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온라인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에 대한 출판경영자의 거래만족도 연구

        이은국(Lee Eun-Kook),한주리(Han Ju-lie) 한국출판학회 2006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0

        본 연구는 출판경영자 입장에서 온라인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 및 도매서점 중 어느 곳과 거래하는 것이 더 출판사 운영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온-오프라인 서점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더불어 개선점을 논의하는 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도서정가제를 둘러싼 논쟁에 대한 인식을 심층인터뷰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가장 바람직한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였다. 심층인터뷰 결과, 출판경영자들은 온라인서점 및 오프라인서점, 도매서점과의 거래에서 대체로 온라인서점이 가장 만족도가 높고, 오프라인서점, 도매서점 순으로 만족도가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출판사들은 오프라인서점(67.78%), 도매업체(21.73%), 기타유통업체(6.38%), 온라인 서점(3.44%), 총판 및 대리점(0.68%) 순으로 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 서점의 만족도가 높다고 해서 온라인 서점하고만 거래를 할 수는 없는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출판경영자들이 어떠한 요인 때문에 거래에 만족감을 느끼는지를 파악한 결과,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이 한정된 데 반해 온라인 서점은 무한정으로 도서를 소개할 수 있으며, 시공간을 초월하여 도서를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을 온라인 서점이 지닌 장점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결국 온라인서점의 확대는 할인에 의한 것이었으며, 할인폭을 늘림으로써 독자들의 구매를 늘렸기 때문에 실질적인 이익은 과거보다 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높은 할인으로 인한 낮은 마진율은 도서가격의 상승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온라인 서점에서 할인을 많이 해주는 것이 결과적으로 독자들에게 이득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서정가제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 지 살펴본 결과, 온라인 서점의 할인정책 때문에 오프라인 서점이 감소했다는 의견과 인터넷 매체의 발달로 인한 기술력의 발달이 가져온 필연적인 결과라는 것으로 크게 정리할 수 있다. 덧붙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book publishers" cognition on the satisfaction of the deal with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Through this study we wanted to think about the objective evaluation on the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deals. Also, we examined the controversy on the fixed price book sales system and executed exploratory study on the desirable way to quit the dispute on the system.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with the book publishers showed that satisfaction on the deal with on-line bookstores is higher than other dealings such as off-line bookstores, wholesalers. However deals of 20 publishers areas follows: Off-line bookstore(67.78%), wholesaler(21.73%), other distributors(6.38%), on-line bookstores(3.44%), and exclusive sales agency(0.68%) arte in sequence of portion. It means that we cannot say the publishers can deal with online bookstores solely according to the higher satisfaction on the deal with online bookstores. Second, the main reasons on the satisfaction were that online bookstores have no limit on the display and search as well as time to sell. Even though the sales increasement is larger than before, net profit was decreased owing to the enormous discount rate. It could excel the rise of book price. Therefore big discount rate of book price would not the real profit to the book readers. Third, some publishers thought that the decreased number of off-line bookstores was caused by the discount system of the on-line bookstores. Other publishers thought that reduction of off-line bookstores are inevitable owing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and new technolog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 KCI등재

        인터넷 서점에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 및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양성병(Sung-Byung Yang) 한국IT서비스학회 2013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2 No.4

        As the online bookstore market has been saturated and the level of competition has become more intense, maintaining competitive advantage by mitigating consumers' perceived risks can be considered as one of good alternative strategies a company should use. Although studies that identify the types of consumers' perceived risks in the context of online bookstores as well as valid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risk and its antecedent/consequent factors in an integrated manner are strongly required, there has been less attention paid to these matters. Therefore,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we identify five types of perceived risks (financial, performance, online payment, delivery, and seller's response risk) and validate the impacts of online bookstor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user specific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risk. In addition, we also verif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intention to use online bookstores. The results of PLS test using 108 samples collected from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onfirm that perceived risk has a negative impact on intention to use and four antecedents (reputation, service quality, self-efficacy, and user experienc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ived risk.

      • KCI등재

        한국 인터넷서점 분류체계 연구 - 카테고리와 도서 분류를 중심으로 -

        곽철완 한국문헌정보학회 201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7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ategories of online bookstores and to propose improvements. For the study, the category conformity was compared among eight Korean online bookstores selected; the book classification on the categories was compared from them. The results show that the category conformity was high among online bookstores, but the book classification on the categories was different on the bookstores. ISBN contents classification codes for books might not help to classify the books on the categories. Thus, the study proposes a new publication category for the book classification on categories of online bookstor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인터넷서점들의 카테고리 및 판매도서의 분류의 특징을 조사 및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의 8개 인터넷서점을 선정하여 각 서점의 1차 카테고리 명칭의 일치 여부와, 판매도서의 카테고리 분류를 상호 비교하였다. 카테고리 비교를 위해서 일치도 변인, 카테고리 분류 비교를 위해서 분류 일치성 변인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인터넷서점의 카테고리 일치도는 상당히 높았지만, 카테고리 분류는 판매도서에 따라 인터넷서점 간 차이가 많았다. 일부 인터넷서점에서 활용하고 있는 ISBN 내용분류기호는 판매도서의 카테고리 분류에 효과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개선방안으로 서점에 판매도서 분류에 활용할 수 있는 출판물 카테고리 개발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독자의 on-line 및 off-line 서점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한주리,김인영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社會科學硏究 Vol.35 No.2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aders' uses and gratification after using the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Through this study we wanted to think about the objective evaluation on the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and the improvement of its own services. Results showed that customers were satisfied with the security system of the online bookstore as well as personal services such as transferring renewed information directly via e-mail. Whereas, the gratification on the price discount was lower than their expected uses motive. As for the offline bookstores, readers were happy in that they could review the contents of the books and save the time. As a conclus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was examined from the uses and gratification point of view.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본 연구는 소비자 입장에서 온라인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을 어떠한 이유에서 이용하고, 어떤 점에서 만족도를 느끼는지를 이용과 충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독자입장에서 온라인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의 이용동기 요인 및 만족도 요인을 각각 파악함으로써 온-오프프라인 서점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더불어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온라인 서점의 보안 시스템, 최신 정보의 개인서비스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가격 할인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오프라인 서점의 경우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내용을 볼 수 있다는 데서 장점을 가진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부분에서는 이용과 충족 관점에서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의미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덧붙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독자의 on-Line 및 off-Line 서점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한주리 ( Ju Lie Han ),김인영 ( In Yung Kim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09 社會科學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소비자 입장에서 온라인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을 어떠한 이유에서 이용하고, 어떤 점에서 만족도를 느끼는지를 이용과 충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독자입장에서 온라인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의 이용동기 요인 및 만족도 요인을 각각 파악함으로써 온-오프프라인 서점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더불어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온라인 서점의 보안 시스템, 최신 정보의 개인서비스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가격 할인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오프라인 서점의 경우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내용을 볼 수 있다는 데서 장점을 가진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부분에서는 이용과 충족 관점에서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의미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덧붙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aders' uses and gratification after using the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Through this study we wanted to think about the objective evaluation on the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and the improvement of its own services. Results showed that customers were satisfied with the security system of the online bookstore as well as personal services such as transferring renewed information directly via e-mail. Whereas, the gratification on the price discount was lower than their expected uses motive. As for the offline bookstores, readers were happy in that they could review the contents of the books and save the time. As a conclus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was examined from the uses and gratification point of view.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 KCI등재

        국내 인터넷 서점의 건강 분야 분류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최예진,정연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 정보관리학회지 Vol.30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and compare current state of subject directories of the health field in eight internet bookstores in domestic and abroa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KDC and DDC, using names of subdivisions within the health field of internet bookstore. Also, user interviews to find their information needs about the health field in internet bookstore were conducted. And then, based up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design principle and a new classification for the health field of internet bookstores. With evaluations of the experts from the field, a final classification schedule (1 class, 11 division, 60 subdivision, and 16 section)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a foundation of classifying health resources efficiently in internet bookstores and other web sites. 본 연구는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의 개선방안으로 이를 위해 국내․외 8곳의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KDC, DDC의 해당 주제 분류항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의 이용에 대한 이용자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원칙을 수립하고,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설계안을 개발한 후, 실무자와 전문가 평가를 받아서 건강이란 대분류 아래 11개의 중분류 항목과 60개의 소분류 항목, 16개의 세분류 항목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터넷 서점은 물론 웹상에서 건강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류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온라인에서 오프라인 공간으로 이동한 소비 공간의 물질성과 공간성 - 알라딘 중고서점의 경우 -

        이희상(Hee sang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1

        본 논문은 ‘사물의 사회적 삶’의 현장으로서 알라딘 오프라인 중고서점(대구점)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오프라인 공간으로 이동한 이차 사이클 소비 공간에서 나타나는 물질성과 공간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번째 절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서점이라는 소비 공간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공간으로 이동한 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그 두 공간 사이의 역학적 공간 관계와 변화를 고찰한다. 여기서는 주로 신문 자료와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거시적으로 이해한다. 세 번째 절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 사이에서 재매개된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나타나는 물질적 및 수행적 환경과 그것을 통해 나타나는 공간성을 설명한다. 특히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 사이에서 나타나는 ‘전위’와 ‘변위’ 현상에 주목하면서, 그것을 이차 사이클 소비 공간의 맥락에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알라딘 대구점에 대한 관찰과 서점 직원들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미시적으로 조사한다. 마지막 절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알라딘 중고서점의 물질성과 공간성을 Augé의 ‘비장소’ 개념으로 비판하면서 그 대안적 방향을 Oldenburg의 ‘제3장소’와 Urry의 ‘사이공간’ 개념을 통해 제시한다.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materialities and spatialities of the second-cycle space of consumption which has moved from online to offline space, focusing on an Aladin’s offline used bookstore in Daegu as the locale of ‘the social life of things’. The second section reviews the process in which bookstores have moved from offline to online space and the dynamic spatial relations and changes between the two spaces. Here it understands them through a macro approach using newspaper articles and statistic data. The third section explains material and performative environments and spatialities which appear in the Aladin’s offline used bookstore remediated between online and offline spaces. Especially, it pays attention to the ‘displacement’ and ‘disloca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spaces, and explains them in the context of the second-cycle space of consumption. Here it investigates them through a micro approach based on observations on the Aladin’s offline used bookstore in Daegu and on interviews with the staffs. And the final section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criticizing the materialities and spatialities of the Aladin’s offline used bookstore in terms of Augé’s concept of ‘non-place’, suggests an alternative direction through Oldenburg’s concept of ‘third place’ and Urry’s concept of ‘interspace’.

      • KCI등재

        온라인 서점의 서비스 품질 요인에 따른 소비자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 IPA 분석을 중심으로

        이명성(Myoung-Soung Lee),김한성(Han-Seong Kim) 한국IT서비스학회 2021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20 No.3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e market size of online bookstores is constantly increasing in Korea.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online bookstores as many customers use online bookstores, many existing studies have approached only from a linear perspective that satisfying service quality factors will lead to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ervice quality of online bookstores has only been addressed in general and universal service situations, such as SERVQUAL and e-SERVQUAL and WebQual, or online situ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specificity of online bookstores and to establish specific strategies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In this study, we present six higher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for online bookstores and 25 lower dimensions to measure it, and we confirm strategic direction for service quality elements through IP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2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first quadrant, which required maintenance of service quality due to the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perceived by customers. Next, the importance of customers is high, but their satisfaction is low, so the second quadrant that should be improved first had a total of two factors. Third, the third quadrant was an area where customers perceived low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d a total of nine factors were involved. Finally, the fourth quadrant was an area where the customer was satisfied but perceived low importance, with a total of two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trategic use of online service quality factors.

      • KCI등재

        국내 온라인 서점과 그림책 전문 웹 사이트에서 추천하는 영아 그림책의 목록과 특징

        정현희(Jeong Hyeun-hei),김정준(Kim Jeong-jo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국내 온라인 서점과 그림책 전문 웹 사이트에서 공통적으로 추천하는 만 0-2세 영아 그림책의 목록을 추출하고 그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영아에게 적합한 그림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서점과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그림책 전문 웹 사이트의 만 0세-2세 영아를 위한 추천 그림책 90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림책의 분석범주는 기본적인 서지정보, 장르, 그림 표현양식, 관련 표준보육과정 주제로 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온라인 서점과 그림책 전문 웹 사이트에서 추천하는 그림책은 총 1,826권이었고 그 중에서 2회 이상 중복 추천된 그림책은 90권으로 추천도서가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그림책 90권의 서지사항을 살펴보았을 때 최숙희와 하야시 아키코의 그림책이 가장 많았다. 영아 그림책의 평균 쪽수는 일반 그림책보다 적은 26쪽이었고, 사이즈는 일반적인 그림책보다 작으면서 정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이 많았다. 장르는 논픽션 그림책 중에서 놀이책이 가장 많았다. 표현양식은 주관적 표현 중 만화적 표현 그림책이 가장 많았다. 관련 표준보육과정 주제에 따라 분류하면 나, 가족, 놀이와 관련된 그림책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증가하는 영아보육 현장에서 영아의 발달적 요구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적합한 그림책의 기준과 특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f picture books suitable for infants by investigating lis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m commonly recommended by domestic online bookstores and picture books specialist websites.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90 picture books selected from the list of steady seller books for 0-2 infants. They were categorized by basic bibliographic data, genres, expression styles, themes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otal number of picture books for infants recommended from online bookstores and web–sites were 1,826. Only 90 of them were recommended suitable for infants from both sides. Second, analyzing bibliography of 90 picture books showed that Choi Sook-hee and Akiko Hayashi written were the most in numbers. The average number of pages for infant picture books was 26 pages. The size was smaller than a typical picturebook, and shape of them was close to a square. In terms of genres, nonfiction picture books, especially play books were the most popular. Cartoonistic expression style was most shown in the books. The themes related to ‘I’, ‘Family’ and ‘Play’ were most found in the book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criteria and characteristics of appropriate picture books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 children.

      • KCI등재

        인터넷 서점 중고도서 거래의 서비스 요인이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양진원,유연우,김정렬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ervice factors of used book transactions, which are becoming a major service in online bookstor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reuse intention. 235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or users of used book transaction services in their 20s or older, and 205 surveys were adopted through the refining process.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using SPSS22.0 and AMOS22.0 statistical programs. Some factors were supported between service factors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use intention, and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preferred genre of reading were founded. More differentiated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customer's preferred genre, as the services of online bookstores are becoming more standardized, customers do not feel differentiated.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서점에서 주요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는 중고도서 거래의 서비스 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만족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20대 이상의 중고도서 거래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설문을 통해 235개의 표본을 수집하고 정제과정을 통해 205개의 설문을 채택하였다. SPSS22.0과 AMOS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서비스 요인과 고객만족간에 일부요인이 지지되었고, 고객만족은 재이용의도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독서 선호 장르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터넷 서점들의 서비스는 점점 표준화되고 있어 고객들은 차별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으므로 고객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