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순진리회 관련 미디어 담론의 분석

        우혜란(Hairan Woo) 한국종교학회 2018 宗敎硏究 Vol.78 No.2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edia discourse on Daesoon Jinrihoe. one of the largest Korean New Religions. under the promise that the public image and perception of a particular religion are. in large part. socially constructed by the mass media. From the viewpoint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it is discussed. by which mass media. around which subjects. and in which mechanism popular discourse on Daesoon Jinrihoe has been produced and maintained. Since the negative media discourse is not only a matter of Daesoon Jinrihoe but also of most new religions in South Korea. the analysis of media discourse on the former has relevance to other Korean new religions. giving insight into how isolation and marginalization of the latter proceed in Korean society.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s a theoretical work where the importance of discourse analysis concerning cultural studies and the socio-cultural impacts of media discourse are discussed. In the second part. as a case study. a variety of discourse on Daesoon Jinrihoe are analyzed. which are produced and circulated via TV investigative reporting and (TV/paper/internet) news as well as via anti-Daesoon Jinrihoe internet sites and YouTube. In the last part.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discourse on Daesoon Jinrihoe are presented.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religion are listed. which are working positively on the production and spread of negative media discourse on the religion.

      • KCI등재

        Religion in the Press: The Construction of Religion in the Korean News Media

        조규훈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Religions Vol.8 No.2

        This article concerns the configuration of religion in the media sector of modern Korea.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modern world, mass media have increasingly become a differentiated field of communication through which to process various understandings of the religious or the spiritual in any given society. This article focuses on how religion is presented in the news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broadcasters in contemporary South Korea. Since the 1990s, the media industry in Korean society has rapidly turned into an autonomous profession as the nation-state has made great progress toward democracy and social reformation. In this new social context, a majority of media workers have internalized the standards of liberal or even progressive journalism. Reflecting on the socio-political shift, media professionals have actively produced information and assessments about different religious groups, many of which are concerned with cultural, anti-social, and sensational dimensions of religion. The author studies the underlying trends and logic in the media’s articulation of religion, which are selectively intertwined with the secular and religious constellation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대중문화 속 종교유사성세 관한 종교미디어교육 연구

        문혜성(Hye-Sung M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2 No.2

        본 연구에서는 종교미디어교육의 관점에서 대중문화 속에 나타나는 종교적 상징과 종교유사성에 대한 이론과 교육방법을 연구하였다. 오늘날에는 종교의 기본이념이나 종교문화적 가치관이 대중문화를 통해 왜곡되어 전달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종교 및 미디어 관련 교육문화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실제적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관한 이론적 연구로써 ‘상징교수법’을 소개하였고, 이 이론을 토대로 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써 ‘행동과 발달지향 미디어교육’의 교수설계 모형에 상징교수법의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을 통합하였다. 이 모형을 토대로 〈다빈치 코드〉를 사례로 하는 교수학습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교육사례를 위해 〈다빈치 코드〉에 나타난 종교유사성 관련 요인들을 도입하였고, 총 8차시의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징교수법의 활용방안은 〈다빈치 코드〉 외 여러 프로그램을 대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앞으로 이 교육에 대한 학습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가 이루어져야 힐 것이다. 이 교육을 진행할 교사교육도 필요하다. 이 상징교수법 교육사례는 종교교육에서뿐 아니라 문화, 언어 등 다른 교육주제와의 연계도 가능하다. In this paper, a new viewpoint and practical education method were presented on educational culture related to today's religions and media.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onsidered the theories of religious media pedagogic and the concept of symbolic didactics relating to religious symbols in popular culture. In this paper, a total of eight cases of applying symbolic didactics were developed using the example of "The Da Vinci Code",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religious media education and symbolic didactics. For this, the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s of religious media education were integrated with the teaching plan model of "action and development oriented media education". In order for this education to be applied effectively, experimental studies have to be carried Out verifying the learning effects regarding this education. In particular, education for teachers who will carry out this education is needed. This is because, in media education,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apacity of the one who is teaching.

      • KCI우수등재

        “미디어, 종교, 그리고 문화”

        박진규(Jin Kyu Park) 한국언론학회 2009 한국언론학보 Vol.53 No.6

        Religion has been a marginalized research subject in social sciences as well as in media studies. This paper introduces a recently growing field specializing in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religion. First, it categorizes seven intersections between the two seemingly separated realms, all of which show the research interests within the field.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a new research group identifying itself as “media, religion, and culture,” which attempts to apply cultural studie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traditions into the research of media and religion. Researchers in this group do not employ the instrumental approach to media/communication or pursue knowledge for the interest of a specific institutionalized religion. Rather, they explore the related phenomena based on the more general concerns of the tradition of cultural studies. Finally, this paper, applying the new approach to the context of late-modern Korea, suggests several research themes and subjects in respective areas of production; text; and reception.

      • KCI등재

        미디어를 통한 종교적 실천: 인도네시아 샤리아 디지털 경제를 중심으로

        이지혁(LEE JIhyouk)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2

        미디어 기술의 발달은 세속적인 일상의 삶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성스러운 것으로 간주되는 종교의 영역에서도 많은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서구 중심의 모더니즘적 인식에서 현대 종교가 사사화(privatization) 및 개인화(individualization)되면서 공적 영역에서 점차 사적 영역으로 축소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무슬림 다수국가에서 이슬람은 여전히 공적이고 제도적인 차원에서 공고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서구의 세속화론(secularization theory)자들이 예측한 현대사회에서 종교의 역할 축소는 적어도 이슬람 세계에서는 유의미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종교를 실천하는 방식에서는 세속화, 상업화, 그리고 서구화의 영향에서 이슬람도 자유로울 수 없다. 흥미로운 것은 현대화된 종교적 실천이 지역적 특수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네시아에서 이슬람의 보수화와 현대화가 동시에 진행될 때 나타나는 사회적 변화를 종교와 미디어의 관점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우선, 종교와 미디어의 관계를 시대적 특징을 통해 살펴보고, 가장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샤리아 디지털 경제’를 종교적 보수화, 디지털 기술의 발달, 이슬람 경제의 확산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궁극적으로는 샤리아 디지털 경제의 대표적 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종교적 보수화와 현대화, 세속화, 상업화가 함께 어우러진 인도네시아 이슬람의 혼종적인 특징을 고찰한다. Advances of media technology have brought about many changes not only in daily life but also in the realm of religion that is generally considered sacred. Islam is still firmly established on a public and institutional level in many Islamic countries, in contrast to the gradual privat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religion in Western world. The secularization theory that the role of religion in modern society will shrink is not valid at least in the Islamic world. However, in the way religion is practiced, Islam cannot be free from the influence of secularization, commercialization, and westernization. What"s interesting is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way modernized Islam is practiced depending on regional context. The paper investigates social changes in the Indonesian context in which Islamic conservatism and modernization occur simultaneousl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media. First of all, it examines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media from period to period, and it focuses on the Sharia digital economy, which has been burgeoning in Indonesia, in terms of religious conservatism, advances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growth of the Islamic economy.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ria digital economy by examining the case studies such as e-commerce marketplace platforms, super apps, and fintech. Finally, the findings from the study present the hybrid features of Indonesian Islam, which combines modernization, sec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 인터넷 포교의 현실 인식과 과제

        최진구(Choi, Jin Gu)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0 불교문화연구 Vol.11 No.1

        뉴 미디어는 새로운 기술들이 접목되면서 정보 유통의 수단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뉴미디어의 특성으로는 정보전달 방법의 변화와 수용자의 개인화를 가속화 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뉴 미디어의 등장은 多미디어 ․ 多채널의 정보화 환경을 조성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를 가능하게 하는 매체가 인터넷이다. 정보화 사회가 종교문화에 준 가장 큰 변화는 인터넷으로만 포교하는 인터넷 사찰과 교회의 등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종교단체에서는 인터넷이라고 하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큰 과제가 되고 있다. 불교는 기본적으로 출세간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고 세속적인 흐름에 민감한 편이 아니기 때문에 인터넷 포교는 타종교에 비해 활성화된 편은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불교계의 인터넷포교 현실을 올바로 인식하고 발전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현재 조계종 종단을 비롯하여 24개 교구본사와 지역의 사찰을 중심으로 대부분 홈페이지를 운영하면서 인터넷 포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 사이버 불교대학과 각종 수행 관련 사이트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인터넷 포교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과정이다. 그러나 뉴미디어시대의 종교문화는 인터넷을 중심 으로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종교 역시, 인터넷을 중심으로 조직되고 운영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은 뉴미디어시대의 포교도구로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매체이다. 그러나 불교계 인터넷 사이트의 양적인 증가도 중요하지만 운영과 내용 등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진정 불교인에게 도움이 되는 인터넷 포교의 방향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리고 불교의 포교관행이나 방법도 대폭적인 변화가 절실한 시점 이다. 즉, 인터넷이라는 사이버 공간에 익숙해져 있는 현대인들, 특히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포교는 그들의 취향에 맞는 포교 전략이 세워지고 실행되어야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포교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양질의 콘텐 츠를 생산하고 저작권을 확보하는 작업이 전문인들을 통해 선행 되어야 한다. New media keeps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means of information circulation by adopting new technologies. The characteristics of such new media include the change in the method of information delivery and the acceleration of personalization of the consumers. Therefore, the emergence of new media has formed the information-oriented environment of multiple media / multiple channel. The Internet is the means of potentializing such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biggest changes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brought to the religious culture are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temples and churches that propagate via the Internet only. Therefore, it has become big issues for existing religious organizations to adapt to the new surroundings-the Internet. Buddhism basically possesses the other-worldly quality and is not sensitive to the worldly flow, so its propagation via the Internet is not as active asother religions. In such situations, the objective of this report is to recognize the reality of propagation of Buddhism via the Internet and find a way of development. Now 24 main districts and local temples including the Jogye Order are mostly operating websites and showing interest in propagation via the Internet. Also, the cyber Buddhist colleges and various asceticism-related websites are increasing dramatically in number and propagation via the Internet is in the process of being vitalized.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new media age, however, is unfolding in various ways centering on the Internet beyond expectations. Religion is also being greatly influenced by the Internet since being organized and operating based on it. Therefore, the Internet is the most noticeable medium as the propagation tool in the new media age. Though the rise in the number of the Buddhist websites is necessary, it s time to set up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via the Internet truly helpful to the Buddhists through analysis and research.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propagation practices and methods of Buddhism. That is, the propagation targeting the modern people accustomed to the cyberspace of the Internet, especially the teenagers, must be planned and executed with propagation strategy suitable for their tastes. Also, in order to vitalize the propagation via the Internet, the works of generating high-quality contents and securing

      • KCI등재

        포스트 모던과 신종교 ; 패전 후 일본의 포스트모더니즘과 종교연구

        이원범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9 No.-

        오늘날 일본의 신종교에 관한 선행 연구는, 기성의 가치지향(=모더니즘)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시도(=포스트모더니즘)의 결과였다. 이러한 다양한 시도는 신종교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가능하게 해주었으며, 학문적 흥미를 자극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러한 연구의 다양성만큼이나 각각의 주장의 내적 관련성을 찾기가 쉽지 않은 문제를 남겨 놓게 되었다. 신종교 연구의 문제점은, 그동안, 이들의 연구 대상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각각의 학문분야에 내재된 문제의식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라, 매스컴 주도형으로 촉발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신종교 집단의 비합리적 또는 반사회적 행위가 매스컴에 의해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면, 연구자는 이에 대한 나름의 학문적 설명을 하는 식의 대응이 많았다. 미디어가 주도하는 아젠다를 쫒아가는 연구가 많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문제 관심이 많은 경우, 연구 대상에 대한 이해 그 자체가 아닌, 사회 일반의 물음에 대한 해답의 제시에 있었다. The previous researches on Japanese New Religion were the consequence of having made various attempts (i.e., Postmodernism) to overcome the existing Value Orientation (i.e., Modernism). These diverse trials would stand high in evaluation in that they have made it possible to make various analyses of the New Religion and stimulated academic interest in it. However, the diversity in those researches has left difficulties in finding inner connection within them. The problem of researches on the New Religion is that academic interest in the object of these studies has risen mostly by the mass media, not by the presupposition of a critical mind immanent in each study. Researchers have given explanation of the case with their own academic explication when the irrational and antisocial behavior of new religious group becomes a matter of social interest. A lot of researches have followed agenda aroused by the mass media. Therefore, they have been mainly interested not in the understanding itself about the object of research but in providing an answer to the question from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종교와 매체의 관련성 연구 - 그리스도교를 중심으로 -

        유가은 ( Yoo Ka-eu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4

        종교는 그것의 정신 자체라 할 수 있는 언어(경전) 등의 매체를 통해 시공을 초월해 전달되었기에 존립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종교는 매체적 본성을 지니며 그리스도교도 마찬가지다. 반면 매체의 형식적 반복성은 죽음의 영원성을 상기시키며 매체가 종교적 성격을 지닐 수 있음을 제시한다. 맥루한의 논의는 가톨릭의 보편지향과 하느님의 창조원리에 영향받은 것으로 그리스도교와 매체의 연관을 보여주는 예다. 한편 그리스도교의 공유 사상은 온라인 네트워크의 매체적 특성인 공유와 일치한다. 그래서 그리스도교와 네트워크 모두 공유를 통해 개별성이 살아있는 이상적 공동체를 생성한다. 나아가 그리스도교의 코이노니아와 디아코니아 개념은 각각 개별성이 살아있는 공동체와 개인의 희생을 함의하는데 이는 온라인에서 네트워크와 프로토콜의 의미 및 내포와 통한다. 이것은 그리스도교와 온라인 네트워크의 유사점이다. 또한 그리스도교의 육화 개념 역시 개별성과 공동체의 공존을 뒷받침함으로써 매체가 지닌 유토피 아적 내포를 보여준다. Religion has existed because it was transmitted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hrough media, like language(scriptures) - religion’s spirit itself. In this respect, religion possesses a medium nature, and so is Christianity. On the other hand, the formal repetition of media reminds us of the eternity of death, suggesting that media may have a religious property. McLuhan's discussion was influenced by Catholic universalism and God's creative principle, which is an example of indicating the connec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media. In the meantime, the Christian sharing ideology coincides with sharing, the media characteristic in online networks. Thus, through sharing, both Christianity and online networks create an ideal commune where individuals are alive. Further, the Christian concepts of koinonia and diakonia imply the commune - in which individuals are alive - and the sacrifice of individuals, respectively, which is in line with the meaning and connotations of online networks and protocols. This is a resemblance between Christianity and online networks. In addition, the Christian incarnation concept also supports the coexistence of individual and commune, thus showing the utopian connotation media have.

      • KCI등재후보

        영화와 종교교육

        申光澈 韓國宗敎敎育學會 2003 宗敎敎育學硏究 Vol.17 No.-

        이 논문의 목적은 종교교육에 대한 영화의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본 논문의 물음은 다음과 같다. "영화는 종교교육에 유용한 매체인가?", "종교교육에 영화를 활용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종교교육에 영화를 활용함으로써 얻는 유익은 무엇인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 두 가지 작업을 실시하였다. 첫째, 종교계(특히 개신교계)의 미디어-영화 담론을 분석하였다. 둘째, 필자 스스로의 강의 및 연구 경험을 토대로 영화를 활용하는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종교와 영화는 이미지-창출을 통해 상상을 구현하고 현실을 재현한다는 점에서 접점을 지닌다. 이러한 점점은 '종교와 영화' 내지는 '영화와 종교교육'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영화는 또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담지하고 있다. 종교와 영화는 '소통'이라는 점에서도 접점을 지닌다. 오늘의 시대를 일컬어 '이미지의 시대' 내지는 '영상문화의 시대'라고 부른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에 직면하여 종교계는 전래의 종교교육에 대한 방향 전환의 압력을 받기에 이르렀다. 오늘날 종교교육에 있어 '구텐베르크의 언어'(문자-택스트)와 '상징적 언어'(영상-텍스트)의 합류를 지향하는 '스테레오 종교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This thesis aims to find the possibility of film as a source of religious education. I ask the following: (1) Is film useful media for religious education? (2) What's the method to use film for religious education? (3) What's the profit by applying film to religious education? For these question, I tried two researches. First, I analyzed the 'discourse on media-film' of religions(especially of the protestant church). Second, I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film for religious education by using my experience of lectures and researches. Religion and film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manifest imagination and revive reality through 'image-making'. This common point makes it possible for us to discuss about 'religion and film' or 'film and religious education'. Film also has a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religion and film encounter at this point. Our age is generally called 'times of image' or 'times of visual culture'. At this moment, religions are pressured to change direction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religious education. These days, the necessity of 'stereo religious education' is on the increase. Stereo religious education heads for the junction of 'language of Gutenberg(literal text)' and 'symbolic language(visual text)'

      • KCI등재

        세계종교 교수법을 통한 다문화 종교교육 : 영국과 한국의 사례에 대한 비교 연구

        안신 韓國宗敎敎育學會 2009 宗敎敎育學硏究 Vol.30 No.-

        21세기 종교교육의 현장에서 종교학자가 세계에 나타나는 다양한 종교들을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교에서 교수하는 일은 쉬운 과정이 아니다. 인류의 오랜 문명과 현대의 종교다원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종교를 설명하는 것이 시급하고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나름대로 종교에 대한 해석의 틀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앙한 교수법들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영국과 한국의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대학교에서 세계종교를 교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가용한 종교교육의 대안들로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영국 대학교에서 강의되고 있는 세계종교의 경우, 에던버러대학교에서 강의되고 있는 세계종교강좌를 분석하였다. 특히 종교전문가의 공동강의와 튜터(강사)를 통한 강독수업으로 강의내용의 깊이와 이해의 폭을 넓히려는 시도를 병행하고 있다. 사용하는 강의교재를 선택할 때에도 우선적으로 영국종교학자가 집필한 저서를 고려함으로써 영국의 종교현상으로부터 고립된 세계종교에 대한 지식을 일반적 수준에서 제공하는 대신에, 세계종교와 영국종교를 동시에 연관시켜 강의하는 통합적이며 관계적 방식을 지향한다. 나아가 종교현상학적 태도와 종교인류학 혹은 종교사회학적방식을 가미함으로써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한 지역적 이해와 심층적 설명에 도달하려고 한다. 반면에, 한국에서 서울대, 서강대, 이화여대에서 강의되고 있는 세계종교의 경우, 기존에 나와 있는 세계종교에 관한 저서들이 교재로서 갖고 있는 내용과 방법 면에서의 한계가 있으며, 더불어 학기 단위로 충분한 일정을 확보할 수 없는 시간적 제약에 부딪혀 담당 교수가 단편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한국의 종교상황과 수강생들의 관심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강의가 제공되고 있지만, 서구 중심적 시각의 전달과 일방적인 강의의 흐름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필자는 (1) 종교공동체에 대한 현장조사의 기회를 확대하고,(2) 종교공동체 대표(혹은 종교인)를 강의 초청하거나 인터뷰하며,(3) 미디어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현대문화에 나타난 종교적 변용을 검토하는 것도 좋은 자극제가 될 것이다. 나아가 (4) 축제에 참여하거나 박물관 혹은 특별전시회를 방문한 후에 감상문을 제출하는 과제도 다양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나아가 (5) 학생이 종교를 만들거나 자신의 일대기를 종교적 관점에서 기술하는 과제는 제도적인 종교의 의미를 넘어 종교적 물음의 보편성을 확인하는 기회를 줄 것이다. This paper compares the British teaching system of world religions with the Korean one by analyzing their forms, contents, and texts in the University level of teaching world religions. Though the modern society asks its citizens to have broad knowledge and open attitude toward world religions, the organization and evaluation of teaching system is a difficult process within the academia of religious studies.. First, the British system (eg. University of Edinburgh) is mainly based on the team teaching of experts, one year rotation system, and its emphasis on discussion group. Second, the Korean system (eg. Seoul National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has main characteristics such as one lecturer system, one semester rotation, and its emphasis on lectures.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the author gives five suggestions: (1)visits to religious community, (2) special lectures of religious leaders, (3) active usage of media contents, (4) participation in religious festivals, (5) creative themes for report and test. Both religious texts and contexts transform the method and theory in teaching world reli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