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콘텐츠에서 K푸드 표상 양상과 효과

        유재응,이현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1

        K-contents' is in the spotlight worldwide. As the prefix 'K' became popular, interest in K-food(Korean food) also increased. Various studies on K-contents are being conducted, but research on K-food is still very limited. References and articles about K-food are mainly limited to the overseas expansion, marketing status, and sales of domestic brands, and a few research papers deal with only cases of a specific brand's overseas expansion.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K-food is represented in TV unscripted shows and TV series produced in Korea and what their effects are through empirical works. Among the unscripted shows based on food, they are estimated that the point of competitiveness as K contents deal with foreigners' Korean food experiences. Representative examples here are the way foreigners who visit Korea experience Korean food as part of their Korean culture experience, or the type of temporarily setting up a restaurant overseas to sell Korean food to local people. However, the problem with such shows are that it lacks long-term appeal because it is based on the 'Gukbbong(a slang term for ‘extreme nationalism’)' sentiment. The exposure of K-food in K-contents creates a tremendous advertising effect. It is judged that the current status and analysis of K-contents based on K-food can help establish the direction of future program production and the identity of K-food.

      • KCI등재후보

        Characterization of regular semigroup by (∈, ∈∨(k*, q_k))-fuzzy ideals

        Muhammad Sajjad Ali Khan,Saleem Abdullah,Khaista Rahman,Syed Zaheer Abbas 원광대학교 기초자연과학연구소 2017 ANNALS OF FUZZY MATHEMATICS AND INFORMATICS Vol.13 No.3

        In this article we define the notion of (∈, ∈∨(k*, q_k))-fuzzy left (right) ideals, (∈, ∈∨(k*, q_k))-fuzzy (generalized) bi-ideals, (∈, ∈∨(k*, q_k))-fuzzy interior ideals and (∈, ∈∨(k*, q_k))-fuzzy quasi-ideals in semigroups. Finally we characterized regular semigroup by the properties of these ideals.

      • KCI등재

        K-pop의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 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전형연(Jeon, Hyeong-Yeon),송기란(Song, Kee-Ran) 인문콘텐츠학회 2012 인문콘텐츠 Vol.0 No.26

        K-pop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신한류 열풍을 일으키고 있으며, K-pop의 열풍은 해당 가수와 기획사뿐만 아니라, 국가 및 기업이미지까지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황에서 K-pop과 관련된 연구들은 K-pop과 소비자의 관계, K-pop 경험을 통한 국가 및 기업 이미지와의 관계 등 문화경영의 각 주체 사이의 일방향적인 관계를 마케팅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왔다. 그러나 지금은 오히려 K-pop을 중심으로 문화경영의 각 주체들 사이의 전체적인 협력관계성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한류문화의 지속적인 발전과 문화브랜드로서의 정착을 위한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구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을 구조를 수용하면서 아티스트, 공중, 결정권자, 매개자 등의 4대 주체에게 필요한 문화경영 항목을 도출하고 유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확장 가능성이 무한한 K-pop 소비시장인 중국 시장의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서술적 설문지를 배포하고, 그 결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각 주체 중 아티스트 차원에서는 가수 개인의 역량과 음악콘텐츠가 가지는 경쟁력, 대중문화 속성상 타 장르와의 결합을 통한 재생산성 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퍼스널 브랜드 관리, 음악적 역량 관리, 가수와 기획사 관계, 타 문화장르와의 관계 항목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공중 차원에서는 K-pop을 소비하는 공중에 대한 소비자분석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데이터화하는 작업이 중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중의 유형화 관리, 문화적 취향 관리, 선호 문화장르 관리, 주요 활용 매체관리 등의 항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세 번째, 국가, 기업 및 연예매니지먼트 기획사 등 결정권자 차원에서의 주요 특성 항목으로는 기획사 매니지먼트 관리, 기업 브랜드 관리, 국가브랜드 관리 등이 주요 항목으로 추출되었는데 이는 개개의 기관 차원에서 보다 각 기관이 서로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적 통합관리가 중요함을 역설해주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K-pop 등의 문화를 전달해 주는 매개자 차원에서는 미디어 매개자 관리, 콘텐츠 매개자 관리, 주변인 매개자 관리 같은 주요한 특성 항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4대 주체 사이의 협력관계 구조의 핵심을 파악하고 이의 도식화를 시도하여 향후 한국형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 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Currently, K-pop is sweeping over the world with the New Hanwave (New Korean Wave), and K-pop fever is not only positively influencing the singers and their entertainment agency, but also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as well. With this phenomena, K-pop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dealing with uni-directional relationship among four element groups in marketing perspective, for example, studying relationship between K-pop and consumers, and correlations between K-pop and the government and corporate images. However, at this point, it is imperative to have cultural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that can facilita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Hanwave culture and cultural brand settlement by understanding the comprehensiv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four element groups through K-pop.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generate and classify cultural management items that are necessary to four element groups -artists, public, deciders, and mediators-, while accepting the ‘cultural management system’ from the previous studies. Accordingly, using narrative questionnaire, the current study surveyed young consumers in China where extensibility of K-pop consumption is infinitive. The consequen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study. Before everything els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element groups in cultural management system,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competence of the individual, the competitiveness of music contents, and the reproductivity through combination with other genr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ems were generated pertaining to management of personal brand, management of musical compet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inger and the agency, and 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al genre. In terms of public,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stently gather data and keep up with consumer analysis related to publics who consumes K-pop. Based on these results, items were generated for public typology management, cultural tastes management, preferred cultural genre management, and major applicatory media management. Moreover,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in deciders -nation, corporation, and entertainment agency- included managing agency management, management of corporations brand management, nation brand management, and strategic integration management. These major items emphasized how strategic integration management that maximizes the synergy between each organization is important compared to each organization itself. Lastly, in terms of mediators that deliver K-pop culture, major items such as media mediator management, contents mediator management, and peer mediators management were gener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urrent study was able to understand and schematize the core relationship structure among the four element groups in cultural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studies that will research on Korean culture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 KCI등재

        정규 학점과정으로서 K-MOOC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이훈병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논총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using K-MOOC in credit courses. This study analyzed the use and activation method of K-MOOC as a credit course. In this study, the opinion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ext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opinions about K-MOOC as a regular credit course were more numerous than negative ones. Second, The main positive opinions are about the free course enrollment and the activation of interaction in parallel learning. Third, the semantic structures of negative opinions revealed the problems of the school's schedule and the fairness of the evalua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study summarized the opinions of using K-MOOC. On the positive side,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important, and on the negative side, fairness important. Next, the following is a suggestion for the utilization of K-MOOC in credit courses: First, provide a system to give credit to K-MOOC and develop a guide on how to take these courses. Second, in order to ensure the fairness of the evaluation and the credi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K-MOOC operation evaluation system for granting credits and to establish a minimum system to prevent cheating. Third, there is a need to consider various semester management systems (intensive semester, etc.)to encourage K-MOOC utilization. 본 연구는 학점과정으로서 K-MOOC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K-MOOC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K-MOOC을 학점과정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정규과정으로 K-MOOC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 의견은 부정적 의견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K-MOOC 활용에 대한 주요 긍정적 의견은 온라인 무료수강신청과 온오프라인 병행학습에서 교수학생간의 상호작용 활성화로 나타났다. 셋째, K-MOOC 활용에 대한 부정적 의견의 의미구조는 학사 일정 불일치와 평가의 공정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K-MOOC 활용에 대한 의견을 종합해보면 긍정적 측면에서는 교수·학습의 효율성, 그리고 부정적 측면에서는 공정성이 중요한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정규학점과정으로 K-MOOC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 이수를 수강방법에 대한 철저한 안내 및 비교과프로그램을 연계할 필요하다. 둘째, 학점부여를 위한 K-MOOC운영결과에 대한 평가제도를 마련하고 평가의 공정성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부정행위 방지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은 K-MOOC 활성화를 위하여 몰입학기 등 다양한 학기운영제도를 고려할 수 있다.

      • KCI등재

        K-Nearest Neighbors(K-NN) 알고리즘을 통한 KOSPI200 선물지수 예측효과 연구

        김명현(Myeong-Hyeon Kim),이세호(Seho Lee),신동훈(Dong-hoon Shin) 대한경영학회 2015 大韓經營學會誌 Vol.28 No.10

        본 논문에서 저자들은 머신러닝의 패턴분석기법 중 하나인 K-nearest neighbors(K-NN) 알고리즘을 KOSPI200 선물지수에 적용, 동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술적 분석의 예측력을 검증했다. 기술적 분석의 예측력 검증은 효율적 시장가설과 밀접한 연결고리가 있다. 효율적 시장가설에서 강형의 성립은 사적 내부정보(Private Information Set)를 이용해야만 시장에서 초과수익률 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으로써, 과거 가격 시계열의 움직임을 고려해서 투자하는 기술적 분석 혹은 차트 분석의 경우 현재 시장가격에 반영이 되어 있기 때문에 초과수익률 창출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K-NN 알고리즘은 머신 러닝의 대표적인 비모수 및 비선형 알고리즘으로 금융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한 기술적 분석에 이 알고리즘을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K-NN 알고리즘은 기계 학습의 방법 중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분류되며 모형 위험(Modeling Risk)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상성(Stationary)의 제약조건을 벗어나 비정상성의 동학을 갖는 가격 레벨에서 분석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시장참여자들의 투자패턴을 그대로 적용하는데 용이한 점이 있다. 단변량 분석의 결과 K-NN의 두 가지 방법론 중 절대거리(Absolute) 방법론은 선물지수 하락기에 실현된 값보다 지속적으로 과대 예측하는 경향을 보였고, 반면 지수 횡보기에는 예측에 변동을 보이는 상관계수(Correlation) 방법론보다 안정적인 예측력을 보였다. 미결제약정과 프로그램 순매수 변화를 독립변수로 고려해 분석한 다 변량 분석의 결과 두 독립변수들의 추가적인 예측 기여도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결제약정 변수의 예측력 감소는 기존 논문의 결과와 배치되고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의 중요 기술적 지표들에 K-NN 알고리즘을 결합할 경우, 기술적 지표 자체를 이용한 투자전략보다 뛰어난 거래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약형 효율적 시장가설 관점에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해 기술적 분석의 유효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K-NN 방법론의 KOSPI200 선물 적용은 본 논문에서 최초로 시도하는 것으로 국내 선물시장의 효율성 검증에 새로운 의미를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apply K-nearest neighbors (K-NN) Algorithm being one of the pattern analysis techniques of machine learning to the KOSPI 200 futures index, and test the forecasting power of the technical analysis of the algorithm. The test of predictive accuracy for technical analysis has close links with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The strong form of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implies that primitive information must be used to generate excess returns in the market. Therefore, a technical analysis or chart analysis of the investment taking into account the past price movement time series is impossible to generate the excess return because all informations for pricing are reflected in current market prices. As K-NN algorithm is the representative non-parametric and non-linear algorithm on machine learning, the reason to take this algorithm for the technical analysis of financial time-series data is following. First, K-NN algorithm is the simplest method among machine learning methods, so we minimize the modeling risk from the analysis of this algorithm. Second, it allows analyzing on price levels whose dynamics can be non-stationary. Hence, it is easy to apply the actual investment pattern of market participants. K-NN algorithms for analyzing the univariate time series can be separated by two sub category methods, an absolute distance method and the correlation method, depending on how to measure the neighborhood. As the reason, we compared the predictive powers of the two ways. As the result of the univariate analysis, the absolute method, as the one of two K-NN algorithm methods, tended to consistently over-predicted than the realized value on the downturn of the future index. While the index walked sideways, the absolute method showed more reliable predictive power than the correlation method showing volatile prediction. Since K-NN algorithm analyzing a univariate sime series predict with using only past data se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no additional information set is available. Therefore, it is available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aditional analysis containing more than one information set which help to increase predictive power. Candidat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for the two variables closely associated with connecting KOSPI200. As the first independent variable, we considered open interest to see the effect of an increase of the net quantity to prices of futures and options in a new contract. As the second independent variable, we considered the program net buying because the derivative market is freakishly large comparing with the underlying market in Korea. As the results of the multivariate analysis considering open interest and net buying in program trading, the additional contributions of two variables for the forecasting was limited, and the reduction of the prediction power of the open interest is contrary to the results of the existing papers, so it seems to need further studies. Also, a combination of K-NN algorithm of the existing main technical indicators confirmed to show superior trading results than the investment strategies dealing with the main indicator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s the validity of technical analysis to apply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 terms of a weak-form of efficient market. In addition, as the first attempt in domestic market, the application of K-NN algorithm to the KOSPI 200 futures market is expected to bring new meaning to verify an efficiency of the domestic futures market. Recently, a number of studies of various subjects have coming out such as effects of algorithmic trading on recent markets, contentions against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and verifying the validity of such trading strategies. Adjusting this trend, this study applying machine learning method to KOSPI200 contributes to have led to new finding that the predictive power using the univariate time series is not worse than multivariate

      • KCI등재

        K-Pop과 실용음악의 상호보완적 역할에 관한 연구

        류은주(Eun-Joo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신(新)한류의 재조명으로 K-Pop음악 산업의 흥행은 지속되는 한편, 대부분이 아이돌 댄스 음악이라는 획일적인 장르적 한계를 이유로 한류 지속가능성 여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실용음악 교육의 체제의 변화를 통해 음악적 질의향상을 이룩해야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실용음악 교육이 K-Pop음악 산업의 지속적 성공에 조력할 수 있는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K-Pop과 실용음악의 의미와 연관성을 파악하고, 두 영역의 상호보완적 역할수행을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2013년부터 3년간 국내공인가요파트인 가온차트에서 디지털종합순위의 100위내에 진입했던 곡에 관여한 인물들 즉, 가수, 작·편곡가, 작사가 및 연주자들을 K-Pop인재로 간주하여 조사하고, 그들 중 얼마만큼 실용음악 전공과 관련 있는지 파악한 결과, 41.74%로 확인되었다. 한국 대중음악이라는 큰 공통적 분모 아래에서 지속적인 한류를 위해 서로 협업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는 다양한 K-Pop음악에 대한 소비자의 지속적인 니즈 증대와 이를 위한 국내외 사회적 분위기 형성, K-Pop산업이 요구하는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제도의 변화 등이 있다. The success of K-Pop music industry continues as there is a new light shedding on the new Korean wave. There is a continuous discussion about the sustainability of the idol’s dance music because of its limit in the uniform genre. As a solu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K-pop music, researchers said to supplement it through the change of educational system in the applied music However, research into how much the education of applied music is contributing to the continuous success of the K-Pop music industry and how each industry is affecting each other was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will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K_Pop and the applied music, and look into ways that can act as a mutual supplementation for both fields. subjects of analysis included performing artists, composers, arrangers, lyricists, and singers for songs within the top 100 of the digital total ranking for the past three years in the Gaon chart which is the official music chart for Korea. Then, the study apprehended how many of those subject had relations with the applied music and their activity frequency. As a result, there were a considerable number of K-Pop performers, at 41.74%, who also majored in the applied music To continue to tendency of Korean wave and develop the Korean popular music, this study will explore roles each industry should cooperate in the future. There were the formation of social atmosphere for increase of consumer’s needs to diverse K-pop music and change of education for training its human resources that K-pop industry demand.

      • KCI등재

        바마하(Bhāmaha)의 ‘소리에 의한 수사법’ 연구 _Kāvyālaṃkāra 2장 1∼20송을 중심으로_

        류현정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1

        In India, poetical prosody and various figures of speech(alaṃkāra) have been applied not only in pure literature, but also in philosophical or religious works for delivering their thoughts. In the field of classical Indian poetics, alaṃkāra, after being appeared in Nāṭyaśāstra, has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element of versification. By the 7th century CE, it also has been treated actively by many scholars as poetical theory as well as a rhetoric skill. Among those figures, especially, Bhāmaha imbued alaṃkāra with special significance in his work Kāvyālaṃkāra(KĀ). He held that alaṃkāra mattered most in poetry and he brought rasa, which had bee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hemes in poetics, also under alaṃkāra.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laṃkāra which is represented in KĀ, there are two kinds of alaṃkāra, that is, śabdālaṃkāra and arthālaṃkāra. The former one is made by sound or words,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s made by meaning. Śabdālaṃkāra which is dealt in this paper is subdivided into two kinds, anuprāsa and yamaka. They arouse poetic inspiration not only with rhymes or repetition of similar varṇas or words(anuprāsa) but also with repetitive homonymic pādas, repetition in serial āvalīs and in whole sentences(yamaka) as well. This paper, at first, introduces Bhāmaha’s role in the field of alaṃkāra school briefly and then analyzes composition of KĀ by each pariccheda and thematically. In succession, among various figures of speech, I have examined classifications and examples of śabdālaṃkāra in detail which show its practical applications especially represented in first 20 verses of KĀ. I hope, though tenuously, this research could energize future studies on figures of speech in Korea as a method of understanding texts. 인도는 비단 순수문학의 범주에서 뿐만 아니라 철학서나 종교서에서도 시적 운율과 다양한 수사법(alaṃkāra)을 적용한 게송을 통하여 사상을 전달해 왔다. 인도 고전 시학(詩學)에서 수사법은 Nāṭyaśāstra에 언급된 이후 수 세기에 걸쳐 작시(作詩)의 요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였다. 이는 7세기경에 이르러 단순한 수사의 기술로서 뿐만 아니라 시학이론으로서 자리매김하여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다루어졌다. 그 가운데 특히 바마하(Bhāmaha)는 자신의 저작인 『카브야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이하 KĀ)에서 수사법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는 수사법이 작시법(作詩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요소이며, 심지어 시학의 중심 주제로 다루어지는 라사(rasa)마저도 수사법에 귀속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KĀ의 수사법 분류에 따르면 크게 ‘소리에 의한 수사법’(śabdālaṃkāra)과 ‘의미에 의한 수사법’(arthālaṃkāra)으로 양분되는데, 그중 ‘소리에 의한 수사법’은 아누프라사(anuprāsa)와 야마카(yamaka) 두 종류로 세분된다. 이는 음운의 반복적 사용, 동음이의어나 구절의 반복을 통하여 깊이 있는 시감(詩感)을 이루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카브야(kāvya)에서 다루는 다양한 주제 가운데서도 알람카라, 즉 수사법에 비중을 두었던 알람카라 학파에서 바마하의 위치에 대해 짚어보고, 그의 저작인 KĀ의 구성을 분석하여 각 주제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게송 연구의 예비적 고찰로서 2장 초반부를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는 ‘소리에 의한 수사법’의 종류와 더불어 제시되어 있는 실례들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문헌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수사법 연구에 활기를 돋울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K-IFRS 도입 이후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규모가 외국인 투자에 미치는 영향

        김형수(Kim Hyoung-soo),김용식(Kim Yong-shik),홍용식(Hong Yong-sik)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65

        본 연구는 K-IFRS 도입이 외국인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K-IFRS 도입 이후에 기업지배구조의 질과 기업규모가 외국인 투자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지속적으로 유가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12월말 결산 법인 1,832개 기업-연수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IFRS 도입 이후 도입 이전보다 외국인 투자금액과 지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K-IFRS 도입에 따른 효과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의 정보처리비용 및 경영자와 외국인 투자자들 간에 정보비대칭이 감소하여 외국인 투자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기업지배구조의 질에 따라 외국인 투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지배구조 총점뿐만 아니라 주주권리, 이사회, 공시, 감사기구, 그리고 경영과실배분 각각의 지배구조 요소들도 모두 외국인 투자를 유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배구조 개별항목 중에서 이사회 기능이 양호한 기업일수록 외국인 투자금액이 추가적으로 더 증가하였다. 이는 경영자의 회계선택에 대한 재량권을 최종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기업지배구조 메커니즘은 이사회이기 때문에 K-IFRS 도입 이후 이사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K-IFRS 도입 이후에 외국인 투자자들은 기업지배구조 메커니즘들 중에서 이사회의 질을 더 비중있게 평가하여 투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지배구조 총점수를 비롯한 다른 지배구조 개별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임으로써 K-IFRS 도입 이후 기업지배구조 중에서 이사회 기능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넷째, K-IFRS 도입 이후 도입 이전에 비해 외국인 투자자의 기업규모에 대한 선호효과가 감소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K-IFRS 도입에 따른 수준 높은 공시요구 등이 상장기업에 일관성 있게 적용됨으로써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자국편중(home-bias) 위험이 더 컸던 규모가 작은 기업의 정보비대칭이 더 감소함에 따라 외국인 투자가 더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domestic 1,832 firm-years listed on KOSPI between 2009 and 2013. The purpose is to identify whether foreign investments increases after IFRS adoption and whether firm size differently affects foreign investments. Also, as corporate governance has recently become a key component as part of the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this study explores whether corporate governance affects foreign investments. Based on the analysis, first, it shows that foreign investments significantly increase after K-IFRS adoption.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reduction in both costs for information processing by foreign investors and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foreign investors. Second, apart from IFRS adoption, foreign investments significantly increase as the quality of corporate governance are higher. All of the governance factors such as protection of shareholders" rights, board characteristics, disclosure, audit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performance distribution. As the corporate governance efficiently controls the manager,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he management and investors decreases, attracting more foreign investments. Third, with regard to individual item among corporate governance items companies with more functions of their board of directors are related to more foreign investments after K-IFRS adoption. Fourth, the effect of a firm size on foreign investments reduces after K-IFRS adoption. This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FRS affect SME companies more than large companies, indicating that information asymmetry decreases much more for the former.

      • KCI우수등재

        K-MOOC의 특성과 교육효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분석 : 지각된 유용편의성과 학습기대의 매개효과

        김주경(Kim, ju kyoung)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3

        본 연구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의 특성과 교육효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를 밝혀내고, 지각된 유용편의성과 학습기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을 위해 K-MOOC 강좌를 수강한 369명의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여성 은 51.5%(190명), 남성은 48.5%(179명)이고, 이수자는50.1%(185명), 미이수자는 49.9%(184명)이다. 분석결과 K-MOOC의 특성 중에서 교수 실재감이 학습자의지각된 유용편의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흥미와 신뢰의 순이었다. 지각된 유용편의성은 교육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 아니라, K-MOOC의 특성과 교육효과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최근의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확산으로 대부분의 고등교육이 온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효과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편의성은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학습기대는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편의성과 교육효과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학습자의 K-MOOC에 대한 기대감은 교육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K-MOOC가 신뢰, 교수실재감, 흥미 요소를 강화하여 학습자에게 유용편의성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K-MOOC(Korea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verified the PUU(perceived usefulness and usabil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expecta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69 learners who took the K-MOOC. Among them, 51.5%(190 learners) were female learners and 48.5%(179 learners) were male learners. 50.1%(185 learners) completed the course, and 49.9%(184 learners) did not complete the cour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K-MOOC, teaching presenc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UU, followed by interest and trust. It was analyzed that PUU not on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but also partially mediated the characteristics of K-MOOC a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PUU for educational effectivenes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at most of the higher education is conducted online due to the recent spread of the COVID-19. Finally, learning expectation was analyze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U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er s expectations for K-MOOC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research results support the need for K-MOOC, which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in the post-corona era, to provide PUU by reinforcing trust, teaching presence, and interest factors.

      • KCI등재

        <광해>와 <명량>의 흥행은 무엇의 표상인가?

        손희정(Sohn Hee-jeong)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5

        2015년 5월 현재. 천만 관객 영화는 11편에 달한다. 이제 관객 천만은 더 이상 새롭거나 놀라운 기록은 아니다. 그러나 역대 천만 관객 영화 11편 중 7편이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기대고 있는 일종의 ‘사극’이라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 지점이다. 본 연구는 이런 ‘천만 사극’ 현상에 어떤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질문을 던지고 이 문제를 탐구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내셔널리즘은 더 이상 전통적인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모든 것이 이미지화 되고 파편화되며 개인화되는 탈근대적 소비자본주의 시대를 지나온 대한민국에서 전통적인 공동체에 대한 감각은 무너졌다. 그리고 그 자리를 채우고 들어온 것은 생존주의라는 왜곡된 형태의 개인주의와 ‘비빌 언덕으로서의’ 새로운 전체주의 사이의 기묘한 공생이었다. 이런 공생 관계 속에서 배태된 새로운 내셔널리즘은 ‘한민족의 역사’보다는 K-팝, K-드라마, K-필름, K-코스메틱 등 K로 환원되는 온갖 문화상품들을 네이션의 자부심의 기반으로 삼으면서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이었으며, 그것은 초국적 자본/제국주의를 견제하고 그와 길항하는 것으로서의 네이션/내셔널리즘이 아니라 그에 적극적으로 동조하고 그 일부가 되고자 하는 자본화된 자유주의적 내셔널리즘이었다. 그 내셔널리즘에서는 미 헤게모니에 대한 대항으로서 80년대 새롭게 ‘발굴’되었던 ‘하나의 민족’으로서의 북한이 배제되어 있으며,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에 대한 욕망을 바탕으로 하는 복고주의적 발전주의가 더욱 강력하게 되살아나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새롭지만 낡은’ 내셔널리즘의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서 이를 ‘K-내셔널리즘’이라고 명명하고 K-내셔널리즘이야말로 천만사극을 가능하게 하는 스크린 위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런 관심사 안에서 우리 시대의 네이션이 형성되고 유지되는 공간으로 퓨전사극에 주목하고, 탈근대적 소비주체의 이야기 소비 방식이라는 형식 안에서 퓨전사극을 탐구한다. 이어 <성균관 스캔들>이나 <방자전>, <후궁>과 같은 퓨전사극이 K-내셔널리즘를 어떻게 반영하고 또 재강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시선을 ‘천만 사극’ 대열에 올라선 <광해: 왕이 된 남자>와 <명량>으로 돌린다. Till May, 2015, in the Korean film industry, only 11 films have attracted more than ten-million viewers to the screen. Interestingly, 7 out of 11 are historical films based on the true historical events or figures. Why is that so? Does the nationalism still effectively work as it did in the era of developmentalism or dictatorship? However, we already know the answer. No, it doesn’t anymore, and now we are seeing the advent of new nationalism. This essay focuses on this metamorphosis of nationalism and its retaining effect in the era of neo-liberalism. The sense of community has fallen into pieces in South Korea after we’ve been through the post-modern period of consumer capitalism where everything including human had become the image product and fragmentized. And that vacuum, which appeared where the community collapsed, was taken up by the distorted individualism and the 21<SUP>st</SUP> century version of totalitarianism. In this awkward co-existence, there came new nationalism with the new national identity constructed and sustained not by the classical components of the nation such as history, legacies, and traditions but by the cultural products like K-pop, K-drama, K-film, K-cosmetic etc.. It is not the traditional nationalism which had fought against the transnational capitalism or imperialism anymore; it is the liberalist nationalism which is eager to be a successful part of that world of the transnational capitalism. There, South Koreans don’t consider the North Korea as one nation anymore, especially when the North Korea symbolically signifies an alternative ideology or political structure against the political liberalism in the system of U.S hegemony. In addition, the reactionary developmentalism, based on the craving for th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came to life again. This essay calls this old but new nationalism as K-nationalism. K-nationalism plays the key role in the topography of recent Korean cinema, and it would explain the success of certain historical films. From this point of view, we will focus on several fusion historical films and tv dramas which show how they reflect and reconsolidate the K-nationalism of South Korea in the era of neo-liberalism, such as 〈Sungkyunkwan Scandal〉(2010), 〈The Servant〉(2010), and 〈The Concubine〉(2012). Then we will move on to the films such as 〈The Masquerade〉(2012) and 〈Roaring Currents〉(2014), the mega hit historical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