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느웨 상상력: (비인간) 동물 신학 정립을 위한 구약성서 연구

        이종록(Lee Jong Loc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5

        이 연구는 비인간 동물에 대한 성서적 연구를 통해, ‘비인간’ 신학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둔다. ‘비인간’ 동물 신학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성서를 바르게 읽어야 하며, 그 작업을 위한 성서 독해 방법으로 <생명 해석학>적 방식이 적합하다. 지금까지 신학은 지나치게 인간중심적이었지만, 비인간 존재들도 신학적 대상임이 분명하다. 요나서 3장을 보면, 하나님은 니느웨 공동체가 인간들과 비인간 가축들로 구성되어 있음에 주목하셨고, 인간들과 비인간들이 영적으로 동등한 회개 공동체이며, 신적 구원의 대상임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나는 이러한 사고를 ‘니느웨 상상력’이라고 부른다. 요나서는 하나님이 인간뿐만 아니라 비인간 생명체들에게도 동일한 관심을 갖고 계심을 보여준다. 그리고 나단이 다윗에게 들려준 암양 이야기는 당시 사람들이 비인간들을 가족으로, 즉 인간과 거의 동등하게 대했음을 보여주는 명확한 증거이다. 창세기 2장에 나오는 창조 선학에 큰거해서 보면, 비인간 존재들이 인간을 위해 창조된 것이 아니라 인간과 비인간 존재들이 동등하고 평등하게 신의 영광을 위해 창조된 ‘네페쉬 하이야’들이며, 노아 계약은 비인간 동물들이 인간과 동등하게 하나님과 계약을 맺는 존재들임을 입증한다. 예언서들은 인간보다 비인간 존재들이 훨씬 더 신앙적이고 이성적인 존재라고 평가한다. 인간 동물은 물론이고 비인간 동물들도 동등한 회개의 주체이며, 신적 구원의 대상인가? 그렇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non-human animal theology through biblical studies. In order to establish the nonhuman animal theology properly, first of all, we should read the Bible correctly, in a way that is suitable for the Hermeneutics of Life. Until now, our theology has been too anthropocentric, but now, it became clear that nonhuman beings also are the object of the theological study. Chapter 3 of the book of Jonah clearly shows that Nineveh community consists of humans and non-human animals, and in that community, humans and non-humans are equal in spiritual repentance and the same object of the divine salvation. I call this thought as Nineveh imagination. The book of Jonah shows that God has the same interest to human animals and non-human animals. And the story that Nathan told to David is a clear evidence that in that time, people considered non-human animals as one of their family. They treated non-human animals as same as human. Creation theology in Genesis shows that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s are the same nephesh hayyah, the living creatures, nonhuman beings are not created for humans, and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s are equal and created for God s gloty. Noah Covenant demonstrates that non-human animals are the same people of the covenant of God. Prophets evaluated that non-human animals are more faithful and more rational than human animals. Is Human animals and non-human animals also the equal subject of repentance, and the equal subject of divine salvation? Yes!

      • KCI등재

        구전서사에 형상화된 비인간의 행위성에 관한 탐색 - 벌목저항전승의 포스트휴머니즘적 해석을 중심으로

        박광은 한국구비문학회 2022 口碑文學硏究 Vol.- No.66

        This study analyzes the non-human agency represented in oral-narratives. Based on posthumanism, this study focuses on the type “Trees against Logging”, which represents the most hostile case of a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s and humans. In “Trees against Logging”, trees “resist” the logging by humans. Particularly in the “Trees against Logging” documented in the premodern era, the trees are represented as anthropomorphic figures, which have agency and will. Here,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he curse[殃禍] that the trees put on the logging human as an act of “resistance” is suggested. On the other hand, in those investigated in the modern era, the trees’ agency is represented negatively, or the agency itself is denied. This is because the modern worldview, based on Western thoughts, conceals and dismantles the network between non-humans and humans, all “persons”. Here, the trees’ perspective, intention, and agency are also concealed. Therefore, the curse is not represented as a “resistance” by the trees, but as a thing of incomprehensible fear to be suppressed. However, since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persons” constitute the world, “hybrids” of non-human agency in the modern world can inevitably be imagined. “Hybrids” are not just in the “informal” area but also the “official” area of the state, exhibiting the agency. “Hybrids” overpass and disturb the division line between the premodern and modern, non-humans and humans. Posthumanism attempts to reveal the form of the world connected and intertwined with relationships between all “persons” and the non-human agency that emerges from such relationships. Considering posthumanism, it is necessary to discover non-humans who act like humans, that is, anthropomorphic non-humans represented in oral-narratives.

      • KCI등재후보

        SF애니메이션에서의 인간과 비인간적 존재의 관계

        조미라 영상예술학회 2009 영상예술연구 Vol.0 No.14

        본 논문은 SF 애니메이션에서 인간과는 구분되는 존재들을 '비인간적(非人間的) 존재'라 정의하고, 사이보그, 외계인, 그리고 괴물 등을 포함하는 비인간적 존재들 과 인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 사이보그는 왜 인간을 꿈꾸는가, 2) 인간과 외계인의 공존은 가능한가, 3) 인간 안의 또 다른 존재, 괴물 등의 챕터로 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인간이 된다는 것, 혹은 어떤 주체, 어떤 인물 이 된다는 것은 그 의식이 자기 정체성과 하나로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엇인가 되고자 할 때 오직 가능한 것은 스스로 자신을 선택하고 만들어가는 존재다. 이 자 유의 존재, 선택의 존재는 생물학적인 '인간'이 아니라, '인간성'을 가진 인간에게 만 가능하다. 따라서 사이보그가 간절히 욕망하는 것은 유기체로서의 신체적 인간 이 아니라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가치, 그러나 인간 스스로 잃어가고 있는 '인간 성'에 대한 회복이자 갈망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역사는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의 투쟁의 장이었다. 인간과 로봇, 사이보그, 외계인, 외계인 등과의 대립은 표면적 으로는 인간과 비인간적 존재들과의 충돌 과정에서 비롯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인간 자신들의 권위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열등한' 타자의 필요성에서 기인한 다. 따라서 SF애니메이션에서 외계인과 인간의 공존이 힘겹게 그려지는 까닭은, 인 간이 타자에게 나와 같아질 것을 요구하거나, 혹은 타자와 같아지려고 함으로써 그 '차이'를 동일화하기 때문이다. SF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로봇, 사이보그, 외계인, 괴물 등 수많은 비인간적 존재의 정체는 인간의 또 다른 얼굴, 인간의 야누스적 양 면의 한 쪽에 다름 아니다. 비인간적 존재는 인간이 갖고 있거나 가져야할 그 무엇 을 갖고 있는 존재이다. 결국, SF 애니메이션에서 사이보그나 외계인, 괴물 등의 비인간적 존재가 요구하고 욕망하는 것은 곧 인간이 바라고 욕망하는 세계이며, 나 아가 유토피아적 세계를 욕망하는 인간의 오래된 꿈, 또는 그런 꿈이 실현된 세계 를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라 할 것이다. This study have defined the beings that are classified different from humans in SF animations as 'non-human beings';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he non-human beings that include cyborgs, alines and monsters. In order to achieve such purpose, the following chapters have been researched;1) Why do cyborgs want to be humans? 2) Is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aliens possible? 3) The monster within a person. Becoming a human, a subject, or a person means the consciousness becoming one with its identity. When aspiring to become something, the only possible thing is the existence that chooses and makes itself on its own. This being of freedom, choice is only possible for humans with 'human nature' and not just biologically 'humans'. Thus what cyborgs truly desire is not the organic body of a physical human but the value that only humans can have, desire for the 'human nature' that humans themselves are losing. The history of humans has always been a field of struggle between the ruling and the ruled. The confrontation between humans and robots, cyborgs, aliens seems to arise from the conflicts of humans and non-human beings on the surface, but in reality it is caused by the need for an 'inferior' others to justify humans' own rule and authority. Accordingly, the reason why coexistence between aliens and humans is shown to be difficult in SF animations is because humans identify the 'difference' by demanding others to be like us or by trying to be like others. The true character of countless non-human beings that appear in SF animations such as robots, cyborgs, aliens and monsters are none less than humans' other face, the other side of humans' Janus-face. This is because the non-human beings are beings that have something that humans have or should have. In conclusion, what the non-human beings such as cyborgs, aliens and monster in SF animations desire and demand is in other words a world humans want and desire ; and furthermore, humans' long time dream of a Utopian world or the intention of making such dream world a reality.

      • KCI등재

        한국 전후문학의 생태문학적 가능성 -황순원의 『일월(1964)』과 김원일의 『노을(1978)』의 백정 재현을 중심으로-

        구자연 우리문학회 2024 우리文學硏究 Vol.- No.81

        This article focuses on the “Baekjeong” in Hwang Soon-won’s novel “Sun and Moon” (1964) and Kim Won-il’s novel “Sunset” (1977), which is included in the Korean post-war literature. It examines the ecological literature common in both works. Both works are ecological texts that make the reader experience reading as a "vigil" in that they describe the scene of slaughtering cattle in detail and perform the work of visualizing the violence of "carnism". In Hwang Soon-won’s “Sun and Moon,” he protests that people are humans through the image of “red blood,” while simultaneously depicting the animal nature of humans. Through In-cheol and Bondol Yeong-gam’s dreams, the author produces the effect of “becoming an animal.” In-cheol’s symbiosis with human species and his house-building present aspects of ecological life. “Sun and Moon” depicts the humanistic struggle of the “Baekjeong” to be recognized as human and blurs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by depicting the “Baekjeong” and his grandson becoming a cow. In “Sunset,” Kim Won-il depicted the violence of the father, a “Baekjeong,” from the perspective of a boy. It reveals that violence against animals and humans are executed through the same manner, closely related, and operate in a relationship. However, it is revealed that the “Baekjeong” who commits this chain of violence is an accomplice, perpetrator, and victim. He takes on the “dirty work” as the weakest and most despised character in such a structure. Both authors’ representation of the “Baekjeong” shows people who similarly struggle to become human as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s blurring. They made the “Baekjeong,” who was the closest to non-human among humans, slaughter non-human animals. It raises significant questions present in post-war Korean novels, such as “What is a human being?” Furthermore, the “Baekjeong” character in Hwang Soon-won and Kim Won-il’s novels shows the similarity between the structure and phenomena of violence against humans and animals. This article focuses and emphasizes ecological questions. 이 글은 한국 전후문학의 계열로 분류되어 왔던 황순원의 장편소설 일월 과 김원일의 장편소설 노을 에 그려져 있는 백정 인물에 주목하여 두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생태문학적 독해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 작품은 모두 소를 도축하는 장면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자로 하여금 ‘비질(vigil)’로서의 독서 체험을 하게 만들며, “육식주의(carnism)”의 폭력성을 가시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생태주의적 텍스트이다. 황순원의 일월 에서는 ‘붉은 피’의 이미지를 통해 백정도 인간임을 항변하면서 동시에 인간의 동물성도 드러낸다. 또한 인철과 본돌영감의 꿈을 통해 작가는 ‘동물-되기’의 정동을 생산하며, 인문의 반려종들과의 공생과 인철의 집짓기는 생태적 삶의 모습들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이에 일월 은 백정 인물의 입을 빌어 백정 역시 인간으로 인정받고자 했던 휴머니즘적 고투를 그려냄과 동시에, 백정 인물과 그의 후손의 ‘소-되기’를 그려냄으로써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희미하게 만드는 작업을 수행하는 텍스트로 재독해 할 여지가 있다. 한편, 노을 에서 김원일은 소년 화자의 시선으로 백정인 아버지 인물의 폭력성을 그려냄으로써, 동물에 대한 폭력과 인간에 대한 폭력이 동일한 구조를 통해 수행되며, 긴밀하게 연동하며 작동하는 관계임을 드러내준다. 그러나 그러한 폭력의 연쇄 구조 속에서 이를 행하는 백정 인물 역시 공범인 가해자이기만 한 것은 아니고, 그러한 구조 속에서 가장 약하고 천대받는 자들로서 “더티 워크”를 떠맡은 것이라는 점에서 희생자임을 분명히 밝힌다. 결국 두 작가의 백정 재현은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에서 인간으로 인정받기 위해 몸부림쳐야 했던 백정과 같은 사람들이 있었다는 사실과 동시에 인간 중 가장 비인간에 가까웠던 백정으로 하여금 비인간동물을 학살하는 일을 도맡도록 했다는 사실을 소설화한 것으로 큰 의의를 가진다.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전후 한국소설의 휴머니즘적 질문은 황순원과 김원일의 소설 속 백정 인물의 재현을 통해 인간에 대한 폭력과 동물에 대한 폭력의 구조와 양상이 전혀 다를 바 없음을 상기시킴으로써 인간중심주의에 균열을 내며 생태주의적 문제제기로 나아가게 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

        한국영화의 비/인간 표상 연구: 동물 변이와 동물 호명 영화를 중심으로

        오영숙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nimal-human representations in Korean films. Films that dealt with animal transformation and animal metaphoric human, which were produced intensively during the pre-democracy period (1960s-1980s), are specific objects. It seeks to grasp the working principle of non-human representations that cross human and animal boundaries and the periodic emotion behind it. This work will not only track the public emotions of the coercive era, but will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measure the subtle position of the cinema in response to the oppressive society. The main focus of this article is gender of animal-huma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animalized characters are mainly female, and the stronger the regime’s control, the stronger the animal attributes they take, whereas males usually appear as helpless. Animal-female aggression is the power to deal with the evils committed in the public or private sphere. And even though it ended in death, blind devotion of animal-female is the last remaining possibility to cure male incompetence. What becomes clearer here is male dependence and male anxiety about the manifestation of such dependence. What lies behind making women into aggressive animals is a man’s pent-up anger(‘鬱憤 ulbun’) that has not been expressed in public anger. Men’s helplessness, unable to live up to the state’s ideals and fight against it, eventually turned women into snakes, cats, foxes, worms, and insects. The anxiety of men expressed through the intrinsic affect of a woman pressed by the strata of the male hegemony, that is the core force that made the women disgusting animals. 이 논문의 일차적 목적은 한국영화에 등장했던 동물-인간의 표상에 대한 탐구이다. 민주화 이전의 시기(1960년대∼1980년대)에 집중적으로 제작된 동물 변이와 동물 호명 영화들이 구체적인 대상이 된다.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넘나드는 비/인간 표상의 작동원리와 그것의 배후에 놓인 시대적 정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강압시대의 대중 감정을 추적하는 일이자, 억압적 사회에 대응하는 영화의 미묘한 자리를 가늠할 계기가 될 것이다. 이 글에서 문제화한 것은 동물-인간의 젠더이다. 동물화된 인물이 주로 여성이고, 정권의 통제가 심할수록 그들이 취한 동물적 속성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 반면 남성은 대개 무기력한 모습으로 등장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동물-여성의 공격성은 공과 사의 영역에서 자행되는 악행을 멈추게 하는 힘이다. 그리고 비록 죽음으로 마감되긴 하지만, 동물-여성의 맹목적 헌신은 남성의 무능을 치유케 할 마지막 남은 가능성이다. 여기에서 새삼 확인되는 것은 남성의 의존성이자, 그러한 의존성이 드러나는 것에 대한 남성의 불안이다. 여성을 공격적인 동물로 만든 배후에 놓여 있는 것은, 공적인 분노로 표출되지 못한 남성의 울분이다. 국가의 이상에 부응하지도 그에 맞서지도 못한 남성의 무력함이 여성들을 뱀, 고양이, 여우, 벌레, 곤충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남성 헤게모니의 지층에 눌려 있는 여성 고유의 정동을 빌어 표출된 남성의 불안, 그것이 여성을 혐오동물로 만든 핵심적 힘이다.

      • KCI등재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비인간형 캐릭터의 성격화 분석 픽사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 <카>, <월-E>를 중심으로

        백승균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3

        비인간형 캐릭터는 현실에 제한되지 않는 상상력을 발휘하여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인간형 캐릭터보다 창의성과 다양성이 높은 캐릭터로서 애니메이션의 활용도가 크다. 또한 비인간형 캐릭터는 인간과 다른 형태와 특성 때문에 인간형 캐릭터에 비해 신선하고 독특한 인상을 줄 수 있어 흥미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감정과 사고의 전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인간형 캐릭터에 비해 세밀하고 복잡한 성격 표현에 여러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비인간형 캐릭터의 성격화(characterization)를분석하여, 인간형 캐릭터와 다른 성격화의 특징과 효과를 찾아내고자 한다. 이에 기발하고 독창적인 캐릭터로 인지도가 높은 픽사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비인간형 캐릭터 중에서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를 선정하였다. <니모를찾아서(Finding Nemo)>의 ‘니모’, <카(Cars)>의 ‘라이트닝 맥퀸’, <월-E(Wall-E)>의 ‘월-E’를 대상으로 하여성격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인간형 캐릭터 역시 의인화된 캐릭터로서 인간형 캐릭터의 성격화와 유사성이높았지만, 인간형 캐릭터에 비해 성격 표현에 여러 제약이 존재했다. 특히 손과 팔, 다리가 없기 때문에 인간형 캐릭터에서 볼 수 없었던 낯선 표현 방법으로 전달하였고, 반복을 통해 친숙해지도록 유도하였다. 반면, 이러한 낯선 표현 방식은 오히려 관객들에게 흥미를 자극하고 몰입도를 상승시켜 결과적으로 캐릭터의 성격화에 장점으로작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비인간형 캐릭터의 성격화에 관한 부족한 연구를 보완하고비인간형 캐릭터의 성격 표현에 있어 효과적인 성격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애니메이션 제작 현장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애니메이션 연구의 다양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zation of non-human characters in animation and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ization that are different from human characters. First, we selected various types of characters from non-human characters that appeared in animations with high recognition in terms of artistic and commercial aspects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zation types. The results of the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Nemo’ from <Finding Nemo>, ‘Lighting McQueen’ from <Cars>, and ‘Wall-E’ from <Wall-E> showed that non-human characters were also anthropomorphic characters with high similarity to human character characterization, but they had several limitations in expressing their personality compared to human characters. In particular, because they lacked hands, arms, and legs, they induced characterization with unfamiliar expressions that could not be seen in human characters. However, these unfamiliar expressions stimulated the interest of the audience and increased the immersion, which ultimately worked as an advantage for characterization. It was difficult to find studi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non-human characters in animation, so this study aims to propose effective characterization methods for non-human characters in terms of personality expression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인간-동물 유대(HAB)에 근거한 지역사회 비영리기관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 M 종합사회복지관 사례를 중심으로

        박종두(Park, Jong-du),김성호(Kim, Seongho) 한국비영리학회 2020 한국비영리연구 Vol.19 No.1

        인간과 동물간의 유대(Human-Animal Bond, HAB)는 정서ㆍ심리ㆍ물리적 상호 작용을 통하여 유익하고 역동적인 관계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도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반려인 1,000만 시대를 맞아 인간과 동물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올바르게 돌보지 못할 때 심각한 부작용도 예상되는데, 이는 신체적 제약과 경제적인 부담을 겪는 반려인들에게 더 취약하다. 최근 들어 반려동물로 인한 문제와 갈등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문화나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 단지 정부나 지자체의 개입만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인간과 동물이 공생하며 긍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영리기관의 역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HAB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해외 비영리기관의 사례를 살펴본 뒤, 서울시 N구 J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의 반려동물 양육실태 전수조사에 대한 분석과 M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취약계층을 위한 반려동물 돌봄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반려인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동물 유대에 근거하여 지역사회 비영리기관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했다. Currently, the advent of the era in which 10 million people live with their companion animals in Korea is realized. In the social environment with companion animalss, ties between humans and animals are considered important. Human-Animal Bond(HAB) has a positive effect on human life by providing a beneficial and dynamic relationship through emotion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interactions. However, the risks and side effects of companion animals are also expected, such as the vulnerable and indigent generation, which suffers from physical and financial burdens in taking proper care of the animals. Therefore, non-profit institutions that are providing practice city welfare services in the local community are needed to establish a service system that helps humans and animals co-exist and lead positive lives.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n FGI to the people with their companion animal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lete analysis at J permanent rental apartment located in N region, Seoul and companion animal care support program for vulnerable in the M community welfare center, thereby presenting an exploratory alternative to the roles and effects of non-profit institutions in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human-animal ties.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의 서술자 연구

        조미라 영상예술학회 2010 영상예술연구 Vol.16 No.-

        Animation is a genre which is able to freely deliver new forms and expressions with post-human eyes and senses, unlike realistic novels or movies that recreate the world objectively. This characteristic ultimately leads to the introduction of various animation narrators including the non-human narrator, the narrator in childhood, and the unconscious narrator. Therefore, this paper looked into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or of animation, and studied changes according to the discursive practices of a narrator. With this aim, the study analyzed certain types and characteristics by which each narrator works within a narrative by classifying animation narrators largely into the non-human narrator, the narrator in childhood, and the unconscious narrator. The analyzed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non-human narrator separates the narrative world from the rational, reasonable reality, and invites people into the space of the story. Second, the narrator in childhood features itself as a target (object) by escaping from the context of the social and reasonable system. Third, the unconscious narrator expands the role of the narrator into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by restoring even a ‘surrealistic and desultory memory’. 애니메이션은 세계를 객관적으로 재현하고자 하는 리얼리즘 계열의 소설이나 영화와 달리 탈인간적 시선과 감각으로 새로운 형식과 표현을 전달하는 데 자유로운 장르이다. 이러한 특성은 비-인간(非-人間) 서술자, 유년 서술자, 무의식의 서술자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서술자로까지 이어진다. 이에 본고에서는 애니메이션 서술자의 역할과 특징을 살펴보고, 서술자의 담론 행위에 따른 변화들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애니메이션 서술자를 크게 비-인간 서술자, 유년 서술자, 무의식의 서술자로 구분하여 각 서술자가 내러티브 안에서 작용되는 방식과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인간 서술자는 서사적 세계를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현실로부터 분리시켜 놓고 사람들을 이야기의 공간으로 초대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유년 서술자는 사회적, 합리적 제도의 컨텍스트에서 벗어나 대상(사물) 자체가 되는 특징을 갖는다. 셋째, 무의식의 서술자는 ‘초현실적이면서 종잡을 수 없는 기억’까지 복원함으로써 서술자의 역할을 무의식의 세계로까지 확장시킨다.

      • KCI등재

        버지니아 울프의 비인간 등장인물과 포스트휴머니즘

        박형신(Hyungshin Park) 한국영미어문학회 2021 영미어문학 Vol.- No.143

        Engaging Virginia Woolf’s short fiction “Kew Gardens” and her canine biography Flush as the important texts by which to study the narrative status of non-human character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representing the subjectivities of non-human characters such as snail and Cocker Spaniel. Posthumanist theories will require close attention in research on how to represent the subjectivity of other species in human language. First, I will focus on comparative analysis of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s becoming-animal and Donna Haraway’s becoming-with. Second, through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ransdisciplinarity of Cary Wolfe’s, I will explain the significance of reading Woolf’s modernist narrative from Posthumanist perspective. Lastly, I will evaluate the potentiality of Woolf’s non-human characters in terms of a challenge to anthropocentric conceptualizations. Woolf anthropomorphizes the snail as an agency with her imaginative becoming-with. Flush, the canine protagonist is also anthropomorphized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of companion species. Woolf’s non-human characters become with the human characters and in the narrative space, once decentered, the human is relocated.

      • KCI등재

        이상(李箱) 문학에서의 여성-동물과 여성-인형의 ‘몸’들

        노지승(Roh, Jiseung)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상 문학에서 자주 나타나는 초현실적인 변신은 고정적이며 안정된 실체로서의 몸이 아닌, 새롭게 변형되고 생성되는 몸을 형상화하고 있다. 특별히 이상 문학에서 변신이 여성의 몸이라는 매개를 통해 형상화된다는 점은 새롭게 주목해 볼만하다. 이상의 텍스트에서 변신의 상상력은 여성-동물과 여성-인형의 형태로 드러난다. ‘동물되기’는 인간됨을 완전히 초월한 변신으로서 여성-동물 가운데 ‘여성-거미’와 ‘여성-새’는 종(種)을 가로지르는 횡단적 사유의 결과물이며 현실로부터의 탈주가 가능한 무성적(無性的)인 그로테스크한 몸들을 형상화한다. 한편 이상 텍스트에서 여성의 몸은 인형 그 가운데서 태엽 인형인 오토마타나 줄이 달린 꼭두각시로 표현되기도 한다. 여성의 신체를 미러링하고 있는 여성-인형의 몸은 여성 인간의 섹슈얼리티를 그대로 갖고 있으며 남성주체의 지배욕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여성-인형의 몸에 대한 남성인물의 지배욕망은, 이상 텍스트의 남성 인물들이 지속적으로 탈주를 위한 초월적 변신에의 욕망을 갖고 있지만 그들에게 끝내 포기하기 어려운 인간됨에 대한 집착이 남성성의 형태로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The surrealistic metamorphosis frequently shown in Lee sang’s literature, are representing the newly transformed and formed body, instead of a body as an object of knowledge in modern medical science, and a fixed and stabled entity. Especially, it is valuable enough to newly pay attention to metamorphosis in Lee sang’s literature as it is represented through the mediation of woman’s body. In Lee sang’s texts, the imagination of metamorphosis through woman’s body is revealed in the form of woman-animal and woman-doll. In case of woman-animal, the woman-spider and woman-bird are the results of cross-sectional thinking that transcends the species, and representing such grotesque bodies that could run away from the reality. Meanwhile, in Lee sang’s texts, woman’s body is sometimes represented as automata which is a controllable clockwork doll or a puppet with strings. This inhuman body similar to human body is composed of inorganic matters, which represents a terrifying body different from animals. Even though the woman-animal and woman-doll mediate the deconstructive thinking that disturbs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non-human in Lee sang’s literature, the body of woman-doll is not free from the male subject’s desire to dominate others, especially, women. The desire to dominate woman’s body represented into doll, shows that the vestige of being humane the male characters or male subjects could not give up to the end is remained as a trace of masculinity in Lee sang’s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