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라시나닛키』의 달 -달의 장면을 중심으로-

        안정숙 대한일어일문학회 2023 일어일문학 Vol.100 No.-

        This paper examines the moon in the SarashinaNikki. I analyzed the use of the moon as a scene, and examined how the author expresses the moon, including moon scenes with waka(和歌), moonlight depicted as a harbinger of misfortune, and scenes in which the author contemplates the bright moon in her daily life, whether she is happy or sad. As a result, there are 12 Wakas of the moon (including moonlight) in SarashinaNikki, with the bright moon being the most common, and the winter moon being the most common in terms of season. The moon scenes express a wide range of emotions, showing the author's preference for always looking at the moon, whether happy, sad, or depressed. Furthermore, after comparing and examining the moon in SarashinaNikki with the moon in KageroNikki and IzumiShikibuNikki, the two previous works, it seems that among the three works, SarashinaNikki has the most moon Wakas, as well as the most uses of the moon, and the moon seems to be the most favored material for Wakas. In terms of the places where the waka are included, SarashinaNikki is mostly recited away from home, whereas KageroNikki and IzumiShikibuNikki are mostly recited at home. In terms of lunar aspects, the authors of IzumiShikibuNikki and SarashinaNikki are similar in their preference for a bright moon and a rising moon. In terms of the emotional expression of the moon scenes in the three works, the author of SarashinaNikki is the most diverse. It can be said that the author of SarashinaNikki loved the world of night more than any of the Heian period female writers, and was especially interested in the moon and utilized it as the subject of her waka. It is also not unrelated to the author's qualities as a writer, as she wrote this work with regret in her later years, and the moon was an idealized version of the world of monogatari for her.

      • KCI등재

        문신의 일본 유학시기 연구: 초기(1940~50년대) 작품에 미친 영향 가능성

        김지영 미술사연구회 2022 미술사연구 Vol.- No.43

        This paper focuses on the early works of artist Moon Shin (1922~1995), who transcended the normative boundaries of region and genre during his very active art career, specifically from his time studying art abroad in Japan (1938~45) to before going to France (1940s~50s). Using records and materials from the school and residence of Moon Shin from the late 1930s to mid-1940s, this paper aims to deliberate on the environment that framed his time studying abroad, and what he studied, as well as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his experience studying abroad had an influence on his early work in painting, relief, and print. Research on Moon Shin until now has mostly been focused on his sculptures that were created after going to France (1961). In addition, even in research on his time before going to France, there are not a lot of mention about his time studying in Japan.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records of his time in Japan and his work were mostly destroyed or lost during the war. However, his period of studying in Japan was the first time Moon Shin studied art within the education system. It was an important time during which the artist studied the basics of sculpture and laid the foundation for his future art caree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flect on his time in Japan in order to understand Moon Shin’s art. This paper focuses on Moon Shin’s time studying in Japan, which has been largely obscured until now, to speculate on what education and influences Moon Shin was exposed to as well as to reflect on records of his time in Japan and the early works he created in Korea after returning home. The paper first review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wo locations, Nihon Bijutsu Gakko where Moon Shin studied and Ikebukuro Montparnasse where he lived, to identify who Moon Shin associated with and under wha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paper then examines the faculty members teaching Western-style painting at the then-Nihon Bijutsu Gakko to review whether their style or tendencies influenced Moon Shin’s early paintings. The paper also analyz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only remaining piece from Moon’s time in Japan, Self-portrait, and the portrait created by then-famous painter in Japanese art circles, Tsuguharu Foujita (1886~1968), to identify any possible influence. And in the last section, the paper focuses on how Moon Shin, after returning home, worked on not only paintings but also relief and print work. Assuming that he learned about the two genres during his studying abroad in Japan, the paper looks at the faculty members of the sculpture department at Nihon Bijutsu Gakko and points to the possibility of their influence. The paper aims to contribute to a further academic understanding of Moon Shin’s early works that have not been examined in detail so far. 본고는 지역과 장르를 종횡무진 월경하며 왕성한 창작을 했던 예술가 文信(1922~1995)의 화업 중에서 특별히 일본 유학시기(1938~1945)부터 도불 이전까지(1940~1950년대)의 초기 작품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가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중반까지 몸을 두었던 학교와 주거지에 대한 자료를 단서로 하여 유학 환경과 수학 내용을 추정하고, 유학 경험이 그의 초기 회화와 부조, 그리고 판화에 미친 영향 가능성을 살피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지금까지 문신에 대한 연구는 도불(1961) 이후 왕성히 제작된 조각에 치중되어 있었다. 게다가 도불 이전에 대한 연구에서도 일본 유학시기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언급이 결여되어 있다. 이는 아무래도 전란으로 인해 유학 관련 자료 및 작품이 소실된 탓이다. 그러나 일본 유학시기는 문신이 처음으로 본격적인 제도 교육 안에서 미술을 배운 시기로, 조형의 기초를 습득하고 이후 예술 활동의 자양분을 만드는 중요한 시기였던 만큼, 문신의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베일에 싸여 있었던 문신의 일본 유학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당시 어떤 교육과 자극들이 문신에게 흘러 들어갔는지, 유학을 둘러싼 주변 자료와 귀국 직후 한국에서 제작된 초기 작품들을 단서로 하여 유추해보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우선 문신이 재학한 것으로 알려진 일본미술학교와 거주지였던 이케부쿠로 몽파르나스(池袋モンパルナス)라는 두 장소의 역사와 성격에 대해 살핌으로써 문신이 어떤 환경에서 어떤 인물들과 함께 생활했는지 파악한다. 이어서 유학 당시 일본미술학교 서양화과 교수진을 살피고 그들의 화풍과 성향이 문신의 초기 회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유학시기 작품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자화상〉에 대해 당시 일본 양화단의 화제 인물이었던 후지타 쓰구하루(藤田嗣治, 1886~1968)가 제작한 〈자화상〉과의 유사성을 분석하고 영향 가능성을 지적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문신이 귀국 직후에 회화뿐 아니라 부조와 판화도 왕성히 제작했던 사실에 주목하여, 유학시기에 두 장르에 대한 수학 가능성을 상정하고 일본미술학교 조각과 교수진을 살펴 그들과의 영향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고가 지금까지 자세히 고찰되지 못했던 문신의 초기 작품군에 대한 이해를 조금이나마 진전시킬 수 있었기를 소망한다.

      • KCI등재

        Thirty Years of the Moon Agreement : its retrospect and prospect

        KIM Han-Taek(김한택) 대한국제법학회 2010 國際法學會論叢 Vol.55 No.1

        국제법상 달에 대한 관심은 1979년에 제정된 ‘달협정’(Moon Treaty; 원래명칭은 “달과 다른 천체에 관한 국가활동을 규제하는 협정”, Agreement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on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의 제정에서 시작되었는데 이는 5개의 우주관련조약 중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정된 지 30년이 되어 가는데 우주개발국가들에게 외면당해 왔다. 2009년 12월이 마침 달협정 제정의 30년이 되는 해이므로 이 협정의 국제법적 의미를 분석하고 그것을 전망해 보는 데에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현재 달협정의 비준국은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칠레, 카자흐스탄, 레바논, 멕시코, 모로코, 네덜란드, 파키스탄, 페루, 필리핀, 우루과이 등 13개국 정도이며, 프랑스, 과테말라, 인도, 루마니아가 서명국인데 우주개발국 중 프랑스만이 유일하게 서명국이고, 가입국 대부분이 비우주개발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국과 러시아, 영국을 비롯한 선진우주개발국들은 가입하지 않았고, 한국, 중국, 일본도 아직 가입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달협정의 주요내용과 그 의미를 설명하였고 특히 1967년 우주조약(Space Treaty)과의 관계를 분석한 후 달협정에 명시된 ‘인류공동유산’(Common Heritage of Mankind)개념이 국제법상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달협정의 국제법적 의미와 전망에 관하여 그리고 한국이 현재 달협정에 가입하고 있지 않은데, 달협정에 가입하는 것이 국익에 유리한가 하는 문제도 다루었다. 달협정의 핵심은 인류공동유산개념인데 이와 관련된 조항은 제11조이다. 우선 제11조 1항에서 달과 그것의 천연자원은 ‘인류공동의 유산’이라고 명시하고 있고, 제11조 2항은 1967년 우주조약 제2조와 동일하게 달은 주권의 주장, 사용이나 점령, 기타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도 국가전유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비전유원칙’(principle of non-appropriation)을 재확인하고 있다. 또한 제11조 3항에서 달의 표면 또는 그 지하, 달의 어느 부분이나 달에 위치한 천연자원은 어느 국가, 정부 간 또는 비정부간 국제기구, 국가기관, 비정부간 기관 또는 어떠한 자연인의 재산이 될 수 없으며 달의 표면이나 그 지하에 사람, 우주차량, 장비, 시설물, 기지 및 군사시설은 달의 표면이나 지하를 연결한 구조물과 함께 달의 표면이나 지하 또는 어느 지역에 대한 소유권을 창설하지 않는다고 하고, 이는 제11조 5항에 언급된 ‘국제제도’(international regime)를 손상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달의 천연자원의 개발이 가능해질’(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Moon is about to become feasible)시기에 국제제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제11조 5항의 규정은 국제제도의 수립 전에는 자원개발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하는가? 그러나 달협정의 제정과정을 살펴보면 국제제도의 수립 전에 달과 다른 천체의 천연자원에 대한 개발유예는 예정되지 않았다고 해석해야 된다. 그러나 이것은 그와 같은 개발에 어떠한 제한이나 한계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달과 다른 천체는 인류공동유산영역이므로 모든 개발가는 그들이 인류공동유산인 천연자원을 개발하고 있음을 명심할 것이 요구된다. 필자는 작년에 한국외교통상부에「달 협정의 내용 및 우리나라의 비준가능성 검토」라는 보고서를 통하여 달협정에 가입하는 것이 국익에 유익하다고 밝힌 바 있는데 그 이유는 달의 천연자원의 개발이 가능해질 시기에 국제제도를 수립해야 한다는 규정은 국제제도의 수립 전에는 자원개발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국가들로서는 달협정에 가입하고 자원개발을 추구하는 방법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다. 오히려 달협정 제11조 7항에서 동 자원으로부터 파생하는 이익을 모든 당사국에게 공평하게 분배하되 달의 개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공헌한 국가의 노력은 물론 개발도상국의 이익과 필요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는 규정을 보면 우선 달협정 가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달개발에 착수하는 방법이 국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pproved the text of an international agreement to govern the activities of States on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and opened the agreement for signature and ratification on 18 December 1979. The title of that agreement is "Agreement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on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so-called Moon Agreement or Moon Treaty)". On that date, the agreement was signed by 6 nations -Chile, France, Romania, the Philippines, Austria and Morocco - at the United Nations Headquarter in New York. The year 2009 marks the 30th Anniversary of the conclusion of the 1979 Moon Agreement. Although the Moon Agreement is one of the 5 major space-related treaties, it has been accepted only by 13 states - Australia, Austria, Belgium, Chile, Kazakhstan, Lebanon, Mexico, Morocco, Netherlands, Pakistan, Peru, Philippines, Uruguay - which are non-space powers, and so could not have had much influence on the field of space law. France, Guatemala, India and Romania have signed, but have not ratified it. Neither the United States, nor Russia, nor China, nor United Kingdom signed the treaty. Indeed, international acceptance of the Moon Agreement has been so weak that in the opinion of most jurists, the norms enshrined in that treaty failed to attain the force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This article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1979 Moon Agreement and the 1967 Outer Space Treaty, and discusses the meaning of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CHM)" stipulated in the Moon Agreement, together with the prospect and future of the Moon Agreement. Article 11(1) of the Moon Agreement stipulates that "[t]he Moon and its natural resources are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which finds its expression in the provisions of this Agreement and in particular in paragraph 5 of this article." According to Professor Bin Cheng, the concept of CHM stipulated in the Moon Agreement created a whole new territory in international law. This concept basically conveys the idea that the management, exploitation and distribution of natural resources of the area in question are matters to be deci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t something left to an initiative and discretion of individual States and their nationals. Similar provision is found in the 1982 Law of the Sea Convention for the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created by the concept of CHM. According to the Moon Agreement, international regime will be established as the 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celestial bodies other than the Earth is about to become feasible. Before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regime, we could imagine moratorium upon the 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n the celestial bodies. But, considering the drafting history of the Moon Agreement, there would not be any moratorium on the exploitation of natural resources, prior to the setting up of the international regime. So, each State Party could exploit the natural resources with bearing in mind that those resources are CHM. Because the Moon Agreement stipulated that the efforts of those countries which have contribute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 exploitation of the Moon shall be given special consideration,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of the Moon Agreement by states would be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Moon. In this respect, it would be better for Korea, which currently is not a party to the Moon Agreement, to be a member state thereto in the near future. In 2008, I proposed Korean Government to accept the Moon Agreement in “[t]he Report concerning the Contents of the Moon Agreement and Korean Government's Ratification” which was submitted to Kore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If Korea accept the Moon Agreement, it will encourage other Asian countries to accept that treaty.

      • KCI등재

        枾本人麻呂의 달배(月船)와 靈魂觀의 考察

        高龍煥 대한일어일문학회 2004 일어일문학 Vol.23 N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oon Ship in Hitomaro's poetry has a unique mythological meaning. Therefore this thesis aims at the specific study through the analysing the description on the mythology related of the songs of the weaver and the mythological profundity of the view of spirit & universal mystery in its work. So above all, the big question in Hitomaro's songs of the weaver is that the messenger of the Moon should appear as the scenery of the heavens. To know the answer for that, as examples like 「?第四天部四(the Vol.4. section 4 of Heaven)」and 「月蝕附(the paragraph of Lunar eclipse )」in 『太平御?(Taipingyulan)』, we can find the records, 「the moon rises again after its death , and ??the sun and the moon are the messengers of sky”」a star is composed of the meaning of water, and the moon is composed of the meaning of lunar atmosphere. On such a ground of the principle and philosophy, the Hitomaro's the songs of weaver is composed of the story in the relationship with Altair and weaver, in which the Altair is passing by the messenger on the Moon Ship, and the weaver is taking it. In other words, just as plant originates the valuable soul with seed, the Moon Ship's appearing in this work can make us reach the core of the mythology which can be called impersonated god as the production god. Ultimately Hiromato's designing of the Moon Ship as the month person has the original concept about mythology in his work. On the contrary, later in Tanabata songs from anonymous writer, we can draw a deduction that the effort by rhyming in 7-5 meter made the meaning twisted with the Moon as a sophisticated man on moon. From the above point, we can see the reason why the Moon's image in Hitomaro's work can be concluded into the water mood, lunatic moon. In other words, originally the moon has been considered as the characteristically mysterious power of goddess that manages the rebirth of the universe. Keeping the attribute of its inner part, the main reason that Hitomaro takes the Moon as the heavenly messenger is that the immortality of the soul described in the Moon Ships has both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essence of making the universe and the divinity as the mythological conceiving point. Therefore in detail, Hitomaro started making his Tanabata songs in the premise that the moon can be regarded as the messenger. In more concrete approach about the role of the Moon Ships, we can discover the original source in the myth, Seo Wang Mo,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stars in the sky goes like the story of loom. In the myth in Japan, there is a passage that there is a temple that is weaving the god of the sun. This passage represents the god of Amaterasuoo as the person who is weaving on the loom. This points out that Amaterasuoo is very closely connected with the god's marriage story with god of sun and vestal virgin. Meanwhile we can analogize the reality of essence the Moon Ship and god of Skunabykona in the examples such as 「bird ship」which transformed to birds, the story having a relationship with Toad after coming on the ship of Metaplexis Japonica Makino. It means that the son of the god of production which belongs to the maternal line is described as the soul that has the divinity representing the birth of the universe. Thinking collectively the identity of the moon ship, we can come to the conclusion that Hiromato's Moon Ship has not only the universe philosophy of the ancient China, but the important role of the earthly world as the messenger of the moon. So above all, the big question in Hitomaro's songs of the weaver is that the messenger of the Moon should appear as the scenery of the heavens. To know the answer for that, as examples like, we can find the records, 「the moon rises again after its death」and “the sun and the moon are the messengers of sky” a star is composed of the meaning of water, and the moon is composed of the meaning of lunar atmosphere.

      • KCI등재

        문익점 목면 전래에 관한 문헌자료와 구비자료의 담론 양상과 의미

        이옥희 ( Ok Hee Lee ) 남도민속학회 2016 남도민속연구 Vol.32 No.-

        문익점의 목면 전래에 대해서는 관련 기록과 유물 유적이 상당하다. 국가에서 편찬한 기록, 개인들의 문집, 남평문씨 문중에서 전승되는 이야기 뿐 아니라 비문, 제문, 축문, 기문등이 남아있다. 현대에도 학교 교과서에 문익점 목면 전래에 관한 이야기가 수록되었고, 인터넷 블로그나 SNS 등을 통해 문익점에 관한 담론이 지속적으로 양산되고 있다. 그런데 위에서 언급한 자료들에서 문익점이 목면을 들여와서 우리나라에 정착시키는 과정에 대한 내용과 이에 대한 평가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점이 주목된다. 불일치의 내용은 원나라에서의 문익점의 행적, 목면을 구하게 된 계기와 들여오는 방법, 목면 시배와 목면 가공기계 계발의 주체, 목면 수입에 대한 인식 등이다. 이 글에서는 문익점의 목면 전래에 관한 이야기들이 서로 충돌하고 있는 이유를 분석했다. 담론의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 그들이 글을 쓰거나 발화한 맥락 여하에 따라 문익점의 목면 전래 이야기는 변주되었다. 국가가 담론의 주체일 경우 부민(富民)의 이미지를 부각하여 조선 왕실의 안정을 꾀하려 하였고, 남평문씨 문중이 담론의 주체일 경우에는 공신 가문으로서의 위상과 정당성을 확보하려고 하였으며, 실학자들이 담론의 주체일 경우 나라의 경제적 이윤 창출과 이용후생을 강조했다. 일반백성들은 문익점을 문화영웅으로 기리면서도 문익점 중심으로 담론이 형성되는 것을 견제하고 숨겨진 문화영웅을 부각함으로써 공존의식을 강조하려고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문익점 목면 전래에 관한 담론은 사실(事實)과 사실(寫實)의 변주를 통해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담론이 생성되었다. 한편 문익점은 백성들의 의생활과 문화생활에 혁명을 일으키고, 경제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 문화영웅임에도 관련 구비 전승이 극소수라는 점에 대해 주목하였다. 문익점에 대해서는 국가, 유학자, 남평 문씨 문중이 담론을 주도하고 일반 백성들은 담론에서 소외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를 낳게 되었다고 추측한다. 또한 조선 시대 후기에 목면으로 짠 베를 세금으로 낼 때 가혹한 수탈을 당했던 것 것과 일제시대에 일본인 영사 와카마스에 의해 육지면으로 대체된 것도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보았다. The pertinent records and relics on supply of cotton by Moon Ik-jeom are numerous. Records complied by the country,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by individuals, story passed down from Nampyeong Moon``s family, memorial stone, funeral oration and prayer are conveyed. Even today, the story on imports of cotton by Moon Ik-jeom about is seen on school textbooks. Also, discourses about Moon Ik-jeom are constantly created via Internet blog or SNS. However in thoes texts, the discord between contents about the process of importing and spreading cotton in Korea by Moon Ik-jeom and evaluation for this is noticed. This text analyzes the reason for conflict among stories on import of cotton by Moon Ik-jeom. In precedent study, discussions were held focusing which historical truth is. This text focuse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produced different stories rather than fact. The story of spreading cotton by Moon Ik-jeom has changed, depending on the subjects of discourse and situations of record. If a subject of discourse was the government, it tried to show prosperous image of the country and attempt stability in royal family in Joseon. If subjects of discourse were Nampyeong Moon``s family, they tried to secure status and legitimacy as a meritorious retainer’s family. If subjects of discourse were Silhak scholars, they emphasized economic profit cre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in the country. Common people were careful not to form discourse focusing Moon Ik-jeom and emphasized Jeong Cheon-ik who is hidden cultural hero. In conclusion, discourses on Moon Ik-jeom meet the needs of the times and have been created. Meanwhile, this text paid attention to the truth that the number of stories and folk songs about Moon Ik-jeom are very small, even he started a revolution for the people``s clothing habits and cultural lifes and influenced on economy significantly. We suppose tha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government, a confucian scholar and Nampyeong Moon``s family are leading role in the discourse on Moon Ik-jeom and the ordinary people are alienated from it. We think that another reason for this is that the people had their land seized hard when they paid cotton cloth for tax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 고전시가에 표출된 '달' 이미지 읽기

        허왕욱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6 No.-

        문학 수업은 학습자에게 작품 읽기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작품 읽기의 즐거움이야말로 학습자를 훌륭한 문학적 문화의 향유자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작품 읽기의 즐거움은 문학 감상의 기회를 제공해 주는 데서 출발하는데, 감상의 기회는 물리적 시간의 확보와 함께 학습자에게 작품 읽기에 관한 동기를 부여하는 데서 얻어진다. 이를 위해서 읽기 대상이 되는 작품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작품을 찾아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하고, 학습자가 여러 작품들을 일정한 관점으로 묶어 볼 수 있는 '끈'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작품을 상호 관련성속에서 읽도록 하면, 작품 감상의 개방성과 정합성을 조화롭게 이루어 냄으로써 작품 감상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이 글의 기본적인 발상이다. 작품 읽기에서 이미지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이미지가 작품을 상호 관련피어 읽을 수 있는 '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 글은 고전시가에 표출된 대표적인 이미지 가운데 하나로 '달' 이미지에 주목하면서, '달' 이미지가 어떠한 양상으로 고전시가에 표출되어 있는지 살피고, 이 '달' 이미지를 통해 고전시가작품을 의미 있게 읽을 있는 방법을 구안하였다. 실재와 주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이미지는 작품에 따라서 추상적이고 상징적인 이미지에서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이미지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인다. 이 글에서 살핀 작품을 바탕으로 고전시가에 표출된 '달'이미지는, 정신적인 이상을 지향해 나아가는 자아의 의도나 정감을 표출하기도 하고, 자아와 대상 사이를 매개해주는 매개체로서의 기능을 하기도 했다. 또한 대상에 대한 자아의 정감이 투영되어 나타나기도 하고, 그것이 굳어져서 일정한 이데올로기적 상징 기호로 쓰이기도 했다. 또한 자아와 대상 사이에 '달'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달' 자체가 대상의 위치에 서기도 하는데, 이련 경우에는 자아와 '달' 사이에 친화적인 관계가 형성된다. 반면에 '달'이 대상의 위치에 서지 않고 자아의 위치에 대입되어 시적 자아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우리 고전시가에 다양한 모양으로 나타나는 이미지의 전개 양상은 시가 장르의 문학적 관습이나 향유 당대의 문화적 특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미지의 변화 양상에 주목하면서 세를 읽는 일은 문화적인 맥락에 따라 시를 이해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글이 고전시가에 표출된 '달' 이미지률 읽는 방법으로 제시한 것은 '시 비교하여 읽기', '시를 그림으로 표현하기', '시 이어보기' 등이다. 이 방법들은 실제 문학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구해적인 방법들이다. 이 방법들을 통해 하나의 양식에 나타난 '달' 이미지가 다른 양식에서는 어떻게 변모되어 나타났는지, 또는 둥일 양석 안에서도 '달' 이미지가 문학사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한 활동은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학습자는 이미지의 변화 양상을 살피는 학승을 봉해 작품이 창작된 당대의 이미지 형상화 방식을 발견할 수 있고, 그 속에서 세대에 따른 의식의 변화를 읽을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시가 작품에 표출되어 있는 주체(화자)와 대상의 관계에 의한 의미 형상화 방법을 살피면서 고전시가에서 서정 미학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작품과 작품의 관계를 지어 보면서 시가 작품의 상호 연관성과 재생산 구조를 살필 수 있다. It is important that learners take an interest in reading literary works in a literature class. A voluntary reading works let learners participate in receiving-and-creating literary works. To make learners voluntary readers, teachers have to give their students opportunities to read works for themselves. Teachers have to admit and their students' various responses about their reading materials. And teachers have to facilitate students' responses by giving useful reading methods. One of useful reading methods is making connect between one work and related other works with a certain viewpoint. Watching the moon-image can be considered as a way of connective or relative reading works. This essay examined represented aspects of the moon-image in the korean classical poetry works. Through examine process, aspects of the moon-image written classical poetry works are as follows. First, the moon-image represented poetic self's intention to head toward desirable world. And the moon was regarded as a mediator between self and objective. Second, the moon-image was included poetic self's emotion or feeling about objective(a lover). Sometimes the moon was accepted as an ideal symbol by administrators. Third, the moon-image was substituted for objective(a lover)-image, not satisfactory at being a meditation. Sometimes, the moon-image was substituted for position of poetic self. In this case, the moon can possess an anima. These various represented aspects of the moon-image show us thoughts of people lived in the Middle ages. We can answer to a following question, as a 'What did they think about the nature and themselves', or 'How did they feel objective and self in the lyric world'. Useful reading methods the moon-image in the literature class are as: 'comparative reading the moon-images presented in classical poetic works', 'expressing image of one poetic work with drawing'. and 'watching mutation of the moon image over times or over genres'. This essay introduced these reading methods, and explained educational value of each methods. I believe that these methods will conduct voluntary reading classical poetic works.

      • KCI등재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의 달(月)표현 연구

        조수연 ( Suyoun J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이 논문은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 6 점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달의 표현에 대해 살펴보고, 달의도상이 그려진 형성배경과 제작편년에 대해서 논하였다. 수월관음보살도는 10 세기경의 돈황 출토 수월관음보살도에서 초기 도상이 확인되며, 그 외의 白居易(772~846)의 『白居易集』卷39「畵水月菩薩贊」詩題, 그리고 『歷代名畵記』卷3(847 年, 張彦遠著)「記兩京外州寺觀書壁」勝光寺條의 고대 문헌자료에서 초기 도상의 특징이 언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 도상과 기록에서 수월관음보살도의 달 도상에 대한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 이에 일부학자들은 보살을 두르고 있는 큰 圓光을 달로 해석하지만, 이는 여러 현존하는 작품과 기록을 참고할 때 달의 표현으로 보기 보다는 身光으로 보는 것이 맞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기 돈황 출토 수월관음보살도에서 보이지 않던 달의 도상은 8 세기경의 수월관음보살도 이외의 관음보살도 등에서 나타나기도 하며, 이후 12 세기 서하 유림굴 제 2 굴(主室 西壁 北側)의 수월관음 보살도에서도 보인다. 그러나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에서 보이는 달의 표현과는 차이를 가졌고, 이 외의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잘 확인되지 않았다.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 6 점에서 보이는 달의 표현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하나는 金彩와 金線으로 그려진 단순한 보름달 또는 초승달의 표현이고, 또 다른 하나는 계수나무 아래서 방아를 찧고 있는 토끼가 보름달 안에 그려진 것이었다. 토끼가 그려진 도상은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 표현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며 각 작가의 개성이 드러나 있었다. 그리고 토끼가 묘사된 달은 일반적인 흰색의 달이 아닌 붉은 색의 달로 표현되는 특징을 보였는데, 이러한 특징은 수월관음도 이외의 고려시대 불교회화에서도 확인되었다. 그리고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 가운데 제작년도를 알 수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도상을 살펴봄과 동시에 특징적인 달이 묘사된 여러 주제의 고려시대 불교회화를 달이 표현된 수월관음보살도와 비교해 볼 때, 달 도상은 일정한 형식의 수월관음보살도가 성립된 이후에 추가 표현된 것으로 여겨졌다. 그리고 달의 표현이 추가된 수월관음보살도는 40 여점의 수월관음보살도의 도상변화를 참고 할 때, 대략 1323 년경을 넘어서 1350 년경 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 달 토끼 도상은 중국 한나라의 민간신앙에 영향을 받았지만, 나름의 도상을 정립해 나간 평양계열의 고구려 고분벽화의 영향아래 특징적인 달의 도상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그리고 그러한 도상이 이후의 고려 불교회화에도 영향을 줄만큼 고려사회에 민간신앙으로 자리 잡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달의 도상은 비록 부분적인 도상에 불구하지만, 고려시대 불교회화의 성격은 물론 고려 사회의 민간 신앙을 일러주는 도상이며 더불어서 불교회화와 민간신앙과의 관계성 및 제작시기를 추정하는 것에 있어서도 중요한 도상으로서 그 의미는 크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the moon in six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from the Koryo Dynasty, and discussed the background and date related to how the icon of the moon was developed. The early icons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are found in the paintings created in around 10th century excavated from Dunhuang, and beside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icons are mentioned in ancient literature such as the title of poem Hwasuwolbosalchan (畵水月菩薩贊) in Volume 39 of Baek Geo-yeok’s (白居易; 772~846) Baekgeoyeokjip (白居易集), and the Articles of the Seunggwang-sa Temple (勝光寺條) in Volume 3 Giryanggyeongoejusagwanseobyeok (記兩京 外州寺觀書壁) (written by Jang Eon-won (張彦遠) in 847) of Yeokdaemyeonghwagi (歷代名畵記). However, it was hard to find the origin of the moon icons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such early icons and records. With regard to this, some researchers interpreted the large circle of light surrounding the Bodhisattva as the moon, but according to several works and records extant, it was considered appropriate to interpret it as vali-cakra (身光) rather than as an expression of the moon. The icon of the moon, which was not found in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excavated early from Dunhuang, began to appear i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addition to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created in the 8th century, and it is also seen in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 in the 2nd cave of the Yulin Grottoes from the Western Xia Dynasty in the 12th century(on the northern side of the western wall of the main hall).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the expression of the moon observed i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from Koryo Dynasty, and is hardly visible in other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The expression of the moon in the six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from the Koryo Dynasty is divided largely into two types. One is the expression of a full moon or a crescent drawn with gold powder (金彩) and gold line (金線), and the other is the expression of a full moon with inside a rabbit pounding rice in a mortar under a cinnamon tree. The icons with a rabbit are quite similar with one another, but each of them shows a slight difference in expression and exposes the painter’s character. In addition, the moons with a rabbit are not the usual white moon but are expressed as a red moon, and this characteristic is observed not only in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but also in other Buddhist paintings in the Koryo Dynast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cons of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focusing on the works whose date of creation is known, and at the same time, compared other Koryo Buddhist paintings of different themes that expressed the moon characteristically with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expressing the mo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on icon is believed to have been added after the style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was established. What is more, considering the changes of icon in some 40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t is estimat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moon was added in 1323 at earliest and in around 1350. The rabbit icon in the moon was an influence of folk beliefs in the Han Dynasty of China,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haracteristic icon of the moon was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Kokuryo mural paintings in the line of Pyeongyang, which established its own icons. This also suggests that the icon was settled as a folk belief in the Koryo society until it influenced Buddhist paintings created afterwards.

      • 달의 모양 변화에 대한 재구성 수업의 효과 분석 :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researching of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서원우,김중욱 大邱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2 과학·수학교육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달의 운동 단원 중에서 달의 모양변화에 대한 내용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개념 성취도를 조사하여 전통적 수업의 효과와 비교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구성한 수업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는 통제집단에 대하여 개념 검사지로 사전과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통계적인 분석을 하였다. 달의 모양 변화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달의 공전, 달의 위상, 태양-지구-달의 관계에 대한 내용으로 3개의 세부개념으로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 검사문항을 개발하였다. 재구성한 수업은 교과서에 제시된 차시와 차시에 따른 내용을 일원적으로 통합하였고 기존의 삼구의를 개선한 교구를 투입하였다. 달의 공전은 수업 전보다 실험집단이 86.1%, 통제 집단이 77.7%로 개념이 형성되었다. 달의 모양은 실험집단이 52.7%, 통제 집단이 22.2%로 개념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태양-지구-달의 위치 관계는 실험 집단이 80.5%, 통제 집단이 38.8%로 개념이 형성되었다. 이 결과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면, 달의 공전에 대한 개념의 형성은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달의 모양과 태양-지구-달의 위치 관계에 대한 개념 형성은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상당히 크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위에서 달의 모양이 변하는 까닭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업에 대한 개념의 성취도로부터 전통적 수업과 재구성한 수업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달의 모양이 변하는 까닭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는데 재구성한 수업이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organization lesson with typical lesson after being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had studied the reason of moon's change from the moon's movement chapter and they recognized how achievement was. To achieve this purpose, we did analyze them statistically after 2 kinds of test such as before and after with concept test report between re-organization lesson group and typical lesson group. We found the three kinds of concepts such as moon's revolution, moon's shape and location of sun, earth and moon from moon's shape changes and we finally develop the concept test question with the above information. The re-organization lesson was unified from shown text book and input the studying materials from the original globe. The moon's revolution was built up for the 86/1% at the test group and 77.7% at the control group before the lesson. The moon's shape was built up for the 52.7% at the test group and 22.2% at the control group. And the location of sun, earth and moon was built up for the 80.5% at the test group and 38.8% at the control group. For the this result statisticall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t the formation of moon's revolution, but we found that there are quit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r the moon's shape and location of sun, earth and moon. And we found that there is little bit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ypical lesson and re-organization lesson from the achievement of the test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moon's shape changes. From the this study, we found that re-organization lesson is generally better for studying moon's shape changes.

      • KCI등재

        최인훈의 <달아 달아 밝은 달아>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본 철학적 부조리-<심청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찬경 한국공연문화학회 2023 공연문화연구 Vol.- No.47

        By comparing Choi In-hoon’s play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with Simcheongjeon, this study aim to identify the aspect of the irrational world embodied in the work and to explore the realm of “absurdity” that arises between the pursuit of individual consciousness towards rationality and the irrational world that remains silent in the face of rational demands. The characters surrounding Simcheong are characterized by a series of desires that exploit her, and the destructive aspect of this magnified desire poses a lack of narrative justification. Simcheongjeon depicts an ideal and rational world through the structure of characters’ personal growth and narrative rewards, establishing a punitive justice. On the other hand,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embodies an irrational world where moral causality does not operate effectively by taking the shape of a fixed character without personal change and a narrative structure without moral causality. Amidst contemplating the divide between the irrational world portrayed in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and the rational realm of Simcheongjeon and recognizing the state of isolation between Simcheong’s illusion and her experienced reality, the audience comes to experience the emotion of absurdity that emerges when human appeals meet the irrational silence of the world. However,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paradoxically depicts a human figure who resolves absurdity through the leap of an illusion, thereby revealing the inherent harshness and insurmountable nature of the absurdity existing between Simcheong and his life. This is ultimately silenced by human consciousness in pursuit of rationality.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serves as a metaphysical realm of thought by making one aware of the absurdity born between a world not governed by moral causality and the human inclination for rational pursuits. It leads to an acknowledgment of the challenge of facing and confronting absurdity, guiding the senses and thoughts towards the perception of absurdity, and thus holds significance as a venue for metaphysical contemplation. 본고는 최인훈의 희곡 <달아 달아 밝은 달아>를 <심청전>과 비교하여 작품에 형상화된 비합리적 세계의 양상을 규명하고, 합리성을 추구하는 개인의 의식과 합리성의 요구에 침묵하는 불합리의 세계 사이에서 탄생하는 ‘부조리’를 조명함으로써 작품이 가능하게 하는 사유의 영역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심봉사와 뺑덕어미, 매파, 색주가의 손님, 해적 등 심청의 주변 인물들은 심청을 착취하는 욕망을 매개로 연쇄된다는 특징을 지니는데, 이를 통해 극대화되는 욕망의 파괴적 양상은 서사적 당위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심청전>은 인물의 인격적 도약과 서사적 보응의 구조를 통해 복선화음의 질서가 구축된다는 점에서 이상적이고 합리적인 세계를 그린다. 반면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인격적 변화가 부재한 고착화된 인물 형상과 도덕적 인과가 부재한 서사구조를 취함으로써, 도덕적 인과율이 작동하지 않는 불합리한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 작품에 나타난 불합리의 세계와 <심청전>의 합리적 세계 사이의 간극을 응시하고 심청의 환상과 심청이 경험한 사실 사이의 절연 상태를 인지하는 가운데, 수용자는 인간의 호소와 세계의 비합리적 침묵이 대면할 때 탄생하는 부조리의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런데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환상이라는 도약 작용을 통해 부조리를 해소해버리는 한 인간의 모습을 그려냄으로써, 역설적으로 심청과 그의 삶 사이에 존재하는 부조리가 정신적 비약으로 빠지지 않을 수 없을 만큼 가혹하고 불가해한 것임을 드러내고, 합리성을 추구하는 인간의 의식에 끝내 침묵한다.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도덕적 인과법칙의 지배를 받지 않는 세계와 합리성을 추구하는 인간의 지향 사이에서 탄생하는 부조리를 인지하게 하고 부조리에 대한 응시와 직면의 어려움을 깨닫게 하며 부조리에 대한 감각과 사고를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형이상학적 사유의 장으로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文王受命”史實表述及內涵考察

        신창호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3 동방학 Vol.- No.48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historical fact and content that King Moon of the Zhou Dynasty became the Son of Heaven at the command of Heaven. King Moon ha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Chinese history. In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whether the legitimacy has been established (or not) depends on how inheriting King Moon’s reign only because the moral credit accrued by him is the core of politics and scholarship. This interest makes the historical and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King Moon abundant, but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a complicated aspect by adding fake stories due to excessive reverence. In particular, it has been questionable if King Moon was the only “Son of Heaven’ considering the governing of King Mu. Recently, these questions are being resolved little by little as bamboo strips from the Chu Dynasty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were discovered and realized. Doubts about the installation of King Moon are also related to the concept of fate or religion embodied behind it, so it was organized by synthesizing the transmitted documents and excavated document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King Moon.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s a whole, there are two convincing reasons that King Moon’s position and authority came directly from Heaven. One is because King Moon was a virtuous person, and the other is because King Moon was able to show God and concentrate on the work related to ancestral worship. However, there is a subtle difference in the traces of King Moon and King Mu when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al literature and the excavated one are compared. King Moon was the founder of the Zhou Dynasty who accepted the Mandate of Heaven, and King Mu was the planner as well as the executor of the founding of the State who conquered the Shang Dynasty. Accordingly, based on King Mu's outstanding achievements and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middle of the Western Zhou Dynasty, the perception was broadened to both 'King Moon’ and ‘King Wu’ being selected from heaven. This indicates the historical fact that ideology changes acco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