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악기로 활용 전래된 불전의 악기 연구

        박두리나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6 No.-

        Most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currently being played are introduced from Chinese ancient musical instruments. Except for a few musical instruments such as gayageum, geomungo, and daegeum, all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were imported from China. In history, there have been musical instruments in China since 6,000 B.C. Among them are the Indian musical instruments brought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from India. The names of Indian musical instruments are replaced by the names of Chinese musical instruments as the Buddhist Scriptures have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ancient musical instrument Vinna of South India and Sidal of North India. These musical instruments are Indian musical instruments passed to China along with Buddhism.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lated into Chinese, the musical instruments’ names were changed to gonghu, yurigeum, and bipa in Chinese. There are many musical instrument names in the Chinese version of Buddhist Scriptures. Most of the ancient musical instruments in China are recorded there. They are introduced as musical instruments for playing Buddhist music. Among these instruments, there are musical instruments that are compatibl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currently being played in Korea. The history of the musical instruments that have come to Korea from China is sometimes said to begin with the introduction of Daesung Aak (大晟雅樂) of the Song Dynasty in AD 1114. However, earlier in the year of AD 372, Buddhism was introduced to Korea, and the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were probably transmitted through the Buddhist Scriptures. It is not certain yet which Buddhist Scriptures came first, but it is certain that the Buddhist scriptures existed before the instruments came in from China. Therefore, the names of Chinese musical instruments in Korea began to be introduced by the Buddhist scriptures. Given that these instruments are currently being played as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this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name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were first known through the Buddhist scriptures. This study firstly aims to identify the fact that the names of the musical instruments have been record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and handed down. Next, it aims to identify the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used in the performance as the national musical instruments in Korea among the instruments record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Through this study, it aims to reveal the fact that ancient Indian and Chinese musical instruments, which were played in Buddhist music, were introduced to Korea and are now being used as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현재 연주되고 있는 우리의 국악기는 대부분 중국의 고대악기가 유입된 것이다. 국악기 중에 가야금, 거문고, 대금 등의 소수악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악기이다. 중국은 기원전 6천년 전부터 악기가 존재했던 것으로 역사가 전한다. 그중에는 인도로부터 불교가 전래되면서 함께 유입된 인도의 악기가 포함되어있는데 이러한 악기들은 불전이 한역되면서 중국악기 명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불전에는 인도의 악기가 중국악기의 이름으로 바뀌어 전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남인도의 고대악기 빈나(Vinna)와 북인도의 시달(Sidal)을 들 수있다. 이 악기는 불교와 함께 중국에 전해진 인도악기인데 불전이 한역 되는과정에서 중국의 공후(箜篌), 유리금(琉璃琴), 비파(琵琶) 등으로 악기명이 바뀌었다. 한역 불전에는 많은 악기 명이 전하고 있다. 중국의 고대악기 중에 대표적인 악기는 대부분 기록되어 있다. 불교음악을 연주한 악기로 소개되어 있는데, 이러한 악기 중에 현재 우리나라에서 연주되고 있는 국악기와 동인한 악기들이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중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유입된 악기의 역사는 A.D 1114년 송나라의 대성아악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그보다 일찍 372년에 우리나라에 불교가 들어오면서 경전을 통하여 악기의 이름이 전해진 것으로 보여서 관심을 끌고 있다. 아직까지 어떤 경전이 최초로 들어왔는지 확인되지 않고있지만 중국으로부터 악기가 들어오기 이전에 불교경전이 존재하고 있던 것은 확실한 사실이기에 우리나라에 중국악기이름이 소개된 것은 불교경전이 최초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악기들이 현재 국악기로 연주되고 있음을 보면 우리의 국악기가 불교경전을 통해 그 이름이 최초로 알려졌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불전에 악기의 명이 기록되어 전한다는 사실과 악기의 종류를 확인하고 불전의 부처님의 탄생, 출가, 열반에 어떤 악기가 등장했는지 살펴보겠다, 또한 그 악기들이 어떻게 전래되어 활용되었는지를 살펴보겠다. 이와 함께 불전에 기록된 악기 중에 현재 우리나라 국악기로서 연주에 활용되고 있는 악기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불교음악에 연주되었던 고대 인도와 중국의 악기가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현재 국악기로 활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서 널리 알리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국립국악원 개발 ‘교실국악기’ 활용방안 -모티브 악기인 아박, 향발, 운라를 중심으로-

        이선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2

        Korean musical instruments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re valuable not only for learning tones, material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but also for training auditory sensation. However, the instruments used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re limited to some percussion instruments.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r educational purposes are needed for the instrumental activities running in limited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necessity of developing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the request from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Musical Instrument Research Institute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decided on a wooden, non-pitched percussion ‘abak,’ a metal, non-pitched percussion ‘hyangbal,’ and a metal, pitched percussion ‘ulla’ as a motif of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developed the three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r educational purposes. This study aimed to present utilization plans for educational instruments focusing on the thre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develop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classroom-hyangbal,’ ‘classroom-abak,’ and ‘classroom -ulla.’ It also aimed to present various educational approaches applicable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not limited to instrument playing, so that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could be well utilized. To this end, it presented the utilization plans consisting of exploration, ensembles, and Korean musical dramas of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suggested the following approaches. First of all, the exploration of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comprised video-viewing and art activities.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ensemble utilized numbered and pictorial notation to facilitate children’s performance. Lastly, the drama of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helped increase children’s musical interest by enriching their musical expressions, such as expressing their movements and singing songs. It is believed that such utilizations are meaningful in presenting activity methods based on the primary purpose of discovering the availability and meanings of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helps suggest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w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r educational purposes, the development of specific programs availabl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utilization plans. 유아국악교육에서 국악기 활동은 우리악기의 음색, 재료와 특징 등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감각 훈련에도 매우 소중한 활동이다. 그러나 유아국악교육에 사용되는 악기는 몇몇 타악기에 그치고 있다.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국악기 활동에 유용한 교육용 국악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교육용 국악기 개발의 필요성과 교육계의 요청을 바탕으로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에서는 국악기 중 목재 무율타악기 ‘아박’, 금속 무율타악기 ‘향발’, 금속 유율타악기 ‘운라’를 ‘교실국악기’ 모티브로 결정하고 교육용 국악기 3종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국립국악원에서 개발한 ‘교실국악기 아박’, ‘교실국악기 향발’, ‘교실국악기 운라’ 등 교육용 국악기 3종을 중심으로 교육용 국악기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교실국악기’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악기연주에만 한정하지 않고 유아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교육적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활용방안은 ‘교실국악기’ 탐색, ‘교실국악기’ 합주, ‘교실국악기’ 국악극으로 구성하고 그에 따른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교실국악기’ 탐색은 동영상시청과 미술활동으로 구성하였고, ‘교실국악기’ 합주에서는 숫자보와 그림악보를 활용하여 유아들의 연주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실국악기’ 국악극을 통해 악기연주 뿐만 아니라 동작을 표현하고, 노래를 부르는 등 음악적 표현을 풍부하게 하여 음악적 흥미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활용방안은 ‘교실국악기’의 활용 가능성과 그 의미 발견이라는 일차적 목적에 따라 활동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의미를 두고자 하였다. 이상의 내용은 새로운 교육용 국악기 개발 및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방안 모색 등을 위한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악기 관련 활동 분석

        강보라,송나리,윤영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9 음악교육공학 Vol.0 No.38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overall trends of musical instrument-related activ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ies of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in teachers' manuals under the Nuri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192 activities related to musical instruments in total 32 teacher's manuals under the Nuri Curriculum, analyzed the elements related to the Nuri Curriculum, types of activities, and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and obtained frequency and percentage from 52 activities of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life topics, musical concepts, attitudes, activity materia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findings show that the activities related to musical instruments recorded the highest reflection percentage in artistic expressions in the area of art experiences in the teacher's manuals under the Nuri Curriculum. The popular types of activities related to musical instruments were singing a song and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The most abundant type of musical instruments was rhythm instruments. The study analyzed the activities of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and found a deviation in the number of activities according to age and life topics. The musical concepts were analyzed in the goals, content, and evaluation of activities of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rhythms and tones were the most in the goals of activities and in the content and evaluation of activities, respectively. As for musical attitudes in the goals and evaluation of activities, participation with a happy mind was the highest. As for activity materials, sound sources were used most other than musical instruments. As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freely, playing in divided ensemble, and beating rhythms were the most among three-, four-, and five-year-olds, respectively. 본 연구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악기 관련 활동의 전반적 경향과 ‘악기 연주하기’활동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총 32권에서 악기 관련 활동 192개를 선정하여, 누리과정 관련요소, 활동유형, 악기종류를 분석하고, 그 가운데 52개의‘악기 연주하기’활동만을 생활주제, 음악적 개념, 태도, 활동자료, 교수-학습방법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악기 관련 활동은 예술경험영역의 예술적 표현하기에서의 반영 비율이 가장 높았다. 악기 관련 활동유형으로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가 많았고, 악기종류는 리듬악기가 가장 많았다. ‘악기 연주하기’활동을 분석한 결과, 연령과 생활주제에 따라 활동 수에서 편차가 나타났다. 악기 연주하기 활동의 목표, 내용, 평가에 나타난 음악적 개념을 분석한 결과 활동목표에는 리듬이 가장 많았으며, 활동내용과 평가에서는 음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목표와 평가에 제시된 음악적 태도는 즐거운 마음으로 참여하기가 가장 높았다. 활동자료는 악기 외에 음원을 가장 많이 사용했고, 교수-학습방법으로 3세는 자유롭게 연주하기, 4세는 분담합주하기, 5세는 리듬치기가 많이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기 수록 현황 및 관련 활동 분석

        조경선 ( Kyoung Sun Cho ),김민하 ( Min Ha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1

        본고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기 수록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과정의 각 영역별로 국악기와 관련된 활동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기의 종류는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제재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 국악기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국악 관련 제재 및 활동을 다채롭게 구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 상의 근거가 전제되어야 한다. 국악기가 수록된 형태는 사진, 옛 그림, 삽화, 붙임 딱지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이러한 유형들은 각기 나름의 교육적 의미가 있으나 개선되어야 하는 점도찾아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학교 현장에서 국악기를 실물로 지도하지 못하는 교육적 환경을 고려할 때 국악기 사진을 올바르게 수록하는 것이 중요하며, 국악기 관련 자료를 다양하게 제시하여 국악기에 담긴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내용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각 영역별로 국악기와 관련된 활동을 분석한 결과 첫째, 표현 영역에서는 바른 자세로 국악기 연주하기, 음악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하며 국악기로 연주하기, 국악기를 연주하며 신체 표현하기, 혼자 또는 여럿이 국악기 연주하기, 창의적으로 음악을 만들어 국악기로 표현하기의 활동이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감상 영역과 관련된 활동은 국악기의 음색 구별하기, 소리의 어울림 알기, 시김새 구별하기, 각 악곡에 편성되는 국악기에 대한 이해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생활화 영역에서는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의 내용 체계에 따라 활동이 구성되어 있었다. 생활화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국악기 관련 내용은 표현 및 감상 영역에 비해 그 비중이 매우 적으며, 독립적으로 구성된 경우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나 표현·감상 영역과 연계하여 국악기 관련 활동을 다양한 각도에서 수록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국악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생활 속에서 국악기 연주를 즐기는 태도를 형성시키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into how Korean musical instruments are featured in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ing the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09 and activities related to those instruments according to each area of the curriculum. Korean musical instruments to be included in the textbook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music curriculum and Korean music materials contained in those textbooks.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diverse musical instruments, the grounds for diversifying songs and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music in textbooks should be prepared, in the first place. Korean musical instruments are featured in textbooks in various forms, such as photos, a genre painting, illustrations and stickers. Those forms have educational meanings of their own, but there are also aspects related to them that should be improved. Considering that most schools can``t teach students by using actual musical instruments, it is important to prepare books with proper related photos and to offer diverse materials in order to teach students how to tak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related to Korean musical instruments into consideration. Results of an analysis of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r each field of the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activities with regard to expression are designed in order to play instruments while understanding the right position for playing instruments and the elements and concepts of music, to express the body by playing Korean musical instruments, to play instruments alone or with several persons together and to create songs and express them with Korean musical instruments. Second, activities with regard to appreciation are designed to distinguish the tones of instruments, to know the consonance of sound, to distinguish sigimsae and to understand instruments adopted for each piece of music. Third, in the field of familiarization, activitie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tent system so as produce an attitude where music can be enjoyed and the values of Korean music recognized. In the field of familiarization, contents related to Korean musical instruments are rarely devised independently compared with the fields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s contents about Korean musical instruments are featured in textbooks in various respects in relation to the fields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field of familiarization also should be diversified so that students can enjoy these activities and develop an interest in Korean musical instruments.

      • KCI등재

        국악기 현의 제조 현황 및 표준화

        김소리(Kim so ri),정환희(Jung hwan hee)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20 No.-

        국악기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한 우선 과제로 국악기의 표준화를 꼽을 수 있다. 국악기 중 현악기의 표준을 위해서는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현의 표준이 우선되어야 한다. 현악기의 소리 발생과정에서 현은 음을 발생시켜주는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 외부의 힘이 처음 현을 울려 브릿지를 통해 울림통이 진동하고 그 소리가 사람들에게 전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현악기에서 현은 음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이다. 또한 우리 음악의 대표적인 특징인 농현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의 제작과정과 물리적 특성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제작과정에서 현을 많이 꼬면 현이 금방끊어지게 되고, 너무 잘 늘어나 음정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면 현을 적게 꼬면 현의 탄력이 적고 잘 늘어나지 않아 농현이 잘 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국악기 현의 강도, 신도, 꼬임수 등 물리적 특성이 연주와 직결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인은 제작과정에서 결정되며, 제작과정과 물리적 특성은 결국 국악기 현의 품질을 결정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악기 현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 연구인 국악기 현의 제조 현황과 그에 따른 표준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국악기 현의 제조과정은 130중의 명주실 원사를 준비하여 현의 굵기에 따라 합사한다. 합사한 명주실을 온도가 높은 물에 적신 후 연사기에 걸어 하연과 상연을 하여 꼰다. 현 제작시 중요한 점은 30~50m의 거리를 두어 적당한 장력을 주며, 회전수와 시간을 잘 조절하는 것이다. 이 때 결정되는 굵기나 꼬임수 등이 결국 현의 품질을 좌우하는데, 보통 제작자의 오랜 경험으로 쌓은 기준에 의해 육안이나 감으로 조절한다. 꼬아진 현은 나무방망이에 감은 후 삶아 연고정을 시킨다. 이렇게 제작되는 국악기 현의 표준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의 물리적 특성의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먼저 섬도, 꼬임수, 인장강도, 신도, 탄성율 등 현의 물성 값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향적 특성을 살펴 연관성을 찾고, 연주자 평가가 뒤따른다면 좀 더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할 수 있겠다. 둘째, 국악기 현의 표준화에 따라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포장 및 표시 규격화일 것이다. 국악기 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요소를 꼽아 그것을 명시하고 판매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서 말한 국악기 현의 특성 연구결과에 따라 완성된 현에 대한 정확한 측정후 그 결과를 포장에 표시해야 하겠다.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is taken as top priority in promoting the wide-ranging use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across the country and the globe. For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the standardization of stringed instrument should take precedence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and important. That is because the string of stringed instrument is the fundamental factor to generate the sound. The external force makes the resonance unit vibrate through the bridge and the resultant sound is perceived by human. For that reason, the string in the stringed musical instru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tone of sound. In addition, the production process of string and its physical properties are important if the vibration which characterizes the sound of Korean music is to be realized appropriately. For example, the string will break if it is twisted excessively in the production process. If twisted too much, the string will extend very easily, making the tuning difficult. By contrast, if the sting is not twisted enough, the string will have low elasticity and extendability, making the vibration difficult. Therefore, physical properties of string, such as the strength, extendability, twist, etc, are directly linked to the performance. Those factors are determined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aforesaid factors of string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str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Thu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urrent production processes of the str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and the measures for its standardization, which are basic research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r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The str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is made with 130 types of silk threads which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string. The combined silk threads are submerged in hot water, and then, are twisted up and down by the thread and yarn twisting machine. The important thing in making the string is to apply appropriate tension by keeping the string 30m to 50m apart from one another, and adjust the rotation and time well. At this time, the thickness, number of twist, etc, determine the quality of string. They are adjusted by naked eye or five senses based on the long experience of the craftsman. The twisted strings are wrapped around wooden club and steamed before being fixed. First,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r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requires the investigation in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st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string such as fineness, number of twist, tensile strength, extendability, elasticity, etc, need to be investigated first, on which basis,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have to be exami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nd more objective criteria can be established if the evaluation by performer follows. Seco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r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requires the standardization of packing and size. Factors which are very crucial in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have to be specified. For that, the string produc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should be measured accurately and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should be displayed on the package.

      • KCI등재

        193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 -『조선아악기해설』ㆍ『조선아악기사진첩』을 중심으로-

        이지선 한국국악학회 2013 한국음악연구 Vol.53 No.-

        본 연구는 1930년대 일본인에 의해서 수행된 조선음악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고찰 대상은 1935년에 야마다 사나에가 저술한 『조선아악기해설』과 『조선아악기사진첩』이다. 『조선아악기해설과 『조선아악기사진첩』은 1999년에 하나로 합쳐져 『조선아악기해설』 이라는 이름으로 복각되었다. 하지만 복각본은 원본과는 달리 오기가 적지 않고, 단순 실수에 의한 오류 외에도 의도적으로 사진의 명칭을 바꾼 흔적도 발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각본은 제외하고, 저자의 친필로 작성된 원본(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을 사용했다. 『조선아악기해설』은 「개설」에 이어 67종의 악기 항목(무구 6종 포함), 그리고 후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특징은 크게 세 측면으로 볼 수 있는데, 조선 문헌의 인용, 저자 자신의 관찰에 의한 기술, 일본악기와의 비교 측면이다. 첫째는 당시 이왕직아악사장이었던 함화진이 저술한 『조선악기편』을 발췌, 요약하고 있는 측면이고, 둘째는 조선악기에 익숙하지 않은 입장에서 면밀한 관찰과 체험을 통해 그 특징을 자세히 서술하고 있는 점이며, 셋째는 일본악기와의 비교를 통해 동양악기의 공통점을 찾으려는 점인데, 이 세 측면이 잘 조합되어 균형있는 내용으로 만들어졌다. 『조선아악기사진첩』에는 조선신궁에서의 연주 장면, 57종의 악기, 6종의 무구가 총 44장의 사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조선신궁에서의 연주 장면은 1926년부터 시작된 정기 예제(禮祭)의 모습으로 생각되고, 사진 속 악기 구성으로 보아 이때 연주된 음악은 제례악 및 연례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악기 사진 43장은 저자가 개인적으로 찍은 것이 아니라 이왕직아악부에서 제공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진첩의 특징 중 하나는 현악기의 사진을 앞면과 뒷면 모두 찍고 있다는 점과 조선악기와 유사한 일본악기 사진을 수록하고 있는 점이다. 악기 외에 무구의 사진을 싣고 있는 점도 당시의 다른 사진자료집과는 구분되는 특징이라고 하겠다.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into the Joseon Music studies conducted by Japanese in 1930s, focusing on An Exposition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and A Photo Album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published in 1935. Compiled by Yamada Sanae, the two books were compiled into one and reprinted with a title, An Exposition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However, this reprint appears to have quite a few misdescription and intentional changes of the titles of photographs, not to mention of the simple mistakes. Thus, I have examined the original copies in the author's own handwriting, which are own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n Exposition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consists of general observations, 67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including 6 kinds of dance materials, and epilogue. This book has three characteristics:First, the author quoted Joseon literature. Second, the author described instruments by his own observations. Third, the author compared the Joseon Musical instruments to the Japanese ones. A Photo Album of Court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contains the scenes of performances in Joseon Shrine, 57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and 6 kinds of dance materials in 44 photographs. The performances in Joseon Shrine appear to be of the court ritual music and banquet music in regular scheduled rituals commenced from 1926, considering the musical instruments shown in the photographs. The 43 photographs of musical instruments are presumed not to have been taken by the author himself but provided by Yiwangjik Aakbu(The Conservatory of the Yi Royal Famil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hoto album is that the photos of string instruments are taken both from the front and back, and compared to the similar Japanese instruments. It is also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that it contains the photographs of dance materials as well as those of musical instruments, unlike other photo albums of the time.

      • KCI등재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기 지도내용 연구

        한영숙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1

        Music textbooks for high schools all contain content related to teaching Korean musical instruments, which are linked to the expression domain.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content of teaching Korean musical instruments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identified any inherent issues, and then sought direction for improve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usic textbooks gave weight on danso and sogeum for the instruction of wind instruments and only sanjo gayageum for the instruction of string instruments. Among percussion instruments, they mainly covered samul instruments (kkwaenggwari, jing, janggu, and buk) and partially included janggu for the general use of accompaniment and seoljanggu. The focus of the instruction in the textbooks was on good performing postures and fingering for danso and sogeum, the structure of the instrument, good posture, and techniques of both hands for sanjo gayageum, and performance techniques for percussion instruments. As for targeted music pieces for teaching danso, sogeum, and sanjo gayageum, folk songs were mainly covered while newly composed songs were introduced. Insa-gut and byeoldalgeori were introduced for teaching percussion, but a detailed teaching content of the songs for each instrument was not presented in most of the textbooks. Some of the textbooks included music instrument care and maintenance guides for danso, sogeum, gayageum, and samul instruments. The problems of teaching Korean music instrument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are lack of diversity in selecting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lack of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gayaguem.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s of terminology were misrepresented with regard to musical symbols for grace notes and sigimsae, and the description of how to play when repeating the same note was not correct. There was an error to be fixed in the notation system of jungganbo and staff notation. The performing pieces for sanjo gayageum lacked the active use of gueumbo. The instruction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in music textbooks had a tendency to be biased toward a particular domain amo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to solve the problems above is to take into account a more extensive selection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to present a clear explanation of the origin of musical instruments. The concepts of terminology and performance techniques should be accurately introduced, and a not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a given piece should be presented. Sanjo gayageum should actively use gueumbo, The instruction should be presented linking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xpression domain. It is necessary that the content of teaching Korean music instruments give a more fucus on acquiring good techniques and performing while understanding the traits of a musical piece and encourage students to enhance their skills through various performing activities and to develop creativity.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는 국악기 지도에 관련된 내용을 모두 수록하고 있는데, 표현 영역과 연계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기의 지도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하면서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제기한 연후에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교과서는 국악기 지도와 관련해서 관악기는 단소와 소금의 지도에 비중을 두었고, 현악기는 산조 가야금에 국한하였다. 타악기는 주로 사물 악기를 중점적으로 다루었고, 일부 반주에 쓰이는 장구와 설장구의 지도내용을 수록하였다. 음악교과서의 국악기 지도내용은 단소와 소금의 경우 바른 연주 자세와 운지법에, 산조 가야금은 악기의 구조와 연주 자세 및 오른손과 왼손의 주법을 익히는데 비중을 두었으며. 타악기는 연주법에 치중하였다. 단소와 소금 및 산조 가야금의 연주곡은 민요가 주류를 이루고 일부 창작 국악곡을 소개하였다. 타악기는 주로 인사굿과 별달거리를 연주곡으로 소개하였는데, 악기별로 제재곡의 지도내용을 대부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일부 음악교과서에는 단소와 소금 및 가야금과 사물 악기에 대한 관리법을 수록하였다. 음악교과서에서 국악기 지도내용의 문제점은 국악기 선택의 다양성 결여와 가야금의 유래에 대한 정확한 이해 부족이다. 장식음 부호와 시김새에 관련해서 용어의 개념이 잘못 제시되어 있고, 같은 음을 반복할 때의 연주법에 대한 설명이 부정확하다. 정간보와 오선보의 기보체계에 대한 오류로 수정이 필요하며, 산조 가야금의 연주곡은 구음보의 적극적인 활용이 부족하다. 음악교과서의 국악기 지도내용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중에서 편중된 경향이 나타난다. 국악기 지도내용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 방향은 국악기 선택의 다양성을 고려해야 하며, 악기의 유래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제시되어야 한다. 용어의 개념과 연주법에 대한 설명을 정확하게 소개하고, 악곡의 특성에 맞는 기보체계를 수록해야 한다. 산조 가야금은 구음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며, 교육과정 표현 영역의 성취기준과 연계된 국악기의 지도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음악교과서 국악기의 지도내용은 연주법의 올바른 습득과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면서 연주할 수 있도록 비중을 두고, 다양한 연주 활동을 통해 기량이 향상되고 창의성을 계발할 수 있도록 구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악기도설(樂器圖說) 기록에 대한 비교 고찰

        오지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한국학 Vol.42 No.2

        This paper compares musical instruments lists, instrument types, classifications, commentary, and images of six explanatory diagram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in the Joseon period official books “Sejong Sillok (Annals of King Sejong(1451)”, “Kukcho orye sŏrye(Introductory Remarks on National Rituals) (1474)”, “Akhak kwebŏm(Canon of Music)(1493)”, “Ch’ungwant’onggo (Comprehensive Study of the Ministry of Rites)(1788)”, “Daehan‒yejeon(the national ritual book of the last Dynasty of Joseon)(1898)”, “Chŭngbo Munhŏn Pigo(The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the Comparative Review of Records and Documents)(1770‒1908)in a time‒ordered sequence and drew the conclusion of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s of each document.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usical instrument lis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ocuments and the orchestration at the time of writing documents. Second, based on the explanation of book “Sejong Sillok Orye”, the commentary on “Kukcho orye sŏrye” was completed, and the explanation of book “Kukcho orye sŏrye” was used on “Akhak kwebŏm” and “Ch’ungwan t’onggo”, “Daehan‒yejeon”. Only “Akhak kwebŏm” added about how to make and play musical instruments. “Chŭngbo Munhŏn Pigo” adopted to all contents of “Kukcho orye sŏrye” and “Akhak kwebŏm”, and added commentary by quoting Korean documents. In reviewing the explanation of the instruments, the commentary error of the instruments due to the mispagination of “Daehan‒yejeon” has been corrected and “Akhak kwebŏm” quoted by “Chŭngbo Munhŏn Pigo” was found to be version after the Imjin War. Third, the image reflecting the musical instruments system of each time appeared on “Sejong Sillok Orye” and “Kukcho orye sŏrye”. The drawing of “Akhak kwebŏm” drew the instrument independently details. “Ch’ungwan t’onggo” refers to “Akhak kwebŏm”'s drawing and “Daehan‒yejeon” has a distorted part in the process of copying “Kukcho orye sŏrye” In short, the relationship and the features of each explanatory diagram of Korean musical‒instruments in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good opportunity to study the perspective of interpreting Korean musical instrument records. 조선시대 관찬서(官撰書) 『세종실록・오례』(1451)・『국조오례의서례』(1474)・『악학궤범』(1493)・『춘관통고』(1788)・『대한예전』(1898)・『증보문헌비고』(1770‒1908)에 나타난 악기도설(樂器圖說)을 편찬시기 순으로 악기의 종류와 분류, 해설, 도상 등을 비교하여 특징과 각 문헌간의 관계 도출하였다. 첫째, 문헌의 성격에 따른 악기 목록 구성에 차이가 있고, 각 문헌의 편찬시기에 따라 악기 종류의 가감(加減)이 발생되었다. 의례서와 악서의 이전 도설들은 ‘악기’를 악현에 배치된 ‘모든 의물(儀物)’로 인식하였던 반면, 유서류 『증보문헌비고』는 ‘악기’를 ‘음악을 연주하는 기구’의 개체로 인식한 새로운 구성을 보여준다. 둘째, 『세종실록・오례』의 해설을 기초로 『국조오례의서례』에서 해설이 완성되었고, 『국조오례의서례』의 해설은 『악학궤범』・『춘관통고』・『대한예전』까지 전용(全用)되었다. 다만, 『악학궤범』은 추가적으로 악기 만드는 법 및 연주법에 관한 내용을 새로 집필하였고, 『증보문헌비고』는 『국조오례의서례』에 더불어 『악학궤범』의 내용까지 전용(全用)하고, 그 외에 한국문헌들을 인용해 추가 집필한 것이다. 악기의 해설은 초기 중국문헌 인용문에 의존한 집필에서 후기로 갈수록 실용적인 정보와 한국문헌 인용으로 증보(增補)되는 양상을 보인다. 해설 검토 과정에서는 현재 원문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서각 『대한예전』 사본(寫本)의 착간으로 인한 악기해설 오류를 정정하였고, 『증보문헌비고』가 인용한 『악학궤범』이 임진란(壬辰亂) 후판본(後板本)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세종실록・오례』 및 『국조오례의서례』에는 각기 당대의 악기 제도가 반영된 그림이 나타났다. 『악학궤범』은 독자적으로 도면(圖面) 성격의 그림이 나타났고, 『춘관통고』가 『악학궤범』 그림의 영향을 받았다. 『대한예전』은 『국조오례의서례』의 도록(圖錄)을 모사(模寫)하는 과정에서 도설(圖說)의 역기능이 나타났다. 요컨대, 조선시대 관찬(官撰) 악기도설(樂器圖說)의 고찰을 통해 각 문헌들의 특징과 문헌들 간의 관계가 검토되었다. 이 연구를 토대로 개별 도설 및 도설에 나타난 악기들에 대한 많은 부분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조선 악기 문헌을 해독하는 관점을 되짚는 연구의 좋은 계기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음악적 창의성 측정 도구의 문항과 채점 방법 비교 분석

        양종모 ( Jong Mo Yang ),남지영 ( Ji Young Nam ) 민족음악학회 2011 음악과 민족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universal principle for the measuring instrument and grading method for musical creativity and make suggestions for developing a reasonable instrument. To do so, existing studies were explored for the types and contents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for general creativity and musical creativity, and based on five measuring instruments for musical creativity targeting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elements of musical creativity, question format and content, student response method, and grading metho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first, sub-elements of measuring instrument for musical creativity tends to coincide with those for general creativity. Second, all measuring instruments for musical creativity are composed of open challenges that use both verbal instruction and musical examples. Third, questions of measuring instruments of musical creativity are classified as activities that freely express musical images and emotion and performance activities that create harmony with given rhythm and melody. Fourth, measuring instrument for musical creativity require listening-based responses from students. Fifth, grading method for musical creativity either score the number and time of students` responses or use checklist or Likert scale.

      • KCI등재

        타악기 연주 활동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부적응 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안경애 ( Ahn Kyoung Ae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 No.2

        This study is trying to specifically search for the best approach to reducing maladaptive behaviors of young autistic children by using musical activities with percussion instruments. For this purpose, young autistic children at special school at the age of 4 or 5 were chosen. The research project was performed to finding out decreasing effect of inappropriate vocalizations, spitting, and self-injurious behaviors.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ives,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performed. 1. The procedure of counseling was carried out with their parents to see whether three subjects like the music. 2. The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4 phases. The first phase is one week of baseline one during which three subjects did not receive any musical stimulus at all. The second phase is two-week long experiment phase one during which thre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play percussion instruments. These two phases of baseline and experiment were repeated in the same way as the above. The data of musical activities was colle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based on single case study(ABAB). t-tes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al activities with percussion instruments and every day activities. Video of every activity was taken through a camera. All 12 activities based on use of percussion instruments were applied to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derived as followed : 1. Musical activities based on playing percussion instrum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inappropriate vocalization of an autistic child. 2. Musical activities based on playing percussion instrum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decreasing 'spitting' of an autistic child. 3. Musical activities based on playing percussion instrum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self-injurious behaviors of an autistic child. 4. Musical activities themselves had an direct effect on routine activities which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creasing of maladaptive behaviors of autistic children.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performance of musical instrum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maladaptive behaviors of young autistic children. In addition, experience of musical acitivities with instruments can provide with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according to elevated stimuli of the verbal or non-verbal social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researchers and learn a new performing skill through playing percussion instr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