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John Steinbeck’s Play-Novelette Would Be Burning Bright

        Lee, Geongeun(이건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9

        노벨 문학상 수상자 존 스타인벡은 세 편의 플레이-노블레, 즉 『생쥐와 인간』(1937)과 『달이 지다』(1942) 그리고 『벌겋게 타오르다』(1950)를 출간 하였다. 플레이-노블레란 읽기에 쉬운 연극대본이면서 동시에 연극대본에서 담화구조를 강조함으로써 즉시 연기가 가능하게 한 실험적인 중편소설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타인벡은 독자와 관객 모두에게 주제 전달을 강력하게 해줄 것을 의도하였다. 그 결과 『생쥐와 인간』은 1937년 뉴욕 드라마 비평가 최고 작품상을 받았고, 『달이 지다』는 1942년 상대적으로 짧은 공연기간에도 불구하고 같은 상 후보 2위의 기록을 보였다. 그러나 세 번째 작품인 『벌겋게 타오르다』는 스타인벡에게 재난과 같은 실패를 안겨 주기도 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벌겋게 타오르다』의 실패의 원인들을 선행연구의 도움과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하여 『달이 지다』의 이야기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 작업은 아직 다른 비평가에 의해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바이다. 그 결과 『벌겋게 타오르다』는 형식과 언어 면에서의 자의적인 추상화가 과도한 의미의 확장, 축약 그리고 미시적 서술을 이끌었고, 내용면에서는 미국 프래그머티즘에 기초한 공리주의가 인권에 대해 과도하게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달이 지다』는 풍부한 내용, 빠른 이야기 전개, 분명한 인물설정, 극적 긴장감, 경쟁적 구도, 등장인물들의 사고와 감정의 변화가 특징이다. 게다가 이것들의 절제되고 명료한 표현이 당시 시대정신인 민주주의 우월성과 스타인벡이 사랑하는 소박한 인간성이라는 주제를 효율적으로 다루고 있음이다. 대체적으로 볼 때 스타인벡이 『달이 지다』에서의 사전 경험으로부터 『벌겋게 타오르다』의 서문에 정해놓은 규칙들을 스스로 어겼음이 그것의 실패에 대한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John Steinbeck, a Novel-Literature-Prize laureate, published three play-novelettes?Of Mice and Men (1937), The Moon Is Down (1942), and Burning Bright (1950). The play-novelette is a play that is easy to read or a short novel that can be performed directly by lifting out the dialogue from a playscript. In this way, Steinbeck intended to give an immediately powerful communication of a theme to both readers and audiences. As a result, Of Mice and Men won the New York Drama Critics Award for the best play of the season in 1937, and The Moon Is Down came in the second of the same award in 1942. However, the third work Burning Bright gave Steinbeck a disastrous failure.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causes of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with the help of the earlier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its text. Based on the results, I observe the whole stories of The Moon Is Down, which has not been covered by the other critics. As a consequence, in Burning Bright, the arbitrary abstractness in the form and language leads to over-extension, abridgement, and minute description. Also, the utilitarianism of American pragmatism in its thematic part seems to be applied too much to the human right. On the other hand, The Moon Is Down is distinctive of more abundant contents, fast moving stories, clear characterization, dramatic tension, competitive composition, change of characters’ thought and emotion. Besides, the abstained and clear expression gives an efficient treatment for the superiority of democracy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plain humanity that the author loves. All in all,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is that Steinbeck himself violated the regulations he had set up in its foreword from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 Moon Is Down. 노벨 문학상 수상자 존 스타인벡은 세 편의 플레이-노블레, 즉 『생쥐와 인간』(1937)과 『달이 지다』(1942) 그리고 『벌겋게 타오르다』(1950)를 출간 하였다. 플레이-노블레란 읽기에 쉬운 연극대본이면서 동시에 연극대본에서 담화구조를 강조함으로써 즉시 연기가 가능하게 한 실험적인 중편소설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타인벡은 독자와 관객 모두에게 주제 전달을 강력하게 해줄 것을 의도하였다. 그 결과 『생쥐와 인간』은 1937년 뉴욕 드라마 비평가 최고 작품상을 받았고, 『달이 지다』는 1942년 상대적으로 짧은 공연기간에도 불구하고 같은 상 후보 2위의 기록을 보였다. 그러나 세 번째 작품인 『벌겋게 타오르다』는 스타인벡에게 재난과 같은 실패를 안겨 주기도 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벌겋게 타오르다』의 실패의 원인들을 선행연구의 도움과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하여 『달이 지다』의 이야기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 작업은 아직 다른 비평가에 의해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바이다. 그 결과 『벌겋게 타오르다』는 형식과 언어 면에서의 자의적인 추상화가 과도한 의미의 확장, 축약 그리고 미시적 서술을 이끌었고, 내용면에서는 미국 프래그머티즘에 기초한 공리주의가 인권에 대해 과도하게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달이 지다』는 풍부한 내용, 빠른 이야기 전개, 분명한 인물설정, 극적 긴장감, 경쟁적 구도, 등장인물들의 사고와 감정의 변화가 특징이다. 게다가 이것들의 절제되고 명료한 표현이 당시 시대정신인 민주주의 우월성과 스타인벡이 사랑하는 소박한 인간성이라는 주제를 효율적으로 다루고 있음이다. 대체적으로 볼 때 스타인벡이 『달이 지다』에서의 사전 경험으로부터 『벌겋게 타오르다』의 서문에 정해놓은 규칙들을 스스로 어겼음이 그것의 실패에 대한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John Steinbeck, a Novel-Literature-Prize laureate, published three play-novelettes?Of Mice and Men (1937), The Moon Is Down (1942), and Burning Bright (1950). The play-novelette is a play that is easy to read or a short novel that can be performed directly by lifting out the dialogue from a playscript. In this way, Steinbeck intended to give an immediately powerful communication of a theme to both readers and audiences. As a result, Of Mice and Men won the New York Drama Critics Award for the best play of the season in 1937, and The Moon Is Down came in the second of the same award in 1942. However, the third work Burning Bright gave Steinbeck a disastrous failure.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causes of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with the help of the earlier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its text. Based on the results, I observe the whole stories of The Moon Is Down, which has not been covered by the other critics. As a consequence, in Burning Bright, the arbitrary abstractness in the form and language leads to over-extension, abridgement, and minute description. Also, the utilitarianism of American pragmatism in its thematic part seems to be applied too much to the human right. On the other hand, The Moon Is Down is distinctive of more abundant contents, fast moving stories, clear characterization, dramatic tension, competitive composition, change of characters’ thought and emotion. Besides, the abstained and clear expression gives an efficient treatment for the superiority of democracy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plain humanity that the author loves. All in all,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is that Steinbeck himself violated the regulations he had set up in its foreword from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 Moon Is Down.

      • KCI등재

        John Steinbeck’s Play-Novelette Would Be Burning Bright: On Burning Bright and The Moon Is Down

        이건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9

        John Steinbeck, a Novel-Literature-Prize laureate, published three play-novelettes—Of Mice and Men (1937), The Moon Is Down (1942), and Burning Bright (1950). The play-novelette is a play that is easy to read or a short novel that can be performed directly by lifting out the dialogue from a playscript. In this way, Steinbeck intended to give an immediately powerful communication of a theme to both readers and audiences. As a result, Of Mice and Men won the New York Drama Critics Award for the best play of the season in 1937, and The Moon Is Down came in the second of the same award in 1942. However, the third work Burning Bright gave Steinbeck a disastrous failure.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causes of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with the help of the earlier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its text. Based on the results, I observe the whole stories of The Moon Is Down, which has not been covered by the other critics. As a consequence, in Burning Bright, the arbitrary abstractness in the form and language leads to over-extension, abridgement, and minute description. Also, the utilitarianism of American pragmatism in its thematic part seems to be applied too much to the human right. On the other hand, The Moon Is Down is distinctive of more abundant contents, fast moving stories, clear characterization, dramatic tension, competitive composition, change of characters’ thought and emotion. Besides, the abstained and clear expression gives an efficient treatment for the superiority of democracy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plain humanity that the author loves. All in all,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is that Steinbeck himself violated the regulations he had set up in its foreword from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 Moon Is Down.

      • KCI등재

        수화 김환기의 뉴욕시대 점화에 관한 연구

        이현희 ( Lee¸ Hyun Hee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2 No.-

        동경 유학 시기인 1930년대에 이미 입체주의와 초현실주의를 거쳐 순수추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조형 실험을 했던 수화 김환기(樹話金煥基, 1913-1974)는 해방 후 다시 구체적 대상의 형태를 화면에 도입하여 고도로 양식화된 화면을 창조한다. 1956년부터 1959년에 이르는 파리 체제 중에도 그의 예술 세계는 큰 변모를 보이지 않았으나, 1963년 뉴욕으로 이주한 후 적극적인 조형 실험을 거쳐 1970년경 이전과는 시각적으로 확연히 다른 순수추상으로서의 전면점화 양식을 완성한다. 이미 김환기의 예술 세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 작가가 뉴욕으로 이주한 직후인 1963년부터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을 통해 전면점화가 한국에 발표된 1970년대까지 6년간의 작업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밝혀진 것이 매우 적다. 이는 이 시기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파악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형식들이 동시에 실험되고 쇠하다가 때때로 다시 나타나는데 캔버스에 그린 유화뿐만 아니라 드로잉과 과슈 신문지위의 유화와 같은 다양한 매체가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등 복합적인 특징을 보이는 데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많은 연구에서 작가의 뉴욕시대를 서울시대와의 ‘단절’로 파악하고 있으며, 직접적으로 단절이나 결별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해당 시기를 거의 언급하지 않거나 매우 적은 비중으로 다룸으로써 단절을 암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작가의 뉴욕 이주 초기부터 1970년 초까지 나타난 다양한 형식을 분석하여 일견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세계로 보이는 수화의 뉴욕시대 전면점화 시리즈가 어떠한 단계를 거쳐 완성되었으며 작품들 사이에 비치는 과거 작품들과의 연결 지점은 무엇인지 그 이행과정을 밝히고자 하며, 이를 통해 김환기 작품세계 전체가 입체적으로 조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im Hwan-ki (1913-1974), who had already experimented with various forms ranging from cubism and surrealism to pure abstraction in the 1930s, when he was studying in Tokyo, introduced the form of a specific object to the screen after liberation and introduced a highly stylized form of it. create a screen His art world did not change much during the Paris regime from 1956 to 1959, but after moving to New York in 1963, he underwent active modeling experiments and completed an all over dot painting style as a pure abstraction that is visually distinctly different from before around 1970. Although a lot of research has already been done on Kim Whan- ki's art world, from 1963, just after the artist moved to New York, to the 1970s, when the all over dot painting was announced in Korea through the 1st Korean Art Grand Prize,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his work. there is very little This is because too many forms were simultaneously experimented with declined and then reappeared from time to time for this period to be grasped over time. Various media such as oil paintings on canvas as well as drawings and oil paintings on gouache newspapers were heavily treated. There seems to be a reason for the appearance. Many studies identify the artist's New York era as a 'discontinuity' with Seoul era, and even if he does not directly use terms such as severance or break up, he hardly mentions or treats the period with very little importance, implying a break. Based on this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various forms that appeared from the early days of the artist's migration to New York to the early 1970s, and at first glance, the New York era all over dot painting series of sign language, which seems to be a completely different world from before, was completed through certain stages It is intended to reveal the transition process of what is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past works reflected in the fields, and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the entire world of Kim Whan-ki's work can be illuminated three-dimensionally.

      • KCI등재

        2016~2017년 촛불집회의 두 가지 전선에 관한 연구

        임미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9 기억과 전망 Vol.0 No.41

        Considering that candlelight vigils are not only nonviolent but also law-abiding,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influence of this nature of the candlelight vigils held from 2016 to 2017 in terms of their physical and abstract fronts. Nonviolent and law-abiding candlelight vigils were possible due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esistance movements and the changes in the fronts caused by the fissures in the ruling party. Specifically, on the physical front, public authorities restrained or retracted themselves under the divided ruling party, while the violent heat of the crowd dissipated on the abstract front as the enemy dissipated from visibility, leaving only Park Geun-hye in sight. The nonviolence and law-abidance of the candlelight vigils eliminat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hysical and abstract fronts, transforming the protests into a festival. But, at the same time, this transformation silenced the voices of the protestors who had come to fight with their lives and ostracized the non-citizens from the grounds, reserving the space only for the citizens. However, the 2016-2017 candlelight vigils also presented new possibilities. The feminist front, which had gained increased visibility due to the controversy over misogyny, had caused a crack in unified order but also proved that groups with different agendas could join forces together. Moreover, although the space occupied and reserved for the citizens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s excluded the fragmented urban lower class, the vigils also opened a window for them to join the forces by demonstrating the coexistence of various fronts.

      • 한ㆍ일간 TV 방송신호 분석 S/W개발

        김현(Hyun Kim),우종우(Jong-woo Woo),최창호(Chang-ho Choi),전계석(Gye-sek Jen)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7

        본 논문에서는 APD곡선을 사용하여 일본과 한국 TV 방송 신호의 월경을 신호의 예측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2006 년 2 월부터 10 월까지 약 9개월간에 걸쳐 부산에서 측정된 일본의 TV 신호의 전파월경실태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제어되어 전송되도록 하였다. 또한, ITU-R P.1546과 측정된 APD곡선을 비교 분석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been developed the software in order to estimate for spill over for TV broadcasting signal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analyzed those signals using APD curve. In Busan, we have been measured channel of Japan TV broadcasting signals during 9 months from February 2006 to October 2006. That system has been controled and translated the measured data to remote-control place. Finally it has computation and compared in the APD curve using ITU-R P.1546.

      • KCI등재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법칙과 주기적 공황에 관한 파인과 해리스의 재구성에 대하여

        김성구(Kim Seong-Gu) 한국사회경제학회 2007 사회경제평론 Vol.- No.29 (3)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법칙과 주기적 과잉생산공황은 분석의 추상수준이 상이한 대상이어서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법칙을 공황과 관련하여 설명하고자 할 때에는 추상수준의 상위를 이론적으로 어떻게 매개할 것인가가 방법론적으로 중요한 문제다.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법칙으로 공황을 설명하는 대부분의 논자들은 이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자본주의의 장기적 발전을 규정하는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법칙을 산업순환과 주기적 공황의 설명에 무매개적으로 적용하는 바, 이는 그 자체로 방법론적 오류이며 공황론의 발전이라고 평가할 수 없다. 파인과 해리스는 양자 간의 추상수준의 차이 문제를 명시적으로 제기하고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법칙과 주기적 공황과의 관련을 재구성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이는 중요한 문제제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재구성은 맑스의 방법론에 대한 왜곡 위에서 이루어진 것이어서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법칙과 공황에 관한 일층의 혼란을 가져왔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Since 1970s, the crisis theory that explains crises from the law of the tendency of the rate of profit to fall(TRPF) has been a main stream in the Anglo-Saxon Marxist literature. Unlike others in this stream, Fine & Harris recognised the methodological significance which is attached to the concept of the level of abstraction in the logic of Marx"s Capital, and made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law of TRPF and the crisis theory. However, it must be said that they failed in methodologically connecting of the law of TRPF and the crisis theory, especially because of their misunderstanding of the method and the level of abstraction in Marx"s Capital, the outcome of which was a grotesque reinterpretation of the law of TRPF as the law of "TRPF and counteracting factors" and crises as occurring from the interaction of the tendency and the counteracting tendency.

      • KCI등재

        김환기의 전면점화 연구 -뉴욕시대 중심으로-

        이현희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0 No.-

        수화(樹話) 김환기(金煥基,1913-1974)는 현대추상회화의 선구자이다. 뉴욕시대(1963-1974)의 전면점화 시리즈는 수화 예술세계의 절정이라 생각하며 현재까지 인정받고 있다. 이에 수화의 뉴욕시대 전면점화가 어떠한 단계를 거쳐 완성 되었는지, 과거 작품에서부터 어떠한 전환과정을 지나 추상미술의 정수가 되었는지 연구해 보고자 한다. 김환기는 일본 유학 후 입체주의와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구상주의 적 추상작업을 시도하였고, 해방 후 에는 전통미에 관심을 가지고 대상의 이미지를 재해석, 고도의 양식화 된 조형 세계를 창조하였다. 그 후 작업의 변화를 거치면서 1963년 뉴욕에 이주한 후 구체적인 형상을 버리고 1970년부터 1974년까지 밑칠 없는 코튼캔버스에 번짐 효과 가 나타나는 점을 찍는 것이 특징인 ‘전면점화’의 양식이 나타난다. 김환기 작품세계의 양식상의 변천 과정에 초점을 맞춤으로, 매 시기 마다 대표적 작품들을 찾아 이미지를 제시하고 그 스타일과 구조로 세밀하게 분석하여 해당 작품의 전후에 등장하는 작품들과의 형식적 연관성을 밝히는 내재적 분석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취하며 작품형식이 큰 폭으로 바뀌는 경우에는 당시 시대적 상황 또는 미술사적 배경과 작가가 처했던 여러 상황 을 파악하여 변화의 원인을 추론하고, 그 의미를 찾는 연구방법을 모색하여 김환기의 독창적인 예술세계가 입체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연구한다.

      • KCI등재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의 교부서류에 대한 엄격일치원칙의 적용가능성 연구

        박남규(Park, Nam Kyu) 한국무역상무학회 2011 貿易商務硏究 Vol.51 No.-

        International transactions have the threat of non-payment by the buyer or non-performance by the seller. Parties tend to search for additional means of securing performance and payment beyond the mere agreement in the contract. Such security may be achieved by means of a letter of credit. When contracting parties have agreed to pay by means of a letter of credit, the buyer’s bank takes upon itself the obligation to pay the purchase price when the seller tenders the documents that are stipulated in the letter of credit. The documents must comply strictly with the terms of the credit.. The documents play a crucial role in letter of credit transaction. The principles of abstraction, separability and strict compliance governing the letter of credit transaction are considered. The concept of fundamental breach of Article 25 CISG was discussed.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a failure to deliver documents conforming to the terms of the letter of credit can constitute a fundamental breach of the sales contract as defined by Article 25 of the CISG by the seller and thereby enable the buyer to avoid the contract. For letter of credit transactions it should be accepted that the delivery of non-performing documents constitutes a fundamental breach, if the result of this breach is that the bank refuses to pay the price for the goods. 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25 CISG, it should be noted that if the parties have agreed to payment by means of a letter of credit, they have simultaneously agreed to apply the strict compliance principle to the delivery of documents in the sales contract. Finally the parties should ensure that inconsistency between the requirements under the documentary credit and the requirements under the contract of sale is avoided, since the buyer may be in breach of his payment obligation if the seller cannot get paid under the documentary credit when his documents conform with the contract of s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