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새로운 미선나무 자생지의 식물학적 연구

        오현경,소민석,노재현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2

        본 연구대상지인 미선나무 자생지는 2010년도에 새롭게 확인된 곳으로, 일반인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이 자생지는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청림 소재 미선나무 군락지(천연기념물 제370호)에 비해 개체수가 많고 생육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천연기념물로써의 가치여부 및 모니터링자료로 활용하고자 식생 및 토양환경을 면밀히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새로운 미선나무 자생지의 식물상은 45과 82속 93종 4변종 3품종으로 총 10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에는 미선나무(멸종위기종), 개족도리(약관심종), 이팝나무(약관심종)가 발견되며, 특산 식물에는 고광나무, 미선나무,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미선나무 자생지는 부안호로 유입되는 백천 유역의 북서사면 낮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풍화토인 전석지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미선나무 자생지는 밤나무군락 3개소, 느티나무군락 3개소, 졸참나무군락 1개소 등 7개 군집구조로 구분되었다. 이중 층위별 중요치는 밤나무군락에서 말채 나무, 굴피나무, 은사시나무, 느티나무, 까마귀베개, 팽나무 순으로, 느티나무군락에서 팽나무, 갈참나무, 때죽나무, 굴피나무, 당단풍, 복자기 순으로 나타난 반면 졸참나무군락에서는 굴참나무, 밤나무, 산벚나무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미선나무의 중요 치는 밤나무군락에서 6.6%, 느티나무군락에서 5.6% 그리고 졸참나무군락에서 5.1%로 분석되었다. 또한 7개의 조사구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산도, 전기전도도, 유효인산, 유기물함량, 치환성양이온(칼륨, 칼슘, 마그네슘)을 분석한 결과, 조사구 3번인 느티나무군락에서 다른 조사구나 군락에 비해 토양의 화학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2010 to examine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in the growing commun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located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This Abeliophyllum distichum community has more individual numbers in Cheongrim-ni and Jungkye-ri, Byeonsan-myeon, and Buan-gun area, which i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No. 370), and also where the habitat conditions for Abeliophyllum distichum is more favorable. The authors recorded 100 taxa with 45 families, 82 genus, 93 species, 4 varieties, and 3 forms. Among them, species such as Abeliophyllum distichum (critically endangered), Asarum maculatum (near threatened) and Chionanthus retusa (near threatened), which are categorized as rare plants, were recorded. According to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4 taxa, particularly Philadelphus schrenckii, Abeliophyllum distichum, Weigela subsessilis, and Lonicera subsessili, were recorded. The commun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is located in the northwest slope of Baekcheon watershed and the community is comprised of healthy soil. The community structure was classified into three: the Castanea crenata community, Zelkova serrata community, and Quercus serrata community. The Castanea crenata community is composed of the Cornus walteri, Platycarya strobilacea, Zelkova serrata, Rhamnella frangulioides, arranged in terms of importance percentage. The Zelkova serrata community is composed of Celtis sinensis, Quercus aliena, Styrax japonic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also according to importance percentage. As for the Quercus serrata community, it is composed of Quercus variabilis, Castanea crenata, and Prunus sargentii, also arranged in terms of importance percentage. The importance percentage of Abeliophyllum distichum is 6.6% in the Castanea crenata community, 5.6% in the Zelkova serrata community and 5.1% in the Quercus serrata community. Moreover, in order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pH, electrical conductivity, available phosphoric, organic matter, and exchangeable cation (K, Ca, Mg) are analyzed. The No. 3 site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districts of the sam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 KCI등재

        내장산국립공원 굴거리나무군락의 군집특성 및 분포 변화 연구

        신진호 ( Jin-ho Shin ),전용삼 ( Yong-sam Jeon ),손지원 ( Ji-won So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9 No.3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northernmost limit of the distribution changing of Daphniphyllum macropodum and studied characteristic of plant communities of natural monument No. 91 in Najangsan national park,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ighest importance percentage(I.P.) value at tree layer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Q. mongolica, 37.8%. But the highest value of mean importance percentage(M.I.P.) was D. macropodum, 32.8%. 2. The highest I.P. value at tree layer in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was C. laxiflora, 47.4%. The highest M.I.P. value was C. laxiflora, 28.8% and M.I.P. value of D. macropodum was 24.0%. 3. The highest I.P. value at tree layer in D. macropodum community was D. macropodum, 55.6%. C. laxiflora and Q. mogolica I.P. value was 14.8% and 6.8%, respectively. The highest M.I.P. value was D. macropodum, 47.9%. Sapium japonicum and C. laxiflora M.I.P. value was 11.4% and 10.7%, respectively. 4. The highest I.P. value at tree layer in Quercus variabilis commu ity was C. laxiflora, 20.8%.Q. variabilis and Acer pseudosieboldianum I.P. value was 15.3% and 12.5%, respectively. The highest M.I.P. value was D. macropodum, 21.5%. It needs to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vegetation and importance percentage change in tree layer and subtree layer of D. macropodum. The researching results of D. macropodum distribution, the distribution range of D. macropodum showed expanded more than range of Lim and Oh`` result(1999). In other words, it was distributed low density level between Najangsa temple and Byeokryeonam, and distributed in upper Keumsun waterfall and Wonjeok upper valley. D. macropodum was appeared on hiking trails around from Wonjeokam to Bulchulbong. Especially,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D. macropodum was distributed on Seoraebong``s north which placed outside area of Naejangsa region.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distribution range of D. macropodum was expanded. Also,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esult of the field study of changing distribution study of broad leaved evergreen forest due to global warming.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상부운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박인혈,최윤 한국환경생태학회 200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16 No.4

        지리산국립공원 상부운 계곡부(725~1,09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정하여 교목층과 아교목충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계곡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교목층의 밀도는 감소하는 반면, 평균 수고, 흉고직경, 흉고단면적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계곡 하부에 인간의 간섭이 비교적 심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상대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물푸레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때죽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대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굴참나무, 소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고로쇠나무. 개암나무 등이었다 계곡정부를 포함한 해발고대별 종다양도의 범위는 0.571~l.194이었으며,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종다양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종다양도가 감소하는 것은 종수와 균재도가 모두 감소하기 때문이었다. 사면부위별 종다양도는 1.172~1.285이었으며 , 사면 하부에서 중, 상부로 갈수록 종수와 종다양도가 감소하였다. 수종별 상대중요치에 의한 Cluster분석 결과 계곡하부의 사면 하부와 계곡중부의 사면 상, 중, 하부 및 계곡상부의 사면중, 상부에 위치하는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집, 계곡하부의 사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소나무-졸참나무군집, 계곡상부의 사면하부와 계곡정부에 위하는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등 3개 유형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A valley forest in Sangbuun area at Jirisan National Park was studied to investigate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the slope. Forty-eight quadrats were set up in the valley forest along altitude of 726m to 1,090m and part of the slope, and vegetation analysis for the woody species in the tree and subtree layers were carried out. With increasing elevation belt, mean DBH, height and basal area of the trees in the tree layer increased while their density decreased. This trends may be caused by the disturbance which was relatively severe in the low elevation area. As elevation increased, the importance percentages of Fraxinus rhynchophylla,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mongolica increased while those of Styyax japonicus, Carpinus laxiflora and Pinus densiflora decreased. The importance percentages of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increased as going from lower part to upper part of the slope. However, the opposite trend was found for the importance percentages of Acer mono and Cor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decreased as increasing elevation and going from lower part to upper part of the slope. According to importance percentage and cluster analysis, the valley forest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est communities of Quercus serrata-broad-leaved tree species community in lower part of the slope at low elevation belt, middle elevation belt and middle and upper parts of the slope at high elevation belt, Pinus d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in middle and upper parts at low elevation belt, and Quercus mongolica-broad-leaved tree species community in lower part of the slope at high elevation belt and top area.

      • KCI등재

        인공식재에 의해 교란된 산림의 식생구조 및 생태적 복원기법

        배병호 ( Byung Ho Bae ),윤용한 ( Yong Han Yoon ),김정호 ( Jeong Ho Kim ) 한국환경과학회 201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restoration of disturbed forest due to artificial plant. To this end, 12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The result analyzed considering mean importance percentage(M.I.P) showed that the typ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artificial planted forest type(three plots), natural forest-artificial planted forest type(four plots), natural forest type(five plots). Dominant proportion of artificial planted species were as follows: artificial planted forest type was over 60%, natural forest-artificial planted forest types were 14~49%. The range of Shannon`s index of all associations was from 0.7131 to 0.7771(natural forest-artificial planted forest 〉natural forest 〉artificial planted forest). Also we suggested restoration method of vegetation for ecological value as follow: Control of density considering step and Remove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 of understory layer and shurb layer.

      • KCI등재

        국립공원 내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

        최송현 ( Song-hyun Choi ),이상훈 ( Sang-hoon Lee ),신용진 ( Yong-jin Shin ),조우 ( Woo Cho ),이명훈 ( Myung-hoon Lee ),김정호 ( Jeong-ho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6

        우리나라 국립공원 내 조림지 비율이 높은 6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자 일본 잎갈나무가 우점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우점비율, 흉고직경, 조림지역 등을 고려하여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조림지 비율이 높은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조림지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 식생유형구분을 통해 선정된 6개 국립공원의 일본잎갈나무림의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생태적관리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구는 방형구 400㎡를 기준으로 총 51개소를 설정하였다. 군락분류는 TWINSPAN을 활용하였으며 분류된 군락별로 상대우점치, 종다양도, 종수 및 개체수 등을 분석하였다. 군락분류 결과 총 7개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7개 군락 모두 교목층에서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으로서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출현수종에 의해 구분되었다. 군락 Ⅰ, Ⅱ, Ⅶ은 계곡부에 위치하며 교목층에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면서 느티나무, 산뽕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서 물푸레나무, 산뽕나무 등의 습지성 낙엽활엽수종들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군락 Ⅲ~Ⅵ은 사면부에 위치하며 교목층을 중심으로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면서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 등의 참나무류가 주요 출현수종이었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교목성상의 참나무류와 습지성 낙엽활엽수종들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6개 국립공원 일본잎갈나무림의 평균 종다양도는 1.2090으로 군락 Ⅲ이 1.5413으로 가장 높았고 군락 Ⅵ이 0.7042로 가장 낮았다. 평균 종수와 개체수는 9.35±2.90종, 226.05±89.98개체였다. This study surveyed six national parks that included a wide range of afforestation among national parks in Korea to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Larix kaempferi, which occupies the highest ratio among planted areas. Plots wer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dominant ratio,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afforestation area of Larix kaempferi.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cological management to promote diversity. A total of 51 plots were selected based on 400 ㎡ quadrates. TWINSPAN was used for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each classified community was analyzed of importance percentage, species diversity,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s.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identified7 communities, all dominated by Larix kaempferi in the tree layer and classified by the appearance species of the subtree layer and shrub layer. In communities I, II, and Ⅶ that are located in the valley, Zelkova serrata, Morus bombycis, and Fraxinus rhynchophylla appeared, while dominated by Larix kaempferi were in the tree layer. Wetland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such as Fraxinus rhynchophylla and Morus bombycis frequently appeared in the subtree layer. In community Ⅲ through Ⅵ is located on the slope, Quercus spp., such as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mainly appeared while dominated by Larix kaempferi in the tree layer, and Quercus and wetland broad-leaved species frequently appeared in the subtree layer and shrub layer. The average species diversity of Larix kaempferi in the surveyed six national parks was 1.2090, with community III the highest at 1.5413 and community Ⅵ the lowest at 0.7042.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was 9.35±2.90, and the average population was 226.05±89.98.

      • KCI등재

        천연 활엽수림에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와의 상관(1) -평창군 가리왕산, 중왕산 지역-

        김갑태 ( Gab Ta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4

        자생 초본식물의 보존과 임간재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가리왕산과 중왕산 지역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천연활엽수림을 중심으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를 조사하고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초본식물 분포조사에서는 136종의 초본식물이 확인되었으며, 개별꽃의 상대우점치가 10.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밖에 주요 식물종은 벌깨덩굴, 현호색, 참나물, 대사초, 단풍취, 큰개별꽃, 얼레지, 곰취, 만주족도리풀, 피나물, 노루오줌 등 이었다. 노루귀와 단풍취; 참나물과 두메투구꽃; 두메투구꽃과 풀솜대; 벌깨덩굴과 큰개별꽃, 등의 종간에는 매우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주요 식물종의 유집분석 결과, 7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주요 자원식물종이 선호하는 입지인자들이 밝혀졌다. 곰취, 단풍취, 박쥐나물, 얼레지, 참나물 등은 해발고가 높을수록 많이 분포하였고, 곰취는 토심이 깊을수록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얻어진 결과는 평창군 아고산 천연활엽수림의 보전과 주요 지원식물의 임간재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cultivation of major native herb species under the trees, distribution of native herb species, and corrrlations between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were studied on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Mt. Gariwang and Mt. Jungwang, Pyeunchang-gun. 136 native herb species were distributed in studied area, and the importance percentage of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was proved the highest, 10.8%. The other major herb species were the following oders, Meehania urticifolia, Corydalis remota, Pimpinella brachycarpa, Carex siderosticta, Pseudostellaria palibiniana, Erythronium japonicum, Ligularia fischeri, 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Hylomecon vernalis and Astilbe rubra var. rubra.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Hepatica asiatica and Ainsliaea acerifolia, Pimpinella brachycarpa and Aconitum jaluense subsp. jaluense, Aconitum jaluense subsp. jaluense and Smilacina japonica var. japonica, Meehania urticifolia and Pseudostellaria palibiniana. Seven groups of native herb species were divided by cluster analysis. Preferring site factors for each native herb species were determined.Ligularia fischeri, Ainsliaea acerifolia, Parasenecio auriculata var. matsumurana, Erythronium japonicum and Pimpinella brachycarpa were distributed mainly on the higher sites, Ligularia fischeri were ditributed more frequently in deep soil sites. These results might be useful measures in the conservation and cultivation of native edible and medicinal herb species on the forest floor in the natual broadleaved forest, Pyeungchang-gun.

      • KCI등재

        완도지역 붉가시나무림,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의 구조와 동태

        박인협 ( In Hyeop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3

        완도지역의 대표적인 상록활엽수림인 붉가시나무림, 낙엽성 참나무류림인 상수리나무림, 인공림인 약 30년생 리기다 소나무림 등 3개 유형 임상의 구조 및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임상별로 10개 조사구를 설정하여 산림개황, 중요치, 종다양성, 직경분포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붉가시나무림,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의 교목층 밀도는 각각 2,250본/ha, 760본/ha, 1,560본/ha이었으며, 평균흉고직경은 각각 12.1㎝, 14.3㎝, 14.1㎝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 흉고단면적의 합은 붉가시나무림이 37.1㎡/ha, 상수리나무림이 19.0㎡/ha, 리기다소나무림이 29.2㎡/ha이었다.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동백나무는 붉가시나무림,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모두 제1의 우점종이었다. 임분 전체의 종다양도는 붉가시나무림이 0.814, 상수리나무림이 0.956, 리기다소나무림이 0.866이었다. 붉가시나무림의 임분 전체 종다양도가 비교적 낮은 것은 출현종수는 비슷하였으나 균재도가 낮기 때문이었다. 붉가시나무림은 붉가시나무-동백나무 복층림이 지속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수리나무림은 동백나무 우점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리기다소나무림은 붉가시나무-동백나무 복층림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Structure and dynamics for three type forests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were studied in Wando island, Korea, Quercus acuta and Quercus acutissima forests were natural forest and Pinus rigida forest was a about 30-year-old plantation. Density of tree layers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was 2,250 trees/ha, 760 trees/ha, and 1,560 trees/ha, respectively. Mean DBH of tree layers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was 12.1 ㎝, 14.3 ㎝, and 14.1 ㎝, respectively. Total basal area of tree layer and subtree layer was 37.1 ㎡/ha for Quercus acuta forest, 19.0 ㎡/ha for Quercus acutissima forest, and 29.2 ㎡/ha for Pinus rigida forest, respectively. According to importance percentage, Camellia japonica was the first dominant species in subtree and shrub layers of all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Species diversity (H`) of forest total was 0.814 for Quercus acuta forest, 0.956 for Quercus acutissima forest, and 0.866 for Pinus rigida forest, respectively. According to diameter distribution, Quercus acuta forest was supposed to remain unchanged for a long time. Quercus acutissima forest was changing to Camellia japomica forest and Pinus rigida forest was changing to Quercus acuta-Camellia japonica forest.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 일원 식생복원지 회복 평가

        오구균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식생복원사업후 경과년수에 따라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일원의 식생구조의 회복수준을 평가하는 데 있다. 1992년(23년 전)에 시행한 헬기장 주변 훼손지 복원연구 시험지역, 1996년(19년 전)에 시행한 노고단 정상부 훼손지 복원사업지역, 2008년(7년전)에 시행한 군시설 이전지 복원사업지역에 모니터링 시험구 14개소, 복원지 인근 자연림에 대조구 12개소등 총 26개소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복원사업지와 인근 자연림간 식물상, 상대우점치, 종다양도, 유사도지수 등을 분석하여 식생회복 정도를 평가하였다. 23년이 경과된 훼손지복원시험지역은 시험구와 대조구 간 종구성의 유사도지수 평균치가 35.2%이었고, 관목층 수고는 20%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19년이 경과된 정상부 식생복 원사업지역은 종구성의 유사도지수 평균치가 17.6%로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털진달래가 출현하는 관목층의 수고는 20%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7년이 경과된 군시설이전지역의 유사도지수는 34.3%로 비교적 높았으며, 관목층의 피복 도는 대조구의 20% 수준을 나타냈다. 국립공원지역의 생태복원평가기법과 생태복원기술개발을 위하여 복원사업지역 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covery rate of vegetation structure after restoration works at the damaged Nogodan area in Jirisan National Park. Fourteen monitoring plots were set up at restoring work area and twelve control plots were set up at natural forest near monitoring plots. Flora, Relative Importance Percentage and Similarity Index were analyzed. Mean Similarity Index between monitering plot and control plot near helliport area showed thirty five point two percent and height of shrub layer recovered up to twenty percent, approxomately durindg twenty three years after experimental restoration works. Mean Similarity Index between monitering plot and control plot around Nogodan peak area showed seventeen point six percent but height of shrub layer recovered up to twenty percent, approxomately during ninteen years after restoration works. Mean similarity index between monitering plot and control plot on transfered millitary area showed thirty four point three percent but coverage of shrub layer showed twenty percent,approxomately during seven years after restoration works. Long term monitering shall be necessary for developing assessment criteria of ecologial restor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technology

      • KCI등재

        서해안 방풍림의 식생구조 및 관리 방안

        김현준,정성훈,황창혁,김현,최수민,이상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서해안 주요 개 방풍림의 식생구조를 8 분석하고 관리 방안을 모색하여 새만금 유역의 방풍림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8개 방풍림에 출현하는 식물은 총 25과 40속 4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교목층은 모두 곰솔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수종의 단층구조를 보이는 방풍림은 2개소이며, 단일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된 방풍림은 2개소였으며, 4개 방풍림은 여러 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기능적으로 안정적인 방풍림의 구조는 수직적으로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이 모두 존재하는 복층구조가 적합하며, 수평적으로는 교목은 내륙 쪽에 관목은 해안쪽에 식재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단순림보다는 침엽수와 상록활엽수를 함께 혼합하여 식재하는 혼효림이 방풍림 기능의 효과를 더 향상시킬 것이며 병해충에 대한 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basic information about making windbreak forest around Saemanguem reclaimed lands by analyzing the vegetation structure of 8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and considering the methods of structural improvement. The total plants existing in the study areas were 25 families 40genus 43 species, and every tree layer consisted of only one tree species, Pinus thunbergii. There were 2 windbreak stands consisted of a species, and 2 consisted of multiple layer with a species. While, 4 windbreak stands consist of various species with several species. To make ecological system and functions of windbreak forests stabler, TL, STL and SL should be together in the vertical point, moreover, TL should be appeared at the in side and SL should be planted at the out side in the horizontal point. It is considered that mixed stand forest might be suitable for increasing the windbreak forest's functions and decreasing damage caused by disease and insects.

      • KCI등재

        서해안 방풍림의 식생구조 및 관리 방안

        김현준,정성훈,황창혁,김현,최수민,이상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basic information about making windbreak forest around Saemanguem reclaimed lands by analyzing the vegetation structure of 8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and considering the methods of structural improvement. The total plants existing in the study areas were 25 families 40genus 43 species, and every tree layer consisted of only one tree species, Pinus thunbergii. There were 2 windbreak stands consisted of a species, and 2 consisted of multiple layer with a species. While, 4 windbreak stands consist of various species with several species. To make ecological system and functions of windbreak forests stabler, TL, STL and SL should be together in the vertical point, moreover, TL should be appeared at the in side and SL should be planted at the out side in the horizontal point. It is considered that mixed stand forest might be suitable for increasing the windbreak forest's functions and decreasing damage caused by disease and insects. 본 연구는 서해안 주요 8개 방풍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 관리 방안을 모색하여 새만금 유역의 방풍림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8개 방풍림에 출현하는 식물은 총 25과 40속 4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교목층은 모두 곰솔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수종의 단층구조를 보이는 방풍림은 2개소이며, 단일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된 방풍림은 2개소였으며, 4개 방풍림은 여러 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기능적으로 안정적인 방풍림의 구조는 수직적으로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이 모두 존재하는 복층구조가 적합하며, 수평적으로는 교목은 내륙쪽에 관목은 해안쪽에 식재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단순림보다는 침엽수와 상록활엽수를 함께 혼합하여 식재하는 혼효림이 방풍림 기능의 효과를 더 향상시킬 것이며 병해충에 대한 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