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수명주기와 경영전략이 미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예경,박원 한국국제회계학회 2019 국제회계연구 Vol.0 No.8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rporate life cycle on future performance. We also examine whether these characteristics have different effects on management strategy and future performance. The corporate life cycle is divided into stages of growth, maturity, and decline using growth levels. Also, management strategy can be classified into leading, analytical, and defensive strategy. This management strategy can affect future performance. However, management strategies can increase future performance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life cycle and management strategy is significant.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trategy and future performance may be less relevant when controlling the corporate life cycle. The corporate life cycle is divided into stages of growth, maturity, and decline using growth levels. Also, management strategy can be classified into leading, analytical, and defensive strategy. This management strategy can affect future performance. However, management strategie of leading type can increase future performance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life cycle and management strategy is significant.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trategy and future performance may be less relevant when controlling the corporate life cycle.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role of corporate life cyc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trategy and future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life cycle of firms that can not be considered in the previous studies can present the problem of the measurement of management strategy as a parameter that shows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본 연구에서는 기업수명주기가 미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 이러한 기업수명주기가 경영전략과 미래 성과에 차이나는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기업수명주기는 성장수준에 따라 성장, 성숙, 쇠퇴단계로 구분지을 수 있으며 경영전략은 Miles and Snow(2003)의 연구를 바탕으로 선도형, 분석형, 방어형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영전략은 미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기업수명주기와의 관계가 밀접하여 기업수명주기를 통제할 경우 경영전략과 미래 성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16년까지 12월 결산상장법인 중에서 비금융업이며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510개(기업-년)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수명주기 중에서 성장단계가 미래 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수명주기 중에서 성장단계의 경우 선도형 전략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영전략은 미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기업수명주기 중 성장단계 더미변수를 모형에 포함할 경우 경영전략과 미래 성과의 관계의 영향을 검증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전략과 미래 성과의 관계에 기업수명주기 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선행연구에서 경영전략과 미래 성과, 회계이익의 질, 기업가치 관련성, 자본비용 등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어온 연구 결과에 대하여 성장성의 대체적 측정치이며 기업의 경제적인 특성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용자 세분화 전략에 따른 미래 사무공간 환경 특성 연구

        박신영 ( Park Shinyoung ),이재규 ( 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20세기의 사무공간은 기업이나 관리자 중심의 관점에서 발달되어 왔고 조직에서 실제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성원들의 입장은 크게 고려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이러한 흐름은 최근까지도 지속되었으나 팬데믹을 겪으며 재택근무나 자율근무제 등을 통해 과거와 다른 업무방식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사무공간의 변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국내 인터넷 기술의 발달은 선두에 있고 이러한 기술의 보급은 업무방식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삶과 가치관을 변화시켰다. 앞으로의 사무공간은 일하기 위한 기능적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관점이 반영된 인간적인 공간이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세분화 전략을 통해 개인의 가치를 통합하여 조직이 사용하는 공간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첫째, 사무공간 특성을 연구한 선행연구들로부터 미래사무공간의 정의와 특성을 도출하고 둘째, 사용자 세분화 전략이 응용된 선행연구들을 통해 사무공간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용자 세분화 전략에 따라 문헌조사를 통해 미래 사무공간 사용자를 세분화하여 사용자 가치를 도출하였고 넷째, 도출한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여 미래 사무공간 특성 정의를 위한 분석 모델을 만들고 선진적 사례를 선정·분석하여 구체적인 디자인 방안을 알아보았다. (결과) 그 결과, 사용자 세분화 전략의 응용은 미래 사무공간 특성 분석에 있어 유의미한 과정이며 다양한 공간 분야로의 확장가능성도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출된 미래사무공간의 8개 특성들은 세대 분석을 통해 발견한 사용자 가치가 복합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사용자들은 소통과 공유를 중시 여기면서 동시에 조직 내 개인의 위상과 정체성을 갖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행에 따른 공유 공간의 무조건적 적용을 재고해야하며 기업은 조직구성원들이 사무공간에서 기대하는 것에 귀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말한다. (결론) 사무공간은 혁신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신세대와 이들에게 지혜를 줄 수 있는 기성세대가 함께 생활하는 작은 사회이기 때문에 각 세대를 이해하고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미래사무공간은 이들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양질의 공간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사용자 세분화 전략은 미래 사무공간 사용자를 적극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디자인을 구현하는 방법론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Office space in the 20th century has been developed around companies or managers, while the positions of members who actually occupy a major proportion of the organization have not been considered. This trend continued in Korea until recently, but changes in office settings became essential since COVID-19 has shifted the mode of work to telecommuting or through autonomous work systems. In particular, the expansion of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have changed people's lifestyle and values as well as their work in Korea. Future offices should not be a functional space for work alone, but a human space that reflects a user-centered perspective for a better lif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integrate individual values through user segmentation strategy and apply them to spaces used by organizations. (Method) First,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future office we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on office space characteristics. Second, I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office through previous studies that applied user segmentation strategy. Third, according to the user segmentation strategy, future office users were subdivided based on literature data to derive user value. Fourth,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derived above, an analysis model was created to define future office space characteristics, and a specific design plan was identified by selecting and analyzing advanced cases.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user segmentation strategy is an important process in analyzing office space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and there is a sufficient possibility of expansion to various space fields. The eight characteristics of the derived future office space were a complex distribution of user values discovered through generational analysis. It has been shown that users not only value communication and sharing, but also want to have an individual's status and the identity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means that the trend of shared space should be reconsidered, and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listen to what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expect in office space. (Conclusions) Since office space can be considered a small-scale society where new generations that can create innovation and older generations that provide knowhow co-exist,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each generation can understand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The future office, therefore, needs to include high-quality spaces, and user segmentation strategy can be applied as a methodology to implement optimal design by intensively analyzing organizational members.

      • KCI등재

        시나리오 네트워크 매핑 방법론을 이용한 방송산업의 미래 전략 연구

        김준호 ( Joon Ho Kim ),홍진환 ( Jin Hwan Hong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09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8 No.1

        기업에서 미래예측이 필요한 이유는 유연한 전략을 갖추기 위해서이다. 기업의 미래전략활동은 단일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발생 가능한 몇 가지의 개연성들을 예측하고, 이 개연성들 대비한 전략을 준비하는 활동이다. 21세기 들어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는 어떻게 적절히 빠르게 대처하느냐가 승자와 패자를 결정지으며, 특히 속도가 중요해지는데 급격한 변화상황에 빠르게 대처하는 것은 미리 그 상황이 벌어질 것을 염두에 두고 이미 구상 가능한 전략을 세워놓을 때에 가능하다. 그러나 많은 기업에서 미래 전략은 외부 전문가들에 의한 일회성 프로젝트로 실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미래전략의 기법이 복잡하고 시간 및 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현업의 실무자, 경영자들의 접근이 어려운 것이 하나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업의 실무진 및 경영진들이 상시적으로 미래를 전망하고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 기업의 하나인 시나리오 네트워크 매핑을 활용하여 방송산업의 미래를 예측하고 필요한 대응전략을 개발하였다. The objective of business forecasting is the flexible strategy. The future strategy activity of enterprise is not to forecast a single future but to forecast several possible futures and to develop appropriate strategy for the possible futures.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n 21 century, it is very important to react rapidly, which is possible when the corporation has forecasted the situation and developed the strategy. But future strategy of many corporations is developed by outside professionals, because of difficulty of the future strategy development. This study forecasted the future of broadcasting industry and developed the strategy of the major player using scenario network mapping for the managers in the industry to use.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유다겸(Yoo, DaGyeom),황경열(Hwang, KyungYeol),용홍출(Yong, HongChool)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1 동서정신과학 Vol.24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 및 제주도 소재에 재학 중인 일반계 고등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미래지향 시간관, 자기조절학습 전략, 성취동기 검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관계, 중다회귀모형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고등학생의 학년, 성적에 따라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 조절학습 전략 및 성취동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 성취동기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성취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지향시간관의 하위요인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하위 요인 또한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미래지향 시간관의 가치와 수단성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성취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하위요인 성취가치, 행동통제, 학업시간 관리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성취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모두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impa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417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Jeju Island. The tools used in the study are future time perspective,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tests. Collected materials analyzed technical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and impact verification of key variables using the SPSS 19.0 program.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based on grade and year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lso, looking at the impa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on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we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ll affect the achievement motivation. As a result, looking at impact of the subfactor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he subfactor of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it w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value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instrumentality, the hig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higher the score of achievement value, behavioral control, and study time manag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ll affect the achievement motivation.

      • SCOPUSKCI등재

        과학지도 작성을 통한 미래기술 발굴 및 정부R&D의 동적 투자방향성 설정 연구

        양혜영 ( He Young Yang ),손석호 ( Suk Ho Son ),한민규 ( Min Kyu Han ),한종민 ( Jong Min Han ),임현 ( Hyun Yim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3

        정부는 과학기술이 실현할 긍정적 미래사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장기적인 과학기술 발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하여 「2040 과학기술 미래비전」을 수립하였다. 과학기술 미래비전은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한국사회의 변화를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적 비전을 수립하였으며 비전달성을 위한 25대 미래핵심기술분야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후속작업으로, 과학기술 미래비전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 전략이 수립되었다. 연구개발 전략은, 25대 미래핵심기술분야별로 특히 미래과학기술발전을 주도해나갈 미래주도기술을 선정하고 그에 대한 정부R&D 투자현황 분석과 향후 투자방향성으로 구성된다. 미래사회를 주도할 기술의 선제적 발굴과 그에 대한 정부의 전략적 정책설정은 기술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래기술 발굴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기존의 미래기술 발굴에는 전문가들의 패널토론이나 전문가평가를 통한 포트폴리오분석 등 정성적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에게 의존해야 하는 정성적 방법론은 객관성의 부족 등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정량적 방법론이 시도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논문서지자료를 분석하여 과학지도를 작성하는 방법을 활용한 미래기술 발굴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미래기술에 대한 정부R&D 정책은 일반적으로 기술이 실현될 때까지 정부지원방향을 단일하게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중간시점과 기술실현시점 등 2단계로 구분하여 구간별로 정부R&D에 대한 투자포트포리오를 제시함으로써 전략적 측면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미래기술 발굴에 대한 정량적 방법론과 정성적 방법론의 결합 가능성을 통해 기존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다. 둘째, 정부R&D의 투자방향성을 동적으로 제시하여 전략성을 제고하고 부처간 또는 연구수행 주체간 연계를 강화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가 「2040 과학기술 미래비전」의 구현을 위한 실천적 전략으로서 유용하게 적용되는 한편, 미래기술 발굴 및 정책설정의 방법론으로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orean government built 「2040 Science and Technology Future Vision」 in order to show positive future scenarios and suggest a long-term guideline for a progres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S&T Future Vision was built based on an analysis of global megatrends and a prospect of domestic social change. After building S&T Future Vision, the 「Government R&E Strategy」 was established as a follow-up action plan. The Government R&D Strategy consists of lists of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for future leadership, government R&D investment status and investment portfolio plans. Exploring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aggressively and making a governmental R&D strategic policy are requirements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leadership in the world. Therefore search and selection for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recently. Generally qualitative methodologies have been used such as expert-panel discussion method and portfolio analysis with expert valuation method in order to explore future technologies. These experts-based qualitative methodologies are well defined but lacking in some objectivity because size of expert-panels has limitations. We suggest a quantitative methodology, science mapping method to compensate this shortcoming in this study. There is another limitation related governmental R&D strategy which is that general R&D portfolios are static until a point of technology realization. We also propose a dynamic R&D investment portfolio which present different portfolios at a intermediate point and a point of technology realization. We expect this try with science mapping method and a dynamic R&D portfolio could strengthen strategic aspect of government R&D policy.

      • KCI등재

        청소년들의 미래목표 인식, 자기조절학습전략, 학업성취도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문병상(Byung Sang M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청소년들의 미래목표 인식, 자기조절학습전략, 학업성취도에 대한 변화패턴을 알아보고, 청소년들의 미래목표 인식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IS)의 1차년도부터 3차년도까지의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들의 미래목표 인식과 학업성취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래목표 인식의 초기값은 자기조절학습전략 초기값과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업성취도 초기값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미래목표 인식의 변화율은 자기조절학습전략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업성취도 변화율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초기값은 학업성취도 초기값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업성취도 변화율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기조절학습전략 변화율은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미래목표 인식 초기값이 자기조절학습전략 초기값을 매개로 학업성취도 초기값과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목표 인식 변화율이 자기조절학습전략 변화율을 매개로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pattern of adolescents` future goals perception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test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future goals perception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I 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Tl(2005)-T3(2007) being collected by KEDI since 2005.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uture goals percep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increased during the three year period, bu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as decreased slightly during the same period. Second, the effect of future goals perceptions` initial status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s initial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s growth rat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he effect of future goals perceptions` growth rate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s growth rat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future goals perceptions` growth rate on academic achievement`s growth rat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s growth rate on academic achievement1s growth rat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future goals perceptions` initial status on academic achievement`s initial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s growth rate via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s initial status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nd, the mediation effect of future goals perceptions` growth rate on academic achievement`s growth rate via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s growth rat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 KCI등재

        미래성과에 대한 경영자보상의 민감도와 기업의 투자전략

        박범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2

        Many previous studies have argued that managerial compensation can affect current or future performance. However, no studies have yet provided evidenc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compensation and future performance depends on corporate investment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anagement’s cash-based compensation and stock-based compensation on future performance, and then analyze how these relationships are changed by over-investment strategi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s cash compensation and future performance. The result suggests that a manager who receives a lot of cash compensation plays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future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managerial share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uture perform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nager’s stake is relatively less rewarding than cash compensation, and therefore the sensitivity between it and future performance is low. Meanwhile,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s cash compensation and future performance has been strengthened in companies that have taken an over-investment strategy. These results are presumed to be preemptively utilizing the investment opportunities discovered by managers who receive a lot of cash compensation to improve their future performance. This relationship appeared the same after controlling endogeneity between management’s cash compensation and future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previous study with new evidence that management’s cash compensation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future performance than stock compensation, and that corporate over-investment strategy was due to the discovery of investment opportunities for future growth. 많은 선행연구는 경영자보상이 현재 또는 미래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아직 경영자보상과 미래성과 간의 관련성이 투자전략에 의해 달라진다는 증거를 제시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자의 현금보상과 주식보상이 미래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후, 이러한 관련성이 과대투자전략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경영자 현금보상은 미래성과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금보상을 많이 받는 경영자가 미래성과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반면에 경영자지분율은 미래성과와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지분이 현금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상효과가 떨어져 미래성과와의 민감도도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경영자 현금보상과 미래성과 간에 유의한 양(+)의 관련성은 과대투자전략을 취한 기업에서 강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금보상을 많이 받는 경영자가 미래성과를 높이기 위해 발견된 투자 기회를 선제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추론된다. 이러한 관련성은 경영자 현금보상과 미래성과 간의 내생성을 통제한 후에도 같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영자 현금보상이 주식보상보다 미래성과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기업의 과대투자전략이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 기회의 발견에 기인하였다는 새로운 증거로 선행연구에 공헌하였다.

      • CBD 활성화를 위한 미래형 도시공간연출 전략에 관한 연구

        오재우,박관일,Oh, Jae-Woo,Park, Kwan-Il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9 情報學硏究 Vol.12 No.3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a future oriented urban space production strategy to offer diverse useful services to citizens to impro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ities in the times of competition that competitive subjects were changed from competition among countries to competition among cities. 2) RESEARCH METHOD In the proposed future-oriented urban space production strategy, the study compared/analyzed main plans related to development of urban space by selecting CBD(Jung-gu) of Busan out of local metropolises in South Korea. 3) RESEARCH FINDINGS In the proposed future-oriented urban space production strategy, the study largely sorted city's function into four scopes function of industrial support, function of social support, function of living support and function of urban infrastructure. 2.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future oriented urban space production strategy will be utilized as a useful reference model when a lot of local governments, planning a ubiquitous urban space, establish a plan for constructing a ubiquitous urban space.

      • KCI등재

        예비무역인의 영어학습동기가 영어학습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남경두(Kyung Doo Nam),김현정(Hyun Jung Kim),김지혜(Ji Hye Kim) 한국무역연구원 2015 무역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 betwee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English learning strategies of two group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categorized as future trade experts and non-trade experts. This study focused on busines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sponsored and oper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for 7 years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future trade specialists known as GTEP(Global Trade Experts Incubation Program) and defined GTEP participants as future trade experts. The test fo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which was set up with 8 questions consisting of 4 internal motivations and 4 external motivations, was made under the special conditions of the GTEP curriculum. Oxford's test(1990) was applied in the analysis of learning strateg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66 university students categorized into two groups: 133 future trade experts and 133 non-trade experts. In terms of motivation, results showed future trade experts having higher internal/external motivations than non-trade experts. In the analysis of strategies, the future trade experts group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both learning motivations and learning strategies while the non-trade experts group showed a correlation only between internal motivation and strategies. One interesting finding is that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xternal motivation and strategies was found in the future trade experts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TEP has led to advanced English proficiency in the case of future trade experts. But, there still remains some tasks that need to be done to help students internalize their learning motivations and stimulate the usage of English 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

        AI 서비스 이용과 미래 AI 사회에 대한 기대 및 불안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대학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허영주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2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7 No.6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AI service use, learning strategy, and expectations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AI society, and in the effect of AI service use on expectations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AI society through learning strategies between junior college and four-yea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on 5,633 students in 2020 among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I service use between two groups. But 4-year college students had higher learning strategies and expectations for the future AI society than junior college students, and their anxiety was low. Second, both students of two groups had a direct effect as the more they used AI services, the higher their expectations about the future AI society,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mediating effect by the learning strategy. Third, in college students, the learning strategy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as it does not affect the anxiety about the future AI society, and in 4-year university students, the higher the learning strategy, the significantly lower the anxiety, confirming that there is a negativ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subject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experience various AI services and improve their learning strategies to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