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철학: 교육학에 대한 학(學)

        강성훈 ( Seong Hun K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1

        최근 교육철학 내에서 하나의 경향을 형성하고 있는 ``실천철학으로의 전환``의 흐름은 새로운 교육철학이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학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는 교육철학 내에서 이 흐름을 주도해왔던 영국의 교육철학자 Carr의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이론철학의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여 교육적 실천에 대한 단일한 연구를 지향하는 이와 같은 아리스토텔레스적 기획은, 그것이 보증하는 교육학에 대한 긍부정을 떠나, ``교육학에 대한 학``으로서의 교육철학의 정체성을 명징하게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서 실천철학론을 주도하는 연구자들의 이와 같은 카의 연구에 대한 이해는 두 가지 측면에서 오류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카의 기획이 현존의 교육철학들을 실천철학으로 전환하려는 것이 아니라 현존의 교육과학을 실천철학으로 전환하려는 것임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 둘째, 그로 인해 카의 작업이야말로 교육학에 대한 학으로서의 교육철학임을 또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카의 연구에 대한 평가와는 무관하게 국내에서 실천철학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연구자들이, 실천철학의 필요성을 현존하는 교육철학들이 교육적 실천을 연구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한 교육적 실천에 대한 영향력 상실에서 찾고 있는 것은, 자칫 이론의 진위를 실천으로 검증하려는 조야한 도구주의의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할 여지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천철학을 주도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교육철학은 교육학에 대한 학이 되어야 함을 논증하고자 한다. Nowadays ``a current of conversion to practical philosophy`` making a tendency in philosophy of education is not new philosophy of education, but aims at new science of education. It can be ascertained in the studies of British philosopher of education, Carr at the head of this tendency. This Aristotelian project, separating from the realm of theoretical philosophy and intending a sole study of educational practice, has showed the identity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science of science of education``. Such understanding of Carr`s study that domestic scholars leading discussion of practical philosophy have showed seems implicit errors in two aspects. First,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fact that Carr`s project was not converting existing philosophies of education to the practical philosophy but existing sciences of education to the practical philosophy. Second, they also could not know Carr`s work is truly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s science of science of education. In addition, domestic scholars who are leading discussion of practical philosophy criticize existing philosophies because they don`t study educational practices and result in loosing influence in educational practices. However, there is some possibility of doing that this approach reproduces vulgar instrumentalism which verifies the truth of theory through practice. This study attempts to point out the above stated problems of the domestic scholars leading practical philosophy and prove that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become science of educational scienc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교육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로서의 교육철학: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교육과학과 교육철학의 관계 설정

        곽태진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1

        In a Western tradition that distinguishes philosophy from science, establishing a prope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ecomes the basis for appropriate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works. This is also true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education, based on critical realism. According to critical realism, science is the work of investigating the structures and causal mechanisms that generate certain phenomena based on empirical grounds, and philosophy is the work of revealing premise assumptions that enable such scientific works. Moreover, philosophy should play a role as an ‘under-labourer for science’ above all else. Applying these discussions to science of educ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play the role of ‘under-labourer for science of education’ as philosophy of science of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play the role of supporting the progress of science of education by studying philosophically the premise assumptions of science of education. This philosophical work includes the preparation of methodological guidelines for the appropriate empirical research of science of education. Thus,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an under-labourer for science of education’ derived from critical realism is a modest but ambitious project. The work based on this perspective will be a very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progress of educational studies as a whole, including both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education as well as science of education. 철학과 과학을 구분하는 서구의 한 전통에서 볼 때, 양자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은 적절한 철학적 작업과 과학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이러한 사정은 교육철학과 교육과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양자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은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각각의 적절한 작업 수행을 위해서 중요한 기초작업이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판적 실재론이라는 과학철학에서 제시되고 있는 철학과 과학의 구분, 그리고 양자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 근거하여 교육과학과 교육철학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실재론의 과학관 및 철학관에 의하면, 과학은 경험적 근거 위에서 문제가 되는 현상의 원인이 되는 구조와 인과기제를 밝히는 작업이고, 철학은 그러한 과학의 전제가정들을 밝히는 작업이다. 그리고 철학은 다른 무엇보다 ‘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교육과학 및 교육철학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된다. 교육철학은 ‘교육과학철학’, 즉 교육과학에 대한 철학으로서 교육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즉 교육철학은 교육과학의 전제가정들을 철학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교육과학의 진전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과학철학적 작업에는 적절한 교육과학의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지침을 마련하는 일까지 포함된다. 따라서 비판적 실재론으로부터 도출되는, ‘교육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로서의 교육철학’이라는 견해는 겸손하면서도 야심찬 기획이며, 이러한 입장에 바탕을 둔 작업은 교육과학은 물론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모두를 포함하는 교육학 전체의 진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기초작업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헤르더의 교육 철학 -교육 목적과 교육 원리를 중심으로-

        조관성 ( Cho Kwan-su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7

        헤르더의 철학함과 교육학함을 담고 있는 교육 철학을 발굴해내고 구성하는 일을 달리 말하여 헤르더의 교육학과 교육 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철학적 기초를 찾아내고 밝혀내는 일을 총괄 연구 목적으로 내세우는 아래 논문에서 글쓴이는 다음 세 가지 하위 과제를 지향한다. 첫째로 헤르더가 안중에 두고 있으며 일상 언어로 기술하고 있는 교육 철학적 사유와 주장을 그가 의도하고 구상하는 교육 목적과 교육 원리에 착안하여 개념화하고 이론화하는 방식으로 밝혀내고자 한다. 둘째로 헤르더가 철학사와 교육사 속에서 수용하여 소유하고 있는바 교육에 관한 전통의 지평에 주의하여 자세히 말하여 이러한 전통의 지평 속에 존재하는 거대 교육 철학자로 꼽을 수 있는 코메니우스와 칸트 그리고 쉴러에 주시하여 교육 목적과 교 육 원리에 관한 헤르더의 교육 철학적 사유를 해석해내고자 한다. 셋째로 헤르더의 교육 철학적 주장들이, 비체계적인 산만한 형태로 그의 일차 전거들 속에 담겨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에도 살아있는 중요 교육 주제들을 품고 있음을 그리고 헤르더의 철학 안에 모순의 방식이 아니라 정합의 방식으로 자리할 수 있음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consists in constructing the philosophy of education in Herder by my discover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an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that lie hidden and scattered in Herders writings dealing with education. This main purpose that I have in mind can be sub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tasks that I undertake in this paper: ① It will be attempted to bring out Herders philosophical thinking on education by my conceptualizing and theorizing what Herder had thought and written on the aims and principles of education in his ordinary language which distances itself from jargons. ② This study purports to make not a destructive but a constructive interpretation of what Herder under stands under the aims and principles of education by my drawing on the horizon of intellectual tradition that above all Comenius, Herder, Kant and Schiller in their social cultural life world share with one another. ③ This article intends to demonstrate that Herders statements on his philosophy of education point to the living issues of philosophy and education which prevail not only in philosophy and education but also in our ordinary life everywhere even today, and to show that his assertions on his philosophy of education do not conflict with his philosophizing, but cohere in his philosophy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branches e. g. Herders philosophical psychology-oriented anthropology, philosophy of mind, philosophy of history, philosophy of language, philosophy of religion, philosophy of art, and moral philosophy in the wide sense.

      • KCI등재

        교육철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교육철학 연구』와 『교육철학』학술지를 중심으로

        유재봉 ( Jea Bong Yoo ) 한국교육철학회 2014 교육철학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achievements and tasks in the field of philosophy of education through analyzing articles in two Korea philosophy of education journals, i.e.,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Before doing this, I looked at the trends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Korea, in terms of philosophical circles, approaches, main educational thinkers, and leading Korean philosophers of education. Philosophy of education in Korea has rapidly grown, especially since 1990s in terms of numbers of papers. Although articles on educational thoughts are still dominant, some remarkable achievements has appeared such as variety of research subjects, concern for forgetting dimensions, communication of foreign philosophers of educations, and so on. Philosophy of education in Korea has steadily elabo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methods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conclusion, Korean philosophers of education should bear in mind the tasks for contributing the study of education through meeting the demands of both keeping the philosophical identity and extending the field of philosophy of education.

      • KCI등재

        The Role of Philosophy for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Hyun Kun Shin 한국체육철학회 2011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philosophy for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nd to review critically the current status of philosophy in physical education. By current status, it means the period from 1960 to 1995, in which the name of subject was called as the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not sport philosophy. The following things were traced and characteriz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has used many of methodological or theoretical devices for investigating the nature, goal, objectives, attitude, and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In studying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By dividing four typical philosophical subject categories - metaphysics, epistemology, ethics, aesthetics, physical education field investigates what physical education is and how physical education is. Secondly, philosophy was a guide and tool for developing discipline of physical education. Surely, philosophy can provide physical education field with various implicative sources. The field of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is the place studying physical education from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not philosophy from the physical education perspective. Thirdly, the history of the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w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periods: 1) the primative stage, 2) the formative stage, and 3) the creative periods. Within the four philosophical categories, most books referred that the metaphysical nature of physical education, epistemological consid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ethical aspect of professional sport, and the aesthetic dimension of human movement in those of stages. Finally, the following things were characterized as the main tendencies of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in this period: 1) basing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2) influence by the foreign philosophical forces - Eastern philosophy and phenomenology, 3) preference of philosophy toward humanistic philosophical aspect, 4) searching for the new types of philosophical force.

      • KCI등재

        어린이 철학교육 텍스트를 활용한 윤리학적 접근 중심의 초등 도덕과수업

        송영민 ( Song Young-mi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5

        도덕교육의 방법론적 정체성은 윤리학적 접근 중심의 도덕과수업에서 찾을 수 있다. 윤리학적이라는 표현을 내용적 측면에서 보면 철학의 제영역들 중 하나를 지칭하는 종개념이지만, 방법론적 측면에서 본다면 철학적 방법을 공유하는 유개념이다. 따라서 윤리학적 접근을 방법론적 측면에서 보면, 이는 곧 철학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윤리학적 접근 중심의 도덕과수업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철학교육을 참조하면서 함께 논의될 수 있다. 어린이에 대한 철학교육과 도덕교육을 함께 논의한 선행연구들은 어린이 철학교육을 중심으로 도덕교육과의 관련성 및 적용 가능성, 일반적 방법론의 도입 필요성 및 그 적용에 초점을 둔다. 본고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성과를 수용하면서, 어린이 철학교육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을 조절하기보다는 도덕과수업에 어린이 철학교육을 동화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이는 어린이에 대한 철학교육이 독립된 교과로 편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덕과수업을 위해 철학교육을 활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어린이 철학교육을 활용한 도덕과수업을 제안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초등학생의 윤리적 탐구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어린이 철학교육 텍스트 『노우스(Nous)』를 활용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요소와 어린이 철학교육 텍스트의 주요주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노우스』를 활용하여 ‘나는 올바르게 살아가고 있을까?’라는 내용요소를 윤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구성한 도덕과수업안을 예시한다. 예시된 수업안을 통해 윤리적 접근 중심의 도덕과수업을 위한 어린이 철학교육 텍스트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어린이 철학교육 텍스트를 도덕과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내용요소와 주요주제 간의 관련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고는 어린이 철학교육 텍스트 전체에 대한 분석 및 도덕과 교육과정의 전체 내용요소에 대한 교수방안을 제안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From a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the identity of moral education can be found in the lesson of moral education centered on ethical approaches. The ethical approach is a kind of specific concept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domains of philosophy in terms of content, and is a kind of generic concept included in the philosophical methodology. Therefore, if the ethical approach in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is understood as a philosophical approach, the discussion of philosophical education for children can be a good reference for implementing moral instruction focused on ethical approach. The preceding researches on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related to moral education refers to 'philosophy for children' which focuses on 'dialogue - act'.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relevance and applicability of moral education,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general methods and its' attempt. This study focused on the direction of assimilating the discussions of philosophy for children in moral education rather than controlling moral education in philosophy for children from these meaningful preceding researches. This is because a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is not organiz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a philosophy education for moral education is considered rather than moral education for philosophy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moral instruction used philosophy for childre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ilosophical fairy tale Nous which was develop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period, and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content elements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main theme of the Nous. And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ontent elements and the main theme, a moral instruction of curriculum content "I am living correctly?(ethical reflection)" are illustrated by using "Nous". Through these example, I am a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philosophy for children assimilated moral education focusing on ethical inquiry.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assimilate philosophical fairy tales into moral education, it wa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m in consideration of content elements and major themes. But this paper has a limitation that is not to analyze the all texts of the philosophy for education and that is not to suggest a teaching for the all content element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교육대학원에서 "교육철학하기"

        김현주 ( Hyun Joo Kim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7 No.-

        이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교육철학강좌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교육철학하기`를 통하여 `교육을 철학한다`는 것이 무엇이며, 그것이 그들의 실제와 어떻게 관련을 맺을 수 있는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교육철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교육실천가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파악하려는 시도로서 내러티브적 탐구 방식을 채택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교육실천가들은 교육의 실제에서 자신과 타인의 판단은 물론, 그 결과로서 그들 행동의 원인, 과정, 결과, 문제점 분석, 문제 해결책 수립, 해결책 시행, 결과 분석 등을 포함하는 특정한 실천을 자세하게 이야기한 내러티브를 가지고 철학적 성찰을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교육실천가로서 수강자들은 교육에 관한 순수한 철학적 이해의 지평을 넘어, 교육적 실제의 개선과 관련된 `실행연구`의 철학적 방법을 획득하는데 도움을 얻은 것으로 보였다. 지금까지 교육대학원의 교육철학 강좌가 주로 교육철학자들의 교육철학을 `듣는` 것이었다면, 이 연구가 보여주고 있는 교육철학은 교육실천가들이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가지고 철학적 성찰을 하도록 함으로써 교육철학을 `하는` 교육철학으로 새롭게 인식하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ducational practitioners have reflected philosophically on their practice. This study is carried out by analysing educational practitioners`s narratives on their experiences of philosophical reflection. Though the need for teaching philosophy of education for educational practice is urged from many aspects, there have been few concern about how educational practitioners actually `do` philosophy of education. This study, firstly, shows a particular way in which educational practitioners philosophize `on` and `in` their particular practices. Through the way, it seems that educational practitioners can acquire newly reflected educational notions and principles with which they will be engaged in their practices and testify those notions and principles they acquired. Secondly, this study reveals the distinctive philosophical concerns of educational practitioners which are raised from their practices. The concerns are distinguished in five aspects;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its auxiliary concepts, problems of knowledge, ethical issues, human relationship, conflicts between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Thirdly, this study finds that philosophy of education at the level of graduate school has been most often viewed in the traditional way that professional philosophers of education at universities have carried out. However, this study also finds that by participating in philosophical reflection, educational practitioners can be introduced to think of themselves as philosophers. Furthermore the practitioners recognize their way of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The way of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by educational practitioners shows the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 In this respect, philosophy of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a form of practical philosophy. Finally, this study offers two implications for further examination; how professional philosophers of education can use practitioners` narratives in order to understand what kind of philosophical problems are actually raised in educational practice, and how professional philosophers of education can help practitioners make their reflection on the problems both `educationally relevant` and `philosophically rigid`.

      • KCI등재

        비교교육학과 교육철학: 비교교육철학을 지향하며

        유재봉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of education and comparative education, and suggest what relationship between these are desirable.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philosophy of education and comparative education, shows trends in philosophical approach to comparative education, and suggests a desirable direction for comparative education should proceed in terms of philosophy of education. Philosophy of education needs a comparative dimension as much as comparative education needs a philosophical dimension. From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many researches should directed their research towards philosophical comparative education for the mutual enhancement of comparative educ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In conclusion, philosophers of education should actively conduct research, keeping both the identity of philosophical education and enlarging comparative education. The research should not be confined to either philosophy of education or comparative education. 이 논문은 교육철학과 비교교육학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상호 관련되어 있다는 점과 비교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교육철학과 비교교육학의 관계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교육철학과 비교교육이 어떻게 상호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서양과 한국의 비교교육학계에서 주요 교육철학적 접근의 동향을 고찰하며, 마지막으로 비교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교육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였다. 교육철학은 비교학적 차원이 필요하고, 비교교육학은 철학적 차원이 요청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서양에서 공통적으로 비교교육학 연구 분야에서 교육철학적 접근이 간과되어 왔다. 교육철학자의 관점에서 비교교육학과 교육철학의 상호발전을 위해서는 ‘비교교육철학’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철학자는 단순히 교육철학적이거나 비교교육학적인 성격을 띤 연구에서 벗어나서, 교육철학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비교교육학의 지평을 확대하고 외연을 넓힐 수 있는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화이트헤드 철학과 교양교육

        김재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1 교양교육연구 Vol.5 No.1

        In reflecting on the concept of liberal education Whitehead's philosophy is very useful. Whitehead's philosophy of education has not a little been researched until now, but his thought have hardly been connected to liberal education. Therefore, I will reflect on liberal education through whitehead's thought about liberal arts and education. Whitehead's cosmology can be summed up by the creative advance from ‘many’ to ‘one’ or the process of ‘concrescence’ that a subject appropriates objects. Whitehead explained macro-cosmic process by the terminology of ‘nexus,’ ‘society,’ ‘our cosmic epoch,’ etc. Whitehead's universe is the ‘living nature’ that a subject appropriates objects. The life in the narrow sense means the creative process of making ‘novelty’ by ‘reversal of concept.’ Whitehead applied this cosmology to human in his theory of civilization. In this theory of civilization Whitehead emphasized on the ‘generalization’ that is adventure of ideas and the beauty that is teleology of process. Whitehead's philosophy of education maintains three steps of romans, precision, and generalization similar to his cosmology and theory of civilization.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can provide aid to reflect on liberal education. First, Whitehead showed holistic paradigm that liberal education sublimates and 66 교양교육연구(제5권 제1호) completes expertise. Second, Whitehead let us understand liberal education from an view point of life. Third, because of Whitehead's philosophy, we can see liberal education from a imaginative, creative, adventurous standpoint. Fourth, thanks to Whitehead's philosophy, we can think of liberal education in terms of aesthetic perspective. His philosophy is a precious resource for the future of liberal education. 교양교육이라는 개념의 진정한 의미를 성찰함에 있어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이제까지 화이트헤드의 교육론은 다소 다루어져 왔지만, 그의 사상을 교양교육의 측면에서 이해하려는 노력은 극히 드물었다. 이에 필자는 그의 우주론, 문명론을 개관한 후에 그의 교양론과 교육론을 고찰하여 화이트헤드 사상이 교양교육의 자기 성찰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화이트헤드의 우주론은 다자에서 일자로의 창조적 전진, 주체가 객체를 전유하는 합생의 과정으로 간략하게 논의될 수 있다. 거시적 과정은 결합체, 사회, 우주 시대 등의 개념으로 설명된다.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우주는 주체가 객체를 전유화하는 그러한 생명을 가진 살아있는 자연이다. 이러한 생명은 좁은 의미로는 개념적 역전에 의해서 새로움을 창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화이트헤드의 문명론은 이러한 우주론의 관점을 인간적인 것들에 적용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주어진 성과들을 통합해서 일반화하고 전망화하는 관념의 모험과 과정의 목적론인 아름다움이 강조된다. 일반화 혹은 전망화의 모험과 아름다움은 그야말로 화이트헤드 교양개념의 핵심을 이룬다. 화이트헤드의 과정사상은 교육론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어 로맨스, 정교화, 일반화의 주기라는 도식으로 요약된다.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교양교육을 성찰함에 있어 다음의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화이트헤드는 전문지식과 교양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서 전문지식을 교양이 완성한다는 통합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화이트헤드는 생명이라는 패러다임에서 교양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셋째,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교양교육을 상상력, 창조성, 모험이라는 패러다임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 준다. 넷째,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교양교육을 미학적인 패러다임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교양교육의 미래를 위한 귀중한 자원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실천철학"으로서의 교육철학하기: Wilfred Carr의 견해를 중심으로

        곽덕주 ( Duck Joo Kwak ),나병현 ( Byung Hyun Nah ),유재봉 ( Jae Bong Yoo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5 No.-

        이 논문은 영미의 분석적 교육철학이 퇴조한 후 논의되기 시작한 `실천철학(practical philosophy)`으로서의 교육철학적 접근의 특징과 과제를 영국의 교육철학자 Wilfred Carr의 논의를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실천철학으로서의 교육철학적 접근은 오늘날 한국의 적지 않은 교육철학자들이 실제 교육철학을 하고 있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철학자들 간에 그 접근의 철학적 가정과 논리적 구조, 교육실천과의 관련성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되거나 체계적으로 검토된 적은 없어 보인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이러한 논의의 시작을 희망하며, 실천철학으로서의 교육철학적 접근에 대해 지난 20여 년 동안 포괄적이고 의식적으로 탐구해온 Carr의 논의를 빌려 고찰해 봄으로써 현재 우리가 하고 있는 철학적 작업의 특징과 의미를 성찰해 보고자 한다. 이것은 실천철학으로서의 교육철학하기의 실천적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에도 공헌할 것으로 믿는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practical philosophy` in terms of its philosophical assumptions on its relation to educational practice as well as to educational research. In doing it, it focuses exclusively on the works of Wilfred Carr, a British philosopher of education, who has been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commit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is approach for more than the last 20 years. He proposes this approach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nalytic approach in philosophy of education. The idea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practical philosophy` is not completely new to Korean philosophers of education today. In fact, many of us have already practiced it in our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But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has rarely made it the object of its serious academic discourse as a way of making sense of what we were doing. Thus, this paper can be seen as opening up the discourse, providing us with a chance to collectively reflect on the nature of what we philosophers of education have been doing as researchers as well as teachers. It will also contribute to enriching and expanding the ways in which we are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Korean con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