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Apparel Purchasing Behavior of Adult Female Group Segmented by Their Materialism

        Lee, Ok-Hee The Costume Culture Association Department of Clot 2000 Fashion, industry and education Vol.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arel purchasing behavior of adult women consumer groups divided by materialism. The specific object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degree of materialism, impulsive buying, and conspicuous consumption. 2)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impulsive buying, materialism, and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s of impulsive buying, materialism affecting conspicuous consumption. 3) to classify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ropensity for materialism, and to examine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the divided groups. Data were administered to 357 adult women living in Sunchon from June to July 1999. For analysis of the data,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requency and x2-test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Materialism and impulsive buying have shown higher than middle score, and conspicuous consumption has shown similar to middle score. 2.The correlation between materialism impulsive buying, and conspicuous consumption was showed proportional relation. The higher the materialism and experience of impulsive buying was, the higher was the conspicuous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affecting conspicuous consumpti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variables were in the order of; success-symbolic materialism, life-centered materialism, happiness-pursuing materialism, impulsive buying and their explanatory power totalled 35.2% 3.Evaluating attributes of product, the type of purchasing store, the place of purchasing, the need of high class department store, purchasing price range, and accompanying people when purchasing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pparel purchasing behavior.

      • KCI등재

        부정적 인간학으로서 유물론 : 벤야민과 아도르노의 유물론 논쟁을 중심으로

        류도향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4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characteristics and actuality of Adorno’s philosoph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bate of materialism between W. Benjamin and Th. W. Adorno in the 1930s. Adorno’s materialism was concretely shape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Benjamin’s Anthropological Materialism critically. Benjamin’s Anthropological Materialism is justified in that it attempts to overcome the idealistic premise, which inherent in existing materialism. But it runs the risk of falling into romantic abstraction by avoiding direct confrontation with social totality. First, "Leibraum" as a place of "profane erleuchtung" claimed by anthropological materialism remains a simple optimistic position without thorough criticism of the mechanism of cultural industry. Second, the restoration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in an anthropological materialism is impossible without establishing a Constellation between individual subjectivity and object performance. Third, an anthropological materialism can not have persuasive power without disassembling the laws of social structure which are operating in secret in the dominant reality, and simultaneously reconstructing the new phenomena, that is, interpreting work. Finally, I will argue that the inherent critique of anthropological materialism develop into Adorno's materialism, that is materialism as Negative Anthropologie, which maintains a critical power to intimate and dismantle the structural laws of the negative totality of capitalist society. 이 논문은 벤야민과 아도르노의 1930년대 유물론 논쟁을 내재적 비판의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21세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아도르노의 유물론이 지닌 현재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아도르노가 보기에 벤야민이 제시한 인간학적 유물론은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이 지배와 폭력 없이 공존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의 가능성을 담지하지만, 사회적 총체성과의 직접적인 대면을 회피함으로써 낭만적 추상으로 전락할 위험을 안고 있다. 아도르노의 유물론은 이러한 위험을 경계하면서 인간학적 유물론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조건을 탐색한 결과다. 필자는 아도르노가 벤야민에게 제기한 내재적 비판을 크게 4가지 테제로 정리할 것이다. 첫째, 인간학적 유물론이 “범속한 각성”(profane Erleuchtung)의 가능조건으로 본 “집단신체”(Kollektivleib)는 신체를 사물화시키는 문화산업 메커니즘에 대한 철저한 비판 없이는 소박한 낙관적 입장에 머무른다.(2절) 둘째, 인간학적 유물론에서 집단무의식의 회복은 개별주체성 및 객체성과의 짜임관계를 이루지 않고서는 현실화될 수 없다.(3절) 셋째, 인간학적 유물론의 고유한 사유 모델로서 “사유이미지”(Denkbilder)는 지배적 현실에서 소외된 계기들 속에 은밀하게 작동하고 있는 사회 구조법칙들을 해체하면서 동시에 그 계기들을 다시 새롭게 구성하는 활동, 즉 “해석”(Deutung) 없이는 설득력을 지닐 수 없다.(4절) 마지막으로 필자는 자본주의 사회의 부정적 총체성에 맞서 그것의 구조 법칙을 모방하면서 해체하는 비판적 동력을 견지하는 아도르노의 유물론을 ‘부정적 인간학(negative Anthropologie)으로서 유물론’이라고 특징짓는다. 부정적 인간학으로서 유물론은 인간을 한낱 부품으로 전락시키는 사회의 총체적 경향 속에서 인간의 본질에 대한 어떠한 긍정적 가정도 하지 않음으로써, 아직 존재하지 않는 인간존엄적 사회의 가능성을 지시한다.(5절)

      • KCI등재

        마르크스 유물론의 정체성에 관하여 - 『신성가족』을 중심으로 -

        이병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2 시대와 철학 Vol.33 No.4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the identity of Marx's materialism hidden behind an excessively firm definition. This could be successfully accomplished by a) tracing the content of materialism that Marx really paid attention to beyond the veil of definitions that were firmly established after Marx’s death, such as ‘dialectical materialism’ and ‘historical materialism’, and by b) examining whether the new critiques of Marx can be responded to by reinterpreting Marx’s own materialism and whether it is still valid as a basis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reflection and criticism on the present world. This article is limited to a) above, and mainly seeks to explore the identity of Marx’s materialis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oly Family』, which is rich in Marx’s own thoughts. Marx’s critique of Bruno Bauer in 『The Holy Family』 and the reevaluation of French materialism clearly show where his ultimate interest lies. Marx was relatively indifferent to ‘dialectical materialism’ and ‘material’ as an object of natural science, and concentrated on finding a point in parallel with his own historical materilism in French materialism by preemptively projecting the conception of historical materialism that would be established later. This fact clearly shows that the core of Marx’s thought lies in historical materialism, and that he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dialectical materialism, contrary to what is commonly known. 이 글은 지나칠 정도로 확고부동한 사후규정에 가려진 마르크스 유물론의 정체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닌다. 이는 a) ‘변증법적 유물론’, ‘역사적 유물론’ 등 마르크스 사후에 강고하게 자리 잡은 규정의 외피 너머 마르크스가 진정 관심을 기울인 유물론의 내용이 무엇인지 추적하는 일, 그리고 b) 마르크스 고유의 유물론을 재해석함으로써 그에 대한 새로운 비판에 응답할 수 있는지, 그리하여 현재의 세계에 관한 이론적·실천적 성찰과 비판의 토대로 여전히 유효한지 살피는 작업을 통해 성공적으로 완수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이 가운데 a)에 국한되며, 마르크스 고유의 사유가 풍부하게 나타나는 『신성가족』 분석을 통해 마르크스 유물론의 정체성을 탐문하고자 한다. 『신성가족』에서 마르크스가 보여준 부르노 바우어에 대한 비판과 프랑스 유물론의 재평가는 그의 궁극적인 관심이 어디에 놓여 있는지 극명하게 보여준다. 마르크스는 ‘변증법적 유물론’, 자연과학의 대상으로서의 ‘물질’ 등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했으며, 나중에 정립하게 되는 사적 유물론의 구상을 선취하여 투영함으로써 프랑스 유물론에서 그와 상통하는 지점을 찾아 집중했다. 이러한 사실은 마르크스 사유의 핵심이 사적 유물론에 있음을, 아울러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변증법적 유물론에 대해 일정하게 거리를 유지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불확실한 정체성과 낮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물질주의의 매개효과

        박선웅,박예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3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uncertain identity increases materialism, which in turn decreases psychological well-being.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test this idea. In Study 1,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identity commit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terialism. It was found that identity certainty as assessed by identity commit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materialism and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at materialism mediated the link between identity certain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udy 2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uncertain identity causes materialism using an experiment. Identity (un)certainty was manipulated by asking participants to write a story in which they experienced a strong sense of who they were (certainty condition) or a story in which they experienced the lack of identity (uncertainty condition). Right after the writing task, participants competed a measure of state materialism. Participants in the certainty condition showed a lower level of state materialism relative to those in the uncertainty condition, indicating the causal role of identity in materialism. Given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materialism and mental health, notoriously high materialism in Korea is a big social problem. The present study’s contribution is to identify identity uncertainty as one of the antecedents of materialism.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한 정체성이 높은 물질주의를 야기하여 낮은 심리적 안녕감으로 이어지는지 확인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1에서 참여자들은 정체성 전념, 심리적 안녕감, 물질주의를 측정하는 척도에 자기보고식으로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불확실한 정체성(즉, 낮은 정체성 전념)은 높은 물질주의 및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관계에 있었고, 불확실한 정체성과 낮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는 물질주의에 의해 매개되었다. 연구 2에서는 정체성과 물질주의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정체성의 (불)확실성 정도를 조작하기 위해 확실성 조건에 배정받은 참여자들에게는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해 확실하게 느꼈던 경험을 적도록 요청하였고, 불확실성 조건에 배정받은 참여자들에게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불확실하게 느꼈던 경험에 대해 적도록 요청하였다. 글을 쓴 직후에 참여자들은 상태물질주의 척도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확실성 조건에 있었던 참여자들은 불확실성 조건에 있었던 참여자들에 비해 낮은 수준의 물질주의를 보였다. 이 결과는 정체성의 확실성 정도가 물질주의 수준에 인과적 영향력을 끼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질주의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고려할 때 한국인의 높은 물질주의는 큰 사회문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불확실한 정체성이 물질주의를 야기하는 원인 중 하나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물질종교, 신유물론으로 접근하기

        도태수 종교문화비평학회 2023 종교문화비평 Vol.43 No.43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o understand the materiality in the study of the new materialism and how can it be applicable to the area of the study of religion. The material religion, a new approach in the field of the study of religion, has a keen relationship to the new materialism in its position and f unction. I n this paper I pursued t o ‘figur ing out’ or ‘measuring’ the contact point of how the new materialism theory can be applied to the religious phenomena in general and the religious studies in particular. As a discipline of the trans-disciplinary studies, the research projects on the material religion have been proposed so many methods and disciplines. Each of these research methods become an ‘actant’ and make up the huge map of the so-called material religion. The theory of new materialism is an ‘actant’ of such an intellectual project. We can make a drawing map of the material religion out of the network of the material religion-new materialism. The intellectual map of this material religion can not be uniformal, or neither fixed one. As much as the various ‘actants’ are interrelated, interacted and actualized, they are creating the various territories. And the new materialism will be an important cartography method to dr aw a map of the material religion in this vast territory of knowledge. The Cartography is that the knowledges are not a single fixed and immutable entity, but a relationship[關係體] in which the various knowledges are interrelated and interlocked. Therefore, through the various knowledge assemblage, one knowledge is connected to the other one like a network. Total knowledge is a huge knowledge that arise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knowledges while traversing each other. Such a grand knowledge can be grasped only after mapping out of the interrelated knowledges in which each entity is closely connected. the Material religion is the result of synthesizing the various knowledges. The new materialism can be participated in as a ‘member’(actant) of making the maps in this huge networ k of the ‘ the material-religion’. 본 연구는 신유물론의 물질성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고, 어떻게 신유물론의물질성에 대한 이해가 종교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물질종교연구에서 신유물론의 위치와 역할이 무엇일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물질종교와 신유물론의 관계성의 논의를 시도한다. 여기에 이 논문은 신유물론 이론을어떻게 종교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지를 탐색하여, 종교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접점을 ‘측정’하고자 한다. 초학제적 연구로서 물질종교 연구에는 그 분과의 수만큼이나 많은 연구 방법들이 투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방법들은 각각의 행위소가 되어 물질종교라는 거대한 지도를 그리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신유물론의 이론은 그런 지적 기획의하나의 행위소가 될 수 있다. 우리는 물질종교-신유물론이라는 네트워크를 통해물질종교의 지도를 그려나갈 수 있다. 물질종교라는 지적 지도는 단일하지 않으며, 고정되어 있지 않다. 다양한 행위소들이 서로 관련되면서, 다양한 영토를현실화한다. 그리고 신유물론은 이런 지식의 광활한 영토에서, 물질종교의 지도를 그려낼 수 있는 중요한 ‘지도제작(cartography)’ 방식이 될 것이다. 지도제작이란 지식이 단일한 고정불변의 개별체가 아니라 지식과 지식이 상호연동되고 관계되는 관계체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다양한 지식적 배치를 통해 하나의 지식은 다른 지식과 네트워크처럼 연결되어 있다. 전체 지식이란 개별지식들이서로를 횡단하는 관계를 통해서 발생하는 거대한 지식이다. 이와 같은 거대 지식은각각의 개별체들이 촘촘이 연결되어 있는 지도를 그릴 때, 이해될 수 있다. 물질종교역시, 다양한 지식들이 연결되어 종합되어 있다. 신유물론은 이와 같은 ‘물질-종교’ 라는 거대한 네트워크 속에서 지도를 제작하는 ‘일원(행위소)’으로 참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실천적 유물론에 대한 변증법적 단상 : 물질과 정신의 이원론을 넘어

        이준영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21 영어영문학연구 Vol.63 No.4

        New Materialism has been quite successful in bringing back the ontology of matter and materiality in order to overcome the binary oppositions between spirit and matter. However, it is very ironic that New Materialism has recourse to the mystic monism of materiality to go beyond the traditional dualism. Against the monism, this essay suggests practical materialism as a critical way of genuinely overcoming the dualism of idealism and materialism. First, the Hegelian dialectic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essence-and-appearance opposition. Then, Karl Marx’s criticism of Ludwig Feuerbach’s “contemplative materialism” is to be dealt. According to Marx, the practical materialism, which relies on the Hegelian dialectics of “rising from the abstract to the concrete,” should overcome the dogmatic dualism of idealism and materialism by way of practical activity including dialectically both the concrete social reality and the abstract conceptual practice. In this sense, the practical materialism should be regarded as a more viable option for surpassing the limit of dualism rather than New Materialism.

      • KCI등재

        『개벽』의 유물론 수용이 지닌 사상사적 함축-서구 이론 및 사상에 대한 변용 및 재전유의 특징을 중심으로-

        이병태 ( Lee Byeong-ta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5 No.-

        20세기초 한반도에서 『개벽』은 서구 이론 및 사상의 주요한 수용창구였고, 사회주의 및 유물론의 수용과 관련해서도 중요한 경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유물론에 대한 『개벽』 기사들에 집중할 때 한국현대사상사의 견지에서 의미 있는 경향성이 발견된다. 유물론은 서양 철학 내에서도 형이상학, 존재론, 세계관의 범주에 해당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정교한 사변이 개입됨과 동시에 변혁적 실천과 강력하게 결합되는 특징까지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이해와 수용이란 이해 및 수용 당사자의 측면에서 이론과 실천을 아우르는 복합적 기반이 전폭적으로 작동하고 또 드러나는 흥미로운 국면을 형성한다. 그렇기에 유물론 이라는 낯선 이론의 수용에서 드러나는 특징 및 경향은 그 자체로 한국현대사상사의 중요한 논구대상이며, 나아가 당시 서구 이론 및 사상의 수용에서 보이는 일반적 특징을 포착하도록 이끄는 중요한 실마리라 할 수 있다. 『개벽』이 유물론의 이해와 수용에서 드러내는 특징은 일단 두 가지로 대분할 수 있다. 하나는 이론 및 사상의 재해석, 변용, 재전유 등의 폭이 협소한 경우고, 다른 하나는 재해석이나 재전유가 상당히 강하게 드러나는 경우다. 전자는 주로 번역 등을 통해 유물론이 직접적으로 소개될 때 나타나는 특징에 해당하고, 후자는 종래의 지적 전통, 문화, 종교 등 다른 주요 주제와 연관하여 유물론이 다뤄질 때 드러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일정하게 편차를 드러내긴 하지만 『개벽』의 유물론 소개와 수용은 낯선 개념 또는 이론의 체화 및 재전유 경향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는 낯선 이론 및 개념을 일정하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교양 또는 지적 기반이 공통적으로 작동함을 말해준다. 즉 서구 이론 및 개념을 마주친 당대의 지식인들이 이를 재정의, 재전유할 수 있게 하는 공통의 지적 전통 위에 서있었다는 것이다. 서구 이론에 관한 정보 및 이해, 체계적 교육 등이 선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통적 이론을 서구적 개념인 ‘유물론’에 비춰 보거나 서구 유물론의 한 형태를 유기체적 일원론으로 해석하는 탁월성은 지적 전통의 작동과 그 깊이를 우회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on the Korean peninsula, Gaebyeok was a major reception channel for Western theories and thoughts, and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lation to the acceptance of socialism and materialism. In particular, when we focus on the articles on materialism in Gaebyeok, a meaningful tendency is found from the standpoint of Korean modern thoughts’ history. Materialism falls within the categories of metaphysics, ontology, and world-view(Weltanschauung) in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so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strongly combined with revolutionary practices as well as involving complex and elaborate speculation. Therefore,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materialism form an interesting situation in which the complex foundation encompassing theory and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and receiving party is fully operational and revealed.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revealed in the acceptance of the unfamiliar theory of ‘materialism’ are, in themselves, an important object of study in the Korean modern thought’s history, and furthermore, it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clue that leads to captu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en in the acceptance of Western theories and ideas at that time. The characteristics that Gaebyeok reveals in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materialism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One is the case where the scope of reinterpretation, transformation, and re-appropriation of theories and ideas is narrow, and the other is the case where the reinterpretation or re-appropriation is quite strong. The former is a characteristic that appears when materialism is introduced directly through translation, and the latter is a characteristic that is revealed when materialism is dealt with in relation to other major topics such as conventional intellectual tradition, culture, and religion. Although certain deviations appear,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the materialism of Gaebyeok clearly shows the tendency to re-appropriate the unfamiliar concepts or theories. This suggests that the common cultural or intellectual foundation that allows unfamiliar theories and concepts to be consistently understood and explained works. In other words, the intellectuals of that time who encountered Western theories and concepts stood on a common intellectual tradition that allowed them to redefine and re-appropriate them in their own way. In a situation where informations and understandings of Western theories, systematic education about them, and etc. are not prepared, the considerate insight of seeing traditional theories in the light of a western concept of materialism, or the excellent interpretation of regarding a kind of western materialism as organic monism, shows a dynamic intellectual tradition and its high standard.

      • KCI우수등재

        학업성취압력과 물질주의 간의 관계에서 정체성 명확성의 조절효과: 대학생 표본을 대상으로

        조하정,이다예,박선웅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5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PAAP) and materialis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dentity clarity between the two. We recruited participants (N = 119) from a private university in South Korea.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PAAP and dispositional materialism. Participants were then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identity clarity or control condition. Participants in the identity clarity condition were asked to write about the experiences in which they clearly felt about and grasped their self-identity.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in the control condition were asked to describe what had happened the day before without including any subjective thoughts and feelings. Right after the writing task, participants completed a measure of state materialism. Supporting our hypotheses, PAAP and dispositional materialism were positively related. Also, in the identity clarity condition, participants showed decreased state materialism relative to dispositional materialism, while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dispositional and state materialism was observed in the control condition. Lastly, identity clarity manipulation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PAAP and state materialism. Specifically,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PAAP and state materialism was observed in the control condition, but not in the identity clarity condition, after controlling for dispositional materialism, gender, age, and school year.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자녀의 물질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정체성 명확성이 조절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한국의 대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참여자들은 부모로부터 느낀 학업성취압력과 기질적 물질주의를 묻는 문항에 응답하였다. 이후 참여자들은 주어진 글쓰기 과제를 통해 정체성 명확성 조건과 통제 조건으로 무선할당되었다. 정체성 명확성 조건에 할당된 참여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지각했던 경험을 작성하였고, 통제 조건에 할당된 참여자는 전날 있었던 일에 대해 객관적으로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태 물질주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로부터 느낀 학업성취압력과 기질적 물질주의는 정적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또한, 정체성 명확성 조건에서는 참여자들의 상태 물질주의가 기질적 물질주의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통제 조건에서는 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나아가, 정체성 명확성 조작은 학업성취압력과 상태 물질주의 간의 정적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업성취압력과 상태 물질주의 간의 정적 상관이 통제 조건에서는 유의했으나, 정체성 명확성 조건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기질적 물질주의, 성별, 나이, 학년이 공변인으로 투입됨).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만연한 두 변인, 즉 학업성취압력과 물질주의가 서로 정적인 관계에 있음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으며, 자신만의 내적 기준을 확고하게 확립하는 것이 물질주의를 낮출 수 있는 하나의 방법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거대한 분절인가, 거대한 연결인가? ― 신유물론의 정치적 존재론

        최진석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인문학연구 Vol.- No.67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the humanities in recent years is a new ideological current called “New Materialism.” This school of thought, which advocates new concepts and positions on matter outside of Modern Materialism, is presenting a new paradigm not only in philosophy, but also in politics and sociology, art and science. Harman, one of the most prominent representatives of New Materialism, defines matter as an object that cannot be grasped and argues that it is a “Being” that cannot be understood by human perception. According to him, the entire universe is made up of random substances that cannot be synthesized into a whole. In contrast, there are attempts to view matter in terms of “Becoming.” Bennett and Barard recognize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matter through the “Great connection” and define materialism in relation to reality. The two theoretical attitudes of New Materialism have in common the separation of matter from Modern Anthropocentrism and a view of matter’s own existential qualities. However, they disagree over how matter relates to reality in the here and now, and what the meaning of events is. This debate over “how does matter work?” strongly suggests that the ontology of New Materialism is ultimately tied to its political interpret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ain paradigms of New Materialism from two directions: Fragmentation and Connection, in an attempt to reveal the political dimension of New

      • KCI등재후보

        물질주의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김문정 단국대학교 미래산업연구소 2020 산업연구 Vol.44 No.1

        According to Korea Consumer Agency, adults in Korea on average own nine luxury goods and buy about two new luxury goods each year. The perception of “materialism,” which regards possession of money and goods as the best value, is spreading throughout society. Materialism has only been presented as a concept opposite to pro-social behavior such as altruism and sharing, but not enough research has been done on how it actually affects pro-social behavior such as intention to donate. Thus,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materialism on donation intention and verified whether self-esteem moderates this relationship. This is because people with lower self-esteem can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to identify the need for their own existence.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higher the materialism, the lower the degree of donation intention, but the influence is not significan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self-esteem, the greater the degree of donation intent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materialism and self-esteem h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onation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tendency of materialism, the greater the degree of donation, and in the case of high self-esteem, the higher and lower the tendency of materialism does not show much difference. 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은 평균적으로 9개의 수입 명품을 소유하고 있으며매년 2개 정도의 명품을 새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전이나 상품과 같은 재화의 소유를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물질주의(materialism)’ 인식이 사회 전반에 팽배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 동안 물질주의는 이타주의나 공유와 같은 친사회적 행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만 제시되어 왔을 뿐 기부의도와 같은 친사회적 행동에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물질주의가 기부의도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자존감이 이러한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자존감이 위축되거나 낮은 사람들은 자기 존재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더 활발히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물질주의가 높을수록 기부의도가 낮아질 것이라는 가설의 방향성은 일치하였으나, 그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존감이 낮을수록 기부의도는 커지는것으로 확인되었고, 물질주의와 자존감의 상호작용은 기부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즉 자존감이 낮고, 물질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기부의도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이 높은 경우에는 물질주의 성향의 높고 낮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