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건국신화 < 고려세계 >의 서사구조 연구

        오세정 ( Se Jeong Oh ) 한국고전문학회 2016 古典文學硏究 Vol.49 No.-

        고려 건국신화에 해당하는 < 高麗世系 >는 왕건의 계보에 대한 이야기이다. 전체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는 여섯 개의 이야기들은 다음 대로 이어지는 계보의 연속성을 가지며, 또한 이야기의 내용 구성에 있어서도 전대의 이야기들이 후대의 이야기들과 직접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다. 개별 이야기들에서는 인물들이 결혼을 통해 후사를 보는 것이 공통의 핵심 과제이며 이밖에 각 대의 주인공들은 특정한 가치를 획득하기 위하여 움직인다. 여섯 개의 하위 서사들은 통시적 순서에 매어 있지만 각 대의 개별 서사들은 하나의 전체 구조에서 특정한 계열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고려세계 >는 호경-강충-보육으로 이어지는 3대의 서사에 나타나는 신화소들이 다음 대의 3대 진의-작제건-용건의 서사에 동일한 계열 관계를 이루고 있다. 1대는 산신이나 당 황자를 끌어들여 혈통 상 신성 가치를 획득하고, 2대는 부ㆍ명당ㆍ권력 등 세속적ㆍ물질적 가치를 확보하며, 3대에서는 안정된 가문 내에서 영웅을 출산한다. 요컨대 신성 가치 획득, 물적 토대 구축, 영웅 출산이라는 패턴이 6대에 걸쳐 두 번 반복되는 구조이다. < 고려세계 >의 서사구조는 한국 건국신화 체계에서의 ‘부-자’ 혹은 ‘조-부-자’의 계보 구조와는 차이가 있다. 영웅의 출산이라는 핵심 사건을 위한 3대의 장치가 마련되고, 이것이 반복됨으로써 계보의 확장을 꾀하고 있다. 또한 각 대의 인물들에게 부여된 서사적 기능이 뚜렷하게 제시된다. 특히 이 구조에서는 3대가 중첩되면서 4대의 인물이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인물이 전 3대의 결과물이면서, 동시에 다음 3대의 출발점이 되기 때문이다. < 고려세계 >의 중요 특징이자 논란의 핵심인 4대 진의의 성격은 이러한 서사구조 상에서 그 의미가 재규명될 수 있다. Goryeo’s Foundation Myth, Goryeosegye(高麗世系) is the story about the six generations’ ancestors of Taejo Wang Geon(太祖王建), that is his sacred genealogy. Six sub stories that constitute the whole story become a continuity as elements of genealogy and they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 common core task of the sub stories is a marriage and childbirth. In addition, six ancestors behave in oder to acquire specific values to justify and sacralize Wang Geon’s birth and establishment of Goryeo. Six sub stories are tied to the diachronic order but each stories form a specific paradigmatic relationship in a whole narrative structure. The mythmes of first three generations’ stories have a relationship of the same series as the next generations’ stories. The agents in each first generation should acquire sacred features by making relationship with holy characters as goddess of mountain or Chinese emperor. Second generation’s agents should ensure the physical property values such as good place, immense wealth and power for descendants. The last agents should concentrate on giving birth to a hero in the distinguished family. In short, this story has a structure in which three patterns; getting divine values, building on material foundation and giving birth to a hero are repeated twice. This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extend generations and clearly indicate the functions of agents of each generations. In particular this is useful in understanding of fourth generation’s agent who overlapped in the twice repeated narrative structure.

      • KCI등재

        문화예술 텍스트의 구조 분석 기제

        김영순 ( Kim Young-soon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6 언어와 문화 Vol.2 No.2

        The aim of this article introduce to structural analysis known as an approach to textural analysis in academic field of Structuralism. Structuralist analysis focuses on the structural relations which are functional in the signifying system at a particular moment in history. It involves identifying the constituent units in a semiotic system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 analysing text-structur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Structuralist analysis is compose of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ship. Paradigmatic relationships can operate on the level of the signifiers or on the level of the signified. A paradigm is a set of associated signifiers or signifieds which are all members of some defining category, but in which ea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Syntagmatic relations are the various ways in which elements within the same text may be related to each other. In base of two relations I could try to analyse the structure of culture-artistic texts. (Inha University)

      • KCI등재

        「세경본풀이」와 제주도 농업관-신화의 특수성에 관한 시론(試論)-

        류정월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30 No.-

        This paper studies Segyengbonpuri, one of the myths of Jeju island and focuses on the view of agriculture. The text whichrepresents the origin of three gods who are in charge of farm is performed only in Jeju island. The studies about this text dealt with the general aspects of the main character, Jacheongbi,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and special aspects of three gods. For this purpose, I use a structuralist approach to investigate the elements of texts. I applied a syntagmatic relation to study individual sequences, which found that the narratives of Jengsunam's death and second birth are inserted into the narratives of Mundoryeong and Jacheongbi's meeting and marriage. So I called this "a double structure". I appled a paradigmatic relation to study symbolic meanings of the characters, which found that their relationship are all instable. Mundoryeong fails to keep his promise with Jacheongbi and their relation is characterized by one-sideness. Jeongsunam has a tendency to gulosity and savage. Jacheongbi tries to feed him. They can cooperate only on condition that Jengsunam must be subjected to Jachengbi. Furthermore this paper explains how the instability operate withthe context of agriculture in Jesu island: The soil is poor, which isrelated to the fact that Jachengbi has no child. Climatic condition frustrates the farmers, which is related to Mundoryung's irresponsibility. And the stock-farming has a decided advantage, which is related to Jengsuman's dangerous power. This study infers meaning on the view of agriculture: The farming in Jeju island artificially prolong the life: The farmers are exhausted by the work in Jeju island. This awareness is reinforced by the text, Segyengbonpuri. 본고에서는 「세경본풀이」가 제주도의 신화라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텍스트에 나타나는 농업관(농경관, 농업의식, 농업에 대한 인식)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세경본풀이」에 대한 연구는 자청비가 가진 일반 농업신적 면모를 설명하는 데 할애되었다. 그러나 「세경본풀이」에는 자청비 외 두명의 신이 더 있으며 이들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텍스트의 지엽적 사실이나 모티프보다는 구조에 초점을 두면서, 개별 사건을 전체 속에 위치시키는 통합적 구조와, 인물들의 상징적 의미를 탐구하는 계열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통합적 구조의 특징은 문도령과 자청비의 만남-혼인의 서사에 정수남의 죽음-재생의 서사가 삽입되어 있다는 것이다. 문도령과 자청비의 만남, 반복되는 이별-재회, 혼인의 서사 즉 결연담은 탄생-좌정의 중심 서사이다. 자청비와 정수남의 서사는 문도경과 자청비의 이별-재회의 중심 서사이다. 따라서 「세경본풀이」의 통합적 구조는 문도령-자청비 서사와 자청비-정수남의 서사로 이루어진 이중적 구조로 볼 수 있다. 계열적 구조에서는 이들 관계가 상징하는 바를 탐구하였다. 이들 관계는 모두 불안정성에 기초하는데, 문도령-자청비 관계는 소통의 일방성으로, 자청비-정수남의 관계는 조건적 상호성으로 인해 그러하다. 나아가 본고는 그러한관계들이 제주도의 농업 현실에서 환기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세경본풀이」는 제주도 농업의 특수성에 대한 담론이기도 하다. 기질적 척박함, 기후조건의방해, 목축의 번성 가능성 등 현실적 의미들이 활성화되는 것은 「세경본풀이」에서 주체들의 분리와 이들 관계의 불안정성에 기인한다. 하늘의 일방성과 야생의 전복 가능성 등 신들 관계의 불안정성은 제주도에서 농사에 대한 문제적상황을 환기시킨다. 이 상황에서는 일방성을 상호성으로, 야생의 전복가능성을복속가능성으로 만들려는 인간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는 하늘과땅, 목축과 농업의 부조화를 조화롭게 만들려는 인간의 노력이기도 하다. 「세경본풀이」를 통해 구성되는 제주도 농업관에는 농업 환경의 “인위성(人爲性)”혹은 “작위성(作爲性)”과 그로 인한 농사의 “고단함”이 나타난다.

      • KCI등재

        <보리밥 장군>에 나타난 ‘대식’ 화소를 통해 살펴본 독립과 자아실현의 의미

        한상효(Han, Sang-hyo)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1

        본 논의는 <보리밥 장군> 설화 속의 중요한 화소인 대식의 양상과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에 <보리밥 장군> 설화는 거인 신화와 전설을 계승한 민담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으며, 민담 속의 대식 화소는 원형적 서사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고 신화 속의 신적 존재 또는 거인의 힘이나 능력만을 상징하는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화소에 있어 중요한 것은 의미적 개방성과 다의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보리밥 장군>에 관한 논의가 더욱 분명해지고 풍부해지려면 한국 서사 속에서 대식의 양상과 의미가 총체적으로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보리밥 장군>에서는 대식 화소와 힘의 결핍 화소가 함께 나타난다. 보리밥 장군이 대식성을 가진 다른 존재들과 차별되는 특수한 지점이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대식이 가진 양가적 의미를 밝히고 식욕을 통해 나타나는 관계의 문제에 대해 주목해 보았다. 그 결과 보리밥 장군의 힘의 결핍은 의존적인 구순욕구로 ‘개인성’과 ‘독립성’을 상실한 주인공의 모습을 상징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보리밥 장군>은 그러한 의존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련의 극복을 통한 자아의 성장과 자기실현의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길 떠남’과 ‘반복의 구조’이다. 주인공은 길을 떠남으로서 부모의 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 며,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또한 반복의 구조를 통해 본능적인 힘에서 지성적인 힘을 갖춘 더 큰 존재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보리밥 장군> 설화는 대식 화소에 대한 보편적인 사유를 수용하고 다른 화소와 변형·결합되면서 의존을 극복하고 성공한 삶을 이뤄낸다는 새로운 의미와 삶의 문제를 제공하고 있다. This argument has the purpose to clarify the aspect and significance of ‘Big eating’ which is an important motif in the narrative of <General Boribab>. Until now, the <General Boribab> has been dealt with in the aspect of giant myth and legend. A ‘Big eating’ motif is derived from a archetype that was restricted to symbolize power of the gods and giants. However, what is important to motif can be semantic openness and ambiguity. To further enrich the argument concerning <General Boribab>, the aspect of big eating and meaning should be globally investigated among narrative.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I tried to clarify the ambivalent meaning of the big eating and to pay attention to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through appetite. clarifying the bilateral meaning with ‘Big eating’. As a result, lack of power symbolizes the appearance of a hero who lost personality and independence because of dependence on oral phase. However, <General Borobab> shows not only such dependence but also the growth of self and self-realization through the overcoming of trials. The important thing is leaving and structure of repetition . By leaving the way, the hero can get out of the dependence of the parent and establish opportunities to grow by forming a new social relationship. It also showed growing up to a larger presence, with the power to intelligence with instinctive power through a repeated structure. In this way, the story of <General Boribab> provides a new sence and life problem of overcoming the dependce of existence and achieving a succes life while accepts the universal reason for the motif.

      • KCI등재

        어근 분리의 공시론과 통시론 -단어 구조의 인식, 문장의 형성, 그리고 문법의 변화-

        황화상 ( Hwang Hwa-sang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7 No.-

        어근 분리는 복합어 본래의 구조와는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공시적으로 분석이 어려운 단어가 어근 분리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어근 분리 현상을 보이는 복합어의 구성 요소 가운데에는 독자적으로 쓰일 때 와는 문법적 성격이 다른 것들도 있고 구조적으로 어휘부 등재소로 보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또한 후행 요소가 접사인 파생어 가운데도 어근 분리 현상을 보이는 것들이 있다. 이는 공시적인 문법 현상으로서 어근 분리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다. 어근 분리 현상을 보이는 복합어 가운데에는 구성 요소의 형태론적 지위, 단어 내부의 경계에 대한 인식 등에서 보통의 복합어와는 다른 특별한 예들이 있다. 특별한 방식으로 어근이 분리되기는 하지만 이들 또한 단어의 내부구조(혹은 단어 내부의 경계)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는 것은 분명하다. 이런 점에서 어근 분리의 특별함은 단어의 내부 구조에 대한 인식의 특별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단어 구조에 대한 특별한 인식은 계열 관계를 기반으로 한 유추로 설명할 수 있다. 어근 분리 구성은 형식적으로는 통사부에서 하나의 단어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 나타나는 것이지만, 기능적으로는 각 부분이 독자적인 지위를 갖는 것이 아니라 단어 전체가 하나의 통사론적 지위를 갖는다. 어근 분리 구성은 형식적 분석과 기능적 분석이 일치하지 않는 이중적인 구조를 갖는 셈이다. 따라서 어휘 고도 제약을 형식적인 차원에서가 아니라 기능적인 차원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어근 분리는 이를 어기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복합어로부터 기존에 없던 새로운 어근이 발달하기도 하고, 불규칙 어근이 규칙 어근(단어)으로 발달하기도 한다. 이때 어근이 본래의 접미사가 아닌 다른 접미사와 결합하고, 접미사 일부를 포함하여 새롭게 발달한 어근이 다시 본래의 접미사와 결합하는 특이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모두 어근의 분리를 전제로 한다. 이런 점에서 공시적인 문법 현상으로서의 어근 분리는 문법의 통시적인 변화와 관련된다. We not only memorize words, but we recognize the structures of them. The root separation is morphologically meaningful in that it reflects our recognition on a word structure. Especially the analogy as a mental mechanism of this recognition is useful in explanation on the particular examples of the root separation. In a root separation construction, a complex word is formally separated into two elements. But each element separated from a complex word doesn't have an independent syntactic function, a whole complex word has a single syntactic function. In this sense, the root separation construction doesn't violate the lexical island constraint. If a complex word experience frequently the root separation, a root as an element of that word can be changed into an independent word. And a new root can be made from an existing complex word also. In this sense, the root separation is related to the change of grammar.

      • KCI등재

        ‘은/는’과 종횡의 의미 관계

        임동훈 ( Lim Dong-hoon ) 국어학회 2012 국어학 Vol.64 No.-

        본고는 화용적 관계의 관점에서 보조사 ‘은/는’이 보이는 의미와 용법을 고찰하였다. 특히 ‘은/는’이 악센트와 공조하여 주제, 초점에 어떻게 쓰이는지를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는 한정적, 총칭적이거나 특정적이어야 하는 조건이 있으나 무언가와 대조적이라면 이런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아도 주제가 될 수 있다. 대조항이 특정적이지 않아도 대조항들의 집합이 특정적이거나 한정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면 그 대조항이 주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은/는’은 기본 의미가 대조이므로 이전 담화의 주제와 동일한 주제가 아니라 전환된 주제, 상위 주제에서 파생된 주제, 초점 연쇄 주제를 표시하는 데 쓰인다. 셋째, 주제는 보조사 ‘은/는’과 더불어 일정한 악센트로도 실현되는데, 대조의 대상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에는 L+H*의 악센트가 놓이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친숙성을 함의하는 H+!H 악센트가 놓인다. 넷째, 초점은 화용적 초점-배경 분절에서의 초점을 가리키는 가로 초점과 세로 관계에 바탕을 둔 세로 초점으로 나뉘는데, 이들은 서로 합치하기도 하고 불합치하기도 한다. 다섯째, 보조사는 세로 초점을 나타낸다. 선택 관계에서 초점이 되는 요소는 의미 유형이 동일하고 맥락상 두드러진 대안들의 집합을 도입하는데 이러한 대안 집합은 ‘대조, 배제, 첨가’와 같은 의미론적 연산에서 양화 영역으로 작용함으로써 세로 관계를 부각하고 여기서 선택된 요소는 세로 관계에서의 초점 역할을 한다. 여섯째, 세로 초점은 진리조건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맥락상 총망라성을 보이기도 하고 대안 집합이 척도적일 경우는 척도 함축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총망라성과 척도 함축이 세로 초점을 규정짓지는 못한다. 일곱째, ‘은/는’이 나타내는 세로 초점이 주제에 나타나면 대조 주제가 되고 평언에 나타나면 대조 초점이 된다. 가로 초점은 H* 악센트로 실현되고 대조 주제는 L+H* 악센트로 실현되며, 대조 초점은 H* 악센트로 나타나기도 하고 H*+L 악센트로 나타나기도 한다. 여덟째, 형태적으로 가로 초점을 표시할 때에는 격조사가 이용되고 세로 초점을 표시할 때에는 보조사가 주로 이용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uses of Korean particle ‘un/nun’ under the perspective of pragmatic relations. In particular it is attempted to show how ‘un/nun’ can be exploited to express informational topic, focus in collaboration with accents.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semantic properties of topic aren't confined to be definite, generic, and specific but contrastive non-specific elements can be topics if the contrastive set including it is construed to be definite or specific. Second, the contrastive meaning of ‘un/nun’ makes it possible that it can be used to express shift topics, derived topics from hypertheme, focus-chain topics. Third, ‘un/nun’ marked topics are realized with L+H* accents when contrastive items are activated, and otherwise with H+!H accents which simply implicate familiarity. Fourth, foci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ere one is syntagmatic focus which means a focus in the pragmatic focus-ground articulation, the other is paradigmatic focus. And two kind of foci may be congruent or not with each other. Fifth, the main function of Korean particles is to express a paradigmatic focus. The focus element in the selectional relation generates a alternative set which provides quantificational domain for paradigmatic operations such as contrast, exclusion, addition, second best, comparison. Sixth, paradigmatic foci can take effect on truth conditions, and express the meaning of exhaustivity and scalar implicature depending on the contexts. But these properties aren't enough to define a paradigmatic focus. Seventh, ‘un/nun’ marked paradigmatic foci can be realized into contrastive topic or contrastive focus according to whether they appear in the domain of topic or in the domain of comment. Syntagmatic foci are realized with H* accents, and contrastive topics with L+H* accents, contrastive foci with H* or H*+L accents. Eighth, morphologically while case markers are exploited to express syntagmatic foci, particles are exploited to express paradigmatic foci.

      • KCI등재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에 비추어 본 교육과정 통합 탐색

        최영수(Choi, Young-Soo),강현석(Kang, Hyeon-Su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식 구조론’ 이후 등장한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이 교육과정 통합의 근거가 될 수 있음을 탐색하는 데 있다.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은 패러다임적 사고를 극복하려는 노력이며, 문화주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내러티브 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교육과정 통합의 근거로서의 내러티브는 실재의 구현체이며, 의미 형성, 자아 구성체이자 삶을 통합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교육과정 통합의 방법으로서 내러티브는 의미의 재구성, 이야기 만들기, 나선형의 재해석에 의해 의미가 드러난다. 이러한 내러티브 이론을 교육과정 통합의 입장에서 재해석해 보면, 지식 구조론의 확장에 기초하여 스토리, 스토리텔링, 그리고 내러티브의 방법으로 통합되어 우리의 삶을 조망할 수 있다. 요컨대 브루너가 주장한 내러티브 이론은 미시적으로는 교육과정과 교육의 문제가 통합적으로 표현되어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거시적으로는 인간과 개인의 삶에 대한 통찰적인 이해와 해석을 강조하려는 노력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d examine curriculum integration as implied in Jerome S. Bruner’s narrative theory. Bruner’s educational theory had been studied mostly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discussion, but as time goes by Bruner suggested the structure of narrative discussion and changed his viewpoint in 1980. The narrative theory regards education as cultural epistemology, bas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of human-beings, and the intention of learners. Therefore, education is always situated in cultural settings and depends on the utilization of cultural resources. Bruner’s narrative theory’s point of view is culturalism, in that ’the mind and education’ is composed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human culture. In curriculum integration, Bruner proposed a variety of ways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knowledge construction, which was composed of the main ideas of constructivism, narrative thought, hermeneutics of meaning-making, and so on. Thus the ideas of structure of knowledge and spiral curriculums are reconstructed by narrative epistemology, story and storytelling. Bruner’s curriculum theory based on culturalism, including a new view on culture, human development, and narrative reality. The constructive approach to curriculum theory provides an interpretive basis to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narrative approach should be analysed and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cultural expression as a structure for organizing human experience and knowledge. Bruner’s narrative theory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follows both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allows for the cultural factors. In regard’s to Bruner’s narrative theory, the learner should be able to stimulate the learner intuitively through dynamic use of the narrative. The structure and reality of the narrative provides real learning to the student. By integrating narrative principles into a curriculum based 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e individual learner will have the concepts match their reality. The integration of the narrative with the structure of knowledge will enhance the individual’s inner realization and improve their socio-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브루너 전·후기 교육이론의 한 해석 : ‘서사’와 ‘범형’을 중심으로

        이기범(Ki-Beom Lee)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3

        브루너의 전기 이론에서 학습은 지식의 구조를 발견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발견에 지식의 구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발견학습은 학습의 결과를 학습의 조건으로 전제한다는 난점을 가진다. 직관적 사고는 이 난점을 극복할 단서가 된다. 직관적 사고를 통해 세워진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은 곧 지식의 구조를 확립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전기 이론은 직관에 필요한 소량의 지식이 어디서 비롯되는지 설명하지 못한다. 후기 브루너는 의미 만들기에 주목한다. 개인은 개별 대상을 모종의 관점에 입각하여 해석하고, 개인은 해석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관점을 분명하게 한다. 전자와 후자에 해당하는 것은 서사와 범형으로, 양자는 실재 구성의 두 방식이다. 양자는 의미를 만들어 내고, 그 이면의 구조를 확립한다. 이 점에서 서사와 범형은 마음 형성의 두 측면이다. 서사와 범형 사이의 관련에 주목하면 브루너의 전기 이론은 교육받은 마음의 정의를, 후기 이론은 그 마음의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Bruner’s early theory regards learning as a discovering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As the structure of knowledge is required for the discovery, discovery learning has the problem that it presupposes the result of learning as a prior condition for learning. Intuitive thinking is the key to overcoming this problem. A process to verify a hypothesis is the process to establish the structure of knowledge; however, the early theory failed to explain where the very least knowledge for an intuition comes from. Later Bruner noticed meaning making. Based on some perspective, a person interprets specific things. By re-interpreting these interpretations, the perspective becomes more clear. There are two modes of thought, narrative and paradigmatic, corresponding to the former and the latter of these processes. They are the ways of constructing reality. Each way makes meaning and establishes the structure underlying it, so they are two aspects of the shaping of mind.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narrative and paradigmatic modes of thought, on the one hand, Bruner’s early theory can be interpreted as an explanation of the educated mind, while, on the other, the later theory presents the process that shapes mind.

      •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naissance and Baroque Period's Costume : Focusing on Men's Costume

        Yoon, Jeom-Soon,Han, Myung-Sook The Costume Culture Association Department of Clot 1998 Fashion, industry and education Vol.1 No.1

        Costume varies in a form according to the components and the form represents each independent period, and also the wearer's sex, status, class and vocation. In the Renaissance period, people made the upper part of the body swollen and expressed authority and rigid dignity with dresses. On the contrary, in the Baroque period, they showed authority with brilliant ornaments. In the Renaissance and Baroque periods, they wore doublet as an upper garment, i.e. a paradigmatic body of an outer garment, from which we can see the name and use of costume were same, but forms were different. That is, the length of the constituent of costume's form in the Baroque period became so short that it was changed into and ornamental form, disclosing chemise of and underwear outwards.

      • KCI등재

        한국어 정보구조의 초점

        김민국(Kim, Min-Gook)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1 No.-

        본고에서는 ‘초점의 개념과 성격’, ‘초점의 실현 수단’, ‘초점과 형태․통사․의미 층위의 상호 작용’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한국어 정보구조의 ‘초점’과 관련한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정보구조의 초점은 관계적 신정보인 가로초점으로 대안집합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세로초점과 구별된다. 하지만 두 초점은 겹칠 수 있으므로 세로초점의 성격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 등을 파악해야 한다. 둘째, 운율적 돋들림은 가로초점을 표시하는 필수적 수단이자 그 유형을 변별하는 수단이다. 가로초점의 형태적 표지는 초점 주어에서의 ‘이/가’가 될 것이다. ‘S-것은 X-이다’ 형식의 분열문은 초점 표시보다 전제를 화제로 바꾸어 주는 것이 더 주된 기능으로 보인다. 후보충 구문도 초점을 나타내는 특수 구문의 후보가 된다. 셋째, 초점의 무표적 특성은 문장 형식으로 이어져 문장초점은 기본문과 유사하다. 초점은 무표적이므로 별도의 초점 표지 없이 격표지가 초점 표지로 활용된다. 그러나 주어에서의 초점은 유표적이어서 ‘이/가’는 초점 표지로서 필수성을 띤다. 문장초점의 존재 구문은 화제 제시 기능이 더 강해서 화제 표지로 문법화되기도 하고 주어 표지로 발달할 단초를 제공하기도 한다. 부정문에서 가로초점은 의미 해석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대체초점, 판정의문문의 초점은 극성 연산자의 세로초점과 늘 겹쳐 의미 층위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In this article, we examine issues concerned focus in information structure from three points that is ‘notion and characteristic of focus’, ‘realization of focus’ and ‘interaction between focus with other grammatical levels’. First, focus in information structure is syntagmatic focus that is relational new inform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paradigmatic focus that occurs in the relations with alternative set. Second, focus involves prosodic prominence. Focus marker in every true sense of the word is nominative i/ka. The main function of cleft-sentence of ‘S-gesun X-ita’ seems re-forming presupposition to topic. After-thought constructions are candidate for focus marking construction. Third, basic sentence and nominative i/ka as a focus marker reflect unmarked property of focus. As existential construction which has sentence focus can introduce new topic it can grammaticalize topic marker or subject marker. Replacing focus and focus in yes-no question can affect semantic level by overlap with paradigmatic focus of polarity oper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