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사인 지정 사유의 차이와 시장의 차별적 반응

        이세용 한국세무학회 2009 세무와 회계저널 Vol.10 No.2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an exceptional policy that allows the government to intervene in the free audit market by designating auditors with its own decision.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researchers have used two streams of research methods;discretionary accruals by and market response to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Research on discretionary accruals show that discretionary accruals have changed differently with the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However, market response research has not yet examined whether market responds differentially with the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t market responses to the auditor designated firms according to the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Especially, this paper considers two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the separation of ownership and management and the high debt rati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rket responds positively to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when the designation is due to the separation of ownership and management. However, market responds negatively to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when the designation is due to the high debt ratio. Second, ERC, estimated from return-earnings model, decreases to the year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or three years, but increases for three years after the year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n brief, the results implies that market responds differentially, in the very short window, to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with the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but that market responds positively, for long window, to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rrespective of the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감사인 지정제도(mandatory auditor designation)는 감사인 자유수임제에 대한 예외적인 경우로서 규제당국이 자율적인 감사시장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특수한 경우이다. 이러한 감사인 지정제도의 타당성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감사인 지정기업의 재량적발생액 변화나 감사인 지정에 대한 시장반응을 이용하여 감사인 지정제도의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그런데 재량적발생액을 이용한 선행연구는 감사인 지정 사유의 차이에 따르는 효과를 분석하고 있지만 감사인 지정에 대한 시장반응 연구는 감사인 지정 사유의 차이에 따라 시장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구분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유/경영미분리 사유와 부채비율과다 사유로 감사인이 지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감사인 지정 사유에 따르는 시장반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1994년부터 2002년까지 각 년도에 최초로 감사인 지정을 받은 기업 140개 기업-년과 그 대응기업 140개 기업-년을 표본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감사인 지정일을 전후한 일정 기간 동안 소유/경영미분리 감사인 지정기업의 누적초과수익률은 유의적인 양(+)의 값으로, 부채비율과다 감사인 지정기업의 누적초과수익률은 유의적인 음(-)의 값으로 나타나 감사인 지정 사유에 따라 시장의 반응이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사인의 최초 지정년도 이전 3년부터 이후 3년까지 각 연도별로 수익률-이익 모형을 이용하여 이익반응계수를 구한 결과, 그 이익반응계수의 추세는 감사인 지정년도까지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장기적으로는 감사인 지정 사유와 관계없이 시장은 감사인 지정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감사인 지정에 대한 시장반응

        이세용 ( Se Yong Lee ),정형록 ( Hyung Rok Jung ),노밝은 ( Bahl Geun Roh ) 한국회계학회 2009 회계학연구 Vol.34 No.1

        감사인 지정제도는 자율적인 감사시장에 규제기관이 개입하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제도로서 우리나라 선행연구들은 주로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여 감사인 지정제도의 효과를 분석해 왔다. 그러나 재량적 발생액은 기본적으로 측정 오차의 문제와 회계정보의 이용자 입장에서 감사인 지정제도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더하여 감사인 지정에 대한 시장반응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02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제조업 중에서 증권선물위원회에서 감사인 지정을 최초로 받은 179개 기업을 표본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감사인 지정일을 기준으로 전후 일정기간의 누적초과주식수익률은 유의적인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사인 지정기업과 유사한 기업특성을 갖는 대응 표본을 구성하여 누적초과주식수익률을 비교한 경우에도 감사인 지정기업의 누적초과주가수익률이 대응기업의 누적초과주식수익률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수익률-이익 모형을 이용하여 감사인 지정에 대한 시장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대응기업의 이익반응계수는 특정한 추세를 보이지 않지만, 감사인 지정기업의 이익반응계수는 감사인 지정 전의 기간에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감사인 지정년도를 지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에도 시장은 감사인 지정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term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refers to a exceptional regulation, in Korea, through which a regulation authority, SFC(Securities & Futures Commission), intervenes in the audit market, by designating auditors mandatorily to certain firms, so that the firms can provide reliable accounting information to market participants. For example, auditors have been assigned mandatorily to the firms with higher disparity between ownership and management, high level of debt ratio, and excess of loans, etc. However, since audit committee was introduced to monitor audit process in 1999,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by SFC is not applied to firms whose audit committee designates auditors to the firm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SFC can designates auditors mandatorily to firms again unless the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have not been resolved for three years after the firs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Thus, SFC is believed to expect that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could be increased with the regulation of mandatory accounting designation, which implies tha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can be a way to protect accounting information from being decreased driven by FAES(Free Audit Engagement System). Therefore, by checking whether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has made substantially effective, this paper provides both market participants and a regulation authority with important implications as to the validity of SFC`s intervention in free audit market, with regard to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independence of auditors. Prior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by analyzing the change in discretionary accruals, and showed that auditors are able to keep their independence from firms and discretionary accruals has decreased after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Park 1996; Kwon et al .2004; Ahn et al. 2004; Park et al. 2005). However, there are fundamental limitations in their conclusions that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has been improved, if the conclusion has been extracted from analyzing decreases in discretionary accruals. This is because discretionary accruals have two problematic properties. The first is that we cannot always treat discretionary accruals as opportunistic, considering its positive role of signalling managers` private information to the market(Subramanyam, 1996). The second is that discretionary accruals are far from measurement error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atic properties of discretionary accruals, discretionary accruals, themselves, do not show directly how the information users react to the regulation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financial reporting is to provide market participants with reliable information, the effectivenes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should be verified by checking whether the market investors perceive the improvement in reliability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by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Therefore, unlike the prior studies, our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using market responses to it. According to prior studies in Korea, the independence of mandatorily designated auditors are expected to be increased. From this point, we expect that the increased independence will make earnings quality higher for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irms, thereby leading to positive market responses to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To do it, we analyze cumulated abnormal returns (hereafter, CARs) around the day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the purpose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by SFC is sup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not only in the short window but also in the long window. So, we examine the long-term effect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n addition. To do it, we analyze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hereafter, ERCs) from the returns-earnings model. For the period from 1994 through 2002, we obtain 179 firm-years where auditors are firstly and mandatorily designated by SF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arket response reveals that significantly positive CARs are observed during a certain days around the day when auditors are firstly and mandatorily designated. For the robustness of our analysis, we collect matching samples whose firm-characteristics is similar to those of the designated firms. Naturally, the auditors of matching firms are not designated auditors. Comparing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irms with the matching firms, we observe that CARs of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irms are higher than CARs of the matching firms. Second, for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irms, ERCs steadily increase after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year, while ERCs continuously decrease before the designation year. However, we could not find any noticeable trends in ERCs for the matching firms. This discrepancy implies that the market also positively responses to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even for a long-term period. Therefore, our findings reinforce the results of prior studies by showing positive effects of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However, because our paper focuses only on the firms whose auditors are firstly and mandatorily designated by SFC, we cannot trace the firms that are designated again after the first designation yea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vious literature, discretionary accruals has chang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n our paper, we do no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l market responses to the differen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causes. Both the market responses to the firms with repeatedly designated auditors and the differential responses to the differential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remain topic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감사인지정제도와 지정사유별 기업의 전략적 회계선택

        우혜진 ( Wu Hye-jin ),박종국 ( Park Jong-kook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1 세무회계연구 Vol.- No.67

        [연구목적] 감사인지정제도는 감사인의 독립성 확보를 통해 회계투명성을 증가시키고 회계정보이용자를 보호하고자 1990년부터 시행된 제도이다. 그러나 외감법인 중 극히 일부만을 대상으로 최대 3년 이내로 시행되고 있는 감사인지정제도가 회계품질을 높이기 위한 사전적 규제장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지는 꾸준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지정 사유가 뚜렷이 대비되는 상장예정을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기업과 감리지적의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표본을 대상으로, 감사인지정 중 기간의 회계품질이 감사인지정 종료 이후에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감사인지정 종료 후 자유수임으로 감사인 지정방법이 변경되는 첫 해에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지의 여부에 따른 회계품질의 변화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6년~2016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계품질의 변화는 수정된 Jones모형(Dechow et al., 1995)을 사용하여 재량적 발생으로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실증분석결과 첫째, 상장예정을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기업의 경우 감사인지정 종료 후 2번째 연도와 3번째 연도에서 재량발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지정 기간의 지정 감사인은 공모 주식의 최초 발행가를 높이기 위해 이익을 상향 조정하고자 하는 경영자의 유인을 억제하지 못한 반면, 감사인 지정 종료 이후의 자유수임 감사인은 높아진 감사위험으로 인해 보다 보수적인 감사를 할 유인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상장예정을 사유로 감사인 지정을 받은 표본을 대상으로 감사인지정 기간의 지정감사인을 감사인지정 종료 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지의 여부에 따른 회계품질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할 경우 감사인지정 마지막 연도와 지정 종료 이후 기간의 재량발생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지 않은 경우는 감사인지정 마지막 연도보다 감사인지정 종료 후 2번째와 3번째 연도에 재량발생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 것보다 새로운 자유수임 감사인의 독립성이 더 높은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셋째, 감리지적을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표본에서는 감사인 지정 마지막 연도와 지정 종료 이후 기간의 재량발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리조치 기업 자체에 내재된 높은 감사위험으로 인해 회계품질을 계속 유지하려는 경영자와 감사인 간의 유인이 일치한 결과로 해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감리지적 표본의 계속감사인 선임여부에 따른 회계품질의 변화에서는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감사인지정 마지막 연도와 지정 종료 이후 기간의 재량발생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실증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감사인지정제도가 사전적 규제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감사인 지정사유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감사인지정제도에 관한 법제도나 제반환경에 대한 보완책을 감사인 지정사유별로 구체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최근 도입 예정인 주기적 감사인지정제도 역시 감사인지정 사유에 따라 경영자 및 감사인의 유인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정책이 입안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was implemented to ens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auditors. After the existing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was considered to hurt each auditor’s independence, a new system was created in 1990 to increas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to protect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However, only very few external auditing firms us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or a maximum of only three years. Therefore,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ystem is truly useful as a preliminary regulation device that increases accounting quality. This research observed companies that received auditor designation as a result of becoming a listed corporation (IPO) compared to those that received auditor designation due to point out of Supervision. Using these samples, the research will compare how the accounting quality changed during and after auditor designation. Furthermore, whether or not the designated auditors will be brought back as consecutive auditors during the first year of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following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the change in accounting quality that follows. [Methodolog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from 2006 to 2016. Accounting quality is determined by the discretionary accruals measured by the Jones Model (Dechow et al., 1995), and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ndings] First, for corporations that received a mandatory auditor due to IPO saw a decrease in discretionary accruals between 2nd and 3rd year after auditor designation ended. This is caused by the designated auditor not being able to stop the manager raising the issue price of stocks in a public offering to increase profits, and the auditor by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following the auditor from auditor designation carrying out a conservative audit due to the increased audit risks from the said action by the managers. Second, the difference in accounting quality of when the designated auditors are brought back as consecutive auditors during the first year of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following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cases where they were not were analysed.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amount of discretionary accruals remained unchanged after the auditor designation ended. On the contrary, the latter showed a higher discretionary accrual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year following end of auditor designation. This can be extrapolated to show that auditor by free audit engagement has a higher independence than existing designated auditors that are brought back as consecutive auditors. Third, cases in which auditor designation was received as a result of point out of Supervision was analysed. The discretionary accrual had no difference after the system ended. This is due to the agreement between the manager and auditors who are wishing to maintain the accounting quality due to increased audit risks. Lastly, discretionary accruals remained unchanged when designated auditors became consecutive auditors in point out of Supervision samples. [Implications] In conclusion, whether or not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a functioning regulation device depends on the reason of auditor designation. Therefore, legal chang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or revisions to general environment must be specified per each reason of auditor designation. Moreover, periodic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that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 the near future, must be implemented with the understanding that consequences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reason for auditor designation.

      • KCI등재

        지정기업 실증분석을 통한 감사인 지정제도 개선방안: IFRS 도입 환경을 중심으로

        황인태,강선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회계정보연구 Vol.32 No.2

        In order to operate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more than two decades since its introduction in 1990, more effectively and enhance efficiency in its implementation, institutional improvement reflecting the recent accounting environment is requir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verall legal and supervisory problems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derive measures to improve it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companies for which the auditor is designated.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state of the 1,579 companies which auditor was designated from 2000 to 2009 was analyzed from different dimensions. The methods to improve the reasons for auditor designation propos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ditor designation for owner-manager companie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100 billion won in assets) is reasonable given that the auditor appointment committee is not fulfilling its role. Second, considering the number of back door listing companies among 161 companies delisted from 2000 was as large as 16 (9.94%), it is also reasonable that the auditors of back door listing companies should be designated. Past regulation for designating auditors for companies intending to consolidate with listed companies may be logical grounds for such an improvement to the system. Third, a large number of listed companies are delisted after a short time. This triggers enormous social costs and increases distrust toward the capital market. In the same logic as designating auditors for companies intending to be listed, designating auditors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after listing a company is necessary for accounting transparency. For the institutional enhancement in the method of designating auditors, designated companies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asons for designating audit risks as similar and assigned to accounting firms serially in accordance with auditor designation scores. This study also proposes the need to create an institution not to nominate an existing designated auditor in a free acceptance position to an appointment after the designation period lapses. Lastly, enacting and operating designated auditor fees standards according to fair procedures and increasing designated companies’ negotiating edge may be considered as a method of improvement related to designated auditor fees. However, in order to make a reasonable standard for designated auditor fees, a collection of opinions from a broader set of stakeholders, such as companies and auditors, is required. In particular, when there is no reasonable auditing fees standard, contracting parties may be dissatisfied, and a more cautious approach may be necessary. As a lot of existing studies show,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has contributed to improving accounting transparency in Korea without large social costs. Therefore, the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develop and improve the current auditor designation system in the midst of a changing accounting environment. 1990년 도입된 감사인지정제도의 효과적인 운영과 제도실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근의 회계환경을 반영한 제도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감사인 지정제도의 제반 법률·감독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정방법, 지정감사인 유임·변경, 지정감사보수 등을 포함한 감사인 지정제도 전반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9년까지 감사인지정 1,579개 기업을 대상으로 연도별, 지정사유별, 회계법인별 등 다각적으로 지정기업에 대한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감사인 지정사유에 관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감사인선임위원회가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현실을 인정하여 일정 규모이상(현재 자산 1천억) 소유경영미분리 기업은 감사인을 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둘째, 2000년부터 상장폐지된 전체 기업 161개 가운데 우회상장 기업이 16개(9.94%)나 되는 점을 고려할 때 우회상장기업을 감사인 지정대상으로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과거 상장기업과 합병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해 감사인을 지정하였던 규정이 제도개선의 논리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셋째, 상당수 기업이 상장 후 단기간 내에 상장폐지되고 있다. 이는 커다란 사회적 비용유발과 자본시장에 대한 불신을 배가시킨다. 따라서 상장예정법인에 대해 지정감사인을 두는 것과 동일한 논리로 상장 후에도 일정기간동안 감사인을 지정하여 회계투명성을 담보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한편 감사인 지정방법의 제도개선을 위해서는 감사위험이 유사한 지정사유별로 지정기업을 분류한 후 그룹별 감사인지정점수에 따라 지정기업을 각 회계법인에 순차적으로 배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감사위험이 유사한 감리조치, 관리종목, 감사인미선임 등을 기업공개, 회사요청 지정사유와 구분하여 각 그룹별로 지정기업을 회계법인에 순차적으로 배정하는 안을 제안한다. 이 밖에 본 연구는 지정감사인은 지정기간종료 후 해당기업이 자유수임계약시 종전의 지정감사인을 선임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도마련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지정감사인이 자유수임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지정감사인의 독립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지정감사보수 개선방안으로 공정한 절차에 따라 지정감사보수기준을 제정하여 운영할 것과 지정회사의 협상력을 제고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합리적인 지정감사보수 기준 마련은 기업이나 감사인 등 보다 폭넓은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수렴이 전제되어야 한다. 지정회사의 업종별 특성 및 감사위험 등을 반영하여 지정감사보수 기준을 제정해야 하는 현실적 어려움과 함께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변화된 감사환경 하에서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의 상당한 변동이 예측되기 때문에 기준설정의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감사법인 강제교체제도 도입을 둘러싼 논란: 현황파악 및 선행연구의 발견에 대한 문헌검토와 정책제언

        최아름 ( Ahrum Choi ),선우혜정 ( Catherine Heyjung Sonu ),최종학 ( Jong Hag Choi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저널 Vol.23 No.6

        This study reviews prior literature to assess what we currently know about the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policy and to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mplementing the policy. The effect of implementing the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policy is a topical issue since regulators are considering the revival of this policy, which was in effect from 2003 to 2011 in Korea. Our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adoption of similar policy in 69 different countries reveals that only 28 out of the 69 countries adopted the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policies and a much greater number of countries have instead mandated the rotation of audit partner, rather than audit firm. Summarizing the research on the effect of long auditor tenure, we find tha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auditor tenure and audit quality or some evidence showing that longer tenure leads to lower audit quality. However, there is also a flurry of evidence that contradicts this view. Specifically, the evidence suggests that mandating audit firm rotation may result in limiting auditor’s opportunities in accumulating knowledge about a specific client, therefore, leading to lower audit quality and even impaired auditor independence. Further, a closer look at prior studies reveals that, overall, longer auditor tenure leads to improved audit quality, measured by various proxies. We also find that the results using auditor independence in appearance as a proxy for audit quality is inconclusive. Taken together, it is plausible that implementing a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which leads to shorter auditor tenure in general, comes at the cost of deteriorating audit quality. In contrast, prior studies using Korean setting suggest tha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audit quality. Our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academicians.

      • KCI등재

        재무기준 요건에 의한 외부감사인 지정제도 도입이 잠재적 지정대상회사의 이익조정 및 감사인의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이홍섭(Lee, Hongsub),박재완(Park, Jaewan),정갑수(Jeong, Kapsoo) 韓國公認會計士會 2016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8 No.1

        우리나라는 낮은 회계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2014년도 하반기에 새롭게 재무기준 요건에 의한 외부감사인 지정제도를 도입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 제도가 적용되기 전에 잠재적 외부감사인 지정 대상회사 경영자의 이익조정과 그 회사 외부감사인의 감사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연구는 과거 2개년 이내에 한번 이상 부채비율 200% 초과이면서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의 경험이 있는 회사를 분석표본인 잠재적 지정대상회사로 선정하고 통제표본으로 유사 비교가능회사를 선정하여 두 집단 간 재량적 발생액에 기초한 이익조정과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 그리고 감사시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잠재적 지정대상회사의 경우 재량적 발생액에 기초한 이익조정에서는 그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에서는 유의한 양(+)의 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는 잠재적 지정대상회사가 이 제도 하에서 외부감사인이 지정될 경우 지정외부감사인의 엄격한 회계감사와 더 높은 감사보수 그리고 부실회사라는 인식에 의한 자본조달비용의 증가가능성 등 정치적 비용의 부담을 회피하기 위하여 재량적 발생액에 기초한 이익조정 보다는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 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잠재적 지정대상회사의 외부감사인의 경우도 감사시간에서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는바, 높아진 감사위험을 낮추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은 감사시간을 투입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새롭게 도입된 재무기준 요건에 의한 외부감사인 지정제도의 사전적 효과를 파악한 연구로 감독당국이 이 제도의 도입효과를 파악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이 제도와 이익조정 및 감사시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새로운제도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한 사후적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새로운 제도 하에서 외부감사인 지정회피 목적의 이익조정 동기에 대한 일련의 기존 연구를 확장한다. In order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in Korea,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was partially amended in the second half of 2014. The amendment involves adoption of a new mandatory external auditor designation system based on financial criteria(MADSFC) such as debt-to-equity ratio and interest coverage ratio, which is in effect from 2015 fiscal year. According to this amendment, any public company whose debt-to-equity ratio is more than 200%, more than 1.5 times of its respective industry average ratio, and whose interest coverage ratio is less than 1, is required to be audited by the external auditors designat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of Korea for the following fiscal year.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conomic effects of the new MADSFC on managements’ financial reporting decision and external auditor’s decision in the year prior to its enforc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addresses two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empirical question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ntities subject to potential external auditor designation(ESPD) engage in earnings management in order to avoid the auditor designation by the new MADSFC.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examine whether the external auditors of perform their audits on a stricter basis in order to reduce the higher audit risk due to higher likelihood of earnings management. This study includes 79 ESPD among the publicly traded companies in the Korean stock exchange and 79 control firms matched with ESPD by considering industries and asset sizes. To examin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uses two measures (DA: Discretionary accruals-based earnings management and RM: Real Activitybased earnings management) to proxy for earnings management. ??DA is measured by using two models: modified Jones model developed by Dechow et al.(1995) and modified Jones model suggested by Kothari et al.(2005) taking ROA into consideration. RM is measured by using the model used by Cohen and Zarowin(2010). Using both ??DA and RM??,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SPDs are associated with higher DA(hypothesis 1-1) and RM(hypothesis 1-2). To addres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uses audit hours stated in the annual reports disclosed by the publicly traded companies in Korea. Based on the regression model used by Lee et al.(2010),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SPD is associated with more external audit hours.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finds that ESPD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DA. In other words, ESPD does not manage earnings using DA??more than control firms do. Second, this study finds that ESPD??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RM. ??ESPD does manage earnings using real activities such as sales and operating expenses more than control firms do. This paper also finds that ESPD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re external audit hours. Earnings quality can be influenced by interaction among management, external auditors and regulatory bodies such as FSS of Korea. In 2014 when adoption of the MADSFC was disclosed, FSS announced that it would increse its monitoring activities on intentionally lowering the debt-to-equity ratio or increasing interest coverage ratio at 2014 fiscal year end and would examine external auditors more strictly and impose heavier penalties against audit failure. Considering FSS’s announcement, may prefer earnings management using real activities to earnings management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which is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such as Graham et al.(2005) and Zang(2012). Earnings management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can be detected and be asked to be adjusted by external auditors facing more severe (or heavier) penalties in the case of audit failure. From the perspective of external auditors of??ESPD, they would input more audit hours in auditing ESPD which has incentives to manage earnings to avoid political costs

      • KCI등재

        감사인 지정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최성호(Sung-Ho Choi),박경란(Kyoung-Ran Park) 한국경영학회 2019 Korea Business Review Vol.23 No.2

        최근 기업의 회계 투명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외감법이 개정되었다. 특히 외감법 개정을 통해 감사인 지정이 크게 확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사인 지정제도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감사인 지정제에 대한 몇 가지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첫째, 과거 6년 이내에 금융감독원의 감리를 받은 결과, 회계처리기준 위반이 없는 기업은 주기적 지정에서 제외하는 예외사항을 두었다. 하지만 테마감리는 해당 회계이슈에 대해서만 감리를 할 뿐 전체 재무제표에 대한 감리를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테마감리 대상 기업은 주기적 지정에 포함시키는 것이 제도 시행목적에 더 부합하다. 둘째, 코넥스시장의 상장예정기업과 금융감독원이 상시감독하고 있는 금융기관은 감사인 지정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하지만 외부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상장예정기업은 감사인을 지정하고 있어 코넥스시장의 상장예정기업만 감사인 직권지정에서 제외할 이유가 없다. 또한 금융감독원은 금융기관에 대해서 영업 건전성을 감독할 뿐, 기업의 전반적인 회계처리를 감독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들 사유에 대한 감사인 직권지정 예외 조항을 제외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감사인 등록제 도입으로 인해 중․소형 회계법인은 등록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조직변경 및 합병 등의 변화가 예상된다. 하지만 회계법인의 대형화가 감사품질을 제고시킬지는 미지수이다. 따라서 회계법인 품질관리 수준을 고려하여 감사인 등록제를 단계별로 시행하는 것도 좋은 방안일 것이다. 또한 중·대형 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이 신 외감법에 빠져 있다. 대우조선해양, KT 등 대규모 분식회계 사건의 외부감사를 대형 회계법인이 수행한 만큼 대형 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Recently, congress amended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in firms. In particular,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have been greatly expanded through this revision. Therefore, this study systematically summarized and discussed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regulation. First as a result of the audit review of the FSS within the past six years, firms with no accounting standard violations are excluded from the periodic designation. However, the theme audit review of FFS does not audit review on financial statements but an audit review on specific accounting issues. Therefore, the theme audit review firms should be included in the periodic designation. Second, to promote the KONEX, pre-IPO firms were excluded from designation of auditor. Also, since financial institutions are supervised by the FSS, they were excluded from designation of auditor. However, to protect outside investors, firms that are pre-IPO on the KOSPI and KOSDAQ are designated auditor. In addition, the FSS oversees the soundness of operations for financial institutions, but FSS does not oversee the accounting for financial institu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exclude the auditor designation exception for these reasons. Third,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auditor registration system, many small accounting firms are expected to make changes such as organizational changes and mergers to meet the registration requirements. However, it is not known whether audit quality will improve in this environment. Therefore, considering the quality control level of the accounting firm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auditor registration system step by step. Also, the policy to improve audit quality of medium and large accounting firms is missing from amendment of the External Auditing Law.

      • KCI우수등재

        감사인선임제도와 회계법인형태가 감사인의 판단합의성에 미치는 영향

        배수진,심태섭,최유진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학연구 Vol.45 No.1

        The lack of clear practical guidance in IFRS may result in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accounting standards among preparers, auditors and regulators for the same accounting situation. This study analyzes auditors' consensus under IFRS and whether auditors' consensus is influenced by audit engagement system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system (MADS) vs. voluntary auditor selection system (VASS)) and accounting firm type (Big 4 vs. non-Big 4). To do so, this study adopts a hypothetical lease classification case to conduct an experiment with 302 Korean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Accounting standards for lease classification changed from rules-based to principles-based under IFRS implement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uditors' consensus was found depending on audit engagement system and accounting firm type. By contrast, a previous study using a hypothetical case on the recognition of impairment losses on intangible asse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ditors’ consensus depending on audit engagement system and accounting firm type. These results may reflect the clear practical guidance in lease accounting standards (K-GAAP) prior to IFRS and the fact that K-GAAP still apply to non-listed compan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audit quality under IFRS. For example, an expert committee for interpreting IFRS could be assembled, or a public reply system for questions on IFRS could be implemented. 원칙중심인 IFRS는 명확한 적용지침이 많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회계상황에 대해회계담당자, 감사인 및 감독당국 등 관련 당사자가 다양하게 해석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원칙중심의 IFRS 하에서 감사인들의 판단합의성이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우리나라 회계당국이 감사품질 제고를 위해 도입한 감사인선임제도와 회계법인의 대형화·조직화가 감사인의 판단합의성을 높일 수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회계감사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공인회계사를 대상으로 현장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참여자는 가상의 감사상황에서 리스분류의사결정(운용리스 vs. 금융리스)을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리스분류상황에서 감사인의 판단합의성을 찾기 어려웠으며, 감사인선임제도(지정제 vs. 자유수임제)와 회계법인형태(Big 4 vs. non-Big 4)에따른 감사인의 판단합의성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반면 동일한 방법으로 무형자산 손상차손인식에 대한 가상상황을 이용한 선행연구에서는 지정제와 Big 4 회계법인에 속한 감사인의 판단합의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와 같이 회계상황별로 차이가 나타난 것은 리스분류에 대한 회계기준의 특성 때문으로 추정된다. 즉 IFRS 도입 이전에 리스분류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있었고, 현재 이와 동일한 일반기업회계기준의 실무지침이 있어 감사인이 비상장법인 감사 시 일반기업회계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정제나 회계법인 대형화·조직화가 감사인의 판단합의성을 증가시키는 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원칙중심 기준 하에서는 통일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회계상황에 대해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감사인이 일관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기업의 예측가능성 제고뿐 아니라 회계기준에 대한 감독기관과의 견해 차이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기준해석위원회나 질의회신제도를 활성화하는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재무기준 요건에 의한 외부감사인 지정기업의이익조정행태에 관한 연구

        이계원,한경희 한국기업경영학회 2018 기업경영연구 Vol.25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behavior of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due to new mandatory external auditor designation system based on financial criteria implemented from 2015. The analysis first showed that the adjustment based on discretionary accruals had a statistically unimportant note(-). This suggests that managers are not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to adjust profits. Second, the adjustment of profits by real activity showed that the auditor-designated compan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 relation to the companies that did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ernal auditors of companies whose auditors meet the financial standards requirements will likely increase the audit risk of the company and will likely conduct more rigorous audits to reduce the risk of auditing, so that managers are more likely to adjust their profits by real activity rather than earnings management based on discretionary accruals that are against accounting standards. This means that as a result of the time constraints that the accounting policy could not be established in advance in relation to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and the expression of the willingness of the supervisory body to carry out a strong theme supervision after the death, the managers chose to adjust profits through real activities rather than discretionary adjustments related to accounting standar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have been supplemented by showing the results of the political motivation of earnings management that the auditor-designated company prefers earnings management by real activity to avoid the risk of auditing in earnings management.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through post-analysis using actual data, including Lee Hong-sub(2016), who grasped the preliminary effect of the designation system, which is an external auditor based on the newly introduced financial standards requirements, In addition to the political cost hypothesis, it is interpreted that the preliminary measures of the supervisory authorities are valid,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establish future policy direction along with the effectiveness of this system. 본 연구는 2015년부터 시행된 재무기준 요건에 의한 외부감사인 지정으로 인한 이익조정행위의 행태에 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재량적 발생액에 기초한 이익조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 는 경영자들이 재량적 발생액에 의한 이익조정을 이용하고 있지 않음을 말해준다. 둘째, 실물활동에 의한 이익조정은 감사인 지정기업이 그렇지 않는 기업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무기준 요건을 충족하여 감사인이 지정된 기업의 외부감사인은 해당 기업의 감사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감사위험을 줄이기 위해 더 엄격하게 회계감사를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이므로, 회계기준에 저촉을 받는 재량적 발생액에 기초한 이익조정 보다는 실물활동에 의한 이익조정을 경영자들이 선호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제도가 시행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사전적으로 회계정책을 수립할 수 없었다는 시간적인 제약과 감독기관이 사후에 강력한 테마감리를 실시하겠다는 적극적인 의지의 표현에 따른 결과로서 경영자들이 회계기준과 관련되는 재량적 발생액에 기초한 이익조정보다는 가급적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을 선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감사인을 지정받은 기업이 이익조정에 있어서 감사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실물활동에 의한 이익조정을 더 선호한다는 이익조정의 정치적 동기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어 선행연구 결과를 보완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결과는 새롭게 도입된 재무 요건에 의한 감사인 지정의 잠재적 기업에 대한 사전적 효과를 파악한 이홍섭 등(2016)의 연구 결과를 실제 자료를 활용한 사후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정치적 비용가설과 더불어 감독당국의 사전 조치가 유효했다는 것으로 해석되는 바, 이 제도의 실효성과 더불어 향후 정책방향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지정감사인 선임이 부채시장에 미치는 정보효과

        차승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2 No.4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ffect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n debt capital market. Specifically I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cost of debt capital in Korea. In an ex-ante sense, the independence of designated auditor increases audit quality, enhances the financial statements reliability, reduces the information asymmetry, and reduces the cost of debt capital.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st of debt capital of the firms designated by mandatory auditor may increase since the high risky firms are designated by mandatory auditors in many cases, so the news that mandatory auditor is designated can be a bad signaling in debt market. By using 41,032 Korean firm/year observations, I find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st of debt capital. This result shows tha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more highly recognized as a bad signal rather than a good signal reduc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borrowing firms and investors in debt capital marke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a exceptional regulation which exists only in several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empirical evidence of this study may shed sone lights on our understanding the effect and the necessity of the regulation. 본 연구에서는 지정감사인 선임으로 인해 높아진 감사품질이 부채시장에서 인지되는지, 혹은 지정감사인이 선임되는 기업이 가지는 본질적 내재위험의 부정적 정보가 부채시장에서 인지되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만약 지정감사인의 독립성이 유지되어 감사품질이 높아진다면, 신뢰성 있는 재무제표를 생산해 낼 것이고, 이는 차입자인 기업과 대출자인 투자자 사이의 정보비대칭을 줄여 기업의 부채조달비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해 볼 수 있다. 반면에 지정감사인이 선임되는 사유 중 대부분이 이유 없는 감사인 교체, 감리지적기업 등으로 기업의 위험이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이는 기업들이라는 점에서, 지정감사인 선임이라는 정보 자체가 부채시장에 부정적인 정보효과를 가져올 가능성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 지정이 가지는 이상의 두 가지 효과가 부채시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지정감사인 선임여부와 평균부채비용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정감사인의 선임여부와 기업의 평균부채비용 간에는 유의한 양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정감사인 선임으로 대출자와 투자자간의 정보비대칭이 감소하는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지정감사인 선임이 가지는 부정적 정보자체가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정감사인 선임은 부채시장에서 부정적 정보로 받아들여져 대출계약시에 대출자가 추가적인 위험프리미엄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지정감사인 제도는 한국을 포함한 몇몇 나라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감사제도이다. 그러므로 동 제도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 본 연구가 정책입안자나 투자자들에게 하나의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