 사용한 악곡을 중요하게 전승하였고, 민간 의 필률차비들은 향필률을 사용한 악곡을 위주로 전승했다는 점에서 차 이가 있기는 했지만 향필률을 사용한 악곡 중에서 행악과 무용음악으로 사용되었던 악곡들은 광범위하게 공유되어 왔다. 이처럼 신분제가 뚜렷하고 격에 따라 음악을 구분하는 특성이 강했던 유교사회 사회였음에도 불구하고 궁중과 민간에서 뚜렷한 구분을 짓고 활동하지 않았던 조선시대 필률차비의 활동은 궁중과 민간음악이 영향을 주고받는데 일부 중요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보이며, 이들이 전승한 음악들을 궁중 혹은 민간음악의 이분법적인 시각으로 분리하여 바라볼 수 없음을 역사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is a Korean wind instrument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st Korean traditional musical ensembles. It was customary that a Piri player would act as a leader of an ensemble group, because Piri’s loud sound makes it suitable for playing a main melody and lead other instruments. However, in Joseon Dynasty the social rank of Piri players was very low, and only a small number of players with professional skills would regularly play the instrument and pass down the music and the techniques to the younger generations. In Joseon Dynasty, there were two types of learning places for Piri. One was the court music institution. The main purpose of the court music institution was to raise player who can handle ceremonies for Kings. The other place where one can learn how to play Piri was among the folk musical groups who usually play shaman ritual musics or musics for folk ceremony. Although these two Piri player’s learning places were vastly different,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available Piri players, these two group would get to share lots of musical pieces. Court Piri players sometimes had to go out and perform for soldiers outside the court by orders of the Kings. Folk Piri players also had to play Piri pieces for ceremonies taking place in local government offices. During these mixing process, court music and folk music exchanged many features and melodies, which can still be found in the currently played traditional musics.

      • KCI등재

        윤이상의 오보에 연주기법과 피리 연주기법과의 관계: 특수주법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길주영,강우성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4 음악교육공학 Vol.- No.58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 he musical values of the world-renowned 20th century composer Yun Isang throughout his life, and to examine how his special playing techniques, which appear in the Western musical instrument oboe, are created and fused into his work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playing techniques of the piri and the oboe in his works, and to find an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s. Through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special techniques in his music, such as glissando, harmonics, double trills, rolling tone, quarter tones, multiphonics, flutter-tonguing, and bisbigliando are rooted in various playing techniques of traditional Korean piri, such as, sikimse, nonguem, chuseong, and toeseong, etc.. By understanding how these traditional elements of Korean piri are implemented in the work, the aim is to explor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This will help us to understand how the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piri are implemented in the work through special techniques and to fi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 oboe solo piece "Piri" <"Piri" für Oboe solo, 1971> and concerto for two oboes <Invention> (“Inventionen” für zwei Oboen, 1983) by Yun Isang was examined as a representative work that well exhibits the sepcial playing techniques of the oboe and the techniques of Korean piri. The appropriate playing techniques and expression methods of the composers presented in the study results can be beneficial not only to oboe players but also to educators of music.

      • 시나위 청의 개념과 활용 -전라도 굿음악을 중심으로-

        김미영 ( Mi Young Kim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2 藝術論集 Vol.12 No.-

        본고에서는 청의 어원 및 개념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였고 문헌과 악보의 기록에 나타나는 청의 개념을 정리해 보았으며 필자의 현지 조사를 통해 이루어진 전라도 당골 이장단과 그의 남편인 박영태 고인을 중심으로 남도 시나위의 청의 개념과 활용을 살펴보았다. 청의 관한 기존 연구는 백대웅, 이보형 남상숙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필자의 현지조사에 의하면 남도 음악인들이 실제로 인식하는 청의 개념이나 활용하는 방법이 다르게 나타났다. 문헌과 악보의 기록에 나타나는 청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악학궤범』 14조의 거문고 조형법을 통하여 청의 개념을 살펴보면 중심음으로도 쓰이고 궁보다 4도 낮은 음으로도 쓰였다. 『양금신보』 거문고 평조산형을 보면 무현은 탁궁, 괘외청과 괘상청은 궁이라고 쓰여져 있는데 청이 궁의 개념으로 쓰였고 거문고 우조산형은 악학궤범과 같이 중심음(궁)으로도 쓰이고 궁보다 4도 낮은 음으로도 쓰였다. 『오주연문장전산고』 이후에는 현행과 같이 괘상청, 괘하청, 무현을 모두 임종에다 맞추게 되어 궁보다 4도 낮은 임종은 이보형이 말한 기준음의 개념으로 쓰였다. 남도 시나위에서 청의 개념은 ‘바닥청’에서 찾을 수 있다. 바닥청은 악기로 낼 수 있는 최저음을 말하며 음(Pitch)으로 인식하여 조(key)의 개념보다는 음(Pitch)의 개념으로 보고 있다. 피리 7관을 잡고 불었을 때 가장 낮은 음(B♭)을 ‘밑청’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당골이 무가를 부를 때 반주악기들이 무가의 선율에 음을 맞추는 본청의 개념이기도 하다. 본청보다 높은 음을 상청이라 하고 낮은 음을 하청이라 하는데 상청은 key개념이 아니고 음역이 높은 음군(pitchs)을 하청은 음역이 낮은 음군(pitchs)을 가리킨다. 박영태가 말한 ‘엇청’은 판소리의 엇부침과 같은 개념이다. ‘새삼청’은 반계면이나 진계면처럼 ‘새로운 청’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피리 시나위청은 밑청, 어청청, 5관청, 4관청, 3관청이라는 청이름을 사용하였고 7관을 잡고 부는 밑청은 가장 낮은 음의 청으로 예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청이며 주로 굿을 시작하는 안당거리에서 사용이 된다. 젓대 시나위청은 피리 시나위청 의 청이름과 동일하게 상용한다. 젓대는 6개의 지공을 가지고 있어서 7관청을 낼 수 없지만 7관으로 연주가 가능한 피리와의 합주 시 풍성한 음악을 만들기 위해 7관청을 5관에서 만들어서 사용한다. 아쟁 시나위청은 본래 바닥청으로 시작을 하다가 당골이 부르는 무가의 청이 서서히 올라가면 안족을 움직이거나 돌괘를 돌려 줄을 조현하다. 아쟁은 예전에 굿판에서는 볼 수 없었던 악기였지만 근래는 남도 시나위에 고정적으로 편성이 되며 박영태는 주로 아쟁으로 무가의 반주를 많이 하며 젓대와 피리 연주는 상대적으로 상용이 적다. 근래에 들어서는 박영태를 비롯한 잽이들은 더 이상 하나의 악기로 지공을 떼면서 청을 높여 연주하지 않고 다른 음고의 악기들을 서너 대씩 가지고 다니며 무가의 청에 맞는 악기를 선택하여 반주를 한다. 박영태가 가지고 다니는 젓대는 Ckey, C#key, 반오관인 D♭↑key라고 인식한다. 시나위 청의 이름도 4관청, 5관청의 이름보다는 Ckey, D♭key 등의 서양음악적 용어를 사용하며 ‘황태중임남’의 풍류방 용어를 사용하며 ‘황태중임님’의 풍류방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정규교육을 받지 않은 굿판의 악사가 대학교육을 받은 아들에 의해서 습득한 서양음악식이 이론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나온 결과물이다. In this paper, after examining the existing studies on the etymology and concept of Cheong and sorting out the concept of Cheong appeared in the literature and record of music, I examined the concept of Cheong of Sinawi of the southern province and its practical use around the exorcist Lee Jangdan and her diseased husband Park Youngtae whom I found through the local survey. The previous studies on Cheng were accomplished by Baek Daewoong, Lee Bohyeong, Nam Sangsook. However the concept of Cheong which musicians of the Southern province are practically understanding and the method of its use have been appearing differently from them. The concept of Cheong appeared in the literature and record of music is as follows. In terms of method of tuning komungo(Korean harp) described in the article 14 of the Akhakgwebeom(the Illustrated Text on Traditional Music), the concept of Cheong was used either as the tonal center or the pitch four degrees lower than Gung. In Pyeongjosanhyeong of komungo(Korean harp) of Yanggeumshinbo(Yang`s sheet of music of Korean harp), Cheong was used as the concept of Gung in that the chord Mu(the first chord)was described as Tak Gung, whereas Gwewoe Cheng and Gwesang Cheong were discrribed as Gung. On the other hand, in Wujosanhyeong of komungo, Cheong was used as either the tonal center (Gung) or a pitch four degrees lower than Gung like in the Akhakgwebeom. After Oju8yeonjangjeonsango, Gwesan Cheong, Gweha Cheong, chord Mu have been tuned to Limjong which is four keys lower than Gung and has been used as the concept of the basic pitch Lee Bohyeong was talking about. In Sinawi of the Southern province, the concept of Cheong can be found in Badak Cheong(Cheong of Bottom). Badak Cheong which is the lowest pitch a musical instrument can ever produce is perceived as a pitch rather than a key. Badak Cheong which is the lowest pith(Bb) produced when blowing piri(Korean oboe) holding seven holes, is also the very concept of Bon Cheong(main Cheong) used for the musical instruments of accompaniment in tuning pitch to the melody of ritual music when an exorcist sings it. The higher pitch of main Cheong is called Sang Cheong and the lower one is called Sang Cheong, These are in the concept of the pitches rather than a Key. The Eot Cheong(deviated Cheong) Park Youngtae talked about is the same concept as Eotbuchim(deviated adhibition)in Pasori. Saesam Cheong means making new Cheongs like Dangyemyeon and Jingyemyeon in Pansori. In Sinawi Cheong of piri, names of Cheong like Mit Cheong(Cheong of bottom),Eocheong Cheong, 5gwan Cheong, 4gwan Cheong, 3gwan Cheong, among which the Mit Cheong produced when blowing piri holding 7 holes, is the lowest pitch and the new Cheong which was not seen in the rituals before has been used mainly in Andangeori(the first stage of shaman rituals). In Sinawi Cheong of jeotdae, name of Cheong identical to the sinawi Cheong of piri is used. Jeotdae which has 6 holes can not produce 7 hole Cheong, however, it works it with 5 holes to make a solemn music in case of concert with piri which is played with 7 holes. The sinawi Cheong of ajaeng which is originally begun by Badak Cheng(Cheong of Bottom) and strings are tuned moving the bridges or fastening dolgwe as the Cheong of shaman song is gradually going up. Ajaeng was not seen in the shaman rituals in the past, however it became recently a steady component in sinawi of the Southern proveince. Park Youngtae played accompaniments for shaman music mainly with ajaeng reducing relatively the use of jeotdae and piri. Recently, palyers including Park Youngtae are carrying several musical instruments of different pitches to chose to play the best accompaniment for the Cheong of shaman music. Jeotdae which Park Youngtae carried was perceived as Ckey, C#key, banogwan Db ↑key. For the names of sinawi Cheong, the terminology of arts like hwang, tae, nam, jung, im, nam also was given using the termingology of western music like Ckey, Db key rather than the names like 4gwan Cheong, 5gwan Cheong etc. This is the outcome of procedure in which the musician of gut(shaman ritual) who did not receive regular education introduced westerm musical theories learned by his college educated son.

      • 피리 음향 특성에 기초한 스펙트럼 모델링

        홍연우,조상진,정의필 한국공학안전보건예술학회 2010 한국공학예술학회 논문지 Vol.2 No.-

        본 논문에서는 피리의 음향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펙트럼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스펙트럼 모델링은 입력 신호를 정현파 성분과 노이즈 성분의 합으로 해석하여 음을 합성하는 기술로 주기성이 있는 현악기나 관악기의 음 합성에 효과적이다. 피리 소리는 배음의 분포가 정수배로 매우 규칙적이고 20,000Hz의 높은 주파수 대역까지 배음이 분포하는 특성이 있어 스펙트럼 모델링에 적합하다. 제안하는 스펙트럼 모델링 기술은 캡스트럼 분석을 통해 포만트 정보를 추출하여 정현파 성분을 합성하고, 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노이즈 성분을 합성한다. 피리의 단위음과 연주곡에 대해 제안한 스펙트럼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원음과 매우 유사한 합성음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s spectral modeling of Piri sounds based on the analysis of acoustical characteristics. Spectral modeling synthesis is a technique that models time-varying spectra as a combination of sinusoids, and a time-varying filtered noise component. Spectral modeling is appropriate for synthesizing the periodic sounds such as string and wind instruments. The harmonics of Piri are evenly distributed to the high frequency band (up to 20,000Hz). For that reason, spectral modeling is suitable for the Piri. Sinusoids of the Piri are synthesized by using formant extracted from cepstral analysis and noise components are reproduced using linear interpolation. A note and a instrumental Piri song are synthesized by proposed spectral modeling. The synthesized sounds are very similar to the original sounds.

      • KCI등재후보

        국악기 태평소와 피리 및 서양악기 오보에의 색청 비교에 따른 공감각 연구

        고수진 ( Su Jin Ko ) 한국음악학학회 2015 음악학 Vol.23 No.2

        겹리드 악기인 서양 악기 오보에와 국악기 태평소, 피리의 황(黃, E♭)과 임(林, B♭)음들의 배음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 첫째, 겹리드 악기들의 특징적인 소리는 색청적으로 녹색을 나타낸다. 오보에, 태평소, 피리의 공통점은 겹리드 악기이고 그에 따라 세게 불면 약간 뚱뚱하고 오리같은 느낌의 특이한 음색을 내고 있다. 이러한 겹리드 악기의 특징은 색청적으로 풀이하면 녹색에 가깝다고 설명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는 알버트 라비냑(Albert Lavignac, 1846-1916)1)의 주장과 일치한다. 그는 오보에 음색에 대해 초록색을 띤다고 주장하였다. 둘째, 제3 배음은 황녹색을, 제5 배음은 청녹색을 띠고 있고, 제1 배음을 제외한 3,5 배음같은 홀수 배음들이 겹리드 악기의 특징적인 고유의 색을 나타내 준다. 제1, 2, 4 배음은 기본주파수의 음정과 옥타브차이로 같아서 악기고유의 색보다 음정의 색을 더 많이 나타내고, 1 배음을 제외한 앞쪽의 홀수배음들이 독립적인 고유의 색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겹리드 악기는 오방간색의 녹색을 나타내고, 또 녹색은 오방정색의 노랑과 청색의 합을 나타낸다. 오보에와 피리에서 나타나듯이 황녹색과 청녹색이 번갈아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녹색이 노랑과 청색의 합으로 나온 색이라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B♭음은 황색에 가까운 녹색, E♭음은 청색에 가까운 녹색을 띤다. 황색은 토(土)를 의미하고, 청색은 목(木)을 의미하는데, 오보에, 태평소, 피리 모두 나무로 만든 목관악기 군에 속한다. Following result was concluded by analyzing harmonics of E♭ and B♭ notes of western double reed instrument, oboe and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Taepyeongso, Piri. First, distinctive sound by double reed instruments represents green color in colored hearing sense. Common ground of oboe, Taepyeongso, Piri is that all these are double reed instruments, and thus, when blowing hard, they sound like peculiar tones with slightly chubby and duck like feeling. Characteristics of these double reed instruments are close to green color from a colored hearing standpoint. This is consistent with the assertion by Lavignac. He claimed that oboe tone carries green color. Second, the third harmonic has yellow-green and fifth harmonic with blue-green, and odd number harmonics such as 3 and 5, indicate distinctive unique color of double reed instruments. As first, second, and fourth harmonics are the same with tone of basic frequency with octave difference, they show tone color rather than unique color of the instrument. And front odd number harmonics excluding first harmonic seem to represent independent and unique color. Third, double reed instrument represents green color of “Five traditional Colors,” and green indicates combination of yellow and blue. As shown in oboe and Piri, yellow-green and blue-green show up one after the other, this has relevance to the fact that green came out of combination of yellow and blue. B♭ note carries green color close to yellow, and E♭ note carries green color close to blue. Yellow color means soil, and blue color indicates wood, and oboe, Taepyeongso, and Piri all belong to wood wind instrument group made of wooden material.

      • KCI등재

        요성을 중심으로 한 피리의 음색 변화 분석 및 필터 디자인

        남상봉(Sangbong Nam),이선진(Sun-jin Lee),이강성(Gangseong Lee),이돈응(Donoung Lee) 한국HCI학회 2015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0 No.2

        요성은 음을 떨어서 내는 소리로 국악기 피리의 중요한 연주 표현 기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피리의 요성 시에 나타나는 음색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는 필터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피리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음향 특성을 비숫한 구조의 서양악기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요성 시에 발생하는 음색변화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피리의 평소리를 요성소리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필터를 제시하였다. Yoseong sound is one of the Piri’s representative techniques including unique timb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This paper presents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Yoseong sound by analyzing the sound of Piri and suggests audio filters that make Yoseong sound from ordinary sound of the Pi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