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형 복지 구축에 따른 사회복지관의 자주적 기능 강화 방안

        김광병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Local welfare refers to social welfare tasks that reflect the traits of and are unique to a reg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ays to strengthen the independent functions of social welfare centers as a means of promoting local welfare. To that en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of recognizing local welfare and the roles that social welfare centers perform. Results showed that, since social welfare centers were public by nature, all of the centers in the country were standardized and failed to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independent functions of social welfare centers were guaranteed, being the only legal entity that supports local welfare based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dependent functions of social welfare centers, they should enhance subsidies due to their public nature, discretion based on their emergency measures, and creativity so as to demonstrate local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current social welfare centers should be changed to local welfare-oriented public social welfare centers, be supported by local governments regarding budget and additional staffing, and serve as integrated case management centers. 지역형 복지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해당 지역만이 가지는 사회복지사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지역형 복지 구축의 한 형태로서 사회복지관의 자주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지역형 복지 구축의 당위성을 살펴보고 사회복지관이 수행하고 있는 기능을 진단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관은 공공성을 지녔지만 전국의 사회복지관이 동형화 되어 지역적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라 지역복지 기능을 수행하는 유일한 법적 전달체계라는 점에서 자주적 기능이 보장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의 자주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공공성 강화라는 측면에서 보완성을 높이고, 긴급성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재량성을 강화하며, 지역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창의성을 갖출 것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관이 지역형 공공사회복지관으로 전환,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지원과 추가인력 배치, 통합사례관리 센터로서 역할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 KCI등재

        자치복지 의미와 가능성 -전라북도 사회복지조례를 중심으로-

        김광병 사회복지법제학회 2019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0 No.2

        As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have been promoted in earnest, social welfare fields have also emerged in the form of regional welfare and autonomous welfa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and examined the meaning of community welfare, regional welfare, and autonomous welfare.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autonomous welfare was diagnosed based on the Social Welfare Ordinance of Jeollabuk-do. This study defined autonomous welfare as the local governments with their own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determine and provide social welfare levels through participation of residents. First of all, in order for autonomy welfare to be possib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dependent social welfar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the types of social welfare benefits that are provided need to be freely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in-kind benefits and services as well as cash benefits. in addition, the level of social welfare benefits to be provided should be set above the national minimum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or by setting a regional minimum. Next, in the view that autonomy welfare is not a single-shot but always exists and should be approached,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tentatively called 'Governance Ordinance on Autonomy Welfare Decision' for autonomy welfare applied only to the local governments and make the residents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obligatoryly. Finally, in order for the autonomy welfare to be realized, the decentralization of finance must be made and efforts to increase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s are mad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y should have autonomy legislative ability to be autonomy welfare. 지방자치, 지방분권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사회복지분야에서도 지역형복지, 자치복지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자치와 분권이 가지는 특성을 살펴보고 지역사회복지, 지역형복지, 자치복지가 무엇인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라북도 사회복지조례를 중심으로 자치복지의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본 연구는 자치복지를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주민참여를 통해서 사회복지의 수준을 결정하고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우선 자치복지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만의 특성을 반영한 자주적인 사회복지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제공되는 사회복지급여의 종류는 현금급여뿐만 아니라 현물급여, 서비스 등 지역의 특성과 대상자 특성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공되는 사회복지급여 수준은 종류에 따라 양과 질 모두에 있어서 국가가 제공하는 수준(national minimum) 이상으로 설정하거나 해당 지방자치단체만의 기준(regional minimum)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자치복지는 단발성이 아닌 항상적으로 존재하고 접근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해당 지방자치단체에만 적용되는 자치복지에 대해서는 가칭 ‘자치복지결정에 관한 협치 조례’를 제정하여 의무적으로 주민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자치복지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재정분권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도 동시에 이루어져한 한다. 뿐만 아니라 자치입법 능력을 갖춰 명실상부한 자치복지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계획수립의 방향과 전략 -인천시 A구를 중심으로

        유해숙 ( Hae Suk Yoo ) 한국민족연구원 2012 민족연구 Vol.0 No.51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community welfare plan. The stating point of the thesis is that there have been the weakness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welfare residual welfare consciousness in the existing welfare plan. Therefore this thesis basically aims at an institutional welfare based on power extension of local people and conscientization as a precondition of the plan. The vision and philosophy of this local welfare plan is identified as ``confident citizen and rich community which guarantee social rights and political rights for local citizens. The substantial base for the vision is as follows: citizen participatin and advancement of welfare consciousness, infrastructure building of local welfare system,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services. Yet, with regard to the present level of Korean welfare, the plan should consider the order of priority and detailed action plan. There are three plans in this thesis. The first plan is a universalist proposal characterized as an institutional welfare. It consists of better social rights for citizens, governance formation for citizen participation, expansion of civil education. On the contrary, the third is identified as a residual welfare system. The plan focuses on vulnerable stratification such as the older, the disable. The main actors in this plan is not citizens but welfare suppliers. The second is a middle type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the third. This thesis intend to go from the third to the first and the key point for the path is building of an institution titled as ``Center for social welfare support`` which makes active citizens with institutional consciousness and welfare policy for local community.

      • KCI등재후보

        사찰의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의 실태와 개발 방안

        조기룡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9 No.-

        The missionary activities is the basis for the existence of Buddhist order. And the basic unit of the missionary activities is each temple and an individual believer.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temples in a local community, Buddhist order can't do missionary activities because a temple and a believer are based on a local community. The present writer is focusing on Buddhist social welfare and Buddhist culture as the plan for participation of temples in a local community, because Buddhist order has continued the activity of social welfare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orea and Korean Buddhism have formed, preserved, and succeed Korean culture. Between 2006 year and 2010 year, Korean Buddhism puts up a good show in social welfare and local culture festival. The number of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crease 958 from 536, and in the year 2009 the local culture festivals that the Buddhist temples and organizations held are 426 cases. This numerical value proves that Buddhist order participates local communities throug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local culture festivals. But there are the reform measures that temples participate efficiently in local community throug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local culture festival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irstly the temples must increase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e regions except the metropolitan area and Youngnam(嶺南) area. Secondly the temples must take interest in the woman welfare and the homeless welfare. Thirdly the temples must come into operation in nursing and housework support for old man. Fourthly the temples must promote an social atmosphere to appreciate disabled person. In the field of local culture festivals, firstly each of temples must have contents in temple concert. Secondly the temples must participate in local culture festivals and develop the programs in which the contents for Buddhist culture are involved. Lastly the space of temple must is offered as the space of local culture. 포교는 불교교단 존립의 근간이다. 그런데 불교 포교의 기초 단위는 개별사찰과 신도 개개인이다. 그리고 사찰과 그 구성원인 신도들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지역사회에 참여하지 않고서는 포교를 할 수 없다. 사찰의 지역사회 참여 방안은 다양하나 본고에서는 사회복지와 문화행사에 초점을 두었다. 사찰은 불교의 한반도 전래 이후 지속적으로 사회복지 활동을 전개하여 왔으며, 또한 불교는 한국문화를 주체적으로 형성 ‧ 보존 ‧ 계승하여 왔기 때문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과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에서 발표한 2006년과 2010년의 사회복지시설 수 변동 현황을 살펴보면, 불교계는 2006년 536개에서 2010년 958개로 422개가 증가하였다. 반면 가톨릭은 동년 대비 1,127개에서 1,264개로 증가하여 137개의 증가에 그쳤다. 2006년 가톨릭이 불교에 하여 사회복지시설이 두 배 이상 많았던 것에 비하면 불교계 사회복지시설의 증가는 괄목할 만하다. 문화행사 분야를 살펴보면, 2010년 문화관광부에서 공식적으로 집계한 지방자치단체 주관의 문화축제는 813건이었다. 그런데 2009년 대한불교조계종 화부에서 불교계 신문에 보도된 불교계 주관 문화축제는 426건이었다. 물론 이 수치가 전국 문화축제 813건 중 불교 문화축제가 426건을 차지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사찰이 문화행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동참하기 위한 력을 반증하는 수치임에는 분명하다. 사회복지와 문화행사에 대한 분석결과들을 볼 때, 불교계가 사회복지와 문화행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참여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다. 하지만 사찰들이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와 문화행사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개선사항들이 몇 가지 있다.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첫째, 수도권과 영남권 이외 지역에서도 불교계 사회복지 시설을 증설하여야 한다. 둘째, 도심사찰에서는 여성복지와 부랑인 ‧ 노숙자복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노인복지를 위한 간병과 가사 지원복지 프로그램을 시행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인을 포용하고 이해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에 기여하여야 한다. 문화행사 분야에서는 첫째, 산사음악회의 사찰별 특성화를 기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축제에 적극 동참하고 불교문화콘텐츠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사찰공간을 지역문화공간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 KCI등재

        지방분권론과 지역사회복지의 전망 : 지방자치법과 사회복지법을 중심으로 By the acts of local government and social welfare

        윤찬영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3 사회복지정책 Vol.16 No.-

        우리나라에서 지방자치는 신자유주의적 경향과 함께 해온 측면이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정책의 측면에서 지방분권론은 사회복지에 대한 국가책임의지방화를 의미하며 복지책임에 대한 지방분담론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서비스법에서는 지방자치단체 및 단체장으 l역할과 책임에 대하여 임의규정형태로 재량권을 부여한 것이 일반적이어서 조건에 따라 지역사회복지가 향상될 수도 있고 침체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 이에 필요한 기준, 절차, 조건 등은 시행령이나 시행규칙에 위임되어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노력은 여전히 중앙정부의 통제하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지역사회복지가 증진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사회복지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고 독자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방분담의 원칙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방자치단체에 대해서는 지역균형발전의 차원에서 정부의 교부금을 인상하고 각종 시설 및 인력 확충에 특별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지방분권체제 속에서 사회복지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구현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The Decentralization in the sphere of social welfare implies that the responsibility of state for the welfare can be imputed to local government. And the chiefs of local governments have so much discretions in implementing social welfare services in law. Therefore, it can be only favorable but also unfavorable to community welfare. But every social welfare law impose authorities of controlling local government on central one against act of local autonomy. In fac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is dependant upon the willingness and competence of central government in spite of the idea of decentralization and local autonomy. Very recently, the revised law of social services passed in National Assembly. Local governments have to plan community social welfare through the consultation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ccording to the law. And also, every community resident have a right to request for socal welfare services to local government. It is a clue to community socal welfare in the age of decentralization. It still remain some tasks. First, central government has to be financially responsible for community welfare because of poor local governments. Secondly, all laws of socal welfare services must be revised and coordinated for the idea of community social welfare and decentralization.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의 중심축이 되는 기관단체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협의회와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김범수 ( Bum Soo Kim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0 공공정책연구 Vol.27 No.2

        본 글은 사회복지영역의 중심축이 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의 중심기관단체인 사회복지협의회(Council on Social Welfare)와 지역사회복지관(Community Welfare Center)의 발전과정 속에서 나타난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영역의 가장 중심축의 역할을 수행해온 기관은 사회복지협의 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000년대가 되면서 사회복지협의회는 커다란 혼란에 접어들게 된다. 바로 명칭도 유사한 지역사회복지협의체(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가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최근에는 광역시는 물론이고 일부 기초자치단체까지 지역복지재단의 건립이 증가하고 있다. 지역 내에 건립되고 있는 지역복지재단도 기존에 설립 운영되고 있는 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는 점에서 사회복지협의회가 앞으로 지역사회에서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예측된다. 또한 지역사회복지의 최일선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도 최근에는 많은 수의 노인종합복지관이나 장애인종합복지관이 건립 운영되면서 일부지역에서는 업무의 중복으로 고민하고 있다. 때문에 보건복지부에서는 2010년도에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 연구용역을 의뢰해 사회복지시설의 다기능화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사회복지협의회는 이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설치 운영과, 일부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에 지역복지재단의 설립이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지역 내에서 중복되는 당면과제와 업무의 문제점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지역사회복지관도 2010년도에 진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의 다기능화에 관한 연구와 모델사업이 앞으로 어떻게 제도화되느냐에 따라 지금까지 가까운 지역에 건립 운영되던 노인종합복지관과 장애인종합복지관의 통합적인 사업진행의 방향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 등에 관한 내용들을 논해 보았다.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issues and future of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are the central part of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has been playing the key role in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in Korea. However, in 2000s,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faced a great challenge because 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which is similar in name to Council on Social Welfare, appeared. In metropolitan areas and local smaller communities, in addition, Local Welfare Foundation increased in number recently. There are expected great difficulties for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to work in the community because the newly being established Local Welfare Foundation have the similarity in their role and function. There are duplicate issues facing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in recent years, which provide welfare service prior to any other organization, because so many new welfare centers for the senior and the handicapped have been established and have become competitors in providing welfare service. Therefore,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requested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to do a research project on multi-functionaliz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2010. At this time,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urgent issues and problems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faced while 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and many local welfare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in metropolitan areas and other local communities. In addition, this article trie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programs of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senior and the handicapped, which will be dependant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model program on multi-functionaliz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

        중앙정부의 지방자치단체 유사ㆍ중복 사회보장사업 정비조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재완(Lee, Jaewa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6

        본 연구는 중앙정부에 의한 지방자치단체 유사·중복 사회보장사업 정비 조치에 대해 중앙과 지방정부의 역할과 기능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지방자치 20년을 맞이하고 있는 현재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구체적으로 개입하는 것은 지역복지사업의 통제이며 지방자치의 훼손이다. 지방자치하에서 중앙·지방정부의 역할과 기능의 변화 그리고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유사·중복 사회보장사업 정비에 대해 법률적 측면과 정비사업 및 기준의 측면에서 지역복지 발전을 역행하는 논거를 제시하였다. 중앙정부의 지방정부 사회보장사업 유사·중복 사업에 대한 통·폐합조치는 헌법과 지방자치법, 사회보장기본법 그리고 사회보장급여법 등에서 명시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주민복지증진에 관한 내용과 충돌이 발생한다. 또한 지방정부 사회보장사업은 중앙정부 사업의 보충적 사업으로 지역현실에 기반하여 복지사각지대 해소와 틈새를 채우는 사업이다. 중앙정부에 의한 지방정부의 사회보장 유사·중복 사회보장정비는 주민의 복지니즈와 선택권 그리고 지역사회의 고유성과 개별성인 지역성을 존중하지 않은 조치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상호신뢰에 기초하여 복지정책의 융합을 모색해야 한다. 중앙정부는 지방자치의 발전과 지역복지의 활성화를 위해서 분권적 복지행정체계를 확충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This study was critically reviewed in terms of the roles and function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for local governments and multiple social welfare like measures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 central government control of community welfare to intervene in social welfare service of local government is destruction of local self-government. It is worried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taking actions forcefully by selecting the project, looking at the social welfare measures. There are 1496 social welfare service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determined as Similar and overlapping social welfare service in the local government. This study looked at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the problems of multiple and similar social welfare of local governmen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 legal aspects and policy contents. Actions to refine Social Security regarding similar and overlapping measures of local governments by the central government have not respected the welfare needs and choices of the residents and the localit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based on mutual trust should seek convergence of welfare policy.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expand the welfare decentralized administrative system in order to activate the development and welfare of the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기획 논문 : 사찰의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의 실태와 개발 방안

        조기룡 ( Ki Ryong Ch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9 No.-

        포교는 불교교단 존립의 근간이다 그런데 불교 포교의 기초 단위는 개별사찰과 신도 개개인이다 그리고 사찰과 그 구성원인 신도들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지역사회에 참여하지 않고서는 포교를 할 수 없다 사찰의 지역사회 참여 방안은 다양하나 본고에서는 사회복지와 문화행사에 초점을 두었다 사찰은 불교의 한반도 전래 이후 지속적으로 사회복지 활동을 전개하여 왔으며 또한 불교는 한국문화를 주체적으로 형성 보존 계승하여 왔기 때문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과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에서 발표한 2006년과 2010년의 사회복지시설 수 변동 현황을 살펴보면 불교계는 2006년 536개에서 2010년 958개로 422개가 증가하였다 반면 가톨릭은 동년 대비 1,127개 에서 개로 증가하여 137개의 증가에 그쳤다 2006년 가톨릭이 불교에 비하여 사회복지시설이 두 배 이상 많았던 것에 비하면 불교계 사회복지시설의 증가는 괄목할 만하다. 문화행사 분야를 살펴보면 2010년 문화관광부에서 공식적으로 집계한 지방자치단체 주관의 문화축제는 813건이었다 그런데 2009년 대한불교조계종 문화부에서 불교계 신문에 보도된 불교계 주관 문화축제는 426건이었다 물론 이 수치가 전국 문화축제 813건 중 불교 문화축제가 426건을 차지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사찰이 문화행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동참하기 위한 노력을 반증하는 수치임에는 분명하다. 사회복지와 문화행사에 대한 분석결과들을 볼 때 불교계가 사회복지와 문 , 화행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참여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사찰들이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와 문화행사를 통하여 효율적 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개선사항들이 몇 가지 있다.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첫째, 수도권과 영남권 이외 지역에서도 불교계 사회복지시설을 증설하여야 한다 둘째, 도심사찰에서는 여성복지와 부랑인 숙자복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노인복지를 위한 간병과 가사 지원복지 프로그램을 시행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인을 포용하고 이해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에 기여하여야 한다. 문화행사 분야에서는 첫째, 산사음악회의 사찰별 특성화를 기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축제에 적극 동참하고 불교문화콘텐츠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사찰공간을 지역문화공간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The missionary activities is the basis for the existence of Buddhist order, And the basic unit of the missionary activities is each temple and an individual believer.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temples in a local community, Buddhist order can`t do missionary activities because a temple and a believer are based on a local community. The present writer is focusing on Buddhist social welfare and Buddhist culture as the plan for participation of temples in a local community, because Buddhist order has continued the activity of social welfare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orea and Korean Buddhism have formed, preserved, and succeed Korean culture. Between 2006 year and 2010 year, Korean Buddhism puts up a good show in social welfare and local culture festival. The number of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crease 958 from 536, and in the year 2009 the local culture festivals that the Buddhist temples and organizations held are 426 cases, This numerical value proves that Buddhist order participates local communities throug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local culture festivals. But there are the reform measures that temples participate efficiently in local community throug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local culture festival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irstly the temples must increase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e regions except the metropolitan area and Youngnam(嶺) area. Secondly the temples must take interest in the woman welfare and 南 the homeless welfare. Thirdly the temples must come into operation in nursing and housework support for old man. Fourthly the temples must promote an social atmosphere to appreciate disabled person. In the field of local culture festivals, firstly each of temples must have contents in temple concert. Secondly the temples must participate in local culture festivals and develop the programs in which the contents for Buddhist culture are involved. Lastly the space of temple must is offered as the space of local culture.

      • KCI등재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한계와 대응

        허철행(Heu, Chul-Ha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3

        정부는 복지수요에 대처하기 위하여 읍면동을 복지서비스의 허브로 운용하는 복지허브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복지사각지대의 해소와 앉아서 복지서비스 신청접수만 받는 것이 아니라 복지수요자들을 찾아가는 복지 내지 맞춤형 복지를 통하여 복지체감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추진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중앙정부에서 추진하는 중앙집권적 모델이기 때문에 지역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둘째, 인력과 예산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업무추진이 되지 않고 있다. 셋째, 인력의 전문성도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사례관리 담당 직원의 전문성 여부에 따라서 성과차이가 큰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민관협력 체제를 위한 기구를 만들었지만 대단히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거버너스적인 운영이 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본 연구를 통한 표적집단 심층면담(FGI)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읍면동 복지허브화 정책의 혁신을 위해서는 첫째, 지방분권형 복지체제를 고려해야 한다. 중앙과 지방정부의 역할분담론에 입각하여 효율적 업무 배분을 해야 한다.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의 상당부분은 지방정부 주도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개편되어야 한다. 분권형 복지체제를 추진하기 위해서 사회복지 공공부문의 인력과 예산의 분권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산과 인력의 자율적 운용없이 지역 맞춤형 복지체제 구축은 진행되기 어렵다. 둘째, 읍면동의 복지허브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읍면동이 지역복지의 중심지 내지 지역복지 통합 컨트롤센터 역할을 하는 기구로 혁신되어야 한다. 지역사회복지 부문의 네트워크 중심지가 되어야 한다. 이에 걸맞는 조직력과 기획력 등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읍면동 복지허브는 거버넌스로 운영되는 방향으로 혁신되어야 한다.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실질적인 거버넌스 기능을 하는 기구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지방분권형 국가를 이룩하기 위해서 시민참여형 읍면동 사회복지허브체제의 구축은 적극 추진되어야 한다. In order to better cope with welfare demands, the government is driving a policy under which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like eup, myeon and dong are taken as hubs for welfare service provision. That policy aims to have welfare services more actually and effectively provided to people having welfare demand by reaching out for them with customized services, preventing any area from being kept out of welfare and having welfare services go well beyond the receipt of their application. By the way, it is pointed out that the policy has some problems to be driven with. First, the policy is a centralized model led by the national government so that it is unlikely to comply with local characteristics. Second, insufficient staffing and budgets are blocking the policy from being better implemented. Third, policy staffs are, rather, less specialized. For instance, how much case managers are specialized makes a big difference to the achievements of the policy. Fourth, the private-official cooperative organization, which has been set up to support the policy, is currently being operated not based on governance, but with lots of red tapes. All of these limitations have been discovered by focus group interviews as well that were made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suggest the need to reform in the following ways the policy that takes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as hubs for welfare service provision. First, the policy should be based on decentralized welfare systems. Here, the decentralization includes an efficient division of roles and business between the central and the local government, provided projects for the use of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as welfare service hubs are l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a decentralized control of staffing and budgets in the field of public social welfare. But for such autonomous management of staffing and budgets, it’s not easy to build up locally customized welfare systems. Second,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should intensify their function as a hub for welfare service provision. For the intensification, the districts need to renovate themselves into a local welfare center, center for integrative local welfare control or a strongpoint for local welfare networks, any of which is adequately supported by th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 and planning. Third, the local hubs for welfare service provision should be innovated to be operated based on governance. In association, the local social security conference that has been just stereotypical needs to be truly developed into a governance organization. In conclusion, making this nation a locally decentralized entity requires positive actions to utilize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like eup, myeon and dong as social welfare hubs.

      • 연구논문 : 지역사회 자활사업의 증진방안에 관한 소고 -복지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박보영 ( Bo Young Park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1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지역사회 자활사업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과 방법을 이론적으로 탐색해 보는 것이다. 본 논문은 복지 거버넌스(welfare governance)―민관 파트너십에 기초한 사회복지 네트워크를 통해 문제해결을 시도하는―가 그에 대한 하나의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즉 재정자립도가 낮고 인프라가 취약한 우리의 지역사회복지 현실을 감안했을 때, 복지 거버넌스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욕구를 가진 자활사업 대상자들의 복지욕구를 해결하는 데에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왜냐하면 복지 거버넌스는 여러 기관들의 연계를 통한 통합적 사회서비스 제공을 가능케 함으로써 열악한 현실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강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자활사업의 증진방안으로 복지 거버넌스를 통한 자활사업의 전달체계 개선과 통합적 서비스체계 구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지역사회 자활사업의 현황과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지역사회 자활사업의 현주소를 짚어 본다. 다음으로 복지 거버넌스가 지역사회복지 전달체계의 현대화 전략으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고, 아울러 복지 거버넌스의 맥락에서 우리나라 지역사회 자활사업의 증진방안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앞서의 논의를 정리하면서 우리의 현실에서 복지 거버넌스가 어떠한 실천적 함의를 갖는지를 논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atively observe the strategy for developing Local Self-sufficiency Promotion Programs (LSP) in Korea. This paper offers that welfare governance, the way to stem the social problems through welfare networks based on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w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developing LSP. In turn, as we consider inadequate conditions of local community welfare in Korea that is marked by low financial viability and backward welfare infrastructure, welfare governance would be an alternative to serve the needs of participants in the LSP who have a variety of mixed needs. Because, welfare governance could cope with inadequate conditions by its own purchases, for being a policy idea to provide the one-stop social services based on networking several welfare institutions in local communi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suggests two action programs founded on the strategy of welfare governance, improving the delivery systems and creating the one-stop service systems, to develop the self-sufficiency promotion programs in the level of local community. This paper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reviews the realities of Korea`s local self-sufficiency promotion to focus on its current situation and case. The second part theoretically examines the meaning of welfare governance as an efficacious means to modernize the delivery systems in local community welfare, and suggests action programs to develop LSP in terms of welfare governance. The last part ends with a discussion of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welfare governance in Korean community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